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62B1 - 정미기 - Google Patents

정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62B1
KR900007862B1 KR1019870013450A KR870013450A KR900007862B1 KR 900007862 B1 KR900007862 B1 KR 900007862B1 KR 1019870013450 A KR1019870013450 A KR 1019870013450A KR 870013450 A KR870013450 A KR 870013450A KR 900007862 B1 KR900007862 B1 KR 90000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rice
emery
inser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795A (ko
Inventor
천 후앙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천 후앙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 후앙 로버트 filed Critical 천 후앙 로버트
Priority to KR101987001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862B1/ko
Publication of KR890007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미기
제1도는 본 발명 정미기 4대를 병열로 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 정미기의 종단면 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 정미기의 분해설명도.
제4도 (a)는 로터 조립체의 분해 평면도, (b)는 로터 조립체의 분해 측면도, (c)는 나선형 곡물압송 스크류의 측면도.
제5도 (a)는 스크린 조립체의 측면도, (b)는 스크린 조립체의 프레임 평면도, (c)는 스크린 부재와 에머리 삽입체의 사시도.
제6도 (a)(b)(c)(d) 및 (e)는 곡물의 여건과 작업 조건에 따라 로터 조립체측의 에머리 삽입체와 스크린 조립체측의 에머리 삽입체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 제1수용부위 2 : 제2수용부위
3 : 제3수용부위 4 : 제4수용부위
5 : 기대 6 : 곡물투입구
7 : 곡물압송용 스크류 8 : 공기필터
9 : 곡물분배관 10 : 호퍼
11 : 콘베이어 벨트 12 : 로울러
13: 모우터 14: 지면
15 : 블레이드 16 배기도관
17 : 집진기 18 : 곡물저장소
19 : 창 20 : 호퍼
21 : 저장탱크 22 : 프렌지
26, 30, 115, 120, 121 : 나사 34 : 전동기
35 : 모터풀리 36 : V형 벨트
37 : 구동풀리 40 : 팬
72 : 원통형 벽 73 : 외향 돌출 플렌지
74 : 원통형벽 77 : 플렌지
80 : 루프 101 : 중공형축
102 : 디스크 103 : 로터조립체
104 : 스크린 조립체 106 : 파형뚜껑
109 : 에머리 삽입체 110 : 스크린 부재
111 : 로터 112 : 받침판
114, 117 : 원통형 부재 116 : 프레임
118, 119 : 돌출부 122 : 전동기 위치 조정장치
123 : 곡물투입량 조절장치 124 : 핸들
125 : 축 126 : 중량체
127 : 개폐조정장치 128 : 플랜지
129, 130, 131, 132 : 공간 134 : 받침판
본 발명은 개선된 정미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미국의 외피를 박피하는 작업과, 알곡의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만일 공정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미기를 설계함에 있어서는 미곡의 박피 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등의 과정을 거치는 도중 미곡의 파쇄가 적게 일어나게끔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며, 될 수 있는 한 정미 기계가 공간을 작게 점유하게끔 하고, 또 가능한한 동력을 적게 소모하는 정미기계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다.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여러가지 기계가 알려져 있고 이것들이 판매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그러나 이들 기계들은 정미 작업을 분리된 여러단계에 걸쳐 수행하게 된다. 즉, 박피단계, 도정단계, 광택화 단계등으로 분리시켜 수행하게 된다. 즉, 이 분리된 단계라는 것은 분리된 기계를 의미하는 것이어서, 박피기계, 도정기계, 광택화 기계 등이 따로 따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도정기계 및 광택화기계들은 각각, 여러단계 즉, 여러대의 기계를 거치도륵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피기계에서는 도정기계 및 광택화 기계에 완전히 박피된 미곡을 제공해야 하며, 그렇지 못하고 박피되지 않는 벼가 섞여있는 상태로 미곡이 도정단계 및 광택화 단계로 들어가게 되면 그 도정기계 및 광택화 기계에서는 그 섞인 벼 상태의 미곡을 처리할 수가 없는 것이다.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정미기가 알려져 있으나 하나의 기계로 완전한 박피작업을 거쳐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수행해 낼 수 있는 기계는 아직 알려진 바 없으며, 또한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도정기계 및 광택화 기계가 알려져 있으나, 박피과정에서 완전히 처리되지 못한 벼상태의 미곡을 이 도정 및 광택화 과정에서 보완적으로 박피작업을 수행해 낼 수 있는 기계도 아직 알려진 바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기계에서는 박피작업을 l차로 거친후 다시 2차 박피 작업과정에 미곡을 재투입하여 완전한 박피 상태를 달성하든가, 또는 박피 기계와 도정기계와의 사이에 선별기를 설치하여 박피되지 않은 벼를 분류해 내고난 다음, 완전 박피된 미곡만을 도정기계에 투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현재 알려진 대부분의 박피기계, 도정기계 및 광택화기계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의 에머리(Emery)(金鋼砂)를 사용하여 그 마찰력을 이용하여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인데, 이러한 기계들은 그 부피가 방대하고, 과도하게 많은 양의 동력을 소모하여 비경제적인 점과 불편함을 면치 못한다.
또한 이 분야에 수평식 기계와 수직식 기계가 알려져 있는데, 특히 수평식 기계에서는 곡물 상승장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므로 많은 공간이 필요했으며, 이와같은 곡물 상승장치의 사용을 피하기 위하여 다단계식 수평식 기계를 설계한 적이 있었으나, 이것은 또한 장소를 너무 크게 점유하고, 또 내시검사를 하기 위하여 계단을 설치해야 하는등 불편이 많았다.
상기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소형의 도정 및 광택화 기계가 설계되었으나, 이 기계에서 사용하는 로터의 회전으로 인하여 곡물이 튀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정에 따라 작업 속도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거나 해야하며, 이로 인하여 최종 처리된 곡물은 거칠고 불균일하고 많은 양의 곡물 파쇄가 발생하였다.
또한 이 분야에 공지된 기계들은 대부분 송풍식으로 되어 있는데, 이 기계들은 대부분 거치른 표면을 가진 다각형 스크린과 원통형 로터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이 다각형의 모서리 부위가 더 큰 마찰력을 증진시켜 장치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이라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은 이 다각형, 특히 지금까지 선호된 6각형을 고수할 이유가 없다.
왜냐하면, 이러한 다각형 모형이 예상한 만큼의 성능향상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또한 그 다각형의 모서리 부위내에 축적된 곡물이 여러가지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이 스크린 형의 종래 기계들은 그 스크린 상의 거치른 부위의 분포가 적절하지 못하고 스크린 상의 슬로트 부위에도 거치른 부위가 중첩되는 경우가 있어서 이러한 경우에는 날카로운 부위를 형성하여, 사실상 칼날과 같은 작용을 함으로써, 곡물을 박피시키고, 도정시키고, 광택화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곡물을 절단 이등분 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나사형 곡물 압송장치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즉 거의 원통형의 스크린 조립체를 사용하며, 스크린 조립체상에도 에머리삽입체 들을 구비시키며, 그 속에서 회전하도록 되는 로터는 종래와 같이 로터 전체를 에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라, 중공형(中空型)의 원통형 로터에 에머리 삽입체들을 별개부품으로서 구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 조립체상의 에머리 삽입체와 상기 로터상의 에머리 삽입체는 교체 가능하고,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또 한가지 특징은 종래의 송풍식과는 달리, 진공 흡입식 시스템에 의하여 쌀겨를 흡입처리하기 때문에 정미기 주위에 먼지를 발생시키지 않고 공기를 혼탁하지 않게 한다는 점과 낮은 온도로 정미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잇점이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형내의 스크린 및 로터 조립체를 사용하여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단일 단계로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소형 이면서도 작업용량이 크고 효율적인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완전히 박피되고, 도정되고 광택화된 미곡을 산출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여기에 더하여 에너지 소모량이 적고 공간을 작게 점유하면서도 효율성이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곡물의 절단 2등분현상 또는 파쇄현상을 극소화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원통형의 정미 작업공간 내부, 즉 작업공정중의 미곡사이로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여 낮은 온도로 작업함으로서 작업중 마찰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해 미곡에 물리적 변화(파쇄등)내지 학학적 변화(변질)를 일으키지 않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싸이로와 같은 높은 흡입력에 의한 활발한 공기 유통을 일으키므로서 정미과정에서 생겨나는 겨가루가 미곡의 몸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편의에 따라 곡물투입부와 곡물 출구부를 기계 동체의 둘레로 임의각으로 회전시켜 위치시킬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청소 또는 교체시에 스크린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곡물과의 마찰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견고한 나사형 곡물 압송스크류를 구비하여 이 나사형 압송 스크류에 의해 미곡 박피 작업까지 수행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로터상의 에머리 삽입체와 스크린상의 에머리 삽입체와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서, 여러가지 상이한 강도의 또는 여러가지 상이한 규격의 미곡 또는 기타 곡물을 도정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겨가루 등의 기계의 내부에 집중되지 못하게끔 흡입식 방법으로 자체청소 설비를 구비한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수개의 나사를 조작함으로서 로터 및 스크린 조립체를 착탈할 수 있고, 곡물 요건에 의해 소요되는 거칠기에 따라 여러가지 상이한 거칠기의 에머리 삽입체를 교체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수직식 기계로서 미곡의 균일한 가공처리를 할 수 있는(수평식에서 원통형 작업 공간 내부의 위쪽부위와 아래 부위에서의 마찰의 차이 때문에 균일한 가공처리가 되지 않음)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정미하려는 미국 투입구가 아랫쪽에 있고, 정미된 미곡 배출구를 윗쪽에 위치하게하여 종래와 같은 바케쓰형 미곡상승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을 미곡이 정미과정을 거치는 중 그 운송거리가 짧아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기계가 단순하고 조작방법이 용이하여 철저한 감시 감독체계나 숙련된 조작자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정비작업 빈도가 많지 않고 정비하기가 용이한 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정미과정을 거친 후에도 영양가 높고 배아(胚芽)가 미곡에 최대한도로 부착 유지되게 하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하나의 목적은 벼 상태에서 쌀속에 내부 균열이 있는 경우에도 그로 인하여 정미과정에서 미곡의 파쇄를 일으키지 않고 그 내부 균열이 그대로 유지되는 정미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원통형 로터 및 다각형 스크린식 종래의 정미기에도 큰 변화를 가하지 않고 대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로터 및 스크린 조립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특징과 기타 잇점들이 더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l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미기(10)를 지면(14)상에 여러개 병열로 조립한 복합적 시스템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정미된 곡물 배출구(24)들을 콘베이어 벨트(11)에 위치토록되고 정비하려는 곡물은 곡물탱크(21)로부터 도관(9)을 통해 정미기(10)의 아래쪽에 위치한 곡물 투입구(6)의 호퍼(20)에 연결되었으며 정미기(10)내의 겨등과 같은 분신을 배기도관(16)으로 흡출시켜 싸이크론(17)으로 연결시켜 주도록 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제1도에서 12는 회전용 로울러이며, 13은 싸이크론 집진용 모우터를 의미하며,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일 정미기의 전체적인 내부구조도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다만 특히 선호된 실시예를 도시할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하단기 대(5)위에는 원통형으로 된 제1수용부위(1)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수용부위(1)의 위에는 제2수용부위(2)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제2수용부위(2)에는 곡물 투입구(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수용부위(2) 자체는 제1수용부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그 회전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는 후에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2수용부위(2)의 상단에는 제3수용부위(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3수용부위의 원통형 벽은 투명한 물질로 되어 있고, 상기 투명성 물질로는 투명성 플라스틱 재료가 선호되며, 이 투명한 제3수용부위(3)속에는 직접 정미작업을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들이 수용되어 있다.
제3수용부위(3)가 투명하기 때문에 시각적 관찰에 입각하여 필요에 따라 정미기(10)의 정미작업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제3수용부위(3)의 상단에는 제4수용부위(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4수용부위(4)는 제3수용부위(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제4수용부위(4)에는 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배출구(24)를 통하여 정미된 미곡이 배출되어 나온다.
여기서 정미라는 뜻은 박피작업, 도정작업, 광택화 작업 등을 모두 합한 개념이다.
제2수용부위(2)와 제4수용부위(4)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기때문에 곡물 투입구(6)와 배출구(24)는 기계의 둘레에 어느 원하는 위치에나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기계내 곡물적재와 탈적재를 수행함에 있어서, 극도의 편의가 제공되는데 단 곡물 투입구(6)의 위치 변화는 8개 위치에 제한된다.
전동기(34)는 하단기대(5)의 상단에 설치되며, 이 하단기대(5)내에는 전동기(34)와 정미기를 연결하는 구동장치들이 수용되어 있다.
외부공기는 창(19)을 통하여 하단기대(5)내로 도입되며, 이 공기 도입의 원동력은 공기 흐름의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진공펌프(도시되어 있지 않음)이다.
창(19)은 철망으로 씌워져 있으며, 이 창(19)을 통하여 도입된 공기를 강력한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작업부위를 거쳐 지난후 배기도관(16)을 통하여 배출된다.
제1수용부위(1)는 2중 실린더로 되어 있어서 그 속에 별도의 원통형벽(72)을 구비하며, 원통형 벽(72)과 제1수용부위(1)의 외벽 사이에는 상당한 공간(129)이 형성되어 이 공간(129)은 공기 유통로의 일부가 된다.
제1수용부위(1)의 상단에는 반경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플렌지(7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렌지(77)는 제2수용부위(2)의 반경방향 외향돌출 플렌지(73)와 결합하여 결과적으로 제1수용부위(1)와 제2수용부위(2)를 결합시켜 준다.
상기 플렌지(77)와 플렌지(73)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볼트(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며, 정미기의 가동시에는 이 볼트들은 조여져 있고, 정미기를 정지시키고, 제2수용부위(2)를 회전시키려 할때에는 이 볼트들을 풀어서 제2수용부위를 회전시킨 후 볼트를 잠구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수용부위(2)에는 곡물투입구(6)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수용부위(2)도 역시 2중벽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원통형 벽(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 벽(74)은 제2수용부위의 외벽과 동축상에 위치하며, 원통형 벽(74)과 제2수용부위(2)의 외벽사이에는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130)는 공기 유통로의 일부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같이 제2수용부위(2)가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그와 일체로 형성된 곡물 투입구(6)도 기계의 둘레로 돌려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단위 곡물투입구(7)의 회전후 고정위치의 수는 사용한 상기 볼트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8개 위치에 국한 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러한 곡물투입구(6)의 위치의 조정 가능성은 정미소내의 공간 이용에 큰 도움을 준다.
제3수용부위(3)를 제2수용부위(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원형의 금속대상체(80)를 사용하게 되며, 이 금속대상체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제2수용부위(2)의 상단부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제1수용부위(1)의 내부에는 중공(中空)축(101)이 동축상에 수용되며 이 축에는 공기필터(8)를 가지며 하단 기대(15) 내부의 중간높이까지 연장하여 내려와서 구동풀리(37)와 결합하고, 구동풀리(37)는 V-형 벨트(36)들을 통하여 모터풀리(35)에 연결되며, 모터풀리(35)의 아래에는 팬(40)이 설치되어 벨트(36)들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수용부재의 상단과 하단에 해당하는 상기 중공형축(101)의 둘레에는 베어링(71)이 각각 착설되어, 제1수용부재의 원통형 내벽(72)은 중공형축(10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중공형축(101)의 상단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아래의 나사(26)와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는 중공형축(101)과 동축상에 설치되고, 중공형축(101)의 중공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중공부가 곡물 압송 스크류(7)내에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나선형 리브의 전방 표면에는 에머리 물질이 도착되어 미곡의 박피작업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중공형축(101) 및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내의 중공부들은 모두 공기 유통로에 불과하며, 특히 작업 부위 이전에 속하는 상류 부위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맑은 공기가 흐른다.
상기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는 제2수용부위(2)의 내부에 동축상에 수용되며, 경사진 곡물 투입구(6)의 통로는 상기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나사고랑과 직접 통하여 있다.
그리고 중공형축(101)과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와의 사이에는 디스크(102)과 삽입되어 나선형 곡물압송 스크류(7)을 받쳐주고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제2수용부위(2)의 상단에는 제3수용부위(3)가 설치되는데 이 제3수용부위 내에는 로터 조립체(103)와 스크린 조립체(104)가 동축상에 수용되어 있으며, 로터(111)의 하단부는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과 나선식으로 결합한다.
이 로터 조립체(103) 및 스크린 조립체(104)는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므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가장 분명히 볼 수 있는 바와같이 로터(111)의 상단 표면에는 파형의 뚜껑(106)이 부착되어 있어서 로터가 회전할때 정미된 쌀을 휘저어서 배출구 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로터(111)에는 180° 간격으로 두개의 종방향홈(27,28)이 형성되고, 이 홈(27,28)에는 3개의 나사구멍(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에는 각기 에머리 삽입체(107)를 삽입하여 3개의 나사(115)로서 고정시킨다. 에머리 삽입체(107)가 설치된 인접 부위에는 작은 구멍(105)들이 수많이 일렬로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구멍들은 로터(111)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공부와 통하여 있다.
이 2열의 수많은 구멍(105)들은 공기를 로터(111)내부의 중고부로 부터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로터(111)에 부착된 에머리 삽입체(107)들이 파손되어 높이가 낮아지거나 또는 곡물특성으로 인하여 에머리를 높일 필요가 있을시에는 그 에머리 삽입체를 분리한 후 그 뒷면에 받침판을 부착하여 에머러 삽입체(107)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에머리 삽입체(107)를 고체 및 높이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터(111)도 나선형 곡물 압송스크류(7)에 나선식으로 결합되어 있기때문에 로터(111)는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대청소를 수행할 경우 로터 조립체(103) 전체를 분리하여 수행할 수 있음으로 편리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3수용부위(3)에는 상기 로터 조립체(103) 뿐만 아니라 스크린 조립체(104)가 또한 동축상에 수용되며, 이 스크린 조립체(104)는 플렌지가 있는 원통형부재(17)에 고정된다(제3도).
상기 원통형 부재(117)는 제2수용부위(2)내에 삽입되며, 이 원통형 부재(117)의 플렌지 부위만이 제3수용부위(3)내로 노출된다.
제5도를 참조하며 스크린 조립체(104)의 구성을 보면 스크린 조립체(104)가 조립되기 전에 하나의 프레임(116)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데 이 프레임(116)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이 프레임(116)에는 길쭉한 채널형의 외향 돌출 부위와 길쭉한 내향돌출부위들이 교번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향돌출부위와 외향돌출부위는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하며, 각각 하나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외향돌출하는 부위는 밖에서 보면 수직 바아 처럼 보이며, 내향돌출하는 부위는 홈처럼 보인다.
이 사실은 제5도(a)호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상기 내향돌출부위의 상단과 하단에는 원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18)들이 구비된다. 스크린 조립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원통형 부재(117)(제3도)의 플렌지(117')와 아랫쪽 돌출부(118)들을 결합시켜 나사(121)들로서 고정시키게 된다.
스크린 조립체(104)의 조립은 스크린 부재(1l0)와 에머리 삽입체(109)를 스크린 조립체 프레임(116)의 내면에 교번식으로 부착시킴으로서 완성되는데 즉 스크린 프레임(116)의 외향 돌출부위의 내면에는 에머리 삽입체(109)가 삽입부착되며, 부착수단은 제5도(a)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두개의 고정나사(120)이다. 이 에머리 삽입체(109)는 길쭉한 대체로 평행 6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그 배면에는 나사 수납 부위(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에머리 삽입체(109)는 마손력을 발휘하는 가장 중요한 부위로서 로터(111)의 에머리 삽입체(107)와는 서로 간격을 이루고 있으나, 이 양자는 상호작용에 의하여 미곡에 파손력을 가하는 동시에 미곡 상호간에 마찰력을 일으켜 미곡의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스크린 부재(110)는 상기 스크린 프레임(116)의 내향 돌출부에 결합시켜 부착한다. 이 스크린 부재(110)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부착수단이 사용되지 않고 다만 그 채널형 스크린 부재(110)의 종방향 가장자리가 외향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먼저 스크린 부재(110)를 부착하고 다음에 인접 에머리 삽입체(109)를 고정시키면 자연적으로 스크린 부재(110)는 고정되는 것이다. 즉 스크린 부재(110)의 가장자리 절곡부가 에머리 삽입체(109)의 뒷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같이 하여 에머리 삽입체(109)와 스크린 부재(110)는 교번식으로 배열 조립되며 완성된 스크린 조립체(l04)의 내면은 대체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한편 스크린 부재(110)의 표면은 얽은 형상으로 되어 미곡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또 스크린 부재(110)에는 작은 관통 구멍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관통구멍들은 공기 유통로가 된다.
즉 진공펌프에서 강력한 흡입력을 발휘할때 로터조립체(103)와 스크린 조립체(104)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32)내에서 작업되는 미곡 사이의 공기는 상기 스크린 부재(110)상에 형성되어 작은 관통구멍을 통하여 흘러나간다. 이때 유출하는 공기들은 상기 작업공간 내에서 발생한 분말화된 쌀겨와 왕겨를 실고 나가게되며, 쌀알만이 남아서 아래에 위치하는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작용에 의하여 계속하여 상승한다.
스크린 조립체(104)의 한 요소인 에머리 삽입체(l09)의 뒷면과 스크린 조립체 프레임(116)의 채널형 내향돌출부 사이에는 받침 박판을 삽입하여 에머리 삽입체(10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에머리 삽입체(109)의 높이의 조정은 에머리 삽입체(109)가 닳아서 높이가 낮아지거나 또는 가공처리하는 곡물의 요건, 즉 곡물의 경도, 곡물의 크기 등에 따라서 에머리 삽입체(109)와 로터(111)의 에머리(107)와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때에 수행한다.
이상에서 스크린부재(10)에는 많은 작은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구멍들은 쌀겨와 왕겨의 분말화된 물질이 혼탁하게 섞인 공기가 유통하는 통로라고 설명한바 있다.
따라서 스크린 부재(110)에 접촉되어 있는 부위, 즉 스크린 조립체 프레임(116)의 채널형 내향 돌출부위에도 수많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은 자명한 일이며, 실제로 그렇게 되어 있으나, 단순화를 위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로터 조립체(103) 및 스크린 조립체(104)의 둘레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3수용부위(3)가 둘러싸고 있으며, 이 제 3수용부위는 전술한 바와같이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제 3수용부위(3)와 제2수용부위(2)가 결합되는 방식을 추가적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개략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2수용부위(2)와 제3수용부위(3)는 원형의 금속 대상체 루프(80)에 의해서 결합 고정되는데 이 루프(80)는 무단말성의 완진한 원이 아니고, 두개의 끝이 마주 대하는 불연속성 루프이다.
이 두개의 끝은 90°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며 절곡부의 중앙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수용부위(2)의 상단과 제3수용부위(3)의 하단을 맞춘 다음 그 결합부위에 상기 불연속성 금속체 대상체 루프(80)를 둘르고 대상체 루프(80)의 양끝에 형성된 절곡부의 두 나사구멍을 일치시키고 볼트로서 조여서 팽팽하게 고정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제2수용부위(2)와 제3수용부위(3)의 내부공간은 진공흡입에 의한 공기 유통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금속제 대상체 루프(80)를 사용하여 결합 고정작업을 할때에는 그 대상체 루프(80)안에 루프형 박킹을 사용하여 밀폐시키는 것이 좋다.
이 제2수용부위(2)와 제3수용부위(3)를 결합시키는 필요한 여러가지 부분들, 즉 대상체의 고무루프, 볼트 금속 대상체 루프의 양끝의 절곡부, 그 절곡부내의 나사구멍 등은 도시하지 않고 다만 금속 대상체 루프(80)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도면의 간소화 내지 명료화를 위한 것이다.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어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제3수용부위(3)의 상단에는 플렌지(25)가 붙은 원통형 부재(114)가 부착된다.
그러나 실은 조립시에는 제3수용부위(3)보다 먼저 로터 조립체(103)의 상단에 파형의 뚜껑(106)을 끼우고 다음에 스크린 조립체(104)를 원통형 부재(114)의 플렌지(25)의 하단면에 부착시키고, 마지막으로제3수용부위(3)를 원통형 부재(114)의 플렌지(25)상단에 부착시킨다.
먼저 로터 조립체(103)의 내부인 중공부의 상단 원주벽에는 내부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파형의 뚜껑(106)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30)와 로터 조립체(l03)는 결합시키기가 간단하다.
다음에 스크린 조립체(l04)를 원통형 부재(114)의 플렌지 저면에 부착시키는 일에는 여러개의 나사(본 실시예에서는 8개)를 사용하는 것이 수반된다.
이 조립과정은 스크린 조립체(104)의 하단부를 원통형 부재(117)의 플렌지에 고정시키는 작업과 유사하나,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크린 조립체(104)의 상단과 하단의 둘레에는 8개의 5각형 돌출부(118)가 형성되어 있고 각 5각형 돌출부(118)의 중앙에는 나사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5도(b)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스크린 조립체 프레임(116)의 하단쪽 5각형 돌출부(118)들이다.
스크린 조립체 프레임(116)의 상단쪽에도 제5도(b)에 도시한 형상과 똑같은 5각형 돌출부(118)가 형성되어 있고 각 돌출부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나사구멍(121)들과 원통형 부재(114)의 플렌지(25)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을 일치시켜서 볼트로서 조이면 스크린 조립체(104)와 원통형 부재(114)가 결합고정된다.
다음에, 제3수용부위(3)와 원통형 부재(114)를 결합하는 일에도 역시 여러개의 나사가 사용되는데 이 나사들을 삽입하기 위한 나사구멍들은 제3수용부위(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또 원통형 부재(114)의 플렌지(25)의 끝 원둘레 표면에 분포되어 있다.
제3수용부위(3)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들과 원통형 부재(114)의 플렌지(25)끝 원둘레 표면에 형성되 있는 나사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제3수용부위(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 대상체 루프(80)를 풀고 제3수용부위(3)를 필요한 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볼트들은 반경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양측의 나사구멍들을 서로 맞춘후 나사로서 조이면 제3수용부위(3)와 원통형 부재(114)가 고정된다. 그러나 이 결합부위는 흡입력에 의한 공기유통 통로의 구성이 됨으로 이곳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하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여기에도 결합을 수행하기 이전에 고무로된 대상체 루프 배킹을 삽입한 후 볼트를 체결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원통형 부재(114)와 스크린 조립체(116)와의 결합, 및 원통형 부재(1l4)와 제3수용부위(3)와의 결합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여러개의 볼트들과 고무배킹은 도시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도면의 간소화를 위한 것이다.
원통형 부재(114)의 위에는 제4수용부위(4)가 설치되는데 원통형 부재(114)와 제4수용부위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결합과는 다른 방식을 취한다.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4수용부위(4)는 두조각으로 되어 종방향으로 2등분되어 있다. 제4수용부위(4)의 상단부는 폐쇄된 상태이나 이 부위도 조립전에는 역시 2등분된 상태이다. 그리고 이 제4수용부위의 하단부에는 내향 돌출하는 환상의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2등분된 두조각은 나사에 의하여 결합시켜 완전한 원통형의 제4수용부위(4)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원통형 부재(114)의 상단에는 외향 돌출하는 환상의 외향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제4수용부위(4)를 원통형 부재(114)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4수용부위(4)를 2등분 상태에서 그 걸림턱(23)이 원통형 부재(114)의 걸림턱(23)과 맞게끔 결합시킨 후 제4수용부위(4)의 분할 경계부위(이 부위는 반경방향으로 외향절곡되어 있음)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을 맞추어 볼트로서 체결하면 제4수용부위(4)와 원통형 부재(114)는 곧 결합된다.
이 결합은 고정된 결합이 아니며, 다만 제4수용부위(4)가 상향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뿐이고, 제4수용부위는 임의 각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하여 상기 제4수용부위의 2등분 상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4수용부위에 형성된 환상의 외향 걸림턱(22)과 원통형 부재(114)에 형성된 외향 돌출하는 환상의 걸림턱(23)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수용부위(4)에는 곡물배출구(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24)내에는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는 제4수용부위(4)의 상단에 설치된 축(l25)에 고정되어 있으며 축(125)의 바깥쪽 끝에는 중량체(126)를 얹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중량체(126)는 크고 작은 여러가지 규격으로 되어 있으며, 동시에 여러개를 얹을 수 있으므로 얹은 중량체(126)의 총 중량을 조정하여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4수용부위(4)는 360°중 어느 위치로나 회전시킬 수 있어서 배출구(24)의 곡물 배출방향을 임의 조정할 수 있게 되며, 중량체(126)의 총 중량 조정에 의해, 가공 처리되는 미곡의 가공 정도(情度)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중량체(126)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면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를 더 강력하게 닫게 되어 미국의 제3수용부위(3)속에서의 정체시간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미곡의 배출이 억제된다.
즉, 미곡이 더 오랫동안 기계내부에 남아 있게 되면 그만큼 더 마손작용 및 마찰작용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미설명 부호 122는 전동기(134)의 위치조정 장치로서 이것은 큰 헤드를 가진 볼트로서 구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전동기(34)의 위치를 조정하면 밸트(36)의 장력을 조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미설명 부호 123은 곡물투입량 조정장치이며, 124는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의 핸들이다. 이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핸들(124)을 위로 치켜올린 후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를 당기거나 밀어 넣거나 하면 된다.
핸들(l24)을 치켜올리고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를 밀어 넣으면 곡물투입량 조정장치(l23)가 더 깊숙히 들어가서 곡물투입구(6)를 좁히기 때문에 곡물투입 속도가 느려지며, 핸들(124)을 치켜올리고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를 잡아당기면 곡물투입 속도가 빨라진다.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의 저면에는 이빨(300)이 형성되어 있어서 핸들(124)을 치켜올리지 않는 상태에서는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관리인이 이 장치를 주시하며, 교정할 필요가 없게되고, 한번 세트한 후에는 곡물투입속도의 일관성을 기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28은 제1수용부위의 하단 외향 플렌지로서, 이것은 제1수용부위(1)를 하단기대(5)의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 플렌지(128)에는 나사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단기대(5)상에도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로서 플렌지(128)와 하단기대(5)를 결합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에는 간소화를 위하여 상기 나사구멍과 볼트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미설명 부호 15는 축에 대해 접선방향으로 설치한 4개의 블레이드로서 이 블레이드(15)들은 원심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이다.
이 블레이드(15)들의 기능은 진공펌프쪽으로 흡입되어 가능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직각으로 전환시켜 주는것이다.
즉, 분말화된 왕겨와 쌀겨의 가루를 실은 공기가 제3수용부위(3)의 외부공간(131)과 제2수용부위(2)의 외부공간(l30)과, 제1수용부위(1)의 외부공간(129)을 통하여 하향 이동하다가 블레이드(15)가 있는 지점에서 갑자기 90°로 방향이 꺾이기 때문에 블레이드(15)의 역할이 필요한 것이다. 진공펌프는 배기도관(16)과 연결되어 밖에 위치하는 싸이크론(17)으로 연결된다.
제6도는 미곡의 규격에 따라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삽입체(109)와, 로터 조립체(103)측의 에머리 삽입체(107)와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실례들인데 이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 다음에 설명할 것이다.
먼저 곡물투입구(6)에 벼를 투입하고 전동기스위치(도시되지 않음)와 진공펌프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각각 ON시키면 전동기(34)와 싸이크론(17)의 모터(13)가 회전하여 진공펌프가 작동을 개시한다.
전동기(34)의 회전운동은 전동기 풀리(35)로 전달되며, 다시 이 회전력은 벨트(36)를 통하여 구동풀리(37)를 구동시키게 되며, 구동풀리(37)가 회전하면 구동풀리(37)에 고정되어 있는 축(101)이 따라서 회전한다.
축(101)의 상단에는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가 고정결합되어 있고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상단에는 로터 조립체(103)가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로터 조립체(103)의 상단에는 파형의 뚜껑(106)이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요소들은 모두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이미 곡물투입구(6)를 통하여 미가공 벼가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에 도착하여 있기 때문에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회전에 의해 벼는 상향이송되나,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나선형 리브의 전방 표면에는 에머리 물질이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된 벼가 상향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상당한 부분이 박피당한다.
로터 조립체(103)와 스크린 조립체(104)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작업공간(132)에 미곡이 도착했을때는 그 미곡의 상당부분이 이미 박피된 상태이며, 작업공간(132)내에서는 벼상태로 남아있는 것들을 완전히 박피시키고 발피된 왕겨를 분말화시키고 또 쌀겨를 벗겨내는 도정작업을 수행하여 이것을 분말화시킨다..
그러나 쌀의 한쪽 구석에 붙어있는 중요한 영양소인 배아는 부착상태로 최대한 보존시킨다.
이 작업공간(132)내에서는 쌀 내지 벼와 에머리 삽입체(109,107)들과의 가압적 접촉에 의한 마손작용과, 쌀 내지 벼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작용이 함께 일어나서 미곡을 완전히 박피시켜 박피된 왕겨를 분말화하고, 또 도정시키고 광택화 시킨다. 광택화는 쌀 상호간의 마찰작용에 의한 것이라 믿어진다.
종래의 기계에서는 여러단계에 걸쳐 도정작업과 광택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 도정 및 광택화 단계에서는 보완성 박피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는 단 일단계로서 박피작업, 보완성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진공 시스템과 로터 조립체(103) 및 스크린 조립체(104)의 특수성에 있다.
즉 종래에는 6각형 스크린 내에 원추형 또는 원통형 로터가 설치되었으며, 스크린 조립체에는 에머리 삽입체가 전혀 없었고 로터는 그 전체가 에머리의 덩어리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조립체(104)에 있어서는 길쭉한 스크린(110)과 길쭉한 에머리 삽입체(100)가 교번식으로 배열되어 있고, 스크린 조립체(104)의 내부모양은 종래의 6각형과는 달리 대체적인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로터 조립체(103)는 종래의 전체 에머리 덩어리와는 달리 금속제의 원통형 로터(111)에 길쭉한 에머리 삽입체(107) 두개만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스크린 조립체(104)와 로터 조립체(103)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이러한 높은 효율을 성취하는 것이다.
또한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삽입체(109)와 로터 조립체(103)측의 에머리 삽입체(107)와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및 로터 조립체의 유리한 신규적인 특성이다.
상기 간격의 조정 가능성으로 인하여 미곡의 규격에 따라 각기 적당한 정미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 에머리 삽입체들이 파손되어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에머리 삽입체(107,109)자체를 교체하지 않고, 그 뒷면에 받침판을 삽입함으로써 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하여 항상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는 진공펌프를 사용한 흡입식 공기유통 시스템의 역할도 큰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공기유통 시스템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싸이크론 속의 진공펌프가 가동되어 흡입력을 발휘하면 공기는 철망이 얽혀진 창(19)을 통하여 들어가서 중공성 중심축(101)의 공기필터(8)를 통과하여 중심축(101)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상승하며, 또한 중공성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내부공간을 거쳐, 역시 중공형 로터 조립체(103)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간다.
전술한 바와같이 로터 조립체(103)에는 에머리 삽입체(107)가 위치하는 곳의 인접부위를 따라 종방향으로 작은구멍(105)이 수많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이 구멍(105)들을 통하여 작업공간(132)내로 들어간다.
즉 로터 조립체(103)의 내부공간에 까지 도착한 공기는 여기에서 90°로 방향이 꺾여서 진행하여 작업공간(132)내로 들어가며 작업공간(132)까지 맑은 공기이고 그 이후, 즉 그 하류의 공기는 겨가루가 섞인 혼탁한 공기인 것이다.
작업공간 내에서 에머리 삽입체(107,109)에 의한 마손력과 미곡 상호간에 의한 마찰이 일어나서 왕겨와 쌀겨가 분말화되며, 또 한편 미곡이 광택화되는 동안 그와 동시에 분말화된 겨가루는 공기에 실려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간(131)으로 배출된다.
이 혼탁한 공기는 스크린 부재(110)에 형성되어 있는 수많은 작은구멍과 그 중첩된 판, 즉 스크린 조립체 프레임(11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차례로 통과하여 배출된다.
상기 정미작업과 동시에 겨가루를 배출시켜 버린다는 것은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촉진시키며, 또한 정미작업을 위해 미곡이 이송되어야하는 거리를 단축시킨다.
또한 이에따라 낮은 온도로 정미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미곡의 파쇄현상이 줄어들며 그밖에 고온으로 인한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영향이 미곡에 미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같이 공기가 겨가루를 실고 흡입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작업공간(132)내에는 공기를 기준으로 보면 부(負)의 압력상태, 즉 1기압 이하가 되어 있으나, 쌀, 에머리 삽입체(107,109), 로터(111), 스크린부재(110)들과 같은 고체들 상호간에는 정(正)의 압력 및 마찰, 파손작용이 발생하여 계속 작업이 수행된다.
이와같은 빠른속도의 공기유통이 미곡 사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미된 미곡에 겨가루가 부착되어 나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작업공간(132)에서 흡입되어 나온 겨가루를 실은 혼탁한 공기들은 제3수용부위(3)의 외부공간(131)과, 제2수용부위(2)의 외부공간(130)과, 제1수용부위(1)의 외부공간(129)등을 통하여 내려오다가 블레이드(15)들이 위치한 지점에서 블레이드(15)의 도움을 받아 90°방향으로 꺾여서 그 다음에는 배기도관(16)을 거쳐 싸이크론(17)쪽으로 흡입되어 나간다.
한편 작업공간(132), 즉 로터 조립체(103)와 스크린 조립체(104)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완전히 정미화된 미곡은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상승 이송력에 힘입어서 제4수용부위(4)내로 상승하여 들어간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제4수용부위(4)내에 미곡이 채워지며 파형의 뚜껑(106)의 휘젓는 작용에 의하여 미곡은 배출구(24)쪽으로 압력을 받으나, 중량체(126)가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를 막고 있기 때문에 정미된 미곡의 배출량은 제한된다.
이러한 제한조치에 의하여 미곡이 작업공간(132)내에 머물어서 가공처리되는 시간이 연장되거나, 단축되도록 조정될뿐 아니라, 또한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에 의한 곡물투입구(6)의 조정에 의해서도 미곡의 작업공간(132)내 체류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곡물의 여건에 맞추어 곡물투입구(6)와 중량체(126)의 총 중량을 조정함으로서 적정 정미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하의 투입구와 배출구의 조정뿐만 아니라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삽입체(109)와 로터조립체(107)의 높이를 조정할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기능의 범위는 매우 넓어서 미곡뿐만아니라 밀, 보리, 조 등 기타 곡물도 충분히 가공처리할 수 있다.
한편 곡물투입구(6)의 위치는 기계를 시동하기 전에 볼트를 풀어서 적절한 편리한 위치에 세트할 수 있으나, 곡물배출구(24)는 작업중에도 어느때나 그 각도방향 위치를 바꿀 수 있어서 가공처리된 미곡을 받아내는 데에 많은 편의를 준다.
곡물배출구(24)의 이러한 자유자재한 회전가능성은 전술한바 있는 제4수용부위(4)의 특수한 부착방식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의 또 한가지 편리한 점은 본 정미기는 특별한 설치대나 지지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직접 땅위에 또는 시멘트 박닥에 놓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하단기대(5)는 그 속에 여러가지 중요한 부분품을 수용하고 있으나 하단기대(5) 그 자체가 지지기반이 된다.
이하 제6도를 참조하면, 간단한 설명을 가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의 여러가지 실예들은 습기함량 12%의 쌀을 기준으로하여 쌀의 입자의 모양이 긴것과, 중간것과, 짧은것을 박피시키고 도정시키고, 광택화시키는 경우를 보여준 것이다.
제6도(a)에서는 이미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내에서 상당부분의 미곡이 박피되어 올라온 모든 형태의 미곡을 보완성 박피, 도정 및 광택화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a)에 있어서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삽입체(109)가 스크린 부재(110)의 마찰표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형성하는 단턱의 높이는 1.0 내지 1.5mm로 하는 것이 좋으며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삽입체(109)와 로터 조립체(103)측의 에머리 삽입체(107)와의 사이의 간격은 7.0 내지 8.0mm로 하는것이 좋다.
이 도면에서 에머리 삽입체(107,109)의 뒷면에 삽입하는 받침판의 두께는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삽입체(109)뒤에 사용한 것이 1.5mm이고, 로터 조립체(103)측에 사용한 것은 5.0mm이다.
제6도(b)는 중량체(126)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박피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서 에머리 삽입체(109)가 스크린 부재(l10)의 표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형성하는 단턱의 높이는 1.5 내지 2.0mm로 하는 것이 좋으며,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받침판(134)의 두께를 2.0mm로 하고, 로터 조립체(103)측의 에머리 받침판(112)의 두께는 제6도(a)에서와 동일하게 유지하여 결국 에머리 삽입체(109)와 에머리 삽입체(107)와의 사이의 간격을 6.5 내지 7.5mm로 줄이게 된다.
제6도(c)는 중량체(126)의 총 중량을 증가시킴이 없이 도정 및 광택화 효과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에머리 삽입체(109)가 스크린 부재(110)의 표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형성하는 단턱의 높이는 제6도(b)에서와 동일하게 유지하고 에머리 삽입체(107)의 높이를 높이는 것이다.
즉 로터 조립체(103)측의 에머리 삽입체(107)의 뒷면에 삽입된 받침판(112)의 총 두께를 증가시켜서 에머리 삽입체(107)와 에머리 삽입체(109)와의 사이의 간격을 6.0 내지 7.0mm으로 좁힌다. 여기서 받침판(112)의 총 두께는 6.0mm에 이르게 한다.
제6도(c)는 미곡의 도정 및 광택화 효과를 줄이는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에머리 삽입체(109)뒤에 삽입되는 받침판(134)의 두께를 약간 줄여서 그 결과로서 에머리 삽입체(109)가 스크린 부재(110)의 표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형성하는 단턱의 높이는 l.0 내지 1.5mm가 되게 한다.
한편 에머리 삽입체(107)뒷면에 삽입되는 받침판(112)의 높이를 많이 줄여서 에머리 삽입체(107)와 에머리 삽입체(109)와의 사이의 간격을 8 내지 12mm로 넓힌다.
마지막으로 제6도(e)는 길이가 짧은 모양을 한 미곡을 정미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서는 에머리 삽입체(109)가 스크린 부재(110)의 표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형성하는 단턱의 높이는 필요하면 높일수 있는데 즉 이것이 필요한 경우는 강력한 박피작업을 필요로 할 경우이다.
한편 받침판(112)의 총 두께를 7.0mm정도로 증가시켜 에머리 삽입체(107)의 높이를 많이 높여서 에머리 삽입체(109)와 에머리 삽입체(107)와의 사이의 간격을 5.0 내지 6.0mm로 감소시킨다.
상기와 같은 조정을 작업시작전에 가한 후에, 실제 작업중 필요에 따라 중량체(126)의 총 중량을 조정하면 정미작업의 정도(情度)를 조정할 수 있게된다.
상기 제6도(a) 내지 제6도(e)에 도시한 규격들은 원칙적인 기본 치수에 불과하고 더 섬세한 조정은 중량체(126)로서 조정하게 된다.
전술한 구조와 조작원리에 의하여 소형이면서도 작업용량이 크고 효율적인 본 발명에 의한 정미기가 제공된다.
즉 이 정미기는 미곡의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단 일단계로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하는 양에 비하여 에너지 소비량이 매우 적고, 기계가 점유하는 공간이 매우 적으며 미곡의 배아를 최대한 부착상태로 보존하면서도 미곡의 절단 2등분 내지 파쇄현상이 극소화되며 정미작업 공간내부로 공기가 빠른속도로 유통되므로 작업이 낮은 온도로 수행되어서 고온에 의한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영향이 미곡에 미치지 않으며 이에따라 동시에 겨가루가 정미된 미곡에 부착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곡물투입구와 곡물배출구의 방향을 편의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청소 또는 교체시에 스크린 부재들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는 곡물을 상향이동시키는 동시에 예비적 박피작업을 수행하나 그 구조는 쉽게 마손되어 버리지 않는 견고한 특성을 보유하며 또한 스크린 조립체측의 에머리 삽입체와 로터 조립체측의 에머리 삽입체는 교체가능한 것은 물론 곡물 여건에 따른 적정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 어느 한쪽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또 그 양자간의 간격도 조정할 수 있으므로서, 여러가지 상이한 강도와 상이한 규격의 미곡을 정미화할 수 있을뿐 아니라 미곡이 아닌 타곡물(밀, 보리, 조 등)도 가공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진공 흡입식 공기유통 시스템에 의하여 겨가루 등이 기계내부의 부분에 집중되지 않으며 싸이크론에 의해 수집된 겨가루 등을 직접 싸이크론으로 제공할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 조립체 및 로터 조립체 자체를 착탈할 수 있고 여러가지 상이한 거칠기의 에머리 삽입체로 교체할 수 있으며, 수직식 기계의 근본적인 특성에 의하여 수평식 기계에서 보다 더 균일한 정미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곡물이 정미작업 과정에서 이송거리가 짧아서 편리하며 본 발명 정미기는 고도로 숙달된 조작자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정비작업이 용이하고, 또 정비작업이 자주 요구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벼상태에서 쌀속에 본래 내부 균열이 있는 경우에도 그 쌀이 정미과정에서 파쇄되지 않고 그대로 완전한 모양을 유지한 상태에서 정미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선호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서 첨부한 청구범위에서 이탈함이 없이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박피작업, 도정작업 및 광택화 작업을 단일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직형 정미기로서, 하단부에 하단기대(5)가 위치하며, 하단기대(5)의 상단에는 제1수용부위(1)가 고정설치되고 제1수용부위(1)의 상단에는 제2수용부위(2)가 동축상에 고정설치되며 그 설치 수단은 여러개의 볼트이며, 제2수용부위(2)의 상단에는 제3수용부위(3)인 투명성 원통형 부재가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3수용부위(3)와 제2수용부위(2)를 고정시키는 수단은 금속 대상체 루프(80)로서 이 금속 대상체 루프(80)의 끝들은 90°로 절곡되고 나사구멍을 구비하기 때문에 볼트로서 조여서 상기 제2 및 제3수용부위(2,3)를 고정시키게 되며, 제3수용부위(3)의 상단에는 플렌지가 붙은 원통형 부재(114)가 볼트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원통형 부재(114)를 통하여 제4수용부위(4)가 최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제1수용부위(1)의 내부에는 원통형 내벽(7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벽(72)의 중심에는 축(101)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축(101)은 중공형으로 되어 있어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고 있고, 축(101)의 하단부는 하단기대(5)의 내부에까지 하향 연장하여 축(101)의 말단부에는 구동풀리(37)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구동풀리(37)와 제1수용부위(1)의 하단사이에는 축(101)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4개의 블레이드(15)가 고정되어 있으며, 구동풀리(37)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벨트(36)들을 거쳐 전동기 풀리(35)에 연결되며, 상기한 전동기 풀리(35)의 바로 아래에는 벨트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40)이 설치되는 것과, 상기한 제2수용부위(2)의 한쪽 측면에는 곡물투입구(6)가 경사지게 제2수용부위(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곡물투입구(6)의 상부에는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와 핸들(12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용부위(2)의 내부에는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가 축(101)의 상단에 나사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둘레에는 제2수용부위(2)의 원통형 내벽(74)이 형성되며, 제2수용부위의 내부에는 공간(130)이 형성되어 공기유통로의 일부를 이루며, 상기한 공간(130)은 제l수용부위(1)내의 공간(129)과 소통되며, 상기한 제3수용부위(3)의 내부에는 로터조립체(103)와 스크린 조립체(104)가 수용되며, 로터 조립체(103)의 하단은 곡물 압송 스크류(7)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와 나사식으로 고정되며, 로터 조립체(103)의 상단은 파형의 뚜껑(106)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그 상부가 폐쇄되어 있으며, 스크린 조립체(104)의 하단은 플렌지가 붙은 원통형 부재(117)를 통하여 제2수용부재(2)의 원통형 내벽(74)에 고정되며, 상기 제4수용부위(4)의 한쪽 측면에는 곡물배출구(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곡물배출구(24)의 내부에는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가 설치되고, 이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는 축(125)을 통하여 중량체(126)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하단기대의 측면에는 철망으로 얽은 창(19)이 형성되어 공기유통로의 시작점을 이루고,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한 공기유통로는 창(19)에서 시작하여 축(101)의 공기필터와 중공부 및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중공부를 거쳐 로터 조립체(103)의 중공부에 이르러 여기에서 90°방향으로 꺾여서 로터 조립체(103)에 형성된 수많은 구멍(105)들을 거쳐 작업공간(132)내의 미곡사이 사이를 거쳐 스크린 부재(110)상에 형성된 수많은 구멍을 거친 후 제3수용부의(3)의 공간부(131)에 이르러 여기에서 방향이 90° 꺾여서 제2수용부위(2)의 공간부(130) 및 제2수용부위(1)의 공간부(129)를 통하여 블레드(15)가 있는 위치에서 90°로 방향이 절곡되어 배기도관(16)을 거쳐 나가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2.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의 나선형 리브의 전방 표면에는 박피작업을 일으키기 위한 에머리 물질이 도포되고 나선형 곡물 압송 스크류(7)자체는 쉽게 파손되지 않게끔 견고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3.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투입량 조정장치(123)의 저면에는 이빨(300)이 형성되어 있어서 핸들(124)을 치켜올렸을때만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4.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부위(2)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외향 돌출 플렌지(73)와 그에 형성된 나사구멍 및 별도의 볼트들을 이용하여 제1수용부위(1)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 돌출 플렌지(77)에 고정되어 플렌지(73)상의 볼트들을 풀어서 제2수용부위(2)를 회전시켜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곡물투입구(6)의 위치를 원하는 곳에 세트할 수 있으며, 상기한 곡물투입구(6)의 조정가능 위치의 수는 상기 볼트의 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5.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용부위(4)는 기계가동전은 물론 기계가동 중에도 360°의 기계둘레 어느 위치로나 자유자재로 회전시켜 곡물배출구(24)를 임의 위치에 조정할 수 있도록 되고, 이러한 제4수용부위(4)의 부착방법은 원통형 부재(114)의 상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환상의 걸림턱을 형성시키고 제4수용부위(4)의 하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내향 돌출하는 컬림턱을 형성시켜서 상기 양 걸림턱을 결합시키도록 제4수용부위(4)를 종방향으로 2등분 상태로 형성시켜 이 두조각을 상기 걸림턱에 결합시킨 후에 제4수용부위(4)의 2등분된 경계부위에 형성된 절곡부에 있는 나사구멍을 통하여 볼트를 조여줌으로서 둘레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6.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개폐 조정장치(127)에 압력을 가하는 중량체(126)는 크고 작은 여러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7. 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전동기(34)에는 전동기(34)의 위치를 조정하여 결과적으로 벨트(36)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전동기 위치 조정장치(122)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8. 청구의 범위 제l항에 있어서, 로터 조립체(103)는 로터(111)가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원통형 공간을 구비하며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내부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로터(111)의 외부에는 180°간격으로 채널형 홈이 종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홈의 바닥에는 나사구멍이 균등 간격으로 3개 형성되어 상기 각홈에는 동일한 위치에 나사구멍이 3개 형성된 길쭉한 에머리 삽입체(107)를 삽입하여 볼트로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 에머리 삽입체(107)가 위치하는 인근에는 수많은 작은 관통구멍들이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 유통구멍을 이루도록하며, 스크린 조립체(104)에 있어서는 프레임(116)의 채널형의 길쭉한 모양으로 외향 돌출하는 부위와 내향 돌출하는 부위가 교번식으로 형성되어 대체적인 원통상을 이루고 있고, 각 내향 돌출하는 부위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5각형 돌출부(118)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5각형 돌출부(118)의 중앙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프레임(116)의 상기 각 내향 돌출부의 내면쪽에는 스크린 부재(110)를 부착시키고 외향 돌출하는 부위에는 에머리 삽입체(109)를 삽입하고 각각 두개의 나사로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머리 삽입체(109)와 스크린 부재(110)들이 동시에 프레임(116)상에 고정되도록 되며, 상기한 스크린 부재(110)의 표면은 적절한 규격으로 얽어있고, 또 그곳에는 수많은 작은 관통구멍이 분포되며, 상기 스크린 조립체(104)측의 에머리 삽입체(109) 또는 로터 조립체(103)측의 에머리 삽입체(107)의 높이를 조정하거나, 또는 그 양자간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에머리 삽입체(107,109)들이 뒷면에는 받침판(112,134)들이 삽입될 수 있으며, 또는 곡물 여건에 따라 또는 가공 목표에 따라 적절한 거칠기의 에머리 삽입체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KR1019870013450A 1987-11-28 1987-11-28 정미기 KR90000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450A KR900007862B1 (ko) 1987-11-28 1987-11-28 정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3450A KR900007862B1 (ko) 1987-11-28 1987-11-28 정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795A KR890007795A (ko) 1989-07-05
KR900007862B1 true KR900007862B1 (ko) 1990-10-22

Family

ID=1926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450A KR900007862B1 (ko) 1987-11-28 1987-11-28 정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285B1 (ko) * 2017-08-01 2018-06-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동광이엔지 정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4424A (ja) * 2003-11-17 2005-06-09 Yoshida Sogo Giken Kk 精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285B1 (ko) * 2017-08-01 2018-06-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동광이엔지 정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795A (ko) 198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8765B (zh) 一种基于空气动力学的谷码辊搓清选装置
CN112754028A (zh) 一种双螺旋对辊式核桃脱壳机
CN209498499U (zh) 一种新型花生茶籽剥壳机
US4017034A (en) Art of dry milling sorghum and other cereal grains
CN109170970A (zh) 一种蔬菜深加工作业线及其深加工方法
KR900007862B1 (ko) 정미기
CN111822324A (zh) 一种籽壳分离机
CN215353584U (zh) 一种农业食品加工用玉米粒去皮制粉装置
CN114946418A (zh) 一种杂粮作物用伸缩齿杆纹杆组合式脱粒装置
CN111871545B (zh) 一种饲料用高效加工设备
CN212065608U (zh) 一种菱角脱皮装置
CN203708860U (zh) 一种新型脱粒机
CN112403652A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食品粉碎装置
CN215501233U (zh) 一种坚果加工用脱皮装置
CN213819805U (zh) 一种用于饲料原料的防堵脱皮机
CN218516788U (zh) 一种基于胚芽米的碾米机
CN218609539U (zh) 一体式碾米机
CN212595873U (zh) 一种组合式藜麦脱皮抛光机
RU196681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этапного обмолота початков семенной кукурузы
CN220969205U (zh) 一种大米加工用筛选装置
CN209121206U (zh) 一种蒜瓣脱皮磨粉一体设备
CN108934483A (zh) 一种莲蓬脱粒机
KR102573750B1 (ko) 분쇄효율이 향상된 옥수수 분쇄선별장치
CN218189786U (zh) 稻米碾磨装置
CN219898999U (zh) 一种高效转动清理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