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30B1 - 에어백 장치의 패드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30B1
KR900007530B1 KR1019870013749A KR870013749A KR900007530B1 KR 900007530 B1 KR900007530 B1 KR 900007530B1 KR 1019870013749 A KR1019870013749 A KR 1019870013749A KR 870013749 A KR870013749 A KR 870013749A KR 900007530 B1 KR900007530 B1 KR 90000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ase
mold
mounting
upp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406A (ko
Inventor
고지 시라끼
미노루 니와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패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패드의 사용 상태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패드의 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패드에 사용하는 삽입부의 사시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삽입부 설치시를 도시한 금형의 단면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성형시를 도시한 금형의 단면도.
제6도는 동 실시예에 사용하는 가동형의 저면도.
제7도는 동 실시예의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9도는 상기 패드의 삽입부 설치시를 도시한 금형의 단면도
제l0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11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 11 : 패드
12 : 피복층 13 : 삽입부
14 : 기부 16 : 설치부
16b : 설치구멍 18 : 네트
본 발명은 자동차등에 장착되어 필요시 확장 개방하는 에어백을 피복 수납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패드는 상벽과 상벽 주위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대략 상자형상으로 하고, 에어백 확장 개방개시에 에어백이 패드로부터 튀어나와 패드 상방에서 크게 확장 개방될 수있도록 연질 합성 수지를 주체로 하여 성형됨과 동시에 상벽에 정해진 위치에서 파단할 수 있도록 파단용의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었다.
더우기, 이러한 종류의 패드에서는,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패드가 파단하여 비산하지 않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망상의 네트를 얇은 부분을 제외한 상벽과 측벽에 매설시키고, 더우기 패드 측벽의 하부 부위의 네트에 인열 저항이 높은 아라밋드 섬유등으로 된 환형의 패드를 꿰매고 있었다(특개소 55-110643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패드를 제조하는 경우, 네트와 밴드를 꿰맨것을 사이에 두고 표면측과 이면측에 별도 공정으로 연질 합성 수지로된 피복층을 형성해서는 공정수가 증가해 버린다.
그 때문에 네트와 밴드를 꿰맨것을 삽입부로 하고, 이 삽입부를 금형의 형면에 대하여, 그 형면에 다수 돌출설치시킨 설치핀에 걸리게 하여 공중에 뜬 상태에서 설치하고, 피복층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삽입부의 설치시, 삽입부를 형면으로 부터 뜬 상태에서 또한 패드의 형상과 대략 같은 상자형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삽입부를 구성하는 네트와 밴드가 함께 가요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휘어지기 쉬우므로 삽입부의 설치에 수고가 드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피복층 성형시에 삽입부의 금형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는 필요시 확장 개방하는 에어백 주위에 설치되고, 상벽과 상벽주위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하는 대략 상자 현상으로 함과 동시에, 삽입부에 연질 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을 피복시키는 일체 성형으로 형성되고, 피복층이 패드 상벽 부위의 소장위치에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파단하는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로서, 삽입부는 패드 측벽 부위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 수지제의 기부와, 패드 상벽 부위에 위치하여 피복층의 얇은 부분의 위치에서 분리되고 또 기부 상부에 연결되는 가요성을 가지는 네트로 형성되고, 기부에 패드를 정해진 부위에 설치하는 설치부와, 피복층 성형시에 사용하는 금형에의 설치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서는 피복층에 의해 피복되는 삽입부가 패드 측벽 부위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수지로 된 기부를 구비하고, 이 기부 상부에 패드 상벽 부위에 배치되는 네트를 연결시키고, 또 기부에는 패드를 정해진 부위에 설치시키는 설치부와, 피복층 성형시에 사용하는 금형에의 설치용의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복층 성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금형에의 설치시, 기부는 그 설치부를 통하여 설치될 수있다. 그때 기부가 합성 수지제로서 형상 보유성을 가지고, 또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부의 설치부를 정해진 금형에 설치하면 기부는 형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정해진 위치로 간단히 설치되고, 그후는 패드상벽 부위에 위치하는 네트를 금형의 소정의 설치핀에 걸게 하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서는 삽입부가 모두 가요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피복층 성형시의 삽입부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릍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에어백 장치의 패드(11)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B)에 있어서의 에어백(1) 주위에 배치되고, 대략 장방형의 상벽 (11A)과 상벽(11A)주위 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4개의 측벽(11B)을 구비하는 대략 직방체의 상자형상으로 하고, 삽입부(13)에 우레탄등의 연질 합성 수지제의 피복층(12)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다.
패드 상벽(11A)의 피복층(12)에는 에어백(1) 확장개방시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대략 H자 형상으로 얇은 부분(12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3)는 패드 측벽(11B)의 부위에 위치하는 대략 직방체의 통형상의 기부(14)와, 패드 상벽(11A)의 부위에 위치하여 피복층(12)의 얇은 부분(12a)의 위치에서 분리되고 또 기부(14)상부에 연결되는 대략 4각형의 2매의 네트(18)로 형성되어 있다(제1도 내지 제3도 참조).
이 네트(18)는 그물코 크기를 대략 1mm 평방의 개구로 하고,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수지로 짜며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기부(14)는 경질 또는 반경질의 폴리아미드계, 염화비닐계, 폴리올레핀계 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본체부(15), 설치부(16) 및 유지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5)는 패드 측벽(11B)에 위치하는 대략 4각 통모양으로 하고, 피복층(12)의 박리 방지용의 복수의 관통구멍(l5a)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17)는 본체부(15)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의 대향하는 부위로부터 굴곡하여 각각 패드 상벽(11A)의 중앙방향으로 약간 들어가도록 연장 설치되고, 그들 선단에 각 네트(18)의 단부를 매설시켜 유지하고 있다. 또, 유지부(17)의 굴곡부위는 에어백(1) 확장 개방시에 얇은 부본(12a)의 파단후에 패드상벽(11A)이 원활히 열리고 패드(11)상방에서 에어백(1)이 원활히 확장 개방될 수 있도록 얇은 힌지부(17a)로 하고 있다.
설치부(16)는 후술의 피설치부재로서의 백업판(5)에 대하여 패드(11)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5)하부에 설치되고, 설치구멍(16b)을 구비한 설치판부(16a)와 환형홈(1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판부(16a)는 본체부(15)하부의 외표면측의 전둘레에 걸쳐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정해진 위치에 내외주를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구멍(16b)을 구비하고 있다.
환형홈(16c)은 설치판부(16a)내주측에 있어서 본체부(15) 하단면에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후술하는 백업판 수직벽부(5c)를 끼위맞추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삽입부(13)는 기부(14)성형시에 네트(18)를 삽입부로부터 일체 성형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삽입부(13)는 종래의 꿰매기를 이용하는 삽입부에 비해 그 제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낸다.
또, 백업판(5)은 패드(11)외에 에어백(1) 및 에어백(1)에 필요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4)를 유지하고, 별도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휘일의 중심 금속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백업판(5)은 중앙에 삽통구멍(5b)이 뚫어진 대략 4각형의 저벽(5a)과, 저벽(5a) 주위둘레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벽부(5c)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벽부(5c)에는 수직 벽부(5c)를 기부(14)의 환형홈(16c)에 기운때, 기부(14)의 설치판부(16a)의 설치구멍(16b)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구멍(5d)이 뚫어져 있다.
부가하여, 백업판(5)에 대한 각 재의 조립을 설명하면, 삽입구멍(5b)에 하방으로부터 가스 공급기(4)를 삽입시켜 그 플랜지부(4a)를 삽입구멍(5b) 주위둘레 하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에어백(1)하부에 고정된 환형의 멈춤 금속구(2)의 보울트(2a)를 백업판 저벽(5a)상면측으로부터 플랜지부(4a)하면측까지 돌출시켜 너트(3)를 보울트(2a)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백업판(5)에 대하여 에어백(1) 및 가스 공급기(4)를 조립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패드(11)의 성형에 관하여 기술한다.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7)은 제4도,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형 체결시에 일정의 캐비티(7a)가 형성되도륵 각각 일정의 캐비티용 형면(8a, 9a)을 구비한 가동형(8)과 고정형(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에는 설치시에 있어서 삽입부(13)의 네트(18)가 서로 접근하는 선단측의 위치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설치핀(10)이 압입되어 있다.
이들 설치핀(10)은 네트(18)의 그물코보다 외경 치수가 큰 대직경부(10a)와, 네트(18)의 그물코에 삽입가능한 소직경부(10b)를 구비하고, 소직경부(10b)가 선단으로부터 바탕부측(대직경부(10a)측)에 걸쳐 서서히 외경을 크게하는 테이퍼형으로 하고 있다. 또, 소직경부(10b)의 바탕부측의 외경은 설치후의 네트(18)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18)의 그물코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형(8)에는 정해진 위치의 설치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설치판부(16a)를 끼워맞추는 환형홈(8b)이 형성되고, 이 환형홈(8b)의 내주면의 정해진 위치에는 설치시의 설치판부(16a)의 설치구멍(16b)내에 삽입되고, 설치구멍(16b) 주위둘레를 걸림가능한 반구면형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8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삽입부(13)에 있어서의 기부(14)의 설치부는 패드(11)의 설치부(16)가 겸하게 된다.
그리고, 이 금형(7)을 사용하여 패드(11)를 성형하는 상태에 관해서 기술하면, 우선 형 개방시에 삽입부(13)의 기부(14)를 가동형(8)에 설치한다.
그때, 기부(14)의 설치는 설치판부(16a)를 가동형(8)의 환형홈(8b)에 끼우고, 설치구멍(16b) 주위둘레를 걸림돌기(8c)에 걸리게 하는 것이지만, 기부(14)가 합성수지제로서 형상 보유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유하기 쉽고, 그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또 설치후에는 기부(14)가 통형으로 형성되고, 걸림돌기(8c)를 통해 외주축으로부터 끼워지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 확실히 설치된다.
그후, 2매의 네트(18)의 각각의 선단측을 인장하면서 설치핀(10)에 걸리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부(13)를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고 이미 기술한 발명의 작용, 효과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다음에, 형 체결하고 금형(7)의 캐비티(7a)내에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를 통하여 성형재료를 주입시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네트(18) 및 기부(14)로 된 삽입부(13)를 매설시킨 패드(11)를 성형할 수 있고, 그후 형 개방시켜 이형시키면 필요한 패드(l1)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패드(11)를, 설치부(16)의 환형홈(16c)내에 수직벽부(5c)를 끼워 맞추고, 상호의 설치구멍(16b, 5d)을 통하여 리벳(6)으로 고정하면 에어백(1) 및 가스공급기(4)를 조립 완료한 백업판(5)에 대하여, 패드(11)를 조립할 수 있다.
덧붙여 패드(11)에 있어서의 환형홈(16c)에 백업판(5)의 수직 벽부(5c)를 끼워맞춰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시에 있어서의 패드(11)와 백업판(5)과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피복층(12)성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가동형(8)에의 설치시, 기부(14)의 설치부(16)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부 본체부(15)에 있어서의 피복층(12)박리 방지용의 관통구멍(15c)의 어느것에 삽입 가능하게 하고, 그들 관통구멍(15c)주위둘레를 걸림 가능하게 하는 반구면형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8d)를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에 설치하고, 이들 관통구멍(15c)를 설치부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백업판(5)에 대한 설치부(16)로부터 설치구멍(16b)을 구비한 설치판부(16a)와 환형홈(16c)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지만,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부(14)하단의 소정위치에 설치부로서의 자성체로된 보울트(26)를 매설시켜, 이들 보울트(26)에 대응시켜 백업판(5)에 설치구멍(5f)을 구비한 플랜지부(5e)를 형성하고, 보울트(26)를 설치구멍(5f)을 통해 너트(27)를 고정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와같이 패드(11)를 구성한 경우에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울트(26)에 대응한 凹부(8f)를 구비함과 동시에 보울트(26)를 흡착가능한 자석(8e)을 가동형(8)의 캐비티용 형면(8a)에 매설시키고, 보울트(26)를 설치부로서 사용해도 좋다. 물론, 보울트(26)대신에 자성체로된 너트를 기부(14) 하단면에 매설시켜 설치부로 하고, 이 설치부를 설치유지부로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凸형의 자석을 가동형(8)에 매설시키도록 해도 좋다.
더우기,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삽입부(13)에 있어서의 기부(l4)의 유지부(17)가 패드(11)의 상벽(11A)의 중앙방향으로 약간 들어가도록 연장 설치된 것을 나타냈지만,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본체부(15)가 상방으로 연장 설치되고, 그 상단으로부터 네트(18)를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더우기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삽입부(13)에 있어서의 기부(14)의 유지부(17)가 다른 본체부(15)나 설치부(16)와 동일한 합성 수지제로 형성된 것을 나타냈지만,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유지부(37)를 본체부(15)나 설치부(16)와 이종의, 예를들면 유연한 고무나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등의 고분자 탄성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같은 이종의 재료로부터 유지부(3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탄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에어백(1) 확장 개방시의 얇은 부분(12a)의 파단후에 있어서의, 패드상벽(11A)이 개방될 예에 그 변형 하중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1)이 확장 개방될 때 그 전개하중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실시예에서는 패드(11)를 설치하는 피설치부재로서 백업판(5)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피설치부재로서는 스티어링 휘일에 고정되는 백업판(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패드를 설치 패널이나 전방부 좌석의 배면등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 패널이나 전방부 좌석의 배면등에 설치하는 틀모양(환형)의 브래킷등을 이용해도 좋다.

Claims (1)

  1. 삽입부(13)와, 삽입부(13)를 피복하는 피복층(12)을 구비하고, 파단 가능한 얇은 부분(12a)을 구비한 상벽(11A)과 상벽 주위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1B)으로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 에어백 장치의 패드(1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3)는 상기 측벽(11B)에 위치한 통형상의 합성수지제의 기부(14)와, 상기 상벽(11A)에 위치하고 상기 기부(14)상부에 연결된 가요성 네트(18)로 형성되며, 상기 기부(14)하부는 상기 피복층(12)에 노출됨과 동시에, 금형에의 배치용 설치부를 겸한 패드 고정용 실시부(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1019870013749A 1987-04-06 1987-12-03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84290A JPS63251350A (ja) 1987-04-06 1987-04-06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JP?62-84290 1987-04-06
JP84290 198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06A KR880012406A (ko) 1988-11-26
KR900007530B1 true KR900007530B1 (ko) 1990-10-11

Family

ID=1382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3749A KR900007530B1 (ko) 1987-04-06 1987-12-03 에어백 장치의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51350A (ko)
KR (1) KR900007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454A (ja) * 1989-09-08 1991-04-22 Ikeda Bussan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528375B2 (ja) * 1990-06-18 1996-08-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51350A (ja) 1988-10-18
KR880012406A (ko) 198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831A (en) Snap-on mounting attachment and fastener stud for mounting an airbag inflator to a vehicle support
US5368327A (en) Air bag device
EP1143157B1 (en) Water-proof grommet
US6237886B1 (en) Attachment mechanism for a vehicle light
KR100539331B1 (ko)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EP0728652A2 (en) Steering wheel
US6149184A (en) Simplified driver side air bag assembly
US5203586A (en) Pad for air bag device
CA2025029A1 (en) Module cover of air bag system
KR900007530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JPH05139231A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KR900007508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09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28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US11142159B2 (en) Cover apparatus of driver airbag
KR900007529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10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JPS63199149A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JP3705149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US20020167152A1 (en) Panel assembly for deployment of an air bag
KR940007889Y1 (ko) 에어 백 장치
JP3362550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パッド
JPS6055299B2 (ja) 発泡成形機におけるブラケツト類の簡易脱着装置
JP3770511B2 (ja) ワイパピボット
JP3726710B2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