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122B1 -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122B1
KR900007122B1 KR1019870011117A KR870011117A KR900007122B1 KR 900007122 B1 KR900007122 B1 KR 900007122B1 KR 1019870011117 A KR1019870011117 A KR 1019870011117A KR 870011117 A KR870011117 A KR 870011117A KR 900007122 B1 KR900007122 B1 KR 90000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e
year
data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152A (ko
Inventor
주윤식
Original Assignee
주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윤식 filed Critical 주윤식
Priority to KR1019870011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122B1/ko
Publication of KR8900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의 입출력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프로세서 2 : 입출력인터페이스
3 : RAM 4 : EPROM
5 : 구동회로 6,7 : 디코더
8 : 슈미트트리거 9 : 키보드
10 : 7세그먼트부 11 : 클록발진회로
MX1,MX2: 멀티플렉서 IV1∼IV5 :인버터
DF : D형 플립플롭 OR1∼OR4: 오아게이트
AD1: 앤드게이트 ND1 :낸드게이트
LD1∼LD5: 발광다이오드 SW : 리셋트스위치
TR1∼TR26 :트랜지스터 SW2: 전원스위치
DS1∼DS3: 표시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과업수행일정상의 현재의 단위활동기간을 통제하기 위해 일정을 표시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현재의 년월일(현재일자)과 과거의 년월일(착공일자)및 미래의 년월일(완공예정일)을 미리 셋팅시켜 놓은 다음 키보드의 키조작에 의해 과거의 경과일과 미래의 잔여일에 대한 년월일뿐만 아니라 일정기간 전후(x일후,y일전)의 달력상일자를 산출해서 표시해 줌으로써 프로젝트의 일정상의 단위활동기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된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종레에는 현재의 년월일로부터 과거의 년월일이나 미래의 년월일까지의 일수를 계산항에 있어서, 달력에 기재되어 있는 날짜를 직접 세는 수작법을 사용한다던지 계산기를 사용해서 일수를 계산해야했다. 그런데, 현재의 년월일(또는 미래의 년월일)로부터 일수가 짧은 년월일을 계산할 때에는 달력을 참조해서 수작업이나 계산기로 그 일수를 계산할 수 있다지만, 일수가 긴 년월일을 계산할 때에는 면저 그해에 윤달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야 하고, 또 각 달의 일수를 알아야 하는 등 일수계산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임의의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키보드의 키조작에 의해 현재의 년윌일(현재일자)→과거의 년월일(착공일자}→미래의 년월일(완공예정일)순으로 입력해서 셋팅시겨 놓은 다음 알고 싶거나 표시하고 싶은 과거의 경과일과 미래의 잔여일에 대한 년월일뿐만 아니라 x일후나 y일간의 년월일을 산출해서 표시해줌으로써 수행할 프로젝트의 일정상의 단위활동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된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은, 본 시스템의 모든 동작을 제어및 통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크리스탈(XT)과 저항(Rl, R2), 콘덴서(C1) 및 인버터(IV1,IV2)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클록단(CK)에 인버터(IV3)와D형 플립플롭(DFl) 및 인버터(IV4)를 매개로 접속되는 클록발진회로(11)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리셋트단(
Figure kpo00001
)에 접속되는 리셋트스위치(SW1):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입출력장치간의 데이터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입출력인터페이스(2), 슈미트트리거(8)를 매개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C포트(PC0∼PC2)에 접속되어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타와 x일후나 y일전을 나타내는 데이터등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켜 주는 키보드(9), 이 키보드(9)에 의해 입력된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레의 년월일데이터와 x일후나 y일전을 나타대는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RAM(3),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 데이터와 x일후나 y일전등을 입력변수로 하여 알고 싶거나 표시하고 싶은 날짜나 기간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격납되어있는 EPROM(4), 상기 러셋트스위치(SW1)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의 리셋트단(R)간에 접속되는인버터(IV5),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0∼A15)중 어드레스(A2∼A7)을 입력받아 칩선택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02
)에 공급해 주는 낸드게이트(ND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03
)중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를 입력받아 메모리독출신호(
Figure kpo00006
)를 생성해서 상기 EPROM(4)의 입력단(
Figure kpo00007
)에 공급해 주는 오아게이트(OR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08
)중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을 입력받아 메모리기록신호(
Figure kpo00011
)를 생성해서 상기 RAM(3)의 입력단(
Figure kpo00012
)에 공급해 주는 오아게이트(OR2),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13
)중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를 입력받아 입출력독출신호(
Figure kpo00016
)를 생성해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RD)에 공급해 주는 오아게이트(OR3), 상기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17
)중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를 입력받아 입출력기록신호(
Figure kpo00020
)를 생성해서 상기 입쳐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21
)에 공급해 주는 오아게이트(OR4); 상기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l1∼Al5)를 입력받아 상기 RAM(3)과 EPROM(4)을 선택하기 위한 칩선택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RAM(3)과 EPROM(4)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22
)에 각각 공급해 주는멀티플렉서(MX1,MX2)와 앤드게이트(ADl),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과 x일후나 y일전의 년월일이 표시되는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l)와, 상기 x일후나 y일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4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3)로 이루어진 7세그먼트부(10),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입력되고 있음을 알려 주는 발광다이오드(LDl∼LD3), 상기 x일후나 y일전의 년월일이 표시되고 있음을 알려 주는 발광다이오드(LD4∼LD5),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A포트(PA0∼PA3)에 접속되어 상기 7세그먼트부(10)의 7세그먼트에 표시될 데이터를 출력해 주는 구동회로(5)와 트랜지스터(TR1∼TR7),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B포트(PB0∼PB3)에 접속되어 상기 7세그먼트부(10)의 7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해 주는 디코더(6)와 트랜지스터(TR12∼TR19,TR23∼TR26),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B포트(PB0∼PB3)에 접속되어 상기 키보드(9)의 키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해 주는 디코더(7)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LD1∼LD5)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TR8∼TR l1 ,TR20∼TR22)를 구비하고서,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을 기준데이터로서 미리 셋팅시켜 놓은 다음 키보드의 키조작에 의해 과거의 경과일과 미래의 잔여일에 대한 년월일뿐만 아니라 x일후나 y일전의 년윌일을 산출해서 표시해 줌으로써 수행할 프로젝트의 일정상의 단위활동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사용자가 키보드(9)의 키를 조작해서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과 과거의 경과일 및 미래의 잔여일을 7세스먼트부(10)의 표시부(DS1,DS3)에 표시해 주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키(0∼9)와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보드(9)와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을 나타대는 데이터가 입력되고 있음을 각각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LDl∼LD3), 과거의 경과일과 미래의 잔여일이 표시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LD4,LD5), 리셋트스위치(SW1) 및 전원스위치(SW2)로 이루어진 입력장치(12)와,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년월일을 순차적으로 셋팅시켜 줄때 현재(또는 과거나 미래)의 년월일이 표시되는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와 현재시간을 표시해 주는 표시부(DS2) 및 과거의 경과일(또는 미래의 잔여일)을 표시해 주는 4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3)로 이루어진 출력장치(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능키(#,*)이외에도 10-키중 0∼6이 가능키로서 각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기본 입력정보가 되는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이 모두 셋팅된 후, 표시부(DSl)에는 자동적으로 현재의 년월일이 표시되게 되는네, 이때 1을누르면 현재의 년월일이 표시되고, 2를 누르면 과거의 년월일이 표시되며, 3을 누르면 미래의 년월일이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다시 1을 누르면 현재의 년월일이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표시부(DS3)에는 4를 누르면 미래의잔여일수가 표시되고, 5를 누르면 과거의 경과일수가 표시되며, 6을 누르면 과거와 미래간의 총기간(공기)계산일수가 표시되게 된다. 또, 0을 누르면 표시부(DS1)가 아웃되어 대기상태로 되게 되는데, 이때 임의의 년월일데이터를 입력시키게 되면 이 임의의 년월일과 이미 셋팅되어 있던 현재의 년월일간의 기간이 계산되어 표시부(DS3)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와 * 키를 누르면 표시부(DS3)가 아웃되어 대기상태로 되게 되는데, 이때 임의의 기간일수를 입력시키게 되면 x일후의 날짜와 y일전의 날짜가 표시부(DSl)에 표시되게된다. 상기 출력장치(13)는 본 발명의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포터블과 실대용및 타워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반면에 입력장치(12)도 출력장치(13)의 용도에 따라 그 크기를 변형시킬 수있고, 또 마이크로프로세서화하여 더 큰 시스템에 일정관리용 하부시스템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입출력장치의 동작과 제3도에 나다낸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제2도에 도시된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1도에 도시된 전원스위치(SW2)를 온시켜 각 회로부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게 한 다음에 사용자가 본 발명의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리셋트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입력장치(12)의 발광다이오드(LD1∼LD5)중 LD1이 점등되고, 출력장치(13)의 년월일과 기간을 나타대는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DS3)가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즉, 리셋트스위치(SW1)를 온시켜 주면 전원(Vcc)이 저항(R3)과 리셋트스위치(SW1)를 통해 접지되게되므로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리셋트단(
Figure kpo00023
)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됨과 더불어 인버터(IV5)를 통해 반전된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리셋트단(R)에 공급되게 된다. 그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l)와 입출력인터페이스(2)가 각각 리셋트되게 되는 바, 마이크로프로세서(1)가 리셋트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1)에 접속된 멀티플렉서(MX1,MX2)와 RAM(2) 및 EPROM(4)이 리셋트되게 되고, 입출력인터페이스(2)가 리셋트됨에 따라 이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접속된 구동회로(5)와 디코더(6,7) 및 슈미트트리거(8)가 리셋트되게 된다. 여기서, 디코더(7)는 키보드의 키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그 구성 및 동작은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사용자가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C포트(PC0∼PC2)에 접속된 슈미트트리거(8)를 매개한 키보드(9)의 키를 조작해서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포트(PC3)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의 시간을 제1도의 표시부(DS2)에 표시해 주게 되는데, 이는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한다. 이때 시스템전체의 동작을 통제 및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클록단(CK)에는 저항(Rl,R2)과 콘덴서(C1), 크리스탈(XT) 및 인버터(IV1,IV2)로 이루어진 클록발진회로(11)에 의해 발진된 클록신호가인버터(IV3)를 통해 반전된 다음, D형 플립플롭(DFl)과 인버터(IV4)를 통해 1/2분주되어 공급되게 된다.
그후, 제3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재의 년월일(현재일자)과 과거의 년월일(착공일자) 및 미래의 년월일(완공예정일)을 각각 입력시켜 주기 위해 키보드(9)의 키를 조작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현재의 년월일의 입력에 따른 제2도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되 과거의 년월일과 미래의 년월일에 대한 동작관계는 현재의 년월일에 대한 동작관계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현재의 년월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시키게 되는데, 예컨대 현재의 년월일이 1987년 9월 30일인 경우, 이 현재의 년월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시켜 주기 위해 키보드(9)의 키를 조작해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시키게 되면 그 데이터는 슈미트트리거(8)를 통해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포트(PC0∼PC2)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입출력인터페이스(2)를 통제 및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어드레스(A0,Al)와 독출신호(
Figure kpo00024
) 및 기록신호(
Figure kpo00025
)를 통해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접속된 각 포트(PA,PB,PC)를 표l과 같이 제어하게 된다.
[표 1]
Figure kpo00026
즉,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입출력인터페이스(2)가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먼저 PB포트(PB0∼PB3)에 접속된 디코더(6)의 입력단(A∼D)에 "0"신호를 입력시켜 디코더(6)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27
)를 통해 로우레벨신호를 송출시킴으로써 트랜지스더(TRl1)와 구동회로(5)의 b단자에접속된 트랜지스터(TR8)가 턴온되어 발광다이오드(LDl)가 점등되게 된다. 이 발광다이오드(LDl)가 점등된 상태에서 현재의 년월일을 나타내는 1987년 9월 30일의 데이터가 PA포트(PA0∼PA3)에 접속된 구동회로(5)와 저항(R8∼R14)을 매개로 트랜지스터(TR1∼TR7)에 공급되어 해당 트랜지스터를 턴온시켜 주게 되고, 또 PB포트(PB0∼PB3)에 접속된 디코더(6)에도 공급되어 디코더(6)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28
)를 통해 로우레벨신호를 순차적으로 송출시켜 저항을 매개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12∼TR19)를 순차적으로 턴온시켜주게 됨으로써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 현재의 년월일이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점등되어 있는 밭광다이오드(LDl)를 보고 현재의 년월일이 입력되고 있음을 알 수있게 된다
상기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될 데이터가 현재의 년월일임을 예시하는 발광다이오드(LDl)가 점등된 상태에서, 현재의 년월일(여기서는 1987년 9월 30일)을 나타내는 데이터중 "1"이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7세그먼트에 표시될 데이터를 출력하는 PA포트(PA0∼PA3) 및 7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PB포트(PB0∼PB3)에서 "1"이 각각 출력되어 구동회로(5)의 입력단(A∼D)및 디코더(6)의 입력단(A∼D)에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구동회로(5)의 출력단자(a∼g)중 b단자와 c단자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어 각각 저항(R9,R10)을 매개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2,TR3)를 턴온시켜 주게 되므로 공급전원(Vcc)이 턴온된 트랜지스터(TR2,TR3)와 저항(R16,R17)을 매개로 7세그먼트부(10)의 b단자와 c단자에 공급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디코더(6)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29
)중
Figure kpo00030
단자에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저항을 매개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12)를 턴온시켜 주게 되므로 7세그먼트부(10)의 첫번쩨 7세그먼트에 "1"이 표시되게 된다.
그 다음에 현재의 년월일(여기서는 1987년 9월 30일)을 나타대는 데이터중 "9"가 입력되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A포트(PA0∼PA3) 및 PB포트(PB0∼PB3)에서 "1001" 및"10"이 출력되어 상기 구동회로(5)의 입력단자(A∼D) 및 디코더(6)의 입력단(A∼D)에 입력되게 된다.그에 따라, 상기 구동회로(5)의 출력단자(a∼g)중 a∼d단자와 f단자 및 g단자에서 하이레벨신호가 출력되어 각각 저항(R8∼Rl1,R13,Rl4)을 매개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1∼TR4,TR6,TR7)를 턴온시켜 주게 되므로 공급전원(Vcc)이 턴온된 트랜지스터(TR1∼TR4,TR6, TR7)와 저항(R15∼R18, R20, R21)을 매개로 7세그먼트부(10)의 a∼d단자와 f단자 및 g단자에 공급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디코더(6)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31
)중
Figure kpo00032
단자에서 로우레벨신호가 출력되어 저항을 매개로 접속된 트랜지스터(TR13)를 턴온시켜 주게되므로 7세그먼트부(10)의 두번째 7세그먼트에 "9"가 표시되게 된다. 또한, 현재의 년월일을 나타대는 데이터중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서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되는 바,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한다.
이와 같이 해서 순차적으로 현재(또는 과거나 미래)의 년월일을 나타대는 데이터가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l)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편의상 각 입력데이터를 하나씩 때어서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동작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 현재(또는 과거나 미래)의 년월일을 나타대는 데이타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더 송출된 어드레스(A0∼A15)중 2개의 어드레스(A0,Al)가 입력되게 되는데, 이것은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4개의 독립적인 입출력어드레스가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마이크로프로세서(l)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중 어드레스(A2∼A7)는 낸드게이트(NDl)를 통과한 다음 칩선택신호로서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33
)에 공급되어 본 시스템의 입출력공간에 이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가 입출력동작올 수행하고 있을 때에는 입출력요구신호(
Figure kpo00034
)가 송출되게 되는데, 이 신호와 독출신호(
Figure kpo00035
) 및 기록신호(
Figure kpo00036
)에 의해 입출력독출 및 기록신호(
Figure kpo00037
)가 생성되어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38
)에 각각 공급되게 된다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를 통제 및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리셋트스위치(SW1)에 의해 리셋트되어 0000H번지로부터 동작을 하게 되는 바, 이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8개의 데이터선(D0∼D7)과 16개의 어드레스선(A0∼A15)를 갖고 있으므로 총 2l6개(65.536개)의 기억장소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데이터선(D0∼D7)은 입출력인터페이스(2)와 RAM(3) 및 EPROM(4)에도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를 다 사용하지 않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3)은 그 용량이2K바이트(0000H∼07FFH) 인 것을 사용하고, EPROM(4)은 그 용량이 4K바이트(0000H∼0FFFH)인 것을 사용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멀티플렉서(MX1,MX2) 및 앤드게이트(ADl)를 사용하여 RAM(3) 및 EPROM(4)을 선택하는 칩선택신호를 각각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39
)에 공급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DSl)에 표시되는 현재(또는 과거나 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RAM(3)에 기록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2∼A7)가 낸드게이트(NDl)의 입력단에 공급되고 하이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40
)와 로우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41
)가 오아게이트(OR1∼OR4)의 입력단에 입력될 때, 오아게이트(ORl,OR2,OR4)의 출력 신호는 하이레벨, 오아게이트(OR3)와 낸드게이트(NDl)의 출력 신호는 로우레벨로 되어 RAM(3)의 입력단(
Figure kpo00042
), EPROM(4)의 입력단(
Figure kpo00043
) 및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44
)에 각각 공급되게 되므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동작하는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C포트에 입력된 현재(또는 과거나 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독출되게 된다. 그렇지만, 이때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어드레스(All∼A15)에 접속된 멀티플렉서(MX1, MX2)가 로우레벨상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멀티플렉서(MX1)에 집속된 멀티플렉서(MX2)의 출력신호(
Figure kpo00045
)에 하이레벨로 되어 RAM(3)과 EPROM(4)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46
)에 각각 공급되게 되므로 RAM(3)과 EPROM(4)은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2∼A7)가 낸드게이트(NDl)의 입력단에 공급되고 하이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47
)와 로우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48
) 가 오아게이트(OR1∼OR4)의 입력단에 입력될때, 오아게이트(ORl,OR3,OR4)와 낸드게이트(NDl)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 오아게이트(OR2)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로 되어 RAM(3)의 입력단(
Figure kpo00049
), EPROM(4)의 입력단(
Figure kpo00050
) 및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51
)에 각각 공급되게 되므로 입출력인퍼페이스(2)가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멀티플렉서(MX1)에 접속된 멀티플렉서(MX2)의 출력신호(
Figure kpo00052
)가 110으로 송출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Dl)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로 되어 EPROM(4)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53
)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EPROM(4)도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RAM(3)의 칩선택신호입력단(CS)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공급되게 되므로 RAM(3)이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 RAM(3)의 메모리영역에 현재(또는 과거나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기록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러셋트스위치(SW1)에 의해 리셋트된 상태에서 현재일자의 입력을 예시하는 발광다이오드(LDl)가 점등되고, 키보드(9)의 키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현재의 년월일데이터(현재일자)가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독출되어 RAM(3)에 기록됨과 동시에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 현재의 년욀일데이터가 표시된 후, 그 다음의 입력데이터(과거일자)의 입력을 위해 표시부(DS1)가 지워지고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이어, 과거일자의 입력을 예시하는 발광다이오드(LD2)가 점등되고, 키보드(9)의 키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과거의 년월일 데이터(착공일자)가 마이크로프로세서(l)의 통제하에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독출되어 RAM(3)에 기록됨과 동시에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 과거의 년월일데이터가 표시된 후, 그 다음의 입력데이터(미래일자)의 입력을 위해 표시부(DS1)가 지워지고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다음으로, 미래일자의 입력을 예시하는 밭광다이오드(LD3)가 점등되고, 키보드(9)의 키조작에 의해 입력되는 미래의 년월일데이터(완공예정일)가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독출되어 RAM(3)에 기록됨과 동시에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 미래의 년욀일데이터가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RAM(3)에 모두 기록된 후, 표시부(DS1)에는현재일자가 표시되고,10一키중 0∼6이 기능키로서 동작하게 되는 바, 1∼6을 누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부여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키보드(9)의 키조작에 의해 입력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RAM(3)에 기록된 상태에서, 제3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9)의기능키(#,*)중 *를 누른 다음, 예컨대 300일전의 년월일을 찾고자 하여 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시키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구동회로(5)와 디코더(6)을 동작시켜 과거의 경과일이 표시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발광다이오드(LD4)가 접등되면서 7세그먼트부(10)의 4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3)에 "300"이 표시되게 됨과 동시에 상기 현재의 년월일데이터에 대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RAM(3)에 기록되게 된다.
그후,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2∼A7)가 낸드게이트(NDl)이 입력단에 공급되고 하이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54
)와 로우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55
)가 오아게이트(OR1∼OR4)의 입력단에 입력될때, 오아게이트(OR2)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 오아게이트(ORl,OR3,OR4)와 낸드게이트(NDl)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로 되어 RAM(3)의 입력단(
Figure kpo00056
), EPROM(4)의 입력단(
Figure kpo00057
) 및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58
)에 각각 공급되게 되므로 입출력인터페이스(2)가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멀티플렉서(MX1)에 접속된 멀티플렉서(MX2)의 출력신호(
Figure kpo00059
)가 110으로 송출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ADl)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로 되어 EPROM(4)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60
)에 공급되게 되고, 그에 따라 EPROM(4)도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RAM(3)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61
)에 로우레벨의신호가 공급되게 되므로 이 RAM(3)이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 RAM(3)의 메모리영역에 기록되어 있던 현재의 연월일 데이터와 300일 데이터가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데이터선(D0∼D7)을 매개로 독출되게 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현재의 연월일데이터와 300일 데이터를 기초로 과거의 경과일에 대한 연월일데이터를 EPROM(4)에 미리 기억시켜 놓은 날짜계산프로그램에 의해 300일전의 날짜를 산출하여 표시부(DS1)에 표시해 주게 되는데, 그에 대한 동작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2∼A7)가 낸드게이트(NDl)의 입력단에 공급되고 하이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62
)와, 로우레벨의 신호(
Figure kpo00063
)가 오아게이트(ORl∼OR4)의 입력단에 입력할때, 오아게이트(ORl)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 오아게이트(OR2∼OR4)의 출력신호와 낸드게이트(NDl)의 출력신호는 하이레벨로 되어 RAM(3)의 입력단(
Figure kpo00064
), EPROM(4)의 입력단(
Figure kpo00065
) 및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66
)에 각각 공급되게 되므로 입출력인터페이스(2)가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또한, 멀티플렉서(MX1)에 접속된 멀티플렉서(MX2)의 출력신호(Q0∼Q2)가 001로 송출되게 되므로 RAM(3)도 그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앤드게이트(ADl)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로 되어 EPROM(4)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67
)에 공급되게 되므로 이 EPROM(4)이 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 EPROM(4)의 메모리영역에 미리 기억시켜 놓은 날짜계산 프로그램에 의거 과거의 경과일에 대한 연월일을 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EPROM(4)으로부터 산출되어 독출된 과거경과일에 대한 년월일데이터가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데이터선(D0∼D7)을 매개로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입력되어 일시 저장되었다가 구동회로(5)와 디코더(6)를 동작시켜 7세그먼트부(10)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 표시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제3도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보드(9)의 기능키(#,*)중 #를 누른다음, 예컨대 400일후의 년월일을 찾고자 하여 그에 대한 데이타를 입력시키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입출력인터페이스(2)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구동회로(5)와 디코더(6)를 동작시켜 미래의 잔여일이 표시되고 있음을 알려 주는 발광다이오드(LD5)가 점등되면서 7세그먼트부(10)의 4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3)에는 "400"이 표시되고, 7세그먼트부(10)개의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에는 현재일자로부터 400일후의 날짜가 표시되게 되는 바, 그 이후의 동작은 과거의 경과일에 대한동작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순으로 입력시킨 다음에 이 년월일데이터와 임의의 년월일간의 기간일수를 계산하고자 할 때에는 표시부(DS1)에 표시된 년월일을 기준으로 하여 기능키 "0"을 누르면 표시부(DS3)의 기간과 표시부(DS1)의 데이터가 0으로 되어 대기상태로 되게 된다. 이때, 키보드(9)의 키조작에의해 임의의 년월일을 입력시키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통제하에 RAM(3)에 기록된 다음 다시 독출되어 EPROM(4)에 미리 기억시켜 놓은 날짜계산프로그램에 의거 새로 입력시킨 임의의 년월일간의 기간일수를 계산해서 입출력인터페이스(2)를 매개로 표시부(DS3)에 표시해 주게 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에 의하면, 각종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주어진 기간대의 각 단위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재의 년월일(현재일자)과 과거의 년월일(착공일자) 및 미래의 년욀일(판고예정일)을 미리 셋팅시켜 놓은 다음, 키보드의 키조작에 따라 과거의 경과일과 미래의 잔여일에 대한 년월일뿐만 아니라 x일후나 y일전의 년월일을 검색해서 표시부에 표시해 줌으로써 수행할 프로젝트의 일정상의 단위활동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본 시스템의 모든 동작을 제어 및 통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크리스탈(XT)과 저항(Rl,R2),콘덴서(C1) 및 인버터(IVl,IV2)로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클록단(CK)에 인버터(IV3)와 D형플립플롭(DFl) 및 인버터(IV4)를 매개로 접속되는 클록발진회로(11)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리셋트단(R)에 접속되는 리셋트스위치(SW1),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와 입출력장치간의 데이터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 주는 입출력인터페이스(2) , 슈미트트리거(8)를 대개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C포트(PC0∼PC2)에 접속되어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터와 x일후나 y일전을 나타내는 데이터등 각종 데이터를 입력시켜 주는 키보드(9): 이 키보드(9)에 의해 입력된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터와 x일후나 y일전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RAM(3) . 상기 현재와 과거및 미래의 년월일 데이터와 x일후나 y일전등을 입력변수로 하여 알고 싶거나 표시하고 싶은 날짜나 기간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는 EPROM(4) , 상기 리셋트스위치(SW1)와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리셋트단(R)간에 접속되는 인버터(IV5);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0∼A15)중 어드레스(A2∼A7)을 입력받아 칩선택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68
    )에 공급해 주는 낸드게이트(ND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69
    )중
    Figure kpo00070
    Figure kpo00071
    를 입력받아 메모리독출신호(
    Figure kpo00072
    )를 생성해서 상기 EPROM(4)의 입력단(
    Figure kpo00073
    )에 공급해 주는 오아게이트(ORl);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 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74
    )중
    Figure kpo00075
    Figure kpo00076
    을 입력받아 메모리기록신호(
    Figure kpo00077
    )를 생성해서 상기 RAM(3)의 입력단(
    Figure kpo00078
    )에 공급해주는 오아게이트(OR2):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79
    )중
    Figure kpo00080
    Figure kpo00081
    를 입력받아 입출력 독출신호(
    Figure kpo00082
    )를 생성해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83
    )에 공급해주는 오아게이트(OR3),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신호(
    Figure kpo00084
    )중
    Figure kpo00085
    Figure kpo00086
    를 입력받아 입출력기록신호(
    Figure kpo00087
    )를 생성해서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입력단(
    Figure kpo00088
    )에 공급해주는 오아게이트(OR4),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로부터 송출된 어드레스(Al1∼A15)를 입력받아 상기 RAM(3)과 EPROM(4)을 선택하기 위한 칩선택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RAM(3)과 EPROM(4)의 칩선택신호입력단(
    Figure kpo00089
    )에 각각 공급해 주는 멀티플렉서(MX1,MX2)와 앤드게이트(ADl),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과 x일후나 y일전의 년월일이 표시되는 8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1)와, 상기 x일후나 y일전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표시되는 4개의 7세그먼트로 된 표시부(DS3)로 이루어진 7세그먼트부(10): 상기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데이터가 입력되고 있음을알려 주는 발광다이오드(LD1∼LD3); 상기 x일후나 y일전의 년월일이 표시되고 있음을 알려 주는발광다이오드(LD4,LD5);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A포트(PA0∼PA3)에 접속되어 상기 7세그먼트부(10)의 7세그먼트에 표시될 데이터를 출력해주는 구동회로(5)와 트랜지스터(TR1∼TR7);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B포트(PB0∼PB3)에 접속되어 상기 7세그먼트부(10)의 7세그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해 주는 디코더(6)와 트랜지스터(TR12∼TR19,TR23∼TR26); 상기 입출력인터페이스(2)의 PB포트(PB0∼PB3)에 접속되어 상기 키보드(9)의 키를 구동시키기위한 신호를 출력해 주는 디코더(7)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LD1∼LD5)를 구동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TR8∼TRl1,TR20∼TR22)를 구비하고서, 현재와 과거 및 미래의 년월일을 기준데이터로서 미리 셋팅시켜놓은 다음 키보드의 키조작에 의해 과거의 경과일과 미래의 잔여일에 대한 년월일뿐만 아니라 x일후나 y일전의 년월일을 산출해서 표시해 줌으로써 수행할 프로젝트의 일정상의 단위활동기간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KR1019870011117A 1987-10-05 1987-10-05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KR90000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117A KR900007122B1 (ko) 1987-10-05 1987-10-05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1117A KR900007122B1 (ko) 1987-10-05 1987-10-05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152A KR890007152A (ko) 1989-06-19
KR900007122B1 true KR900007122B1 (ko) 1990-09-29

Family

ID=1926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117A KR900007122B1 (ko) 1987-10-05 1987-10-05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0640A1 (en) * 2007-05-29 2008-12-11 Roy Chilson Patton Electronic date calcul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0640A1 (en) * 2007-05-29 2008-12-11 Roy Chilson Patton Electronic date calc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152A (ko) 198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492A (en) Device for recording billable time and services
US560649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billable time and services
US4606401A (en) Programmable thermostat
US4090247A (en) Portable data entry device
KR900007122B1 (ko) 날짜계산 일정관리시스템
US5229981A (en) Digital multi event timer
US70428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in an electronic watch
US4379339A (en) Electronic timer
JPS6367158B2 (ko)
JPH03249003A (ja) 電子式棚札装置
JP4158581B2 (ja) モータ制御機器用コンソール
JPS6339940B2 (ko)
JPS5919880A (ja) 時計装置
JPS6259894A (ja) スケジユ−ル表示装置
JPS6025621Y2 (ja) 時間制御装置
JPS58149505A (ja) 負荷制御装置
JPS5844383A (ja) アナログ表示一部消去デジタル表示付加電子時計
JPS6131986A (ja) デ−タ編集・通信機能付電子時計
JPS5856894B2 (ja) 作業時間管理装置
JPS6236560B2 (ko)
JPH11340816A (ja) 電子カウンタ
JPH02294760A (ja) 電子式卓上計算機
JPS5922591Y2 (ja) 演算器
KR200341600Y1 (ko) 디지털 무재해 기록판
JP200028607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