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285B1 - 정미기 - Google Patents
정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8285B1 KR101868285B1 KR1020170097493A KR20170097493A KR101868285B1 KR 101868285 B1 KR101868285 B1 KR 101868285B1 KR 1020170097493 A KR1020170097493 A KR 1020170097493A KR 20170097493 A KR20170097493 A KR 20170097493A KR 101868285 B1 KR101868285 B1 KR 1018682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housing
- main body
- rice
- housing m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과 연통되며, 상기 호퍼에 투입된 상기 현미를 제강망을 이용하여 쌀과 쌀겨로 분리하는 회전체; 상기 제강망의 둘레를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제강망에 의해 분리된 상기 쌀겨를 일시 저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쌀겨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쌀겨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공기 통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통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 및 상기 쌀겨 배출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 내의 공기압이 음압 상태가 되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로부터 미강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배출하기 위한 정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수확한 후 제현과정을 거친 이후 정미과정을 거쳐 쌀을 얻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정미기이며, 이러한 정미기는 통상 현미를 투입하면 그 내부에서 도정과정을 거쳐 쌀과 쌀겨(미강)로 분리하게 되고, 이때 분리된 쌀과 쌀겨를 각각의 이동로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쌀의 이동로의 끝에는 쌀가마나 쌀포대가 있어 쌀을 담게 되고, 쌀겨를 포함하는 분진은 집진통에 수거되어 분리사용하거나 폐기하게 된다.
종래의 정미기의 동작 순서는 호퍼로 공급된 현미가 정미를 위한 회전체의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고, 회전체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통형의 제강망이 설치되어 있어서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현미가 제강망과 부딪쳐 현미의 강층이 벗겨지게 된다. 현미에서 쌀과 쌀겨가 분리된 후에, 쌀은 정미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쌀겨는 쌀겨 배출구와 연결된 흡입팬의 가동으로 쌀겨 배출관을 거쳐 집진통에 집진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정미기는 회전체를 구성하는 제강망을 에워싸는 하우징 내의 공기 흐름이 불규칙적으로 유동함에 따라, 흡입팬으로 쌀겨 또는 먼지 등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미기의 회전체의 제강망 수납홈에 삽입된 쌀겨, 먼지 등의 이물질들이 공기 흐름의 불규칙인 유동으로 인해 수납홈 내에 엉겨붙게 되어 수납홈의 막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쌀의 정미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호퍼에 투입된 현미가 회전체의 이송 스크류를 따라 이송되며 가공됨으로써, 이송시 발생하는 이송 마찰 및 현미가 쌀로 가공될 때 현미끼리 부딪히는 가공 마찰 등 마찰열이 발생하게 되어 정미기에서 정미되는 쌀의 온도가 고온 상태로 배출되므로, 쌀의 균열 및 쇄미가 발생하는 등 상품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회전체의 제강망을 에워싸는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과 연통되며, 상기 호퍼에 투입된 상기 현미를 제강망을 이용하여 쌀과 쌀겨로 분리하는 회전체; 상기 제강망의 둘레를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제강망에 의해 분리된 상기 쌀겨를 일시 저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쌀겨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쌀겨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공기 통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통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 및 상기 쌀겨 배출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 내의 공기압이 음압 상태가 되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판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통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 조절 본체; 및 상기 공기 조절 본체의 상부 끝단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축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파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조절 본체는, 상기 공기 조절부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 나사를 이용해 상기 공기 조절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조절 본체는, 상기 공기 조절부의 상하 이동을 균일하게 안내하기 위한 경로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가이드 홀은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돌출 부재에 삽입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은 상기 공기 통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내주면에 대향하여 절곡 및 연장된 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는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반 원통형의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강망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에 공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공기의 유입을 위한 상기 공기 통로의 개방 정보를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의 공기 방향이 회전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쌀겨가 하우징으로부터 배출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내의 공기 흐름이 일정 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내에 머무는 쌀겨 또는 이물질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정미기의 청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내의 공기 흐름이 원활해짐에 따라, 하우징 내에서 발생하는 현미의 이송 마찰 또는 가공 마찰에 따른 마찰열을 용이하게 냉각시킬 수 있어서 고품질의 쌀을 추출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배면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정면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c에 도시된 공기 조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c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배면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정면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좌측면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c에 도시된 공기 조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c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미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미기는 호퍼(100), 회전체(200), 쌀겨 배출구(300) 및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100)는 현미가 투입되는 투입구이다. 호퍼(100)는 원활한 현미의 투입을 위하여 현미의 투입 경로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호퍼(100)는 투입되는 현미가 하우징(400) 내의 회전체(200)로 이송되도록 회전체(200)와 연통되어 있는 하부 경사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200)는 호퍼(100)의 일측(예를 들어, 호퍼의 하부 경사로)과 연통되어 있으며, 호퍼(100)에 투입된 현미를 쌀과 쌀겨로 분리시킨다. 이를 위해, 회전체(200)는 현미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미도시) 및 이송 스크류에서 현미가 이송되는 구간을 이송 스크류의 축 방향으로 에워싸는 제강망(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는 호퍼(100)에 투입된 현미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회전체(200)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 모터와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현미를 이송시킬 수 있다. 쌀겨 또는 불순물이 제거된 쌀은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어 쌀 배출구로 이송된다. 쌀 배출구는 쌀겨 등이 제거된 쌀을 배출하는 통로로서, 회전체(200)의 하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강망은 현미로부터 쌀겨 또는 이물질 등을 분리해 내는 망이다. 제강망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송 스크류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이송 스크류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강망은 투입된 현미로부터 분리된 쌀겨 또는 이물질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된 다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쌀겨 배출구(300)는 회전체(200)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쌀겨를 배출한다. 이를 위해, 쌀겨 배출구(300)의 일측은 하우징(400)의 일측(예를 들어, 하우징(400)의 하부)과 연통될 수 있다. 쌀겨 배출구(300)의 일측은 하우징의 일측과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용접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쌀겨 배출구(300)의 타측은 공기 흡입팬(미도시)과 연통되어 있으며, 공기 흡입팬에 의해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면, 하우징(400) 내의 공기가 쌀겨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400)은 회전체(200)를 구성하는 제강망의 둘레를 에워싸고 있으며, 제강망에 의해 분리된 쌀겨 또는 불순물 등을 일시 저장하며, 공기 흡입팬의 구동에 의해 쌀겨 배출구(300) 쪽으로 쌀겨 또는 불순물 등을 전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4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400)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4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400)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하우징(400)은 하우징 본체(410), 공기 통로(420), 공기 조절부(430) 및 가이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410)는 제강망의 둘레를 에워싸는 구조체이다. 하우징 본체(410)는 하나의 구조체일 수도 있고, 도 2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구조체 즉,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410)는 3개 이상의 구조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본체(410)의 측면(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본체의 좌측면 A 및 우측면 B)은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체(200)를 구성하는 회전체 하우징(미도시)의 측면 부분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본체(410)는 후술하는 공기 통로(420) 및 쌀겨 배출구(300) 이외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없는 폐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410)는 원통형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본체(410)가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2)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2)는 각각 반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원통형의 하우징 본체(410)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하우징 본체(410)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제강망을 에워싸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410)는 투명 재질(예를 들어 투명 아크릴 재질) 또는 경량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2)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부 본체(410-1)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하부 본체(410-2)는 경량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410)는 2개 이상의 구조체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각 구조체들은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는 각각의 일단이 서로 접해 있으면서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등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일단(도 3a에 도시된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배면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모듈(41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일단은 나사 모듈(412-1) 이외에,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일단을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 부재(4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 부재(412-2)는 고리 부재와 상기 고리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고리 부재와 고정 부재가 상부 본체(410-1) 또는 하부 본체(410-1)의 일단에 서로 대응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리 부재가 고정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 본체(410-1) 또는 하부 본체(410-1)의 일단을 체결시킨다.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타단(도 3b에 도시된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정면 부분)은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타단을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 부재(4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 부재(412-3)는 고리 부재와 상기 고리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고리 부재와 고정 부재가 상부 본체(410-1) 또는 하부 본체(410-1)의 타단에 서로 대응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리 부재가 고정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부 본체(410-1) 또는 하부 본체(410-1)의 일단을 체결시킨다. 다만, 제2 체결 부재(412-3)는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타단 을 후술할 공기 통로(42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 거리(D)만큼 이격시킨 상태로 체결시킬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타단은 상호 이격되어 있으면서,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공기 통로(42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 본체(410-1) 및 하부 본체(410-1)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상부 본체(410-1)와 하부 본체(410-1)의 타단 사이가 일정 거리(D)만큼 이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기 통로(420)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통로(420)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징 본체(410)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이며, 하우징 본체(410)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공기 통로(420)는 회전체(2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형태는 하우징 본체(410)의 좌측면에 해당하는 A 지점에서 하우징 본체(410)의 우측면에 해당하는 B 지점까지 일정 거리(D)만큼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릿 형태는 하우징 본체(410)의 좌측면 끝단에서 우측면 끝단까지 전 구간에서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지만, 전 구간이 아닌 일부 구간만 개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과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공기 통로(420)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공기 통로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홀 형태일 수 있으며, 슬릿 형태와 홀 형태가 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통로의 형태는 당업자 수준에서 통상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일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절부(430)는 하우징 본체(410)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공기 통로(42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공기 조절부(430)는 판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3c에 도시된 공기 조절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조절부(430)는 공기 조절 본체(430-1), 파지 부재(430-2), 고정홀(430-3) 및 경로 가이드 홀(43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절 본체(430-1)는 회전체의 축 방향으로 하우징 본체(4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판 형상이며, 하우징 본체(410)의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공기 통로(420)의 개폐를 조절한다. 공기 조절 본체(430-1)는 하우징 본체(41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 본체(41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파지 부재(430-2)는 공기 조절 본체(430-1)의 상부 끝단이 연장된 것으로, 회전체의 축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 조절부(430)의 파지 부재(430-2)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동작시킴으로써 공기 조절 본체(430-1)의 상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파지 부재(430-2)는 공기 조절 본체(430-1)와 다른 재질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고, 공기 조절 본체(430-1)의 상부 끝단이 절곡되어 연장된 형태일 수도 있다.
고정홀(430-3)은 공기 조절부(430)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홀이며, 고정홀(430-3)에 삽입되는 나사 모듈을 이용해 공기 조절부(4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홀(430-3)은 공기 조절 본체(430-1)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 모듈을 사용하여 공기 조절부(430)의 개방 정도를 고정할 수 있다. 즉, 공기 조절부(43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한 후에, 나사 모듈을 고정홀(430-3)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공기 조절부(430)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 후 다시 공기 조절부(430)의 개방 정도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면, 나사 모듈의 조임 상태를 해지하여 공기 조절부(430)를 이동시킨 후에 다시 나사 모듈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홀(430-3)은 공기 조절 본체(430-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430-3)은 공기 조절 본체(430-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양쪽에 대칭 형태로 2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고정홀(430-3)은 1개 또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홀(430-3)의 위치도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다.
경로 가이드 홀(430-4)은 공기 조절부(430)의 상하 이동을 균일하게 안내하기 위한 홀이며, 경로 가이드 홀(430-4)은 하우징 본체(410)에 형성된 돌출 부재(410-11)에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경로 가이드 홀(430-4)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이 공기 조절 본체(430-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 대칭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가이드부(440)는 쌀겨 배출구(300)를 통한 공기의 배출에 따라 하우징 본체(410) 내의 공기압이 음압 상태가 되면, 공기 통로(420)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 본체(410)의 내주면에 장착된다.
도 5는 도 3c에 도시된 가이드부(44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의 일측(440-1)은 공기 통로(420)를 따라 하우징 본체(41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의 타측(440-2)은 공기 통로(4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 본체(410)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 본체(4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의 타측(440-2)은 하우징 본체(410)의 내주면에 대향하여 절곡 및 연장된 판 형태인 것일 수 있다.
가이드부의 일측(440-1)이 하우징 본체(41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형태는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용접 결합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일측(450-1)은 하우징 본체(410)의 내면에 나사 모듈(440-11)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나, 이른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 방식 중의 하나에 해당할 뿐, 삽입 결합 및 용융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가이드부의 타측(440-2)은 하우징 본체(410)의 내주면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됨에 따라, 공기 통로(4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 본체(410)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하우징 본체(410)의 내부로 유도되는 공기가 하우징 본체(41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어있다. 공기 통로(420)로 유입된 공기가 가이드부(440)를 따라 하우징 본체(410)의 내부 중 상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유도됨으로써, 하우징 본체(410)의 내부 공기는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쌀겨 배출구(300)에 연결된 공기 흡입팬에 의해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면, 공기 통로(4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하우징 본체(410) 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쌀겨 배출구(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해서 보다 효율적으로 쌀겨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호퍼
200: 회전체
300: 쌀겨 배출구
400: 하우징
410: 하우징 본체
420: 공기 통로
430: 공기 조절부
440: 가이드부
200: 회전체
300: 쌀겨 배출구
400: 하우징
410: 하우징 본체
420: 공기 통로
430: 공기 조절부
440: 가이드부
Claims (10)
- 현미가 투입되는 호퍼;
상기 호퍼의 일측과 연통되며, 상기 호퍼에 투입된 상기 현미를 제강망을 이용하여 쌀과 쌀겨로 분리하는 회전체;
상기 제강망의 둘레를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제강망에 의해 분리된 상기 쌀겨를 일시 저장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쌀겨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하는 쌀겨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공기 통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통로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 및
상기 쌀겨 배출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에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 내의 공기압이 음압 상태가 되면,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체의 축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판 형상이며,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외주면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 통로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기 조절 본체; 및
상기 공기 조절 본체의 상부 끝단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축 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은 상기 공기 통로를 따라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타측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기 내주면에 대향하여 절곡 및 연장된 판 형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부 본체 및 하부 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는 나사 결합 및 삽입 결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슬릿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본체는,
상기 공기 조절부의 상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 나사를 이용해 상기 공기 조절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본체는,
상기 공기 조절부의 상하 이동을 균일하게 안내하기 위한 경로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 가이드 홀은 상기 하우징 본체에 형성된 돌출 부재에 삽입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 및 상기 하부 본체 중 적어도 하나는 반 원통형의 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미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493A KR101868285B1 (ko) | 2017-08-01 | 2017-08-01 | 정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7493A KR101868285B1 (ko) | 2017-08-01 | 2017-08-01 | 정미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8285B1 true KR101868285B1 (ko) | 2018-06-15 |
Family
ID=6262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7493A KR101868285B1 (ko) | 2017-08-01 | 2017-08-01 | 정미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82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44980A (zh) * | 2021-05-08 | 2021-08-13 | 沅江市旭泰米业有限公司 | 一种米加工的稻谷褪壳筛分装置及其降温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7862B1 (ko) * | 1987-11-28 | 1990-10-22 | 천 후앙 로버트 | 정미기 |
JPH0798153B2 (ja) * | 1988-02-16 | 1995-10-25 | マルマス機械株式会社 | 籾摺精米機における全自動式脱▲ふ▼選別装置及び起動装置 |
JP4490569B2 (ja) * | 2000-09-26 | 2010-06-30 | みのる産業株式会社 | 糠の排出機構を備える撹拌式精米機 |
JP7098153B2 (ja) * | 2019-06-04 | 2022-07-11 | 京楽産業.株式会社 | 遊技機 |
-
2017
- 2017-08-01 KR KR1020170097493A patent/KR1018682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7862B1 (ko) * | 1987-11-28 | 1990-10-22 | 천 후앙 로버트 | 정미기 |
JPH0798153B2 (ja) * | 1988-02-16 | 1995-10-25 | マルマス機械株式会社 | 籾摺精米機における全自動式脱▲ふ▼選別装置及び起動装置 |
JP4490569B2 (ja) * | 2000-09-26 | 2010-06-30 | みのる産業株式会社 | 糠の排出機構を備える撹拌式精米機 |
JP7098153B2 (ja) * | 2019-06-04 | 2022-07-11 | 京楽産業.株式会社 | 遊技機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44980A (zh) * | 2021-05-08 | 2021-08-13 | 沅江市旭泰米业有限公司 | 一种米加工的稻谷褪壳筛分装置及其降温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2055B1 (ko) | 공기 조화 장치 | |
US20090031680A1 (en) | Multi Cyclone Collector | |
JP2004358252A (ja) | サイクロン集塵装置およびそのサイクロン集塵装置を備えた真空掃除機用のハンドル組立体 | |
CN110917742B (zh) | 空气清洁器 | |
CN205399327U (zh) | 吹吸装置 | |
EP1958562A3 (en) | Cyclone separating apparatus for vacuum cleaner | |
KR101868285B1 (ko) | 정미기 | |
CN105648961A (zh) | 吹吸装置 | |
KR20160038678A (ko) | 공기조화기 | |
EP2208942A2 (en) | Air conditioner | |
KR102309302B1 (ko) | 청소기 | |
CN105050721B (zh) | 切削环及具备其的碾米机用切削环组装体 | |
WO2007060921A1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1616525B1 (ko) |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 |
KR20200000264U (ko) | 핸디형 진공청소기 | |
KR20170050309A (ko) | 공기청정기의 축류형 송풍팬 | |
CN104566894B (zh) | 空气调节器 | |
US10064529B2 (en) | Cleaner | |
KR20210055984A (ko) | 환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
KR20140020194A (ko) |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 |
JP2014074503A (ja) | 空気調和機 | |
CN110312457A (zh) | 表面清洁设备 | |
JP2016055730A (ja) | コンバイン | |
US20050257507A1 (en) | Industrial scrap collector | |
CN111107963A (zh) | 喷丸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