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331B1 -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331B1
KR100539331B1 KR10-2003-0065117A KR20030065117A KR100539331B1 KR 100539331 B1 KR100539331 B1 KR 100539331B1 KR 20030065117 A KR20030065117 A KR 20030065117A KR 100539331 B1 KR100539331 B1 KR 10053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airbag module
opening
insulator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5859A (ko
Inventor
마라드폴
몰건해럴드더블유.
Original Assignee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델피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2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에어백 모듈(70)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74)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10)가 개시된다. 상기 장치는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26)가 있는 부싱(14); 및 상기 부싱의 일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부싱 개구(30)가 있는 절연체(28)를 구비한다. 상기 부싱 개구는 내부에서 상기 부싱의 일부가 움직이는 이동 한계를 정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UNIFORM GAP BETWEEN AN AIRBAG MODULE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
본 출원은 2002년 9월 20일에 출원되고 그 내용이 본 출원에 참조되는 미국 가출원 제60/412,3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미국특허출원 제5,380,037호, 제6,092,832호, 제6,196,573호 및 제6,237,944호에 관련되며, 이들은 본 출원에 참조된다.
차량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을 구비하며, 이들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은 운전대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이곳은 경적 작동 스위치가 통상 장착되는 위치와 동일다.
팽창 가능한 억제 모듈을 운전대 또는 계기판과 같은 차량 내의 지지구조에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장착 기구를 사용해 왔다. 공지된 장착 기구의 일례로, 지지구조의 후면으로부터 통과한 장착 볼트와 팽창 가능한 억제 모듈에 장착된 나사식으로 맞물리는 너트가 제공된다. 차량 운전대용의 다른 공지된 기구에서, 팽창 가능한 억제 모듈에 장착되고 장착 볼트를 둘러싸는 슬리브 부재가 운전대의 허브부에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강제 접촉하여 경적 작동 회로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적 작동 스위치는 에어백 모듈의 밑면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었고, 모듈은 사용자가 작동 압력을 모듈에 가해 경적을 작동시키고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을 경적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유 부동식(free floating)” 구성을 갖고 장착되었다. 그와 같은 경적 작동 스위치는 사용자가 커버에 가한 힘에 반응하여 경적을 울리게 한다. 예컨대,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 전체 에어백 모듈은 경적을 작동시키는 힘이 가해질 때 이동한다.
대부분의 주문자 상표 부착방식(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과 운전대 사이에 윤곽 형태의 갭을 사용하여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과 운전대를 구성하는 스타일이다. 갭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이 운전대의 클래스 A 표면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허용한다. (자유로운 움직임은 부동식 경적 시스템에 요구된다). 하지만, OEM은 또한 이들 갭이 전체 스타일과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및 운전대 조립체의 외양에 기여하도록 갭의 윤곽을 정한다.
일단 부착되면, 경적 회로가 공지된 기술에 따라 완성된 모듈은 사용자가 인가한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모듈은 편향 스프링에 의해 비접촉 또는 개방 회로 위치에서 편향된다. 스냅인(snap-in) 타입의 부동식 경적 시스템을 위한 통상의 장치는 각각의 부착 지점에 세 개 요소의 결합체를 사용한다. 이들 세 개의 요소는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로부터 연장된 로킹 핀, 상기 운전대에 부착된 로킹 스프링 및 역시 운전대에 부착된 프라스틱 절연체이다. 모듈 부착 중에, 로킹 핀은 절연체의 슬롯을 통과하고, 절연체 또는 운전대에 부착된 로킹 스프링을 대체하며, 로킹 스프링이 원위치로 복귀한 다음 운전대에 체결되어 로킹 핀의 홈과 맞물린다.
절연체 내부의 슬롯 치수는 핀이 가질 자유 이동 또는 움직임의 양을 결정한다. 슬롯이 너무 작으면, 로킹 핀은 제한되어 부동식 경적이 묶일 것이다. 따라서, 슬롯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로킹 핀의 치수보다 충분히 더 커야 한다. 하지만, 슬롯 치수가 크면, 핀과 이 핀에 부착된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이 (x 방향 또는 차폭 방향을 따라) 측면 방향과 (y 방향 또는 경적 작동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과 운전대 및/또는 스포크 사이의 갭을 일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을 이동 부분으로 갖는 부동식 경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동식 경적 시스템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이 운전대에 부착되는 지점에서 느슨한 결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체는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이 눌러졌을 때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과 그 주변 구조 사이에 연속된 또는 일정한 갭을 유지하면서 경적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장치는 각각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가 있는 한 쌍의 부싱;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하나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제1 부싱 개구가 있는 제1 절연체; 및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다른 하나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제2 부싱 개구가 있는 제2 절연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부싱 개구는 그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하나가 움직이는 이동 한계를 정하고, 상기 제2 부싱 개구는 그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다른 하나가 움직이는 이동 한계를 정하며, 상기 제2 부싱 개구는 이동 한계를 정하기 위해, 상기 제2 부싱 개구에 상기 부싱이 수용되는 제1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서보다 더 큰 치수를 갖고 상기 제2 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기의 치수와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일부가 대체로 원형인 부싱을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로킹 핀을 상기 주변 구조의 일부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부싱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주변 구조의 일부에 있는 개구 둘레에 배치되는 절연체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일부가 다른 구조와 접촉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부싱의 돌기가 상기 절연체의 개구와 접촉하는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절연체의 개구는 상기 부싱의 돌기가 상기 절연체의 개구와 접촉하거나 상기 에어백 모듈의 일부가 다른 구조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부싱이 내부에서 움직이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탄한 스냅-인(snap-in) 타입”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부동식 경적(floating horn)에 사용되는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 연결 조립체는 2 지점, 3 지점 또는 4 지점 스냅-인 타입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는 (예컨대 평탄하지 않은 형태의 스냅-인 핀과 같은) 부동식 경적을 갖는 다른 유형의 스냅-인 타입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에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과 그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정한 갭은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10)를 사용하여 유지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10)는 에어백 모듈로 하여금 운전대 아마추어(armature, 12) 또는 등가의 구조에 연결되고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경적 작동 회로를 완성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는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의 갭을 일정하지 않게 할 여러 방향으로의 원치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며, 주변 구조는 에어백 모듈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 둘레에 인접한 운전대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는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의 “평탄한 스냅-인” 로킹 핀(locking pin)에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는 평탄한 로킹 핀의 일부를 원형, 달걀형, 만곡형, 타원형 또는 등가의 구조로 전환시키는데, 이들 구조는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의 절연체의 개구 내부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듈이 접촉 (경적 작동) 위치와 비접촉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이를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10)가 사용된다. 각각의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10)는 부싱(14)을 구비한다. 각각의 부싱(14)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의 바닥판(18)의 로킹 핀(16)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부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부싱(14)은 로킹 핀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는 슬롯 또는 개구(20)를 갖는다.
부싱(14)은 상부(22) 및 하부(24)를 더 구비한다. 상부는 대체로 원형이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부싱이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물론, 부싱의 상부는 달걀형, 타원형, 구형 및 그들의 등가물과 같은 다른 등가의 구조 또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의 일부에는 돌기 또는 링부(26)가 배치된다. 링부(26)는 상부(22)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후술되는 바와 같이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에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하부(24)와 슬롯(20)은 로킹 핀의 일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10)의 절연체(28)가 도시된다. 상기 절연체(28)에는 부싱 개구(30)와 파스너 개구(32)가 있다. 부싱 개구(30)는 내부에 부싱(14)을 활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절연체(28)는 내부에 체결 수단(34)을 수용하는 고정 개구(32)를 더 갖는다. 체결 수단(34)은 절연체(28)를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체결 수단(34)은 운전대 아마추어 또는 절연체와 일체이거나 이들에 개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로킹 스프링(36)이 부싱(14)의 슬롯 또는 개구(20)를 통과하는 로킹 핀의 일부의 슬롯 또는 개구(38)와 맞물리도록 위치되어 있다. 로킹 스프링은 로킹 형상으로 편향되도록 위치되고 구성되며, 에어백 모듈은 로킹 스프링이 로킹되지 않는 해제 위치로 압박될 때까지 운전대 아마추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으며, 로킹 스프링은 로킹 스프링의 개구(18)와 더 이상 맞물리지 않게 됨으로써, 에어백 모듈은 운전대 아마추어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절연체는 로킹 스프링이 맞물리지 않은 위치로 편향될 수 있도록 측벽의 개구 또는 슬롯(40)을 갖는다.
따라서, 로킹 핀들은 에어백 모듈을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로킹 스프링의 일부와 맞물린다.
도 7A와 7B를 참조하면, 로킹 핀의 돌기(42)가 부싱의 맞물림 개구(44) 내에서 맞물릴 때까지 부싱을 로킹 핀에서 활주시켜 평탄한 핀에 부착한다. 각각의 부싱은 원통형이며 중간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에 의해 부싱은 평탄한 로킹 핀에서 활주하고 스냅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평탄한 측면의 로킹 핀은 부싱에 의해 둥글게 변형된다.
절연체는 운전대 아마추어(48)의 개구 내부에 위치되고 고정된다. 절연체는 절연체를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하기 위한 억지 끼움식 기계식 고정 또는 다른 등가의 수단에 의해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된다. 편향 스프링(biassing spring, 50)이 절연체와 로킹 핀 또는 부싱의 일부 사이에 배치되어 화살표(52) 방향으로 편향력을 제공한다.
절연체의 개구(30)는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에 더 가까운) 상부에서 작은 치수의 개구를 제공하도록 챔퍼링(chamfering)되거나 각이 지며,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더 큰 치수의 개구로 확대된다. 도 7A에 도시된 위치에서, 부싱의 링부 또는 돌기는 개구(30)의 내면과 접촉한다. 이 위치는 스프링(50)의 편향력에 의해 유지되며 경적 비작동 위치에 해당한다. 또한, 링부는 본 명세서에 논의되듯이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도 역시 제공한다.
사용자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의 일부에 힘을 가함에 따라, 스프링(50)의 편향력이 극복되고 모듈은 경적 작동 회로(도시 생략)의 스위치와 접촉하거나 닫힐 때까지 화살표(54) 방향으로 이동하여 경적을 작동시킨다 (도 7B). 이 위치에서, 개구(30)의 측벽과 돌기 또는 링부(26)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따라서,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은 개구(30)의 측벽과 돌기 또는 링부(26) 사이에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가한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50)은 경적이 작동되지 않는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모듈을 복귀시킨다. (예컨대 경적 비작동 위치로부터 경적 작동 위치로의) 동작 중에, 링부는 개구가 화살표(54)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개구(30)의 벽과의} 접촉 위치로부터 비접촉 위치로 활주한다. 그 결과, 부싱은 하우징 내부에서 용이하게 활주하여 개구 내부에서 구속되거나 고착되지 않게 된다. 또한, 로킹 핀의 개구(38)는 로킹 핀(16)이 화살표(54) 방향으로 이동할 때 로킹 스프링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에어백 모듈에 힘을 가해 경적을 작동시키면, 모듈은 화살표(54)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절연체(28)의 링부(26)와 챔퍼링된 벽이 화살표(52) 방향으로 스프링(50)의 편향력을 가하여 모듈을 매번 원위치로 도로 안내함에 따라,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주변 구조 사이의 일정한 갭에 해당하는 원래의 편향되지 않은 형상으로 복귀한다.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는 3 핀 에어백 조립체(도 3), 상부 2 핀이 있는 2 지점 부착(도 4), 또는 3 지점 부착(도 5) 또는 4 지점 부착(도 6)의 경우에 사용된다.
부싱의 링부 또는 돌기에 의해, 에어백 모듈 연결 조립체는 그 주변 구조와의 사이에서 갭 변화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을 참조하면, 가장자리(72)를 갖는 에어백 모듈(70)이 도시되는데, 이때 상기 가장자리(72)를 그 주변 구조(74)로부터 일정한 거리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이 절연체의 부싱 개구 내부에서 상하로 활주하고 부싱 개구는 상부가 하부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은 (경적이 작동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 정밀하게 위치하며, 부싱은 절연체의 소경(小徑) 구역에 머무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싱 상의 링의 직경은 절연체 개구의 이 구역의 직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절연체는 구멍 내부에서의 부싱의 움직임을 엄격하게 제어한다. 이 위치는 일정한 갭이 요구되는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의 위치에 해당한다.
도 1, 3 내지 7 및 9를 참조하면, 경적 작동과 비작동 간의 상하 이동 중에 모듈과 주변 구조와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 한 쌍의 부싱과 절연체가 채용된다. (에어백 모듈의 전방 즉 운전자 쪽에서 보았을 때) 상부 좌우 로킹 핀에 부착된 이들 부싱은 정확하게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절연체들은 상이하다. 제1 절연체는 제1 부싱이 통과하는 “꼭 맞는(net fit)” 원형 부싱 개구(56)를 갖고(도 9), 제2 절연체는 제2 부싱이 통과하는 “슬롯형” 부싱 개구(58)를 갖는다(도 9).
이와 같은 결합은 도 9에 도시된 x 및 y 방향으로 모듈이 변화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원형 구멍 절연체는 부싱에 배치된 링부의 치수에 매우 가까운 자유 상태 위치에 해당하는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원형 구멍 절연체는 x 및 y 방향의 변화를 줄일 것이다. 한편, 좌측 절연체 내의 “슬롯형” 구멍 개구는 x 방향으로 더 크고 y 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할 것이다. 물론, 좌우측 절연체는 하나의 개구가 둥글고 다른 개구가 슬롯형인 한 교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싱이 절연체 구멍의 대경 구역으로 이동하면, 부싱은 모든 방향으로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을 눌러 경적을 울릴 때, 에어백 모듈은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와 같이 부싱과 절연체가 결합된 결과, 운전대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시스템은 그 계면의 갭을 매우 일정하게 유지한다. 일실시예에서, 부싱과 절연체는 폴리옥시메틸렌(아세틸 플라스틱) 또는 등가의 특성을 지닌 재료로 제조된다.
적어도 두 가지의 부싱 제조 방법이 존재한다. 첫 번째 방법은 부싱들을 별체로 사출성형한 다음 이들을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의 평탄한 핀들에 부착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부싱들을 평탄한 핀들에 직접 삽입성형하는 것이다(도 8).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이 눌러졌을 때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연속된 또는 일정한 갭을 유지하면서 경적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기재되었으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고 그 구성요소가 등가물로 대체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교시된 특정 조건 또는 재료를 다양하게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안출된 최선의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싱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절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부싱이 로킹 핀에 위치한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바닥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2 지점 연결에 의해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된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바닥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3 지점 연결에 의해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된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바닥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4 지점 연결에 의해 운전대 아마추어에 고정된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바닥판의 사시도이다.
도 7A와 7B는 로킹 핀에 부착된 부싱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로킹 핀에 몰딩 성형된 부싱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부싱에 사용되기 위한 한 쌍의 (좌우) 절연체를 나타낸다.
도 10은 운전자측 에어백 모듈 및 이 모듈이 삽입되는 운전대의 사시도이다.

Claims (23)

  1. 에어백 모듈(70)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74)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10)에 있어서,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26)가 있는 부싱(14); 및
    상기 부싱의 일부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부싱 개구(30)가 있는 절연체(28)를 구비하며;
    상기 부싱 개구는 내부에서 상기 부싱의 일부가 움직이는 이동 한계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한계는 상기 부싱이 상기 에어백 모듈에 고정된 때 상기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의 일정한 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한계는 상기 부싱 개구와 맞물리는 상기 돌기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개구는 상기 돌기의 외부 치수에 해당하는 상부 내부 치수를 가지며 상기 돌기의 외부 치수보다 더 큰 하부 내부 치수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한계는 상기 부싱이 상기 에어백 모듈에 고정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 사이의 일정한 갭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개구는 챔퍼링된 벽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16)과 스냅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개구(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평탄한 로킹 핀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과 상기 절연체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3. 에어백 모듈(70)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74)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각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돌기(26)가 있는 한 쌍의 부싱(14);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하나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제1 부싱 개구(30)가 있는 제1 절연체(28); 및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다른 하나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제2 부싱 개구(30)가 있는 제2 절연체(28)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부싱 개구는 그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하나가 움직이는 이동 한계를 정하고, 상기 제2 부싱 개구는 그 내부에서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다른 하나가 움직이는 이동 한계를 정하며, 상기 제2 부싱 개구는 이동 한계를 정하기 위해, 상기 제2 부싱 개구에 상기 부싱이 수용되는 제1 방향에서 그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서보다 더 큰 치수를 갖고 상기 제2 방향의 치수는 상기 돌기의 치수와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운전대 아마추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절연체로부터 측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운전대 아마추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한 쌍의 부싱 중의 하나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한 쌍의 부싱이 이동 한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활주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는 원형이며 상기 제2 개구는 달걀형 또는 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싱은 이동 한계 쪽으로 스프링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싱은 상부(22) 및 하부(24)를 더 구비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22)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24)는 상기 상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상부는 상기 한 쌍의 부싱이 상기 에어백 모듈의 한 쌍의 로킹 핀(16)에 고정되면 상기 에어백 모듈에 더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부싱은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평탄한 로킹 핀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부싱이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에 고정되면 상기 로킹 핀의 하부가 상기 부싱의 하부에 인접하여 상기 부싱의 상부 아래에 배치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플라스틱이며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에 몰딩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장치.
  23. 에어백 모듈(70)의 가장자리와 그 주변 구조(74)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부가 대체로 원형인 부싱(14)을 상기 에어백 모듈의 로킹 핀(16)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로킹 핀을 상기 주변 구조의 일부에 활주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부싱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범위 내에서 상기 주변 구조의 일부에 있는 개구 둘레에 배치되는 절연체(28) 내부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되,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에어백 모듈의 일부가 다른 구조와 접촉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부싱의 돌기(26)가 상기 절연체의 개구(30)와 접촉하는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절연체의 개구는 상기 부싱의 돌기가 상기 절연체의 개구와 접촉하거나 상기 에어백 모듈의 일부가 다른 구조와 접촉할 때까지 상기 부싱이 내부에서 움직이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 유지 방법.
KR10-2003-0065117A 2002-09-20 2003-09-19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KR100539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233202P 2002-09-20 2002-09-20
US60/412,332 2002-09-20
US10/373,161 US6874808B2 (en) 2002-09-20 2003-02-24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uniform gap between an airbag module and its surrounding structure
US10/373,161 2003-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859A KR20040025859A (ko) 2004-03-26
KR100539331B1 true KR100539331B1 (ko) 2005-12-28

Family

ID=3194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117A KR100539331B1 (ko) 2002-09-20 2003-09-19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4808B2 (ko)
EP (1) EP1400414B1 (ko)
JP (1) JP2004268899A (ko)
KR (1) KR100539331B1 (ko)
DE (1) DE6030262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5915B2 (en) * 2003-02-27 2007-03-0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incorporating air bag device
US7059631B2 (en) * 2003-04-29 2006-06-13 Toyoda Gose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 driver's side airbag to a steering wheel
US20040239080A1 (en) * 2003-05-30 2004-12-02 Berrahou Philip F. Housing retention mechanism
US7533897B1 (en) * 2005-02-16 2009-05-19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air bag
US7464959B2 (en) * 2005-03-01 2008-12-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having a mechanism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an air bag module relative to a steering wheel
JP4797584B2 (ja) * 2005-03-16 2011-10-1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657662B1 (ko) * 2005-10-06 2006-1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모듈 조립장치
US7823908B2 (en) 2007-10-02 2010-11-02 Autoliv Asp, Inc. Airbag module assembly to control gap adjacent airbag cover
US20100219621A1 (en) 2009-02-27 2010-09-02 Toyoda Gosei Co., Ltd. Airbag-equipped steering wheel device
KR101024110B1 (ko) 2009-08-10 2011-03-22 (주)에이패스 스티어링휠용 휠커버 조립방법
JP5797882B2 (ja) * 2009-12-22 2015-10-2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508149B2 (ja) * 2010-06-08 2014-05-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206756B2 (ja) * 2010-09-30 2013-06-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9731747B2 (en) * 2014-02-21 2017-08-15 Honda Motor Co., Ltd. Steering wheel structure
GB2525491B (en) * 2014-03-18 2017-10-18 Nihon Plast Co Ltd Steering wheel
KR102293578B1 (ko) * 2015-07-22 2021-08-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DE102016005020B4 (de) * 2016-04-26 2019-08-14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einheit und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mit einer solchen Gassackeinhei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US9828052B2 (en) 2016-04-29 2017-11-28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testing the installation of an airbag module in a vehicle
DE102016124530A1 (de) * 2016-12-15 2018-06-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Kopplungsvorrichtung zur schwingfähigen Befestigung eines Gassackmoduls an einem Fahrzeuglenkrad
US11718257B2 (en) * 2016-12-15 2023-08-08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oupling device for mounting an airbag module to be oscillating on a vehicle steering wheel
JP6835633B2 (ja) * 2017-03-10 2021-02-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構造
JP7015194B2 (ja) 2018-03-19 2022-02-02 芦森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12351929B (zh) * 2018-06-25 2022-08-30 奥托立夫开发公司 方向盘中的阻尼器单元的安装固定结构以及方向盘
US10926698B2 (en) * 2018-12-17 2021-02-23 Key Safety Systems, Inc. Integrated steering wheel, vibration absorber, and driver airbag
KR20200119997A (ko) * 2019-04-11 2020-10-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장치
JP7347149B2 (ja) * 2019-11-18 2023-09-20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240033489A (ko) * 2022-09-05 202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휠과, 그 스티어링휠의 댐퍼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037A (en) * 1993-10-25 1995-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including latch elements
US5333897A (en) * 1993-10-25 1994-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 lock 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US5630611A (en) * 1995-07-21 1997-05-20 Textron Inc. Mounting assembly for air bag
US5639113A (en) * 1995-07-21 1997-06-17 Textron Inc. Mounting assembly for air bag
DE19724029A1 (de) * 1997-06-06 1998-12-24 Takata Europ Gmbh Airbag-Vorrichtung
US6092832A (en) * 1998-03-04 2000-07-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mounting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US6148470A (en) * 1998-08-14 2000-11-21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Windshield wiping system
US6237944B1 (en) * 1999-09-30 2001-05-29 Delphi Technologies, Inc. Mounting mechanis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US6325408B1 (en) * 2000-05-15 2001-12-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ir bag attachment arrangement
EP1418095B1 (en) * 2000-06-27 2006-04-2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with an airbag device
DE10156424B4 (de) * 2000-11-27 2016-11-24 Autoliv Development Ab Luftsackmodul für Kraftfahrzeuge
US6454300B1 (en) 2001-02-27 2002-09-24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tether releas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68899A (ja) 2004-09-30
KR20040025859A (ko) 2004-03-26
EP1400414A2 (en) 2004-03-24
EP1400414B1 (en) 2005-12-07
DE60302621D1 (de) 2006-01-12
US6874808B2 (en) 2005-04-05
DE60302621T2 (de) 2006-06-29
US20040056453A1 (en) 2004-03-25
EP1400414A3 (en)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331B1 (ko) 에어백 모듈과 주변 구조 사이에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장치 및 방법
JP5033186B2 (ja) エアバッグ・ユニットを自動車車両内のサブアセンブリ、特に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スナップ固定するための装置
JP356669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094538B1 (en) A safety arrangement
US7928332B2 (en) Brake pedal stop lamp switch
EP0735285B1 (en) Clip
US20050093275A1 (en) Switch assembly for an airbag module attachment
WO1998015431A1 (en) Snap-on airbag and horn switch module
US6176151B1 (en) Connection for energy absorbing steering column
US20050230943A1 (en) Vehicle air bag module retention system
US20040004344A1 (en) Horn switch integrated with airbag module
JP2003525808A (ja) 自動車の電気的機能グループを作動するためのスイッチング装置を有する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212155A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JP4958656B2 (ja) 自動車用のシフトレバー装置
US7690678B2 (en) Air bag device
CN113165592B (zh) 车辆方向盘
US9245701B2 (en) Pressure switch for a motor vehicle
KR2003003121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조절용 노브 어셈블리
JP2001275783A (ja) 乗り物用ヘッドレスト装置
JP2985742B2 (ja) カウルルーバの取付け構造
JP7363849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463525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JP3368405B2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
KR200179130Y1 (ko) 자동차 실내 전면의 차폐막 고정 장치
JPH08235970A (ja) スイッチ操作部の振動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