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021Y1 -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021Y1
KR900008021Y1 KR2019900005489U KR900005489U KR900008021Y1 KR 900008021 Y1 KR900008021 Y1 KR 900008021Y1 KR 2019900005489 U KR2019900005489 U KR 2019900005489U KR 900005489 U KR900005489 U KR 900005489U KR 900008021 Y1 KR900008021 Y1 KR 900008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terminal
differential receiver
level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사사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17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7574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900005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제 1 도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파형도.
제 3 도는 엘리베이터의 거리검출방법의 일 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 4 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를 표시하는 회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동작을 설명하는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기 6 : 엔코더(encoder)
7 : 엔코더펄스수신회로 8 : 카운터
71 : 차동형리시버 72,73 : 종단저항기
74 : 제 1 저항기 75 : 제 2 저항기
이 고안은 엔코더(encoder)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수신회로의 개량에 바탕을 둔 엘리베이터 이동거리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 약칭함)의 이동거리를 디지탈적으로 검출하는 수단의 하나로서 일반적으로 로터리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제 3 도에 이 수단을 사용한 카의 이동거리 측정방법의 일 예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전동기, 2는 전동기(1)에 의하여 구동되는 권상기의 구동활차, 3은 이구동활차(2)에 권회된 로프인데 양단에는 카(4) 및 균형추(5)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6은 상기 전동기(1)이 회전에 따라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로터리 엔코더(이하 엔코더라 한다)이고, 이 펄스신호는, 전송신호(6A)를 경유하여 엔코더 펄스수신회로(7)에 입력된 후 카운터(8)에서 그 입력펄스를 계수하여 계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카(4)의 이동거리를 검출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엔코더(6) 및 엔코더 펄스 수신회로(7)의 내부구성을 제 4 도에 표시한다.
이 엔코더(6)의 구성에 있어서 61은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광투과용 슬릿을 설치한 원판, 이 원판(61)은 전동기(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62는 상기 슬릿을 투과하는 빛을 검출하여 전동기(1)의 회전에 따른 펄스검출신호를 송출하는 광전자장치, 63은 상기 검출신호를 차동펄스신호 VA,VB로 송출하는 자동형 드라이버이다.
그런데, 엔코더펄스수신회로(7)을 구성하는 (71)은 상기 차동펄스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펄스검출신호에 따른 펄스신호 Vc를 출력하는 차동형리시버이고 이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과 전원(V)간, 및 제 2의 입력단자(B1)과 어스(또는(-)전원)간에는, 무신호 입력시에는 입력단자(A1) 및 (B1)을 각각 H레벨 및 L레벨로 그램프하는 종단저항기(72)(7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또 6A는 신호전송선(6a) 및 (6b)의 2개선에 의하여 구성되는 신호전송선로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관한 종래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의 동작을 제 5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 도는 엔코더 펄스수신회로의 입력단자(A1)(B1) 및 출력단자(C1)에 나타나는 펄스신호 파형도이다.
지금, 전동기(1)의 회전에 따라 광전장치(62)에서 출력된 펄스신호는 차동형드라이버(63)에 의하여 상대(相對)적인 논리레벨(H레벨, L레벨로)를 가진 차동펄스신호(VA),(VB)로 변환된 후 출력단자(Ao)(Bo)에서 각각 신호전송선(6a) 및 (6b)를 경유하여 엔코더 펄스수신회로(7)측의 차동형 리시버(71)의 입력단자(A1) 및 (B1)에 입력된다.
입력단자(A1) 및 (B1)에서 입력된 차동펄스신호(VA),(VB)의 논리레벨(H 혹은 L)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차동형리시버(71)로서는 차동신호로서 입력되고 차동분(差動分)에 따른 펄스신호(Vc)를 출력한다.
그 결과 엔코더(6)측에서 차동펄스신호(VA)(VB)를 신호전송선로(6A)를 경유하여 전송중에, 노이즈가 신호전송선로(6A)에서 차동펄스(A)(B)로 유발되어도 노이즈는 동상성분(同相成分)으로서 차동펄스신호(VA)(VB)와 함께 차동형리시버(71)에 입력되기 때문에 차동형펄스신호(VA)(VB)와 함께 차동형리시버(71)에 입력되기 때문에 차동형펄스신호(VA)(VB)에서 제거되고 출력의 펄스신호(Vc)는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신호전송선(6a) 혹은(6b)의 한쪽이 단선등에 의하여 차동펄스신호(VA) 혹은 (VB)의 한쪽이 전송되지 않을 때 불량신호선이 접속된 차동형리시버(71)의 입력단자(A1) 및 (B1)은 종단저항기(72) 혹은 (73)에 의하여 차동펄스신호의 H레벨 또는 L레벨전위로 크램프된다.
그리고 차동형리시버(7)을 이 크림프전위와 정상적인 신호선을 경유하여 전송되어오는 한쪽의 차동펄스신호를 입력하여 펄스신호(Vc)를 출력한다.
그리곤 이 펄스신호(Vc)는 카운터(8)에 의하여 계수되고 이 계수치를 바탕으로 하여 카(4)의 이동거리를 검출한다.
평행전송방식을 사용한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검출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신호전송(6a)(6b)의 단선 혹은 신호전송선(6a)(6b)와 엔코더(6) 또는 엔코더펄스수신회로(7)과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으로 인하여 한쪽의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때 예컨대 신호전송선(6b)가 단선되면 차동형리시버(71)과의 입력단자(B1)은 종단저항(73)에 의하여 L레벨(VL)로 되었을 때 양 입력단자의 신호레벨은 일치한다.
그 때문에 출력단자(C1)의 신호레벨은 H레벨(VH)로 되든지 또는 L레벨(VL)로 되는지는 그 때의 입력단자(A1)(B1)간의 신호레벨의 근소한 차이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차동형 리시버(71)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는 대단히 불안전한 상태로 되어, 소정의 펄스수보다 많이 발생되든지 혹은 적게 발생되든지 한다.
따라서 그 펄스를 카운터(8)에서 계수한 값은 (4)의 이동거리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제어를 정확하게 할 수 없게되고 또, 이때의 고장발견이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었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신호전송선의 단속 혹은 그 접속부의 접속불량에 의하여 차동펄스신호의 한쪽의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때의 출력펄스신호의 출력을 차동형리시버에서 차단시키므로서 불완전한 펄스발생상태에서의 출력펄스 계수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제어를 방지하고 신호전송선의 불량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주행제어기능에 있어서의 고장발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는 제 1의 신호전송선과 차동형리시버의 제 1의 입력단자간 및 제 2의 신호전송선과 상기 차동형 리시버의 제 2의 입력단자간의 각각 저항기를 부가하고 차동형리시버의 제 1 및 제 2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레벨에 차이를 두어, 이 레벨차이를 가진 신호를 차동형리시버가 수신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의 인코더 펄스수신회로를 구성하는 차동형 리시버에 있어서는 차동펄스신호의 한쪽의 신호가 차단된 입력단자의 크램프전압의 전위레벨은 다른 한쪽의 입력단자에 입력되는 펄스신호의 H레벨 혹은 L레벨보다 충분한 레벨차이를 갖기 때문에 불안전한 상태의 펄스출력을 정지시켜 일정레벨의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불완전한 엘리베이터의 주행제어를 방지할 수 있고 또 고장의 조기발견이 용이하게 된다.
이하 이 발명의 한실시예를 제 1 도 및 제 2 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와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74 및 75는 각각 제 1 및 제 2의 저항기이다.
제 5 도 (a) 및 (b)에 표시한 파형의 펄스신호 즉 신호레벨이 VH및 VL로 되는 신호가 엔코더펄스수신회로(7)의 입력이 인가되었다고 하면,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 및 제 2의 입력단자(A1) 및 (B1)에 있어서 펄스신호는 제 2 도 (a) 및 (b)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 1의 입력단자(A1)의 신호(VA)는 저항기(72)와 (74)에 의하여 VH및 VL'의 신호레벨을 가지며 그리고 제 2의 입력단자(B1)의 신호(VB)는 저항기(73)과 (75)에 의하여 VH' 및 VL의 레벨을 가진 신호로 된다.
또, 각 신호레벨간에는 VH VH'VL'VL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제 1 및 제 2의 저항기(72) 및 (75)의 값을 선택한다.
또한 전원(Vc) 및 어스전위와 신호레벨(VH)(VL)의 관계는 VcVB, 어스전위VL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한쪽의 신호가 신호전송선(6a) 또는 (6b) 혹은 접속부의 접속불량등에 의하여 차단되었을때 예컨대 신호전송선(6b)가 차단되었을때 차동형리시버(71)의 입력단자(B1)의 신호레벨(VB)는 저항기(73)에 의하여 L레벨로 크램프되어 항상 VB=VL로 되고 입력단자(A1)의 신호레벨(VA)와의 관계는 항상 VA>VB되기 때문에 차동형리시버(71)의 출력은 항상 VH로 된다.
또 전송선(6a)이 차단되면 입력단자(A1)은 저항기(72)에 의하여 VA=VH로 되어 VA VB로 되기 때문에 차동형리시버(71)의 출력은 마찬가지로 VH로 되어 H레벨으로 된다.
따라서 평행전송신호의 한쪽이 차단되었을 때 엔코더 펄스수신회로(7)로부터의 펄스출력은 저지되고 이로 인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전회로(도시치않음)에 의하여 이동거리 검출장치의 고장을 조기 발견할 수 있고 고장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저항기(75)는 엔코더(6)의 차동형 드라이버(63)의 내부저항(도시치않음)을 이용하면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은 엘리베이터에 적용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평행전송방식에 있어서 차동형리시버에 입력되는 2개의 입력신호의 레벨차이를 두게 함으로써 한쪽의 시호가 차단되었을대 엔코더 펄스수신회로에서의 출력펄스를 확실하게 차단하도록 하였으므로 불안전한 펄스가 출력되어있는 상태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주행을 방지할 수 있고 또 고장의 조기발견이 용이한 안전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카(4)가 단위이동할 때마다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6)와, 이 출력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엔코더펄스수신회로(7)를 가지며, 상기 엔코더(6)와 상기 엔코더펄스 수신회로간(7)의 신호전송을 제 1 및 제 2의 신호전송선(6a)(6b)에 의한 평형전송방식에 의하여 전송하고 또 상기 엔코더펄스수신회로(7)는 차동형리시버(71)와, 이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와, (+)전원간 및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1의 입력단자(B1)와, (-)전원간에 각각 설치한 종단저항기(72)(73)를 가진 구성으로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전송선(6a)과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간에 제 1의 저항기(74)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 2의 신호전송선(6b)과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2의 입력단자(B1)간에 제 2의 저항기(75)를 결합하고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에서의 신호의 저위(低位)레벨을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2의 입력단자(B1)에서의 신호의 저위 및 고위(高位)레벨의 중간레벨로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차동형 리시버(71)의 제 2의 입력단자(B1)에서의 신호의 고위레벨을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에서의 신호의 저위 및 고위레벨의 중간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저항기(74)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차동형 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에서의 신호의 저위레벨은 상기 차동형 리시버(71)의 제 2의 입력단자(B1)에서의 신호의 저위레벨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전송선(6a)에 의한 신호전송이 차단되면 상기 제 1의 입력단자(A1)에 있어서의 신호는 상기 제 2의 입력단자(B1)의 신호의 고위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저항기(75)에 의하여 설정되는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2의 입력단자(B1)에서의 신호의 고위레벨은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제 1의 입력단자(A1)에서의 신호의 고위레벨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신호전송선(6b)에 의한 신호전송이 차단되면 상기 제 2의 입력단자(B1)에서의 신호는 상기 제 1의 입력단자(A1)의 신호의 저위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신호전송선(6a) 및 제 2의 신호전송선(6b)중, 하나의 전송선에 의한 신호전송이 차단되면 상기 차동형리시버(71)의 출력은 항상 높은 레벨로 되며 펄스출력의 발생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KR2019900005489U 1985-05-31 1990-04-30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KR900008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489U KR900008021Y1 (ko) 1985-05-31 1990-04-30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7923A JPS61277574A (ja) 1985-05-31 1985-05-31 エレベ−タの移動距離検出装置
KR1019860002597A KR860008928A (ko) 1985-05-31 1986-04-04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JP117923 1986-05-22
KR2019900005489U KR900008021Y1 (ko) 1985-05-31 1990-04-30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597A Division KR860008928A (ko) 1985-05-31 1986-04-04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021Y1 true KR900008021Y1 (ko) 1990-09-03

Family

ID=2731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489U KR900008021Y1 (ko) 1985-05-31 1990-04-30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84A (ko) * 2002-03-12 2003-09-19 하전호 흡착구가 구비된 면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84A (ko) * 2002-03-12 2003-09-19 하전호 흡착구가 구비된 면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323B2 (ja) 直列データリンク診断用ハードウエア
US6242904B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direction of rotation
KR910003241B1 (ko) 데이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EP0239731A2 (en) Differential transceiver with line integrity detection
EP0383291B1 (en) Transmission failure diagnosis apparatus
US6493401B1 (en) Receiving circuit and method for a controlled area network system
KR900008021Y1 (ko) 엘리베이터의 이동거리 검출장치
US4671391A (en) Moving distance detector for an elevator
JP2884982B2 (ja) 回転センサの故障検出装置および故障検出機能付回転センサ
JPH04245817A (ja) データ受信回路
JP4096997B2 (ja) 平行に案内された2本のデータラインでのデジタルデータメッセージの直列伝送を監視する方法
EP0474241A2 (en) HDB3 Code violation detector
EP0735375A2 (de) Vorrichtung zur Kabelbrucherkennung
JPS60117843A (ja) デ−タ伝送システムの信号出力方式
JPH0715219Y2 (ja) 差動ディジタル伝送路の断線検出回路
JPH0685717A (ja) 平衡伝送路断線検出回路
JPS5960216A (ja) 回転センサ
JPS63300908A (ja) エンコ−ダの断線検出回路
JP2851085B2 (ja) 端末電源断検出方法
JP3105055B2 (ja) 制御装置間の通信方法
JPH09284320A (ja) 通信制御装置
JP2601184B2 (ja) 回線切替制御信号の伝送方式
JPS62287747A (ja) 信号検知装置
JPH06119590A (ja) エンコーダ信号伝送回路の瞬時断線検出装置
JPH01113900A (ja) 断線検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