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10B1 - 에어백 장치의 패드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10B1
KR900007510B1 KR1019870015408A KR870015408A KR900007510B1 KR 900007510 B1 KR900007510 B1 KR 900007510B1 KR 1019870015408 A KR1019870015408 A KR 1019870015408A KR 870015408 A KR870015408 A KR 870015408A KR 900007510 B1 KR900007510 B1 KR 900007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ase
upper wall
mold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742A (ko
Inventor
고지 시라끼
구니야스 이또
다다시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네모또 마사오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백 장치의 패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패드의 사용 상태 단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의 패드의 사시도.
제3도는 동실시예의 패드에 사용하는 삽입부의 사시도.
제4도는 동실시예의 삽입부 고정시를 도시하는 금형의 단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성형시를 도시하는 금형의 단면도.
제6도는 동실시예에 사용하는 가동형의 저면도.
제7도는 동실시예의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부분 단면도.
제9도는 그 패드의 삽입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제10도는 또 다른 실시예의 패드의 사용 상태 부분 단면도.
제11도는 그 패드의 삽입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 11 : 패드
12 : 피복층 12a : 얇은 부분
13 : 삽입부 14 : 기부
15c : 축부 16 : 설치부
16b : (고정부)설치구멍 17 : 연결용 띠편
17b : 통형부 18 : 네트
본 발명은 자동차등에 설치되어 필요시 확장 개방하는 에어백을 피복수납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패드는 상벽과 상벽 주위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한 대략 상자형상으로 하고,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에어백이 패드로부터 튀어나와 패드 상방으로 크게 확장 개방할 수 있도록 연질합성수지를 주체로 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상벽에 정해진 위치에서 파단할 수 있도록 파단용의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었다.
또한, 이 종류의 패드에서는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패드가 파단하여 비산하지 않도록 가요성을 갖는 망형상의 네트를 얇은 부분을 제외한 상벽과 측벽에 매설시키고, 더우기 패드 측벽의 하부부위의 네트에 잡아찢음 저항이 높은 아라미드 섬유등으로 된 환상의 밴드를 꿰매붙이고 있었다(일본국 특개소 55-110643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류의 패드를 제조하는 경우, 네트와 밴드를 꿰매붙인 것을 중간으로 하고, 펴면측과 이면측에 별도의 공정으로 연질합성수지로된 피복층을 형성하면 공수가 증가해 버린다.
그 때문에, 네트와 밴드를 꿰매붙인 것을 삽입부로 하고, 그 삽입부를 금형의 형면에 대해, 그 형면에 다수 돌출시킨 고정핀에 걸리게 하여 허공에 뜬 상태로 고정하고, 피복층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삽입부의 고정시, 삽입부를 형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또한 패드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대략 상자형상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지만, 삽입부를 구성하는 네트와 밴드가 모두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삽입부의 고정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문제가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피복층 성형시에 삽입부가 금형에 용이하게 고정되는 에어백장치의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패드는, 필요시 확장 개방하는 에어백 주위에 설치되고, 상벽과 상벽 주위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을 구비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삽입부에 연질합성수지제의 피복층을 피복시키는 일체 성형으로부터 형성되며, 피복층이 패드 상벽부위의 정해진 위치에 에어백 확장 개방시에 파단하는 얇은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로써, 삽입부는 패드 측벽 부위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수지제 기부와, 해드 상벽 부위에 위치하여 피복층의 얇은부분의 위치에서 분리되는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네트와, 각 네트를 기부에 연결시키는 가요성을 갖는 연결용 띠편으로 형성되고, 기부에 패드를 정해진 부위에 설치하는 설치부와, 피복층 성형시에 사용하는 금형에의 설치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연결용 띠편 하단을 축부착시키는 축부를 설치하고, 각 연결용 띠편의 상단을 네트와 접속시킴과 동시에, 각 연결용 띠편의 하단에 통형부를 형성하고, 통형부에 기부의 축부를 삽입시키고, 각 연결용 띠편 하단을 기부에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기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서는 피복층에 의해 피복되는 삽입부가 패드 측벽 부위에 위치하는 통형상의 합성수지로된 기부를 구비하고, 이 기부에 연결용 띠편을 거쳐서 패드 상벽 부위에 배치되는 네트를 연결시키고, 또 기부에는 패드를 정해진 부위에 설치하는 설치부와 피복층 성형시에 사용하는 금형에의 배치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복층 성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의 금형에의 배치시, 기부는 그 설치부를 거쳐서 고정할 수가 있다. 그때, 기부가 합성수지제로써 형상 유지성을 갖고, 또한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부의 고정부를 정해진 금형에 고정하면, 기부는 형면으로부터 뜬 상태로 정해진 위치에 간단히 고정되고, 다음은 패드 상벽 부위에 위치하는 네트를 금형의 정해진 고정핀에 걸리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패드에서는 삽입부가 모두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피복층 성형시의 금형에의 삽입부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에어백 장치의 패드(11)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B)에 있어서의 에어백(1)주위에 배치되며, 대략 장방형상의 상벽(11A)과 상벽(11A)주위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개의 측벽(11B)를 구비한 대략 직방체의 상자형상으로 하고, 삽입부(13)에 우레탄등의 연질합성수지제의 피복층(12)이 피복되어 구성되어 있다.
패드 상벽(11A)의 피복층(12)에는 에어백(1) 확장 개방시, 피드 상벽(11A)이 전방측의 상벽(11Af)과 후방측의 상벽(11Ab)으로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대략 H자 형상으로 얇은부분(12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13)는 패드 측벽(11B)의 부위에 위치하는 대략 직방체의 통형상 기부(14)와, 패드 상벽(11A)의 부위에 위치하여 피복층(12)의 얇은부분(12a)의 위치에서 분리되는 대략 4각형의 2장의 네트(18)와, 각 네트(18)를 2개씩 기부(14)에 연결시키는 연결용 띠편(17)으로 형성되어 있다(제1도 내지 제3도 참조).
이 네트(18)는 그물눈의 크기를 대략 1mm평방의 개구고 하고, 폴리아미드등의 합성섬유로 짜며, 가요성을 갖고 있다.
각 연결용 띠편(17)은 가요성을 갖는 폴리아미드섬유 혹은 아라미드섬유등으로 만들어지며, 상방의 단부를 네트(18)주위모서리를 따르도록 절곡하고, 그 절곡부(17a)를 네트(18)에 꿰매붙이고 있다. 또, 각 연결용 띠편(17)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기부(14)의 수직벽부(15)에 있어서의 설치구멍(15b)상방 주위모서리의 축부(15c)를 둘러싸는 통형부(17b)가 형성되며, 이 통형부(17b)를 거쳐서 각 연결용 띠편(17)이 기부(14)에 접속되어 있다.
기부(14)는 경질 또는 반경질의 폴리아미드계, 염화비닐계, 폴리올레핀계 수지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수직벽부(15)와 설치부(16)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벽부(15)는 패드 측벽(11B)에 위치하는 대략 4각 통형상으로 하고, 상하방향 중간부근에 피복층(12)의 박리 방지용의 복수의 관통구멍(15a)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부 모서리 부근의 정해진 위치에는 4개의 직사각형 설치구멍(15b)이 뚫리며, 각 설치구멍(15b)상방 주위모서리를 기술한 연결용 띠편(17)의 통형부(17b)에 삽입되는 축부(15c)로 하고 있다.
설치부(16)는 후술하는 파설치부재로서의 받침판(5)에 대해 패드(11)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수직벽부(15)하부에 설치되며, 설치구멍(16b)을 구비한 설치판부(16a)와 환상홈(1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판부(16a)는 수직벽부(15)하부의 외표면측의 전주위에 걸쳐서 하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며, 정해진 위치에 내외주를 관통하는 복수의 설치구멍(16b)을 구비하고 있다.
환상홈(16c)은 설치판부(16a) 내주측에 있어서의 수직벽부(15)와의 사이에 전주위에 걸쳐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받침판 수직벽부(5c)를 끼워맞춰주는 것이다.
그리고, 받침판(5)은 패드(11)이외에, 에어백(1) 및 에어백(1)에 필요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기(4)를 보유지지하며,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휘일의 코어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 이 받침판(5)은 중앙에 삽입관통구멍(5b)이 뚫인 대략 4각형의 저벽(5a)과, 저벽(5a)주위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벽부(5c)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벽부(5c)에는 수직벽부(5c)를 기부(14)의 환상홈(16c)에 끼워맞추었을때, 기부(14)의 설치판부(16a)의 설치구멍(16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구멍(5d)이 뚫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받침판(5)에 대한 각 부재의 조립을 설명하면, 삽입관통구멍(5b)에 하방으로부터 가스공급기(4)를 삽입시켜서, 그 팰린지부(4a)를 삽입관통구멍(5b)주위모서리 하면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에어백(1)하부에 고정된 환상의 고정부재(2)의 볼트(2a)를 받침판 저벽(5a)상면측으로부터 플랜지부(4a)하면측까지 돌출시키고, 너트(3)를 볼트(2a)에 나사결합시켜주므로서, 받침판(5)에 대해 에어백(1) 및 가스 공급기(4)를 조립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 패드(11)의 성형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삽입부(13)의 제조에 대해 설명하면, 각 연결용 띠편(17)의 상단을 절곡하고, 그 절곡부(17a)를 각 네트(18)주위모서리의 정해진 위치에 꿰어붙인다. 그후, 각 연결용 띠편(17)의 하단을 통형부(17b)를 형성하기 전에, 기부(14)의 수직벽부(15)에 있어서의 각 설치구멍(15b)에 삽입시켜, 각 축부(15c)를 둘러싸서 꿰매붙이고, 통형부(17b)를 형성하여, 각 연결용 띠편(17)을 거쳐 네트(18)와 기부(14)를 연결시켜서, 삽입부(13)를 제조한다. 또한, 각 연결용 띠편(17)을 네트(18)와 꿰매붙이는 공정은 각 연결용 띠편(17)을 기부(14)와 연결시킨 후에 행해도 좋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한 삽입부(13)를 고정하여 패드(11)의 성형에 사용하는 금형(7)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체결시에 정해진 공동(7a)이 형성되도록 각각 정해진 공동용 형면(8a,9a)을 구비한 가동형(8)과 고정형(9)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동형(8)의 공동용 형면(8a)에는 고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네트(18)의 상호 접근하는 선단측의 위치에 각각 2개씩 총계 4개의 고정핀(10)이 압입되어 있다.
이들 고정핀(10)은 네트(18)의 그물눈보다 외경 칫수가 큰 대경부(10a)와, 네트(18)의 구물눈에 삽입가능한 소경부(10b)를 구비하며, 소경부(10b)가 선단으로부터 기부측[대경부(10a)측]에 걸쳐서 서서히 외경을 크게 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소경부(10b)의 기부측 외경은 고정후의 네트(18)의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18)의 그물눈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형(8)에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설치판부(16a)를 끼워맞추는 환상홈(8b)이 형성되며, 이 환상홈(8b)의 내주면의 정해진 위치에는 고정시의 설치판부(16a)의 고정부 또는 설치구멍(16b)내에 삽입되고, 설치구멍(16b) 주위모서리를 걸리게 할 수 있는 반구면 형상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8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삽입부(13)에 있어서의 기부(14)의 설치는 패드(11)의 설치부(16)가 겸하게 된다.
또한, 8d는 패드 상벽(11Af,11Ab)에 있어서의 패드(11)전후방향의 주위모서리를 얇게 하고, 에어백(1)확장 개방시에 있어서의 얇은부분(12a)가 파단하여 패드 상벽(11Af,11Ab)이 용이하게 좌우 여닫이문과 같이 열리는 동작을 용이하게 시키기 위한 가동형(8)에 설치된 돌출부이다.
그리고, 이 금형(7)을 사용하여 패드(11)를 성형하는 태양에 대해 기술하면, 먼저 형개방시에 있어서 삽입부(13)의 기부(14)를 가동형(8)에 고정한다.
그때, 기부(14)의 고정은 설치판부(16a)를 가동형(8)의 환상홈(8b)에 끼워맞추고, 설치구멍(16b)주위모서리를 걸림 돌기(8c)에 걸리게 한 것이지만, 기부(14)가 합성수지제이고, 형상 유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지하기가 쉽고, 그 고정이 용이해지며, 또 고정후에는 기부(14)가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걸림돌기(8c)를 거쳐서 외주측으로부터 협지되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정해진 위치에 확실히 고정된다.
그후, 2장의 네트(18) 각각의 선단측을 인장하면서 고정핀(10)에 걸어주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부(13)를 가동형(8)의 공동용 형면(8a)으로부터 뜬 상태로 간단히 고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후, 형체결하여 금형(7)의 공동(7a)내로 도시하지 않은 게이트를 거쳐 성형재료를 주입시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삽입부(13)를 매설시킨 패드(11)를 성형할 수가 있으며, 그후 형개방시켜 이형시키면 정해진 패드(11)를 얻을 수가 있다.
그리고 또, 이렇게 하여 얻어진 패드(11)를 설치부(16)의 환상홈(16c)내에 수직벽부(5c)를 끼워맞추고, 상호의 설치구멍(16b,5d)를 거쳐 리벳(6)고정하면, 에어백(1) 및 가스공급기(4)를 완전히 조립한 받침판(5)에 대해 패드(11)를 조립할 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패드(11)에 있어서의 환상홈(16c)에 받침판(5)의 수직벽부(5c)를 끼워맞추어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시에 있어서의 패드(11)와 받침판(5)의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패드(11)를 조립한 에어백 장치를 스티어링 휘일의 보스부(B)에 부착한후, 에어백(1)이 확장 개방할 때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얇은부분(12a)가 파단하여 패드 장벽(11Af,11Ab)이 좌우 여닫이문과 같이 열려, 에어백(1)을 크게 확장 개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피복층(12)성형시에 있어서의 삽입부(13)의 가동형(8)으로의 고정시, 기부(14)의 설치부(16)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부 수직벽부(15)에 있어서의 피복층(12) 박리방지용의 관통구멍(15a)의 몇갠가에 삽입가능하게 되고, 이들 관통구멍(15a)주위모서리를 걸림가능하게 하는 반구면 형상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8e)를 가동형(8)의 공동용 형면(8a)에 설치하여, 이들 관통구멍(15a)을 고정부로 사용해도 좋다.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기부(14)의 수직벽부(15)상단부근에 설치구멍(15b)을 설치하고, 설치구멍(15b) 상방 주위모서리를 축부(15c)로 하여, 이 축부(15c)를 연결용 띠편(17)하단의 통형부(17b)에 시키도록 하여, 각 연결용 띠편(17)과 기부(14)를 접속시키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제8도에 도시하는 패드(21)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패드(21)는 삽입부(23)에 있어서의 기부(24)의 수직벽부(25)내주면에 기부(2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단면 역 L자형의 갈퀴부(25b)가 수평방향의 정해진 위치에 복수 배치되고, 이들 갈퀴부(25b)에 하방으로부터 강등의 강성을 갖는 환봉형상의 축부재(50)를 끼우고, 이 축부재(50)를 기부(24)의 축부(25c)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축부(25c)에 연결용 띠편(27)하단의 통형부(27b)를 끼운 상태로 하여, 연결용 띠편(27)과 기부(24)를 접속시키는 것이다(제9도 참조).
게다가 또, 제10도에 도시하는 패드(31)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이 패드(31)는 삽입부(33)의 기부(34)에 있어서의 설치부(36)의 환상홈(36c)이 설치판부(36a)의 내주측에 설치되며, 그 환상홈(36c)의 정해진 위치에서 상방으로 개구하는 개구부(36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환상홈(36c)에 축부재(50)를 기우고, 이 축부재(50)를 기부(34)의 축부(39)로 하는 것이며, 축부(39)에 개구부(36d)를 거쳐 연결용 띠편(37)하단의 통형부(37b)를 끼운 상태로 하여, 연결용 띠편(37)과 기부(34)를 접속시키는 것이다(제11도 참조). 또한, 34a는 보강용 리브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 패드(21,31)의 삽입부(23,33)에서는 미리 연결용 띠편(27,37)의 상단을 네트(18)에 꿰매붙임과 동시에, 연결용 띠편(27,37)의 하단을 꿰매붙여 통형부(27b,37b)를 형성해두고, 그리고 각 통형부(27b,37b)에 축부재(50)를 삽입시켜, 그 축부재(50)를 기부(24,34)의 정해진 부위에 끼워서 조립할 수가 있다[또한, 패드(31)에서는 축부제(50)를 통형부(37b)에 삽입시킬때, 연결용 띠편(37)의 통형부(37b)를 기부(34)의 개구부(36d)를 경유하여 설치판부(36a)하방 부근까지 돌출시켜둘 필요가 있다].
더우기, 각 실시예의 패드(11,21,31)에서는 1장의 네트(18)에 대해 2개의 연결용 띠편(17,27,37)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물론 각 네트(18)를 1개 혹은 3개 이상의 연결용 띠편으로 기부(14,24,34)와 연결시키도로 구성해도 좋다.
게다가 또, 실시예의 패드(11)에서는 그 패드(11)를 설치하는 피설치부재로서 받침판(5)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피설치부재로서는 스티어링 휘일에 고정되는 받침판(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들어 패드를 계기판이나 전방부 좌석의 배면등에 부착하는 경우, 계기판이나 전방부 좌석의 배면등에 설치하는 틀형상(환상)의 브래킷등을 이용해도 좋다.

Claims (1)

  1. 삽입부(13)와, 삽입부(13)를 피복하는 피복층(12)을 구비하고, 파단 가능한 얇은부분(12a)을 구비한 상벽(11A)과 상벽 주위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측벽(11B)으로부터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 에어백 장치의 패드(1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3)는 상기 측벽(11B)에 위치하는 축부(15c)를 갖는 통형의 합성수지제 기부(14)와, 상기 상벽(11A)에 위치하는 가요성 네트(18)와, 일단이 상기 축부(15c)가 삽입된 통형부(17b)로 되어 타단이 상기 네트(18)와 접속되는 가요성 연결편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기부(14)하부는 상기 피복층(12)에 노출됨과 동시에, 금형에의 배치용 설치부를 겸한 패드 고정용 설치부(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1019870015408A 1987-05-26 1987-12-30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79504U JPS63188256U (ko) 1987-05-26 1987-05-26
JP?62-79504 1987-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42A KR880013742A (ko) 1988-12-21
KR900007510B1 true KR900007510B1 (ko) 1990-10-11

Family

ID=30929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408A KR900007510B1 (ko) 1987-05-26 1987-12-30 에어백 장치의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88256U (ko)
KR (1) KR900007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277B2 (ja) * 1988-02-09 1996-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42A (ko) 1988-12-21
JPS63188256U (ko) 1988-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4217A (en) Cover for air bag unit
US5069477A (en) Pad for air bag device
US4852907A (en) Pad for air bag device
US5368327A (en) Air bag device
US20050040629A1 (en) Enclosure part for automotive vehicles, with a panel suitable for concealing an inflatable airbag
EP0397154A1 (en) Pad for air bag device
US5203586A (en) Pad for air bag device
KR20050093843A (ko) 차량 탑승자용 무릎 보호 장치
US20190202390A1 (en) Air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CA2025029A1 (en) Module cover of air bag system
JPH03186450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US5884961A (en) Door wire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for vehicles
KR900007510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100268162B1 (ko) 에어백 모듈 조립체
KR900007529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US5401073A (en) Sun visor for vehicles with mirror attachment
US5312130A (en) Lid of an air bag device for use in a passenger's seat
JP2545223B2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KR900007509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28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KR900007530B1 (ko) 에어백 장치의 패드
JP4349735B2 (ja) ハウジングアクセサリー取付構造およびハウジングアクセサリー取付方法
JP3705149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
JP3772439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2001114054A (ja) リヤピラーガーニ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