KR900008256Y1 -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 Google Patents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56Y1
KR900008256Y1 KR2019870013108U KR870013108U KR900008256Y1 KR 900008256 Y1 KR900008256 Y1 KR 900008256Y1 KR 2019870013108 U KR2019870013108 U KR 2019870013108U KR 870013108 U KR870013108 U KR 870013108U KR 900008256 Y1 KR900008256 Y1 KR 900008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metal piece
coil
core
attachmen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225U (ko
Inventor
구니히사 엔도우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이다 마꼬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450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410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0735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6170Y2/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이다 마꼬또 filed Critical 도오꾜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01F27/2828Construction of conductive connections, of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제 1 도는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2 도는 정면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부분 측면도.
제 5 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제 6 도, 제 7 도, 제 8 도는 플랜지의 변형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 9 도와 제 10 도는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1 도는 코일의 결선도.
제 12 도는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를 사용한 복합 전자부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외부단자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4 도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를 사용한 다른 복합 전자부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 15 도는 집적회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어 2 : 플랜지
4, 5 : 홈 6 : 감아올린 홈
7 : 금속편 8 : 변
9 : 접착제 10 : 측면
본 고안은, 복수의 코일을 공통으로 감을 수 있는 코어로 형성이 되며, 지연선이나 필터와 같이 다수의 코일을 다른 회로소자와 조립시켜서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지연선이나 필터와 같이 다수의 코일을 사용해서 회로를 설중하는 경우, 통상 코일을 공통의 코어에 감아서 각각의 코일의 리드선을 인출하여 다른 회로소자와 접촉되게 한다.
리드선은 코어의 플랜지에 인쇄용착이나, 판상의 금속편을 고착하여 형성하고 있는 전극에 접속하여, 콘덴서 등의 다른 회로소자를 배치하고 있는 기판위의 도체 패턴에 코어의 전극을 직접 면 접속하므로서, 다른 회로소자와의 접속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같은 코어의 전극은, 플랜지의 측면에 밀착하고 있으므로 리드선을 묶을수가 없다.
따라서, 리드선의 접속의 신뢰성이 낮고, 다수의 리드선과 전극의 접속부분을 갖는 이 종류의 인덕터에서는, 접속부분에서의 단선사고가 많다. 특히, 리드선의 접속부분이 전극의 면 접속되는 부분에 있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단선사고가 빈발한다. 묶이는 부분이 없음은, 탭을 인출할때에 리드선을 묶음으로서 가정지시켜서, 코일을 연속하여 감을 수 없는 불편함도 있어, 전극을 이용할 수 없고, 직접 도체 패턴에 접속하는 경우도 있다. 또다시 두께가 1㎜ 정도까지 얇아져 있는 플랜지에 인쇄 용착시키거나 판상의 금속편에 의해 전극을 형성하는 일도 어렵고, 전극자신이 벗어지기 쉬운 결점도 있다. 이들의 단선사고나 각종의 결점의 해결은, 코어의 형상이 적어짐에 따라서 한층 곤란해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코어의 플랜지에 리드선을 걸어주므로서 접속이 가능한 전극을 형성함과 함께, 그 전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는 평행한 3 개이상의 플랜지에 의해 구획된 감아올린 홈이 있는 코어의 감아올린 홈에 코일을 감아서 형성되어, 희망하는 플랜지에는 그 측면의 연재라는 방향에 따라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최소한 2 변을 갖는 금속편을 코일의 리드선의 접속되는 그 단부를 제외한 이 측면에 고착시키므로서 전극을 형성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 1 도, 제 2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한다. 제 1 도는 측면도, 제 2 도는 정면도이다.
제 1 도와 제 2 도에 있어서, (1)의 페라이트로 형성되는 코어, (2)는 플랜지, (4)와 (5)는 플랜지의 두께를 뚫어서 설치한 홈이다. 플랜지(2)간의 감아올린 홈(6)에는 코일을 감고 있으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코어(1)는 평행한 5 개의 원형의 플랜지(2)를 설치하고 있으마, 각각의 플랜지(2)에는 금속편(7)을 고착시켜서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금속편(7)은 정면에서 본 경우, U형으로 성형하고 있으며, 플랜지(2)의 측면(10)의 연재하는 방향에 따라서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3 변을 가지고, 이 3 변이 플랜지(2)를 끼운 상태로 접착제(9)로 플랜지(2)의 측면(10)에 고착되어 있다.
홈(4)은 금속편(7)의 돌기(11)와 감합하여, 금속편(7)의 제조시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접착제(9)의 경화될때까지의 금속편(7)을 가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측의 홈(5)은, 감아올린 홈(6)사이의 별도의 코일을 접속하는 리드선을 통하는 역할을 한다.
금속편(7)의 양쪽의 단부(13)는, 제 2 도와 같이 리드선(12)을 묶어서 접속하기 위해 측면(10)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직각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이된 다연결 인덕터가 기판에 배치되어서, 그 도체 패턴에 접속될 때는, 금속편(7)의 아래측의 변(8)이 직접 면 접속된다. 단부(13)는 측면(10)의 상측과 거의 같은 높이에 있으므로, 단부(13)에 의한 접속도 가능하나, 접속되는 면에 리드선(12)이 있으므로 단선을 확실하게 회피하기 위해서와, 도체 패턴과 접속하는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상기한 접속이 바람직하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외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제 4 도는 플랜지의 부분을 도시하는 부분측면도이다. 또한 제 1 도, 제 2 도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3 도와 제 4 도에서는, 금속편(20)이 1 개의 플랜지(21)에서 분할되어 있으며, 2 개의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금속편(20)은 각각 L형으로 성형이 되어 있으며, 측면(25)의 연재하는 방향으로 연해서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2 변을 가지고 있으며, 측면(25)의 횡측과 하측에 접착제(9)로 각각의 변을 고착하고 있다. 2 개의 금속편(20)은 2 개의 L형의 것을 마주하게 하여서 정면 형상이 거의 U형을 형성하도록 고착하고 있다. 원형의 플랜지(21)의 측면(25)의 하측은, 금속편(20)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평탄하게 하고 있다.
금속편(20)의 상측의 단부(22)는, 금속편(7)과 같이 굴곡하고 있지 않으나, 리드선이 묶어지도록 플랜지(21)에서 분리하고 있다. 선단에는, 홈(23)을 설치하고 있으며, 리드선(24)을 제 4 도와 같이 홈(23)을 1 회 통과시키므로서, 가고정할 수가 있으므로, 탭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편리하다. 홈(4), 홈(5)의 역할은, 최초의 실시예와 같다.
제 5 도는, 본 고안의 평면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각각의 플랜지(30)에는, L형으로 상측의 단부(31)를 굴곡시킨 금속편(32)을 고착하고 있다.
금속편(32)은 플랜지(30)의 측면(33)의 연재하는 방향으로 따라서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2 변을 가지고 있으며, 이 2 변을 고착하고 있으나, 금속편(32)은 인접하는 플랜지(30)에서는 측면(33)의 우가로측, 좌가로측과 같이 교대로 반대측에서 고착된다.
리드선은 단부(31)에 접속한다.
면 접속하는 기판의 도체 패턴의 위치나 형상, 또 리드선과의 관계에 의해, 금속편(32)의 고착하는 위치는 이와같이 변화된다. 물론, 인접하는 플랜지(30)에서 동일한 측에서 고착하는 경우도 있다.
제 6 도, 제 7 도, 제 8 도는 코어의 플랜지의 형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 6 도는, 플랜지(40)의 측면(41)에 연해서 홈(42)을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제 7 도에서는 플랜지(50)의 측면(51) 凹부(52)를 설치하고 있다.
이 홈(42)이나 凹부(52)는, 금속편이 플랜지에 접속하는 위치에서 접착제를 빠지게 하여 측면에서 접착제가 넘쳐나가는 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접착제의 양과도 관계하나, 금속편의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서의 홈(42)이나 凹부(52)의 존재는 그다지 가치가 없다.
제 8 도는, 플래지(60)의 금속편과의 접촉부분에 금속막(61)을 인쇄 용착에 의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금속막(61)에 금속편을 스포트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고착하는 것이다. 또한, 금속편의 접속부분은 원형의 플랜지의 경우, 예를 들면 제 2 도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면(10)의 가로측의 홈(4)이 있는 부분, 하측의 변(8)과 접촉하는 부분이나, 플랜지가 각형의 경우, 플랜지의 측면의 3 변이 거의 전부 접촉하므로 제 6 도나 제 7 도의 측면의 형상이 효과를 발휘한다.
제 9 도, 제 10 도는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평탄한 리드 프레임(72)을 리드 프레임(72')과 같이 형성하여, 그 중앙의 凹함(74)에 코어(71)를 끼워 넣는다. 코어(71)의 양단이 플랜지(75)와, 중간의 3 개의 플랜지(70)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둔다.
리드 프레임(72)과 리드 프레임(72')의 평행부(73)는, 뒤에 전극을 형성하는 금속편으로 되나, 그 간격은 인접하는 플랜지의 간격과 동일하게 하고 있으며, 한 곳(74)에 끼워진 플랜지(70), 플랜지(75)와 평행부(73)의 위치는 일치한다. 그래서 접착제가 경화한 후에, 점선의 위치에서 리드 프레임(72')을 절단하므로서, 제 10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플랜지에 전극을 형성한 코어(71)를 얻는다. 또한, 코어(71)의 양단의 플랜지(75)는, 권선기의 척부에 고정하여 코일을 감을 수 있도록 중간의 플랜지(70)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하면 형편이 좋다. (76)은 리드선을 통하는 홈이다.
다음으로 제 10 도의 코어(71)에 제 11 도의 결선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코일을 감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 11 도는, 4 개의 코일을 직렬 접속하고 있으며, 각각의 코일은 탭을 인출하고 있다.
먼저, 가장 끝의 리드선(90)을 전극인 금속편(80)에 묶어, 코일(100)을 감아올릴 홈(77A)에 감는다.
코일(100)의 탭의 리드선(91)을 금속편(81)에 묶어서 또다시 감아올린 홈(77A)에 코일(100)의 나머지를 감는다. 코일(100)과 코일(101)을 접속하는 리드선(92)을 홈(76)을 통해, 인접하는 감아올린 홈(77B)에 코일(101)을 감는다.
동일하게 하여, 코일(102), 코일(103)을 각각 감아올린홈(77C), 감아올린홈(77D)에 차례로 감는다.
그래서 종단의 리드선(93)을 금속편(82)에 묶는다.
마지막으로, 리드선을 묶은 부분은 납땜하므로서, 제 1 도, 제 2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제 3 도, 제 4 도와 같은 전극을 형성하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는, 평행부(73)의 중안근처를 절단하여 두면 된다. 단, 평행부(73)는 플랜지의 수보다 많게 하여, 최단부의 평행부(73)를 절단하지 않도록 하여, 凹한 곳(74)에 코어(71)를 끼워 넣기전에 리드 프레임(72')이 분리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제 5 도의 인덕터도, 凹한 곳에 코어를 유지한 상태에서 금속편을 플랜지에 고착하여 전극을 형성할 수가 있다.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편의 형성. 플랜지로의 고착방법은. 이와같이 각종으로 변화할 수 있다. 불필요한 플랜지에는, 전극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플랜지나 감아올린홈의 절단면은, 원형이거나 각형이어도 좋다.
감아올린 홈의 축은 일직선으로 하지 않고, 어긋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코일과 다른 회로소자를 기판의 주면에 배치하여 회로를 구성하여, 이 회로에 접속하는 외부단자를 노정시킨 상태에서 수지봉지하는 복합전자 부품에 본 고안의 평면 부착 다연결 인덕터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 12 도는 복합 전자부품의 정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외부단자를 제외한 경우의 분해사시도이다.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로서는, 제 1 도, 제 2 도의 실시예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 12 도와 제 13 도에 있어서, 번호(111)은 유리섬유를 넣은 애폭시 수지로 되는 프린트 기판, (1)은 복수의 코일의 감겨진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의 코어, (7)은 전극을 이루는 금속편(112)은 콘덴서, 저항등의 코일을 제외한 회로소자, (113)은 외부단자이다.
기판(111)의 양단의 홈(114)에는, 외부단자(114)에는, 외부단자(113)가 감합하여, 기판(111)에 형성이 되는 회로가 외부로 인출된다. 제 12 도의 점선으로 감싸인 부분은, 수지봉지되는 부분이다. 기판(111)의 홈(114)의 주위, 회로소자(112)와 코일의 감겨지는 코어(1)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포함해서 기판(111)위에 형성되어 있는 도체 패턴 및 코어(1)에 감겨져 있는 코일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14 도는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를 사용하는 다른 복합 전자부품의 정면도이며, 제 12 도, 제 13 도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116)의 표면에는, 코일을 감고 있는 코어(1), 회로호자(112)를 배치하여 제 12 도, 제 13 도와 같이 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 회로는 이면에도 통과홀에 의해 도출하고 있으며, 이면에서 제 15 도의 평면도로 도시하는 바와같은 프래트패케지의 집적회로(117)를 접속하는 것이다. 집적회로(117)의 단자(118)는, 프래트 패키지의 측면에 따라 구부려지고, 이면에서 도체 패턴에 면 접속한다.
제 14 도의 구성은, TTL등의 포화형 놀리 회로에 지연선을 접속한 복합 전자부품을 구성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제 12 도 내지 제 14 도의 복합 전자부품에 있어서는, 프린트 기판 대신에, 콘덴서를 내부에 적층하므로서 형성되는 세라믹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집적회로는 그 칩을 기판에 직접 본딩하는 경우도 있다.
또다시, 기판과 외부단자의 접속은, 기판의 측변부분에 공을 뚫어서 그 공에 외부단자를 삽통하는 방법도 있다.
본 고안은 평면 부착형 고정 인덕터를 사용한 복합 전자부품은, 다수의 코일이 공통의 코어에 감겨 있으며, 더욱, 코어의 플랜지에는 코일의 리드선을 묶어서 접속가능한 금속편의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리드선은 금속편에 묶어지므로서, 간단히 인출되므로, 탭의 리드선을 금속편에 가고정하여, 별도의 코일을 연속하여 감을 수가 있다. 이 간편함에서, 종단, 탭의 어떤것의 리드선도 전극인 금속편에 접속하여, 도체패턴에 면 접속하는 금속편을 거쳐서 별도의 회로소자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된다. 그래서 직접 도체 패턴에 리드선을 접속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리드선의 단선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배선의 번잡함을 해결이 되어, 그 공수도 절감된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는, 플랜지에 금속편을 고착하여 전극을 형성하고 있으며, 더욱이 금속편은 코아의 측면의 연재하는 방향으로 연해서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최소한 2 변으로 되며, 단부는 코일의 리드선을 얽어서 접속이 가능하도록 코어에서 이간시키고 있다.
묶어 주므로서, 리드선과 전극의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다시 탭의 인출을 전극에 접속하여 행하는 일도 용이하며, 이미 설명을 한 바와 같은 복합 전자부품과 같이 다수의 탭이 있는 경우에는 특히 편리하다. 그래서 최소한 2 변을 플랜지에 접속시켜서 고착하므로 전극이 플랜지에 벗겨지는 일도 거의 없어진다. 또한, 제 9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을 한 바와같이, 리드 프레임에서 플랜디의 부분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부분이 금속을 전극이로 하여 단번에 고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랜지마다 별도로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도 용이해진다.
이것은, 플랜지가 다수있는 경우에 특히 큰 이점이 있다. 또한 복합 전자부품에 사용한 경우는, 공통의 코어에 코일을 감고 있으므로 코일의 기판위에 점유하는 면적도 적어지고, 코일간 상호의 위치관계도 일정한 것은 명백하다.
이와같이 하여, 다수의 코일을 사용한 지연선이나 LC 필터를 구성하는 경우에 적합한 평면 부착형 다연결인덕터를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6)

  1. 평행하게 줄을 긋는 3 개 이상의 플랜지에 의해 단절이된 감겨 올려진 홈이 있는 코어의 홈에 코일을 감아서 형성이 되고, 희망하는 플랜지에는 그 측면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해서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최소한 2 변을 갖는 금속편을, 코일의 리드선의 접속되는 그 단부를 뽑아서 이 측면에 고착하므로서 전극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이 금속편은 정면 형상이 거의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이 금속편은 정면 형상이 거의 L자형인 평면부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결 인덕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정면 형상이 거의 L자형의 이 금속편이, 1 개의 플랜지에 대해 2 개 고착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의 양단의 플랜지의 두께가, 중간의 플랜지보다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과 다른 회로소자를 기판의 주면에 배치하여 회로를 구성하여, 이 회로에 접속하는 외부 단자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전체를 수지봉지하고 있는 복합 전자부품의 코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KR2019870013108U 1986-08-06 1987-08-05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KR9000082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507 1986-08-06
JP120735 1986-08-06
JP18450786A JPS6341005A (ja) 1986-08-06 1986-08-06 複合電子部品
JP12073586U JPH046170Y2 (ko) 1986-08-06 1986-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225U KR880005225U (ko) 1988-05-11
KR900008256Y1 true KR900008256Y1 (ko) 1990-09-10

Family

ID=2645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108U KR900008256Y1 (ko) 1986-08-06 1987-08-05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2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225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6238A (en) Hybrid circuit device
EP0311418B1 (en) Composite bead element
KR100360047B1 (ko) 반도체장치,그의제조방법및실장방법
KR20000051306A (ko) 적층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적층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패키지 얼라인용 치구
US5309130A (en) Self leaded surface mount coil lead form
US5617300A (en) Connecting method of printed substrate and apparatus
US7129810B1 (en) Common mode choke coil
US4553123A (en) Miniature inductor
KR900008256Y1 (ko) 평면 부착형 다연결 인덕터
JPH0214770B2 (ko)
JPH03163808A (ja) インダクタンス部品
JPH0246098Y2 (ko)
JP2000311816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JPS6341005A (ja) 複合電子部品
JPS6233345Y2 (ko)
JPH0353455Y2 (ko)
JPH05326265A (ja) 回路装置
JPH0266903A (ja) 小形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7402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47967Y2 (ko)
JPH0531213U (ja) トランス
JPH097856A (ja) 回路部品
JPH09186022A (ja) Lc複合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23449A (ja) コイル部品
JPH03534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