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060B1 -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060B1
KR900008060B1 KR1019870001509A KR870001509A KR900008060B1 KR 900008060 B1 KR900008060 B1 KR 900008060B1 KR 1019870001509 A KR1019870001509 A KR 1019870001509A KR 870001509 A KR870001509 A KR 870001509A KR 900008060 B1 KR900008060 B1 KR 90000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parking lot
wheel
park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342A (ko
Inventor
노리히데 가도이
미쓰유끼 구와다
Original Assignee
후꾸야마 교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찌가 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꾸야마 교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찌가 쥰이찌로오 filed Critical 후꾸야마 교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1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Physical Deposition Of Substances That Are Compon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차장치
제1도-제3도는 븐 발명의 한실시예인 주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a)는 주차장치의 평면도.
제1도(b)는 그 측면도.
제2도는 그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차륜받침대차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주차방법으로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차장 2 : 도로
3: 자동차 5 : 차받침대차(車寢台車)
6 : (5)의 차륜 7 : 축
8 : 베어링 9 : 스토퍼
10 : 완충재 11 : 차륜받침대차(車輪寢台車)
12 : (1)의 차륜 13 : (11)의 오목부
14 : 자동차의 차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주차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4도는 종래의 평면적인 주차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직각주차, (b)는 종렬주차방법의 평면도이다.
도면 중 (1)은 주차장, (2)는 도로, (3)은 자동차, (4)는 주차하는 차의 움직임을 나타낸 화살표이다. 그런데 종래의 주차장으로 주차시키기 위하여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① 직각주차의 경우…… 주차장(1)으로 차(3)를 주차시키려면 주차장(1) 출입구에 면한 도로(2)폭은 4m이상을 필요로 하였다.
②종렬주차의경우…… 숙련한 운전기술을 필요로 하였을 뿐 나니라, 주차장의 스페이스도 차폭+0.8m. 차길이+1.5m가 소요되어 커다란 용지를 필요로 하였다.
이상과 같이 어느 경우라 하더라도 주차하려면 주차장에 면하는 도로, 및 차의 전후좌우에 어느 정도의 용지의 여유가 필요하고 나아가서 고도의 운전기술도 요구되기 때문에 도회지 등에서 주차장을 확보하는 일은 입지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곤란한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 놓은 것으로, 협소한 스페이스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주차장치를 제공하려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주차장치는 자동차의 3개의 차륜을 실을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현상으로 형성되고, 아래면에 여러개의 차륜을 구비하여, 옆부분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측을 마련하였으며, 이 축을 바닥면에 배설한 베어링에 선회하기 자유롭도록 끼워서된 차받침대차와 이 차받침대차에 실을 수 없었던 자동차의 1개의 차륜을 지지하고,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차륜받짐대차 등으로 구성하였다.
상기한 주차장치를 배설한 주차장에 있어서는, 주차할 때면 이 주차장치의 차받침대차를 상기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로쪽으로 선회이동하게 하고, 도로에서 자동차를 자체의 힘으로 추진하게 하여 3개의 차륜을 차받침대차 위에 실은 다음, 나머지 1개의 차륜에 대하여는 차륜받침대차로 지지시키고, 차받침대차를 반대방향으로 선회이동시켜서 주차장내에 수납하였다. 주차장으로부터 차를 끌어낼 때는 상기한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주차장치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제2도는 차받침대차를 도로쪽으로 선회이동시켰을 때의 평면도, 제3도는 차륜받짐대차의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면 중 (1)은 주차장, (2)는 도로, (3)은 자동차 (5)는 차받침대차, (6)은 차받침대차베어링, (9)는 스토퍼, (10)은 완충재, (11)은 차륜받침대차, (12)는 차륜받침대차의 차륜,(14)는 자동차의 차륜이다.
도면에서, 차받침대차(5)의 상면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면에 여러개의 차륜(6)을 회전할 수 있게 고정한다.
차받침대차(5)의 옆부분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축(7)을 굳게 부착하고, 이 축(7)을 주차장(1)내의 바닥면에서 배설한 베어링(8)에 차받침대차(5)를 선회하기 자유롭도록 끼운다. 더우기 차받침대차(5)의 옆부분에는, 경질고무 또는 스프링 등으로 형성한 완충재(10)를 굳게 부착한다. 또 제3도에 나타낸 차륜받침대차(11)는 하면에 여러개의 자유차륜을 회전할 수 있게 고청하고, 상면에 자동차의 차륜(14)을 지지하는 오목부(13)를 형성하였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주차할때는 차받침대차(5)를 축(7)을 회전축으로 하여, 인력 또는 기계력(도면에 없음)에 의하여 도로(2)의 방향으로 선회이동하며, 제2도에서와 같이 위치토록 한다. 따라서 차륜받침대차(11)를 제2도의 위치에 배치하고 차를 화살표방향으로 주행하게하여, 그 3개의 차륜(14)을 차받침대차(5)위에 실도록하며, 스토퍼(9)를 배치함과 동시에 나머지 차륜(14)에 대하여는 차륜받침대차(l1)로 지지하게 한다.
이어서 차받침대차(5)를 상기한 것과는 반대방향으로 선회이동시켜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차장(1)내에 수납하여 주차태세를 갖추게 된다. 차를 끌어낼때는 상기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차받침대차(5)를 도로방향으로 선회이동하고, 차를 차받침대차(5)로 부터 주행시키는 다음 차받침대차(5)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차장(1)에 수납한다.
차받침대차(5)의 선회이동에 기계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압기구, 원치 혹은 대차차륜의 구동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완충재(10)에 의하여, 차받침대차(5)와 주차장벽과의 충돌에 의한 대차 및 벽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받침대차(5)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차받침대차(5)를 도로쪽으로 선회이동하여도, 차받침대차(5)가 도로[2)에 삐어져 나오는 일은 없고, 공용도로 사용상의 규제를 받은일은 없다.
또 차받침대차(5)에 실려있지 않은 차의 차륜(14)을 지지하는 차륜받침대차(11)는 차륜(14)을 지지함에 충분한 강도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닌것이라면, 상기한 실시예의 구조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주차장치를 자동차의 3개의 차륜을 실은 사다리꼴 형상의 차받침대차와 자동차의 차륜받침대차등으로 구성하였으므로,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뛰어난 효과를 올릴 수 있었다.
ⓛ 주차장의 스페이스가 종래의 주차장에 비하여 대폭 저감할 수 있었으며, ② 공용도로 사용의 제약을 받지 않았고, ③ 주차함에 특히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1)

  1. 상면에 자동차(3)의 3개의 차륜(6)을 실을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하면에 여러개의 차륜(6)을 지니고, 옆부분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축(7)을 구비하여, 이 축(7)을 바닥면에 배설한 베어링(8)내에 선회가 자유롭도록 끼워서된 차받침대차(5)와 상기한바 자동차(3)의 나머지 1개의 차륜(6)을 지지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차륜받침대차(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
KR1019870001509A 1986-05-09 1987-02-23 주차장치 KR900008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04944A JPS62264272A (ja) 1986-05-09 1986-05-09 駐車装置
JP104944 1986-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342A KR870011342A (ko) 1987-12-22
KR900008060B1 true KR900008060B1 (ko) 1990-10-31

Family

ID=1439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509A KR900008060B1 (ko) 1986-05-09 1987-02-23 주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264272A (ko)
KR (1) KR9000080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64272A (ja) 1987-11-17
KR870011342A (ko) 1987-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060B1 (ko) 주차장치
GB2141679A (en) Motor vehicle turntable
KR900008061B1 (ko) 주차장치
JP2556647Y2 (ja) 自動車移動駐車装置
CN218061689U (zh) 一种停车架二级伸缩导轨装置
JPH0321708B2 (ko)
JPH04169664A (ja) 車庫入れ用台車
GB2190052A (en) Vehicle parking apparatus
JPS62264268A (ja) 駐車装置
JPH0223713Y2 (ko)
JPH057562U (ja) 自動車幅寄せ装置
KR950000580Y1 (ko) 자동차용 방향 전환장치
JPS62264270A (ja) 駐車装置
JPH0594040U (ja) 自動車の幅寄せ装置
JPS63184951U (ko)
JP2505863Y2 (ja) 横移動式駐車装置
SU100812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автомобилей
SE8703756L (sv) Transportanordning for fordon
JPH03153409A (ja) 軌道走行車の車輪収納構造
JPH0412213Y2 (ko)
JPH0339568Y2 (ko)
JP3126425B2 (ja) 自動車タイヤの案内装置
SU1204531A1 (ru) Автомобилеопрокидыватель
JPH081104B2 (ja) 駐車装置
JPH01426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