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36B1 -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 Google Patents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36B1
KR900007736B1 KR1019870004250A KR870004250A KR900007736B1 KR 900007736 B1 KR900007736 B1 KR 900007736B1 KR 1019870004250 A KR1019870004250 A KR 1019870004250A KR 870004250 A KR870004250 A KR 870004250A KR 900007736 B1 KR900007736 B1 KR 90000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port
microcomput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102A (ko
Inventor
고봉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36B1/ko
Publication of KR88001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제l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제1도 중 마이컴(10)의 주변 회로도.
제4도는 제2도 및 제3도의 마이컴 제어 흐름도.
제5도는 표시부의 왼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폰 2 : 스피커
10 : 마이컴 20 : 경보신호 발생부
30 : 상태 표시부 40 : 기능선택부
50 : 경보음 발생부 60 : 경보음 필터부
70 : 제1증폭부 80 : 스위칭부
90 : 제2증폭부 100 : 외부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종합 방범 및 방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센서 및 스위치를 통해 이상 상태 신호 발생시 인터폰을 이용하여 음성경보를 발생하는 동시에 이웃으로 해당 상태를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난경보기, 개스 경보기는 단일 기능의 제품으로서 단순히 벨(Bell)소리로서 이상 상태를 경보하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경보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기능에 따라 다수개의 개별 경보기를 설치해야 했으므로 설치공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됐으며, 경고음 또한 벨소리와 같은 단일 음향이었으므로 해당 이상 상황을 정확하게 경보할 수 없었으며, 또한 긴급 비상 상황시 해당 경보를 이웃으로 통보할수 없었던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내의 방범 및 방재 기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스위치를 부착하고 임의센서 또는 스위치를 통해 이상 상태 발생시 인터폰을 이용하여 이상 상태내용을 음성으로 통보할 수 있는 가정 방법 및 방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범 및 방재 장치에서 이상 상태 발생시 해당 경보를 음성 경보신호로 변환한 후 인터폰 라인을 통해 이웃으로 통보할 수 있는 방범 방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마이컴 상호간에 신호를 주고받아 시스템간에 이상 상태를 자동 통보할 수 있는 방범 및 방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로서, 인터폰(1) 및 상기 인터폰(1)의 스피커(2)와, 제3포트(B1) 및 제4포트(C1)로 순차적인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시점에서 스캔포트(A1-An)로 스위치 및 센서를 감지하여 경보 기능 선택 및 이상 상태 발생을 감지하며, 제1포트(I1) 및 제2포트(I2)를 통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시점에서 스캔포트(A1-An)로 선택된 경보 기능을 표시하는 동작중 표시 소자 및 경보 발생을 표시하는 경보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타를 출력하며, 경보 발생시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2
)를 발생하는 동시에 해당 경보의 데이타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제3포트(B1)에 경보기능 선택용 스위치(SW1-SWn)가 병렬 연결되는 동시에 제4포트(C1)에 이상 상태 감지용 센서(S1-Sn)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SWl-SWn) 및 센서(S1-Sn)의 각 타단들이 상기 스캔포트(A1-An)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3포트(B1)로 구동 제어신호 발생시 스캔포트(A1-An)로 상기 스위치(SW1-SWn)의 선택 상태를출력하고 상기 제4포트(C1)로 구동 제어신호 발생시 스캔포트(A1-An)로 상기 센서(S1-Sn)의 경보감지상태를 출력하는 경보신호발생부(20)와, 상기 제1포트(I1)에 경보 선택중임을 표시하는 상기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n)가 공통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포트(I2)에 경보 발생 상태임을 표시하는 상기 경보표시소자(LD1-LDn)가 공통 연결되며 상기 동작중 및 경보표시부(LED1-LEDn, LD1-LDn)의 각 타단들이 상기 스캔포트(A1-An)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10)의 구동데이타에 따라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7) 또는 경보 표시소자(LD1-LDn)가 구동되는 상태표시부(30)와, 상기 마이컴(10)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3
)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인터폰(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스피커(2)로 음성 경보 신호의 통로를 형성하는 기능 선택부(40)와, 상기 마이컴(10)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4
) 발생시 구동되어 상기 경보데이타에 따른 메모리의 내용을 리드한 후 음성 경보 신호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50)와, 상기 경보음 발생부(50)의 출력을 음성 대역으로 여파하는 경보음 필터부(60)와, 상기 경보음 필터부(60)의 음성경보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2)로 공급하는 제1증폭기(70)와, 상기 경보음 필터부(60)의 음성 경보신호를 증폭하여 이웃의 인터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2증폭기(90)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20)의 경보 정지 스위치 및 통보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에서 해당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5포트(E0) 및 제6포트(E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5포트(E0)에서 경보정지스위치 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제1증폭기(70)로 공급되는 음성 경보신호를 패스시켜 내부 경보 통로를 단절하고, 상기 제6포트(E1)에서 통보스위치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음성 경보 신호를 상기 제2증폭기(90)로 공급하여 외부 통보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칭부(80)와, 상기 마이컴(10)은 송신 포트(MR) 및 수신포트(MT)에 외부 시스템과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외부 시스템과 상기 마이컴(10)간에 경보신호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00)로 구성된다.
마이컴(10)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주기를 갖는 구동 제어 신호를 소정 간격으로 경보신호 발생부(20) 및 상태표시부(30)로 출력하며, 경보신호 발생부(20)에서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상태표시부(30)의 해당 기능에 따른 표시소자를 구동하기 위하여 데이타를 출력한다. 현재 경보신호 발생부(20)에서 이상 상태가 감지되지 않고 있다면 마이컴(10)은 기능선택부(40)를 "온" 스위칭시켜 인터폰(1)의 정상 기능을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터폰(1)을 통하여 교신할 수 있다.
그러나 경보신호 발생부(20)에서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마이컴(10)은 상태표시부(30)의 해당 표시 등을 구동하고 기능선택부(40)를 "오프" 스위칭시켜 인터폰(1)의 동작을 중지시키며, 경보음 발생부(50)로 해당 이상 상태에 따른 경보 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경보음 발생부(50)는 상기 경보 데이타에 따른 메모리의 음성데이타를 리드한 후, 이 음성데이타를 합성하여 음성 경보 신호로 출력하며, 경보음 필터부(60)는 상기 음성 경보 신호를 음성 대역으로 필터링 한후 제1증폭부(70)로 출력하고, 제1증폭부(70)는 이 경보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를 구동하여 이상 상태를 알린다.
이때 경보중지를 원하거나 현재의 이상 상태를 이웃에 통보하려하면, 경보신호 발생부(20)의 경보 중지스위치나 통보스위치를 누르면 된다. 상기 경보정지 스위치가 눌려지면, 마이컴(10)은 해당신호를 인지하여 상태표시부(30)의 해당표시 소자를 구동하고, 경보음 필터부(60)의 출력을 그라운드시켜 제1증폭부(70)로 공급되는 음성 경보 신호를 차단하며, 현재의 이상 상태를 이웃으로 통보하기 위해 통보 스위치를 누르면, 마이컴(10)은 상태표시부(30)를 제어하여 해당 표시 소자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스위칭부(80)를 제어하여 경보음 필터부(60)의 출력을 제2증폭부(90)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2증폭부(90)를 출력하는 음성 경보 신호를 인터폰 라인을 통해 이웃으로 출력된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체 회로도로서, 제3 및 제4포트(Bl,C1)로 순차적인 구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스캔탭포트(A1-A7)로 스위치 및 센서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며, 제l 및 제2포트(I1-I2)와 스캔포트(A1-A7)를 통해 해당 상태를 표시하고, 이상 상태 발생시 인에이블 신호(
Figure kpo00005
)를 발생하는 동시에 해당 이상 상태에 따른 경보 데이타(D4-D1)를 발생하며, 경보중지 또는 통보스위치의 동작 감지시 제5 또는 제6포트(D1, D2)를 통해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10)과, 센서(S1-S6), 저항(R40-R45), 옵토커플러(21), 스위치(SW1-SW7) 및 다이오드(D1-D7)로 구성되어, 상기 제3포트(B1)로 구동 제어 신호 발생시 경보 기능 선택용 스위치(SW1-SW7)의 상태를 스캔포트(A1-A7)로 출력하고, 상기 제4포트(C1)로 구동 제어 신호 발생시 경보센서(S1-S6)의 상태 감지 신호를 스캔포트(A1-A7)로 출력하는 경보신호발생부(20)와, 저항(R8-R39), 트랜지스터(Q5,Q6), 표시소자(LD1-LD7,LED1-LED7)와 드라이버(31)로 구성되어, 제1 또는 제2포트(I1-I2) 및 스캔포트(A1-A7)의 출력에 의해 제1 및 제2표시부(LDl-LD7,LED1-LED7)의 해당 표시 소자를 구동하는 상태 표시부(30)와, 트랜지스터(Q1), 저항(R1-R4) 및 캐패시터(C1)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에서 "하이" 상태의 인에이블 신호(CE) 발생시 트랜지스터(Q1)가 "온"스위칭되어 인터폰(1)의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하며, 로우상태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6
) 발생시 트랜지스터(Q1)가 "오프" 스위칭되어 인터폰(1)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기능 선택부(40)와, 음성 합성칩(51) 및 롬(52)으로 구성되어 상기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 신호(
Figure kpo00007
)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경보 데이타(D4-D1)에 해당하는 롬(52)의 음성 데이타를 리드한 후 음성 합성칩(51)에서 합성하여 해당 이상 상태에 따른 음성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부(50)와, 캐패시터(C15-D18), 저항(R53-R58) 및 연산증폭기(OP2)로 구성되어, 상기 경보음 발생부(50)의 출력을 음성 대역으로 여파하는 경보음 필터부(60)와, 캐패시터(C2-C10), 저항(R5-R7,R13) 및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어, 상기 경보음 필터부(60)의 출력을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2)로 공급하는 제 1증폭기(70)와, 저항(R51, R52, R59) 및 트랜지스터(Q2, Q3)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에서 통보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경보음 필터부(60)의 출력통로를 형성하며, 경보정지 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제1증폭기(70)의 출력을 바이패스시키는 스위칭부(80)와, 캐패시터(C19-C27), 저항(R60-R63) 및 연산증폭기(OP3)로 구성되어, 상기 스위칭부(80)에서 외부 통보 통로 형성시 음성 경보 신호를 증폭하여 이웃의 인터폰 라인으로 전송하는 제2증폭기(90)와, 저항(R46-R50), 다이오드(D8) 및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10)의 송신포트(MR) 및 수신포트(MT)에 외부시스템과의 신호선이 연결되어 외부시스템과 상기 마이컴(10)간에 경보 신호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0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 중 마이컴(10)의 주변회로인 경보신호 발생부(20) 및 상태표시부(30)의 구체회로도이다.
제4도는 마이컴(10)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4도(a)는 마이컴(10)의 메인 루틴이며, 제4도(b)는 스위치(SW1-SW7), 센서(S-S6) 및 표시소자(LD1-LD7, LED1-LED7)의 제어 흐름도이고, 제4도(c)는 이상 상태 판단 과정의 흐름도이며, 제4도(d)는 내부 경보 및 외부 통보의 제어흐름도이다. 제5도는 표시부의 외관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2, 3, 4, 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인터폰(1)의 동작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평상시, 즉 마이컴(10)은 이상 상태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이므르, 마이컴(10)의 집 인에이블 단자(CE)를 통하여 "하이" 신호를 출력하며, "로우"신호에 의해 인에이블 되는 음성합성 칩(61)은 동작하지 않고 트랜지스터(Q1)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인터폰(1)의 입력이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증폭부인 연상 증폭기(OP1)로 인가되며, 이로 인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호출음이 스피커(2)를 통해 발생되는데 호출음 발생시 인터폰(1)의 수화기를 들면 인터폰(1)의 출력라인을 통해 통상의 통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마이컴(10)은 제4도(a)에 도시된 흐름과 같이 주기적으로 스위치(SW1-SW7), 센서(S1-S6)의 스캔 및 표시소자(LD1-LD7, LED1-LED7) 제어 동작을 수행한 후, 이상 상태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경보신호 발생 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제4도(b)를 참조하여 스위치(SW1-SW7), 센서(S1-S6) 스캔 및 표시소자(LD1-LD7, LED1-LED7)의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는 스위치(SW1-SW7)를 눌러 원하는 경보 기능을 세트시킨다. 이는 방범의 경우 일반적으로 센서(S5, S6)를 도어 및 창문 등에 설치하게 되는데, 한낮에 도어 또는 창문을 열어 놓고 있는 경우에도 음성 경보 신호가 발생되기 때문에 원하는 시간에 사용자가 스위치(SW7, SW4)를 동작시키면, 그 시점에서부터 경보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보 선택스위치 방범스위치(SW7, SW4) 욕조스위치(SW2), 유량 스위치(SW3) 등이 있다. 또한 비상스위치(SW1)는 가정내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이를 경보하고자 하는 경우에 수동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경보정지 스위치(SW5)와 통보스위치(SW6)는 상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도둑이 도어 또는 창문을 열고 들어왔을 때 이를 내부에서 음성으로 경보하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보정지 및 통보스위치(SW5, SW6)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해당 상황에 대한 음성 경보신호가 외부로만 통보되고 내부에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화재 및 개스 누출 등과 같은 긴급 상황에 대해서는 경보선택 기능을 부가하지 않고, 센서(S3, S4)를 통해 해당 상황이 감지되면 바로 음성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마이컴(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경보선택스위치(SW1-SW7)의 상태를 스캔하여 선택된 경보 기능을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7)를 통해 표시하고, 센서(S1-S6)를 통해 감지되는 이상상태를 경보 표시소자(LD1-LD7)를 통해 표시하는 동시에 해당 경보 정보를 음성 합성칩(51)로 전송한다. 먼저 경보 선택스위치(SW1-SW7)의 상태를 스캔하기 위하여 마이컴(10)은 제1 및 제2포트(I1, I2)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3 및 제4포트(B1, C) 포트를 각각 "로우" 및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5, Q6)가 턴오프되므로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7) 및 경보표시소자(LD1-LD7)는 오프상태가 되어 표시소자들은 구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옵토커플러(21)의 각 이미터 단자로도 "하이" 신호가 출력되어 센서(S1-S6)의 출력도 발생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스위치(SW1-SW7)의 일축 단자로는 "로우" 신호가 인가되므로, 임의의 스위치(SW1-SW7)가 눌려지게 되면 풀업저항(R8-R14)에 의해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스캔포트(A1-A7)의 해당 포트가 "로우" 상태로 천이되게 된다.
따라서 마이컴(10)은 제3포트(B1)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캔포트(A1-A7)의 상태를 리드하여 저장하게 되며, 이때 선택된 스위치들이 어떤 스위치를 인지를 알게 된다.
이후 마이컴(10)은 제3 및 제4포트(B1, C1)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제1 및 제2포트(I1, I2)로 각각 "하이" 및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선택된 스위치가 동작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즉, 제3 및 제4포트(B1, C1)가 "하이" 상태이므로 스위치(SW1-SW7) 및 센서(S1-S6)는 동작될 수 없는 상태가 되며, 제1 및 제2포트(I1, I2)가 각각 "하이" 및 "로우" 신호를 출력하므로 트랜지스터(Q5)는 턴오프, 트랜지스터(Q6)는 턴온 상태가, 되어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7)의 애노드측만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마이컴(10)은 스캔포트(A1-A7)를 통해 선택된 스위치(SW1-SW7)의 구동 데이타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 데이타카 드라이버(31)를 통해 동작 중 표시소자(LED1-LED7)의 캐소드측으로 인가되므로 선택된 스위치(SW1-SW7)에 대응되는 표시소자들이 "온"된다.
상기와 같이 경보 선택스위치(SW1-SW7)의 스캔 및 동작중 표시과정을 수행한 후 마이컴(10)은 제1 및 제2포트(I1, I2)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표시소자(LED1-LED7, LD1-LD7)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제3 및 제4포트(B1, C1)로 각각 "하이" 및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옵토커플러(21)의 각 이미터 단자로 "로우" 신호가 인가되므로, 센서(S1-S6)는 동작 가능 상태가 된다.
즉, 센서(S1-S6) 중 임의 센서가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해당 센서의 양단이 쇼트(short)되어 업토커플러(21)의 해당 트랜지스터카 "온"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스캔포트(A1-A7)상에 "로우" 상태의 신호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때 마이컴(10)은 제4포트(C1)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스캔포트(A1-A7)를 통해 센서(S1-S6)의 상태를 리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센서(S1-S6)를 통해 감지된 이상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 마이컴(10)은 다시 제3 및 제4포트(B1, C1)를 "하이" 상태로 천이시키고, 제1 및 제2포트(I1,I2)로 각각 "로우" 및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경보 표시소자(LD1-LD7)의 애노드 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스킨포트(A1-A7)를 통해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경보 표시소자(LD1-LD7)의 구동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경보 표시소자(LD1-LD7)의 해당 표시소자가 "온"되어 이상 상태 발생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비상 스위치(SW1)가 눌려진 경우에도 경보표시소자(LD1)를 구동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마이컴(10)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실행되기 때문에, 사람의 눈으로는 표시소자(LED1-LED7, LD1-LD7)의 온/오프 동작을 감지할 수 없으며, 이 프로그램은 연속적으로 항시 수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과정을 요약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kpo00008
또한 마이컴(10)은 상기 제4도(b)와 같은 흐름으로 경보선택 및 이상 상황 발생 유무를 스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제4도(c)와 과정을 수행하여 이상 상태를 판단한 후, 발생되는 이상 상태를 음성 경보 신호로 출력하기 위하여 음성합성칩(51)로 경보데이타(D4-D1)를 발생한다. 즉, 스위치 및 센서를 스켄한 후 마이컴(10)은 제4도(c)와 같은 흐름으로 이상 상태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 먼저 센서(S3, S4)를 통해 개스누출 또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마이컴(10)은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09
)를 발생하는 동시에 음성합성칩(51)으로 해당 경보데이타(D4-D1)를 전송한다.
이때 개스누출 또는 화재상황 발생시 이는 긴급 상황이므로, 경보선택 기능이 없는 상태이다. 또한 비상스위치(SW1)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 발생을 수동으로 경보하고자 하는 긴급한 경우이므로, 마이컴(10)는 개스누출 및 화재 발생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방범1, 2센서(S5, S6) 욕조센서(S1), 유량센서(S2) 등의 출력이 감지되면, 마이컴(10)은 방범 1, 2 스위치(SW7, SW4), 욕조스위치(SW2), 유량스위치(SW3) 등이 선택되었는가 검사한다. 즉, 상기 3가지의 경보 기능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경보기능이므로, 상기 기능을 수행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경보선택스위치를 세트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경보 발생이 감지되면, 마이컴(10)은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 신호(
Figure kpo00010
)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해당 경보 데이타(D4-D1)를 음성 합성칩(51)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4도(c)의 경보 처리 과정에서 우선 순위는 화재발생, 개스누술, 비상스위치 발생, 방범, 욕조, 유량 경보의 발생순이 된다.
또한 마이컴(10)은 이상 상태 발생시 통보스위치(SW6) 및 경보정지 스위치(SW5)의 상태를 분석하여 제4도(d)와 같은 흐름으로 음성 경보신호의 출력을 제어한다. 즉, 이상 상황 발생시 경보정지스위치(SW5)가 "온" 상태이면, 제5포트(E0)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스피커(2)로 인가되는 음성 경보신호를 단절함으로서 내부경보를 중지시킨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둑 등과 같이 외부 침입에 의한 비상 상황이 발생된 경우, 이를 음성 경보신호를 해당 경보 상황을 알리면 더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보정지스위치(SW5)가 "오프" 상태이면 제5포트(E0)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내부 경보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통보스위치(SW6)가 "온" 상태이면 제6모트(El)로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음성 경보 신호를 인터폰 라인을 통해 이웃으로 통보할 수 있도록 외부 경보 통로를 형성하며, 통보스위치(SW6)가 "오프" 상태이면 제6포트(E1)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외부 경보통로를 단절시킨다.
따라서 마이컴(10)이 제4도(b)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센서(S1-S6) 및 스위치(SW1-SW7)로 스캔하여 해당 상태를 보존한 후, 제4도(c)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이상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마이컴(10)는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1
)를 발생하는 동시에 라이트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2
) 및 해당 경보 데이타(D4-D1)를 출력한다.
이때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 신호가 발생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므로 인터폰(1)의 기능을 제어하여 인터폰 동작을 중지시킨다. 또한 음성합성칩(51)은 상기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 신호(
Figure kpo00013
)에 의해 구동되며, 라이트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4
)에 의해 해당 경보데이타(D4-D1)를 수신하여 롬(5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경보의 음성 데이타를 리드한다. 그리고 상기 롬(52)으로 부터 리드한 음성데이타를 합성하여 이를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경보신호를 변환한 후, DA0단자(Digital/Analog Output)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음성 경보신호는 경보음 필터부(60)를 통해 음성 대역으로 여파된 후, 제1 및 제2증폭부(70, 90)로 인가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컴(10)은 제5 및 제6포트(D0, D1)를 통해 경보정지스위치(SW5) 및 통보스위치(SW6)의 상태에 따른 제어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5포트(E0)로 "로우" 신호가 출력되면 경보정지스위치(SW5)가 "오르"된 상태로서, 트랜지스터(Q2)가 오프상태가 되어 경보음 필터부(60)의 음성 경보신호는 제1증폭부(70)로 공급되며, 증폭된 음성 경보 신호는 인터폰(1)의 스피커(2)를 통해 재생된다. 따라서 내부 경보의 통로가 형성된 경우가 된다. 그러나 제5포트(E0)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경보정지스위치(SW5)가 "온"된 상태로서, 트랜지스터(Q2)가 "온" 상태가 되어 경보음 필터부(60)의 출력이 바이패스된다. 따라서 스피커(2)로는 음성 경보 신호가 공급되지 못하므로 내부 경보의 통로가 단절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6포트(E1)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통보스위치(SW6)가 "오프"된 경우로서, 트랜지스터(Q3)가 "온"되어 제2증폭부(90)로 인가되는 음성 경보 신호를 바이패스시킨다. 따라서 외부 경보 통로는 단절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제6포트(E1)로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통보스위치(SW6)가 "온"된 경우로서,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어 음성 경보신호가 제2증폭부(90)로 인가된다. 따라서 증폭된 음성 경보 신호는인터폰 라인을 통해 이웃 가정의 인터폰으로 공급되므로 외부 경보의 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스위치(SW5, SW6)의 선택에 따른 음성 경보 신호의 통로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kpo00015
상기와 같은 내용으로 집안내에 화제가 발생됐을 시의 동작을 살펴본다.
화재 발생시, 센서(S4)가 동작되며, 마이컴(10)에서 제4포트(C1)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시 옵토 커플러(21)의 해당 포트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스켄 포트(A4)가 "로우" 상태로 천이된다. 이때 마이컴(10)은 제4포트(C1)로 "로우" 신호를 출력할 시, 스캔포트(A4)의 상태 천이에 따라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포트(I1)를 통해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 표시소자(LD1-LD7)를 구동할 시 스캔포트(A2)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드라이버(31)의 G2 출력을 "로우" 상태로 천이시킨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버(31)의 G2 출력이 "로우" 레벨이므로 경보 표시소자(LD2)가 "온"되여 화재 발생사태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마이컴(10)은 화재 발생 상황을 음성으로 경보하기 위하여 "로우" 상태의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음성합성 칩(51)을 인에이블시키고, 라이트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6
) 및 데이타 출력포트를 통해 해당 경보정보에 대한 데이타(D4-D1)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합성 칩(51)은 마이컴(10)의 출력 데이타(D4-D1)에 의해 경보음 데이타를 내장하고 있는 롬이(52)에서 화재발생시의 음성 데이타를 인출하여 합성한 다음, 아날로그 형태의 화재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화재 경보 신호는 연산증폭기(OP2)릍 통하여 필터링되며, 연산증폭기(OP1)를 통하여 증폭된 후 스피커(2)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 했읍니다"라는 음성 경보 신호로 재생된다.
제5도는 이상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표시부의 외관도로서 명칭은 하기(표 1)과 같다
노브(Knob) 표시
1 비상스위치(조광 Lock S/W)
2 화재 표시소자
3 개스 표시소자
4 리세트 스위치 및 표시소자
5 경보정지 스위치 및 표시소자
6 통보스위치 및 표시소자
7 방범 1스위치 및 표시소자
8 방범 2스위치 및 표시소자
9 유량 스위치 및 표시소자
10 욕조 스위치 및 묘시소자
11 표시소자
12 동작 중 표시소자
13 경보 표시소자
표 1
스위치(SW1-SW7)와 센서(S1-S6)의 동작에 의해 표시소자(LD1-LD7, LED1-LED7)의 표시상태와 음성 합성칩(51)을 출력하는 음성 경보 신호를 종합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 비상버튼-비상시 버튼을 누르면 버튼 내부의 표시등(LD1)이 켜지고 경보음을 내보낸다.
경보음 : "비상 " "비상"……
2. 화재표시부-집안내에 화재 발생시 화재 센서(S4)로 감지하여 화재 경보표시소자(LD2)이 켜지고 경보음을 보낸다.
경보음 : "화재가 발생했읍니다 "
3. 개스표시부-주방 등에서 개스가 누출되고 있을 때 개스센서(S3)로 이를 검출하며 개스 경보 표시소자(LD3)가 켜지고 경보음을 내보낸다.
경보음 : "개스가 새고 있읍니다"
4. 리세트 스위치 및 표시부-스위치를 누르면 시스템이 초기 상태로 돌아가 전원을 끊었다가 다시 넣은 것과 동일한 기능이다.
5. 경보정지 스위치 및 표시부-스위치(SW5) 한번 누르면 동작 표시소자(LED4)가 켜지고 내부 경보통로를 단절시키며, 다시 한번 누르면 내부 통로를 연결한다.
6. 통보 스위치 및 표시부-스위치를(SW6) 한번 누르면 동작 표시소자(LED2)가 켜지면서, 이상 발생시 경보음이 이웃으로 통보되며 이때 경보정지가 "온" 상태이면 집안 내부에는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고 이웃에만 통보를 해준다.
7, 8. 방범 스위치 및 표시등-방범 스위치(SW4, SW7)를 누르면 방범 동작중 표시소자(LED1, LED7)가 켜지고, 이상 발생시 센서(S5-S6)로 감지하며 경보 표시소자(LD5-LD6)가 켜지고 경보음을 발생한다.
경보음 : "도둑이 들었읍니다"
-센서(S5-S6)구동시 문이 열려 있으면 경보음을 발생하면서 동작이 되지 않는다. 경보음 : "창문이 열려 있읍니다. "
9. 유량 스위치 및 표시창-스위치(SW3)를 누르면 동작 표시소자(LED6)가 켜지고 유량이 일정량 미만이면 경보 표시소자(LD7)가 켜진다.
10. 욕조 스위치 및 표시창-목욕탕에 물을 채우고 있을 때 스위치(SW2)를 누르면 동작표시소자(LED5)가 켜지고 물이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경보 표시소자(LD4)가 켜지고 경보음을 내보낸다.
경보음 : "물이 찼읍니다."
1l. 표시소자-표시소자는 각각의 상태를 알아보기 쉽게 그림으로 표시하며, 이상 발생시 내부의 경부 표시소자(LD1-LD7)가 점등된다.
12. 동작중 표시소자-현제 동작중임을 알려준다.
13. 경보 표시소자-이상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본 시스템을 빌딩과 같은 큰 장소에서 사용하려하던 마이컴(10)과 또 다른 시스템의 마이컴 등에 신호선을 연결하면 된다. 즉, 본 시스템에 이상 신호가 발생했을 경우 마이컴(10)의 MT포트를 통해 "마이" 신호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Q4)를 턴온시키므로 이미터 단으로 "하이" 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에 의해 다이오드(D8)이 턴온 되어 다른 시스템의 마이컴 수신 포트인 MR단자로 인가된다. 또한 다른 시스템의 마이컴 송신단자인 MT포트를 통해 이상 신호가 출력되면 마이컴(l0)의 수신 포트를 통해 입력되어 다른 시스템의 이상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 및 사무실 등의 안전을 지켜주는 종합 방범, 방재 장치로서,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의 정보기능을 부가하여 다양한 경보 능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 및 이상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이웃으로 통보도 가능하여 비상시 자동 비상 연락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적망한 센서를 부착하고 아파트 등과 같은 큰 장소의 여러 시스템에 신호선을 상호 접속하여 재난 발생시 재산과 인명을 최대한으로 줄일 수 있어 가정 자동화(Home Automation)를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인터폰(1) 및 상기 인터폰(1)의 스피커(2)를 구비한 종합 방범 방재 창치에 있어서, 제3포트(B1) 및 제4포트(C1)로 순차적인 구동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시점에서 스캔 포트(A1-An)로 스위치 및 센서를 감지하여 경보 기능 선택 및 이상 상태 발생을 감지하며, 제1포트(I1) 및 제2포트(I2)를 통해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시점에서 스캔포트(A1-An)로 선택된 경보 기능을 표시하는 동작중 표시소자 및 경보 발생을 표시하는 경보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타를 출력하며, 경보 발생시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7
    )를 발생하는 동시에 해당 경보의 데이타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제3포트(B1)에 경보기능 선택용스위치(SW1-SWn)가 병렬 연결되는 동시에 제체4포트(C1)에 이상 상태 감지용 센서(S1-Sn)가 병렬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SW1-SWn) 및 센서(S1-Sn)의 각 타단들이 상기 스캔포트(A1-An)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3포트(B1)로 구동 제어신호 발생시 스켄포트(A1-An)로 상기 스위치(SW1-SWn)의 선택 상태를 출력하고 상기 제4포트(C1)로 구동 제어신호 발생시 스캔포트(A1-An)로 상기 센서(S1-Sn)의 경보감지상태를 출력하는 경보신호발생부(20)와, 상기 제1포트(I1)에 경보 선택중임을 표시하는 상기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n)가 공통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제2포트(I2)에 경보 발생 상태임을 표시하는 경보 표시소자(LD1-LDn)가 공통 연결되며 상기 동작중 및 경보표시부(LED1-LEDn, LD1-LDn)의 각 타단들이 상기 스캔포트(A1-An)에 공통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10)의 구동데이타에 따라 동작중 표시소자(LED1-LED7) 또는 경보 표시소자(LD1-LDn)가 구동되는 상태표시부(30)와, 상시 마이컴(10)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8
    )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인터폰(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스피커(2)로 음성 경보 신호의 통로를 형성하는 기능 선택부(40)와, 상기 마이컴(10)의 인에이블신호(
    Figure kpo00019
    ) 발생시 구동되어 상기 경보데이타에 따른 메모리의 내용을 리드한 후 음성 경보 신호로 합성하여 출력하는 경보음 발생부(50)와, 상기 경보음 발생부(50)의 음성 경보 신호를 증폭하여 상시 스피커(2)로 공급하는 제1증폭기(70)와, 상기 경보음 발생부(50)의 음성 경보신호를 증폭하여 이웃의 인터폰 라인으로 공급하는 제2증폭기(90)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20)의 경보 정지 스위치 및 통보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마이컴(10)에서 해당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제5포트(E0) 및 제6포트(E1)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5포트(E0)에서 경보정지스위치 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제1증폭기(70)로 공급되는 음성 경보신호를 패스시켜 내부 경보 통로를 단절하고, 상기 제6포트(E1)에서 통보스위치신호 발생시 스위칭되어 상기 음성 경보 신호를 상기 제2증폭기(90)로 공급하여 외부 통보 경로를 형성하는 스위칭부(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방범 방재 장치.
KR1019870004250A 1987-04-30 1987-04-30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KR90000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4250A KR900007736B1 (ko) 1987-04-30 1987-04-30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4250A KR900007736B1 (ko) 1987-04-30 1987-04-30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102A KR880013102A (ko) 1988-11-30
KR900007736B1 true KR900007736B1 (ko) 1990-10-19

Family

ID=1926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250A KR900007736B1 (ko) 1987-04-30 1987-04-30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102A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869B1 (ko) 경보기 및 경보기 시스템
JP2002074535A (ja) 火災警報設備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火災警報器
KR900007736B1 (ko) 인터폰을 이용한 종합 방범 방재장치
JP200615718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552997B2 (ko)
JP4049103B2 (ja) 接点型火災感知器及びそれを用いた防災システム
JP4955857B2 (ja) 集合住宅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5786757A (en) Load shed scheme for two wire data transmission
JPH1164427A (ja) 断線報知方法および装置
JP3935706B2 (ja) 高齢者対応集合住宅連絡システム
JPS61282998A (ja) ホ−ムモニタシステム
JP3803077B2 (ja) 火災報知設備の電話装置
JP2016192041A (ja) 自動火災報知システム
JP2563660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0432438B2 (ko)
JPH1145381A (ja) 火災感知器
JP2003132455A (ja) 移報入力付き住宅用火災警報器
JPH11345382A (ja) 設定内容確認方法及び設定内容確認方法を使用した装置
JP2004145464A (ja) 火災受信機
JPS60191392A (ja) 自火報システムの火災試験方法
JPH11161871A (ja) 集合住宅警報監視統合システム
JPH10208180A (ja) 信号伝送方法
KR900010447Y1 (ko) 방범, 방재 기기
JPH0747021Y2 (ja) 住宅情報盤
JPH01134595A (ja) 集合住宅用警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