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08B1 - 에어백 장치의 패드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08B1
KR900007508B1 KR1019870013751A KR870013751A KR900007508B1 KR 900007508 B1 KR900007508 B1 KR 900007508B1 KR 1019870013751 A KR1019870013751 A KR 1019870013751A KR 870013751 A KR870013751 A KR 870013751A KR 900007508 B1 KR900007508 B1 KR 900007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mold
base
net
upp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408A (ko
Inventor
고지 시라끼
미노루 니와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패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패드의 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패드에 사용하는 삽입부의 사시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삽입부 설치시를 도시한 금형의 단면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성형시를 도시한 금형의 단면도.
제6도는 동 실시예에 사용하는 가동형의 저면도.
제7도는 동 실시예의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9도는 그 패드의 삽입부 설치시를 도시한 금형의 단면도.
제10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11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삽입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 및 제13도는 삽입부 자체의 성형을 차례로 도시한 각각의 금형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의 XIV 화살표 투시도.
제15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단면도.
제16도는 동 실시예의 삽입부의 사시도.
제17도, 제18도, 제19도 및 제20도는 각각 또 다른 실시예의 삽입부의 사시도.
제21도는 연결 아암부를 가요성 패드로 구성하는 경우의 네트와의 꿰매기 상태를 도시한 도.
제22도는 연결 아암부를 가요성 패드로 구성하는 경우의 가요성 패드의 절곡 상태를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 11 : 패드
12 : 피복층 12a : 얇은 부분
13 : 삽입부 14 : 기부
16 : 설치부 16b : 설치구멍
17 : 유지부 17a : 연결 아암부
18 : 네트
본 발명은 자동차등에 장착되어 필요시 확장 개방 하는 에어백을 피복 수납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패드는 상벽과 상벽 주의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대략 상자형상으로 하고,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에어백이 패드로 부터 튀어나와 패드 상방에서 크게 확장 개방할 수 있도록 연질 합성 수지를 주체로 하여 성형됨과 동시에 상벽에 정해진 위치에서 파단할 수 있도록 파단용의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었다.
더우기, 이러한 종류의 패드에서는,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패드가 파단하여 비산하지 않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망상의 네트를 얇은 부분을 제외한 상벽과 측벽에 매설시키고, 더우기 패드 측벽의 하부 부위의 네트에 연열 저항이 높은 아라밋드 섬유등으로 된 환형의 패드를 꿰매고 있었다(특개소 55-110643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패드를 제조하는 경우, 네트와 밴드를 꿰맨것을 사이에 두고 표면측과 이면측에 별도 공정으로 연질 합성 수지로 된 피복층을 형성해서는 공수가 증가해 버린다. 그 때문에 네트와 밴드를 꿰맨것을 삽입부로 하고, 그 삽입부를 금형의 형면에 대하여, 그 형면에 다수돌출 설치시킨 설치핀에 걸리게 하여 공중에 뜬 상태에서 설치하고, 피복층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삽입부의 설치시, 삽입부를 형면으로 부터 뜬 상태에서 또한 패드의 형상과 대략 같은 상자형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삽입부를 구성하는 네트와 밴드가 함께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있고, 휘어지기 쉬우므로 삽입부의 설치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피복층 성형시에 삽입부의 금형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는 필요시 확장 개방하는 에어백 주위에 설치되고, 상벽과 상벽주위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대략 상자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삽입부에 연질 합성 수지재의 피복층을 피복시키는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고, 피복층이 패드 상벽 부위의 정해진 위치에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파단하는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로서, 삽입부는 패드 측벽 부위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기부와, 패드 상벽 부위에 위치하여 피복층의 얇은 부분 위치에서 분리되고 또 기부 상부에 연결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네트로 형성되고, 기부에 패드를 정해진 부위에 설치하는 설치부와, 피복층 성형시에 사용하는 금형에의 설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패드 상벽 부위내까지 배치시켜 각 네트를 연결 유지하는 복수의 연결 아암부로 이루어진 유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서는 피복층에 의해 피복되는 삽입부가 패드 측벽 부위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 수지로 된 기부를 구비하고, 이 기부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 아암부로 된 유지부에 의해 패드 상벽 부위에 배치되는 네트와 연결시키고, 또 기부에는, 패드를 정해진 부위에 설치시키는 설치부와, 패드 성형시에 사용하는 금형에의 배치용의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복층 성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금형에의 설치시, 기부는 그 설치부를 통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때 기부가 합성 수지제로서 형상 보유성을 가지고, 또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부의 설치부를 정해진 금형에 설치하면 기부는 형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정해진 위치로 간단히 설치되고, 그후는 패드 상벽 부의에 위치하는 네트를 금형의 정해진 설치핀에 걸게하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드에서는 각 네트가 기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패드 상벽 부위내에도 배치되는 유지부에 연결 유지되고 있다. 그 때문에 각 네트를 설치시키는 금형의 형면에서는 각 네트에 있어서의 기부 유지부측, 즉 각 네트의 바탕부측에서의 설치핀이 불필요하게 되고, 각 내트의 선단측에만 대응시켜 설치핀을 설치하면 좋다.
따라서, 각 네트의 설치시에는 각 네트의 선단측을 설치핀에 걸기만 해도 되고, 각 네트 자체의 금형에의 설치도 용이하게 행해진다.
덧붙여서, 종래의 패드에 있어서의 상벽 부위내의 네트를 금형에 설치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종래의 패드에서는 네트가 패드 측벽 부위로부터 상벽 부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네트 상벽 부위의 네트를 설치시키는 금형의 형면에는 피복층의 얇은 부에서 분리되는 각 네트 선단 부근위에 그 바탕부측인 패드 상벽 부위의 주위 모서리 부근, 혹은 패드 측벽의 상단부근에도 설치핀을 설치하지 않으면, 형면으로부터 공중에 뜬 상태에서 네트를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패드 상벽 부위의 네트의 금형에의 설치는 설치핀의 수가 많게 되고, 수고가 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드에서는, 기부에 있어서의 각 네트를 연결 유지하는 유지부가 복수의 연결 아암부로 구성되어 있어 다음에 기술하는 효과를 낸다.
본 발명에 관게되는 패드에서는,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에어백에 의해 피복층의 얇은 부분이 파단되고, 패드 상벽이 패드측벽과 연결되어 있는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다. 이 경우 패드 상벽의 회전중심이 되는 삽입부의 네트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변형하게 된다. 그리고, 그 유지부의 변형 하중은 에어백이 확장 개방할 시의 전개 하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에어백의 전개 하중을 조정하는 경우, 예를 들면 삽입부에 있어서의 기부의 유지부가 기부와 동일한 재질로 기부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1매의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두께를 조정하게되고, 유지부를 성형하는 금형의 형면을 전면적으로 조금씩 보태거나 깍거나 하게 되어 수고가 드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계되는 패드와 같이, 삽입부에 있어서의 기부의 유지부가 복수의 아암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암부의 수를 증감하거나 아암부의 재질을 바꿈으로써 대처할 수 있고 수고를 들게 하지 않고 에어백의 전개하중을 조정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서는, 피복층 성형시에 있어서 삽입부의 금형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또 에어백 전개하중의 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를 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에어백 장치의 패드(11)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B)에 있어서의 에어백(1)주위에 배치되고, 대략 장방형의 상벽(11A)과 상벽(11A) 주위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4개의 측벽(11B)을 구비하는 대략 직방체의 상자형상으로하고, 삽입부(13)에 우레탄등의 연질 합성 수지제의 피복층(12)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다.
패드 상벽(11A)의 피복층(12)에는 에어백(1) 확장 개방시 패드 상벽(11A)이 전방측의 상벽(11Af)과 후방측의 상벽(1lAb)에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대략 H자 형상으로 얇은 부분(12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3)는, 패드 측벽(11B)의 부위에 위치하는 대략 직방체의 통형상의 기부(14)와, 패드 상벽(11A)의 부위에 위치하여 피복층(12)의 얇은 부분(12a)의 위치에서 분리되고 또 기부(14) 상부에 연결되는 대략 4각형의 2매의 네트(18)로 형성되어 있다(제1도 내지 제3도 참조).
이 네트(18)는 그물코 크기를 대략 1mm평방의 개구로 하고,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수지로 짜며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기부(14)는, 경질 또는 반경질의 폴리아미드계, 염화비닐계, 폴리올레핀계 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본체부(15), 설치부(16)를 구비하고, 더우기 유지부(17)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5)는, 패드 측벽(11B)에 위치하는 대략 4각 통모양으로 하고, 피복층(12)의 박리 방치용의 복수의 관통구멍(15a)을 구비하고 있다.
설치부(16)는, 후술의 피설치 부재로서의 백업판(5)에 대하여 패드(11)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체부(l5) 하부에 설치되고, 설치구멍(16b)을 구비한 설치판부(16a)와 환형홈(16c)으로 구성되어있다.
설치판부(16a)는 본체부(15)하부의 외표면측의 전둘레에 걸쳐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정해진 위치에 내외주를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구멍(16b)을 구비하고 있다.
환형홈(16c)은 설치판부(16a) 내주측에 있어서 본체부(15) 하단면에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후술하는 백업판 수직벽부(5c)를 끼워맞추는 것이다.
유지부(17)는 본체부(15)의 상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대향하는 2개소에 각각 패드 상벽(11A)의 중앙방향으로 들어가도록 굴곡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각각 복수(도면에서는 5개)의 연결 아암부(l7a)로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 아암부(17a)는 선단에서 일체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각 네트(18)의 단부를 매설시키고 있다.
또, 백업판(5)은, 패드(11)외에 에어백(1) 및 에어백(1)에 필요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4)를 유지하고, 별도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휘일의 중심금속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백업판(5)은 중앙에 삽통구멍(5b)이 뚫어진 대략 4각형의 저벽(5a)과, 저벽(5a)주위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벽부(5c)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 벽부(5c)에는 수직 벽부(5c)를 기부(14)의 환형홈(16c)에 기운 때, 기부(14)의 설치판부(16a)의 설치구멍(16b)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구멍(5d)이 뚫어져 있다.
덧붙여, 백업판(5)에 대한 각 부재의 조립을 설명하면, 삽통구멍(5b)에 하방으로부터 가스 공급기(4)를 삽입시켜 그 플랜지부(4a)를 삽통구멍(5b) 주위모서리 하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에어백(1) 하부에 고정된 판형의 멈춤 금속구(2)의 보울트(2a)를 하면측까지 돌출시켜 너트(3)를 보울트(2a)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백업판(5)에 대하여 에어백(1) 및 가스 공급기(4)를 조립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패드(11)의 성형에 관하여 기술한다.
우선, 삽입부(13)의 제조에 관하여 기술하면, 이 삽입부(13)의 제조는 기부(14) 성형시에 네트(18)를 삽입부로서 일체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꿰매기를 이용하여 네트와 밴드로 제조하는 삽입부에 네트와 밴드로 제조하는 삽입부에 비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삽입부(13)의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30)은 제12도 내지 1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형 체결시에 정해진 캐비티(30a)가 형성되도록 각각 정해진 캐비티용 형면(31a,32a,33a,34a)을 구비한 고정형(31), 가동형(32) 및 미끄럼 코어(33,34)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 금형(3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2도, 제13도의 지면을 뚫는 방향에서 삽입부(13)의 기부(14)에 있어서의 유지부(1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본체부(l5) 및 설치부(16)의 외표면측을 성형하는 2개의 미끄럼 코어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미끄럼 코어나 미끄럼 코어(33,34)에는 각각 정해진 위치에 본체부(15)의 관통 구멍(15a)이나 설치부(16)의 설치구멍(16b)을 성형하는 돌기(도면부호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더우기, 유지부(17)의 대략 외표면측을 성형하는 미끄럼 코어(33,34)에는 연결 아암부(17a)의 수와 그들 간극의 수와의 합계수(도면에서는 9개)의 테이퍼 구멍(33b,34b)가 뚫어져 있다. 이들 테이퍼 구멍(33b,34b,)에는 각각 미끄럼 코어(33,33)에 보울트(37)로 고정되는 코어 블럭(35,36)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코어 블럭(35)은 그 선단면(35a)을 연결 아암부(17a)의 대략 외표면을 성형 가능하게 하고, 코어 블럭(36)은 형체결시 그 선단을 고정형(31)의 캐비티용 형면(31a)에 맞닿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 블럭(35)이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서는 연결 아암부(17a)를 성형 가능하게 되고, 코어 블럭(36)이 배치되어 있는 부위에서는 연결 아암부(17a)간의 간극의 모서리면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각 테이퍼 구멍(33b,34b)에 대해 코어 블럭(35,36)이 교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형 개방시에 네트(18)를 설치하고, 형체결하여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로 성형재료를 캐비티(30a)내에 주입하면, 삽입부(13)를 성형할 수 있고, 그후 형 개방시켜 이형시키면 정해진 삽입부(13)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물론 코어 블럭(35,36)을 적절히 선택하여 미끄럼 코어(33,34)의 테이퍼 구멍(33b,34b)에 배치시키면 연결 아암부(17a)의 수, 폭, 배치등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한 삽입부(13)를 설치하여 패드(11)의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7)은 제4도,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형 체결시에 정해진 캐비티(7a)가 형성되도록 각각 정해진 캐비티용 형면(8a,9a)을 구비한 가동형(8)과 고정형(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에는 설치시에 있어서 삽입부(13)의 네트(18)가 서로 접근하는 선단측의 위치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설치핀(10)이 압입되어 있다.
이들 설치핀(10)은 네트(18)의 그물코보다 외경치수가 큰 대직경부(10a)와, 네트(18)의 그물코에 삽입가능한 소직경부(10b)를 구비하고, 소직경부(10b)가 선단으로부터 바탕부측(대직경부(10a)측)에 걸쳐 서서히 외경을 크게하는 테이퍼형으로 하고 있다. 또, 소직경부(10b)의 바탕부측의 외경은 설치후의 네트(18)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18)의 그물코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형(8)에는 정해진 위치에 설치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설치판부(16a)를 기워 맞추는 환형홈(8b)이 형성되고, 이 환형홈(8b)의 내주면의 정해진 위치에는 설치시의 설치판부(16a)의 설치구멍(16b)내에 삽입되고, 설치구멍(16b) 주위모서리를 걸림가능한 반구면형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8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삽입부(13)에 있어서의 기부(14)의 설치부는 패드(11)의 설치부(16)가 겸하게 된다.
그리고, 이 금형(7)을 사용하여 패드(11)를 성형하는 상태에 관해서 기술하면, 우선 형 개방시에 삽입부(13)의 기부(14)를 가동형(8)에 설치한다.
그때, 기부(14)의 설치는 설치판부(16a)를 가동형(8)의 환형홈(8b)에 끼우고, 설치구멍(16b) 주위모서리를 걸림돌기(8c)에 걸리게 하는 것이지만, 기부(14)가 합성 수지제로서 형상 보유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유하기 쉽고, 그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또 설치후에는 기부(14)가 통형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8c)를 통해 외주측으로부터 끼워지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 확실히 설치된다.
그후, 2매의 네트(18)의 각각의 선단측을 인장하면서 설치핀(10)에 걸리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부(13)를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후, 형 체결하고 금형(7)의 캐비티(7a)내에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를 통하여 성형재료를 주입시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네트(18) 및 기부(14)로 된 삽입부(13)를 매설시킨 패드(11)를 성형할 수 있고, 그후 형 개방시켜 이형시키면 정해진 패드(11)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패드(11)를, 설치부(16)의 환형홈(16c)내에 수직 벽부(5c)를 끼워 맞추고, 상호의 설치구멍(16b,5d)을 통하여 리벳(6)으로 고정하면 에어백(1) 및 가스공급기(4)를 조립 완료한 백업판(5)에 대하여 패드(11)를 조립할 수 있다. 덧붙여 패드(12)에 있어서의 환형홈(16c)에 백업판(5)의 수직벽부(5c)를 끼워 맞춰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시에 있어서의 패드(11)와 백업판(5)과의 상하 방향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패드(11)를 조립한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13)에 조립한 후 에어백(1)이 확장 개방할 시에는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얇은 부분(12a)이 파단하고 패드 상벽(11A)이 전방측의 상벽(11Af)과 후방측의 상벽(11Ab)으로 분리하도록 파단한다. 그때의 에어백(1)의 전개하중은 삽입부(13)의 유지부(17)의 변형 하중에 크게 영향받지만, 유지부(17)의 변형하중의 조정을 위해 유지부(17)의 연결 아암부(17a)의 수를 이미 기술한 바와같이 성형시 용이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패드(11)에서는 에어백(1)의 전개 하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피복측(12) 성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가동형(8)에의 설치시, 기부(14)의 설치부(16)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 본체부(15)에 있어서의 피복층(12) 박리 방치용의 관통구멍(15c)의 어느 것에 삽입 가능하게 하고, 그들 관통구멍(15c) 주위모서리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반구면형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8d)를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에 설치하고, 이들 관통구멍(15c)을 설치부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백업판(5)에 대한 설치부(16)로서 설치구멍(16b)을 구비한 설치판부(16a)와 환형홈(16c)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지만,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부(14) 하단의 정해진 위치에 설치부로서의 자성체로된 보울트(26)를 매설시켜, 이들 보울트(26)에 대응시켜 백업판(5)에 설치구멍(5f)을 구비한 플랜지부(5e)를 형성하고, 보울트(26)를 설치구멍(5f)을 통해 너트(27)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와같이 패드(11)를 구성한 경우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들 보울트(26)에 대응한
Figure kpo00002
부(8f)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들 보울트(26)를 흡착가능한 자석(8e)을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에 매설시키고, 그들 보울트(26)를 설치부로서 사용해도 좋다. 물론, 보울트(26) 대신에 자성체로된 너트를 기부(14) 하단면에 매설시켜 설치부로 하고, 이 설치부를 설치부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Figure kpo00003
형의 자석을 가동형(8)에 매설시키도록 해도 좋다.
더우기,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삽입부(13)에 있어서의 기부(14)의 유지부(17)가 다른 본체부(15)나 설치부(16)와 동일한 합성 수지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지만, 제10도,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예를들어 3개의 연결아암(47a)로된 유지부(47)를 본체부(15)나 설치부(16)와 이종의, 예를들면, 유연한 고무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등의 고분자 탄성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같은 이종의 재료로부터 유지부(4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탄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에어백(1) 확장 개방시의 얇은 부분(12a)의 파단후에 있어서, 패드상벽(11A)이 개방될 시의 그 변형 하중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1)이 확장 개방할 시의 그 전개하중의 조정을 다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또, 제15도,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폴리아미드 섬유 혹은 아라밋드 섬유등으로된 가요성밴드(57a)를 연결 아암부로 하고, 예를 들어 2개의 가요성 밴드(57a)를 통하여 리벳(60)으로 고정하고, 또 네트(18)에 대하여 꿰매어서 유지부(57)로 해도 좋다. 그리고, 참고번호(61)는 설치부(16)에 있어서의 설치구멍(16b)에 보강용으로 배치되는 금속재의 칼라이다.
또, 상술의 경우, 가요성 밴드(57a)를 본체부(15)에 대해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멍쇠식 고정을 해도 좋다.
또한, 가요성 밴드(57a)를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방으로 길게 연장하면서 또 상단에서 절곡하고,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절곡부분을 맞추어 네트(18)에 꿰매어도 좋다. 이 경우, 절곡부분이 가해지는 만큼 네트(18)와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이와같이 가요성 밴드(57a)를 절곡하여 네트(18)에 대해 꿰매는 경우에는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네트(18)를 가요성 밴드(57a)사이에 연장시키거나, 혹은 제20도,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연장 설치부분(18a)을 가요성 밴드(57a)에 대해 꿰매어도 좋다.

Claims (1)

  1. 삽입부(13)와, 삽입부(13)를 피복하는 피복층(12)을 구비하고, 파단 가능한 얇은 부분(12a)을 구비한 상벽(11A)과 상벽 주위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1B)으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 에어백장치의 패드(1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3)는 상기 측벽(11B)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수지제의 기부(14)와, 상기 상벽(11A)에 위치하고 상기 기부(14) 상부에 연결된 가요성 네트(18)로 형성되며, 상기 기부(14)하부는 상기 피복층(12)에 노출됨과 동시에 금형에의 배치용 설치부를 겸한 패드 고정용 설치부(16)를 구비하며, 상기 기부(14)상부는 상기 패드(11)의 상벽(11A)까지 연장하여 상기 네트(18)를 유지하는 복수의 연결 아암부(1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1019870013751A 1987-04-06 1987-12-03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292 1987-04-06
JP62084292A JP2545223B2 (ja) 1987-04-06 1987-04-06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JP62-84292 198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08A KR880012408A (ko) 1988-11-26
KR900007508B1 true KR900007508B1 (ko) 1990-10-11

Family

ID=1382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751A KR900007508B1 (ko) 1987-04-06 1987-12-03 에어백 장치의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45223B2 (ko)
KR (1) KR900007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4856U (ko) * 1989-05-10 1990-12-07
JPH0538994A (ja) * 1991-08-02 1993-02-19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ツグ装置
JP2548206Y2 (ja) * 1991-09-20 1997-09-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エアバッグカバーのインサート材
EP0872390B2 (en) 1996-11-07 2009-03-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of crew protective device for automobile
JP6217548B2 (ja) * 2014-07-11 2017-10-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08A (ko) 1988-11-26
JPS63251352A (ja) 1988-10-18
JP2545223B2 (ja) 1996-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907A (en) Pad for air bag device
US5203586A (en) Pad for air bag device
US5056814A (en) Pad for air bag device
US5368327A (en) Air bag device
CA2025029A1 (en) Module cover of air bag system
KR900007508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US10864883B2 (en) Airbag device
JPH05139231A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EP0739785A2 (en) Steering wheel with air bag device
CA2090384C (en) Improved conical diaphragm and method of making
EP073491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ad
KR900007509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30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28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29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JPH0723080B2 (ja) ガスバツグ用パツド
KR900007510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JPS63199149A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JPS63182115A (ja) ガスバツグ用パツドの成形方法とその成形に使用する成形用金型
JP3972145B2 (ja) シート用パッドのための発泡成形型および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H04325346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パッド
JPH1053087A (ja) エアバッグ装置用カバー体の製造方法
JPH0626834B2 (ja) エアバックのカバー体の製造方法
JPH0348918Y2 (ko)
JPH03563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