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651B1 - 수동식 권상기 - Google Patents

수동식 권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651B1
KR900006651B1 KR1019870009805A KR870009805A KR900006651B1 KR 900006651 B1 KR900006651 B1 KR 900006651B1 KR 1019870009805 A KR1019870009805 A KR 1019870009805A KR 870009805 A KR870009805 A KR 870009805A KR 900006651 B1 KR900006651 B1 KR 90000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iction ring
ring
pressing member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826A (ko
Inventor
요사꾸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바이탈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사꾸 니시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탈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요사꾸 니시무라 filed Critical 바이탈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3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4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lever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4/00Implements or apparatus for applying pushing or pulling force
    • Y10S254/903Yieldable, constant engagement, friction coupling, e.g. slip clutch in drive for cable pulling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식 권상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일실시예인 레바식 권상기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 2 도는 동 권상기의 조작 레바를 조작륜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제 3 도는 동 권상기의 구동치차와 절환클릭과의 걸어맞춤관계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 4 도는 동 권상기의 가압부재를 보스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 5 도는 동 권상기의 원추상 마찰링을 대경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 6 도는 동 권상기의 원추상 마찰링, 구동치차 및 조작륜이 일체로 회전될 경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7 도는 동 권상기의 구동치차가 원추상 마찰링과 조작륜에 대하여 공회전할 경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8 도는 동 권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로우드 시이브(load sheave) 5 : 구동축
6 : 축구동 부재 7 : 가압부재
8,9 : 마찰부재 10 : 래치트(ratchet)
11 : 래치트 클릭차(ratchet wheel) 12 : 마찰링
12d : 절결부 13 : 접시형 스프링
14 : 와셔 15 : 너트
16 : 구동치차 16a : 절결부
17 : 조작륜 18 : 스프링 가압부재
19 : 너트 20 : 환상 공간부
21 : 스프링 22 : 조작 레바
23 : 절환클릭 24 : 축
25 : 손잡이 26 : 누룸부재
본 발명은, 레바식 또는 체인 블록식(chain block type)의 수동식 권상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과부하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방향으로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들어 올린후 또는 하물을 접은 후에 의력이 작용하여 과부하 상태로 된 경우에도 구동륜의 회전을 확실하게 구동축에 전달하여 하물을내릴 수 있는 수동식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종래의 수동식 권상기로서 일본 특허 공개 공보소 60-202093.호에 개시된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장치는 권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측잔에 로우드 시이브(sheave=rope pu1ley)가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이 로우드 시이브(Ioad sheave) 내에는 구동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축은 로우드 시이브를 유지하는 측판의 표면보다도 돌출하여 형성하여 있다. 이 구동축의 상기측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에 축구동 부재가 나사 결합되고 또한 기압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의 타방의 돌출부분에는 구동용 피니언이 고정되고, 이 피니언은 강속치차열을 통하여 로우드 시이브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구동 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부를 갖는다. 이 보스부에는 래치트 휘일(rachet wheel)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래치트 회일은 마찰판에 의하여 접촉되어 있다. 래치트 휘일은 이에 결합하는 역전 비치 래치트에 의하여 권상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원추상 마찰링에 의해 일정 가압력에 의하여 끼워진 체인 스프로켓 휘일(chainsprocket wheel)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인 스프로컷 휘일에는 체인이 감겨 있으며, 이 체인을 인장 조작함으로써, 상기 체인 스프로킷 휘일을 통하여 로우드 시이브를 들어올림 또는 내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과부하의 상태에서 하물을 들어올리고자 할 경우, 체인을 인장시키므로 상기 스프로귓 휘일, 가압부재, 마찰판을 통하여 래치트 휘일에 가해지는 회전 토오크는 과부하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을 통하여 축구동 부재를 가압부재에 가압하는 압력이 커지고, 고로 인하여 상기 스프로궷휘일은 원추상 마찰링상을 공전하게 된다. 따라서, 정격 하중 이상의 과부하로 들어올리는 것은 자동적으로방지된다.
또, 하물을 내릴 경우에는, 스프로킷 휘일을 내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마찰판에의 가압력을 경감시키며, 따라서, 구동축을 권하(하물내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으로는, 예를 들면 트랙의 하물에 걸린 로우프를 감아올리는 등에 이 권상기를 사용하여, 정격 하중으로 권상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트랙의 진동이나, 하물의 이동 등에 의하여 로우드 시이브에 예기치 않은 과부하가 작용하거나 매달고 있는 하물에 불측의 외력이 작용하여 과부하 상태로 되거나 하면, 구동축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로우드 시이브의 힘에 의하여 가압부재는 마찰판에 강하게 가압된다.
· 그러므로, 스프로킷 휘일의 권하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로우드 시이브가 권하(풀어지는)방향으로 회전하고자 하여도 이 스프로켓 휘일에 가해지는 회전토크 보다도 상기 마찰판이 가압부재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 토크의 쪽이 커지게되므로, 이에 따라 스프로킷 휘일이 원추상 마찰링에 대하여 공전하여 로우드 시이브를 권하(풀어지는)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일단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작업자가 하물을 푸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신규한 레바식 또는 체인 스프로켓 휘일식의 수동식 권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부하의 권상에 있어서는 스프로켓 휘일 등의 구동륜이 공전하거나 하물의 들어올림을 자동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수동식 권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물을 들어올린후 또는 하물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예기치 않은 외력이 작용하여 과부하 상대로 되었을 때에도 조작륜을 통하여 구동룬의 회전을 구동축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짐을 내릴 수 있도록한 수동식 권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수동식 권상기의 구성은 로우드 시이브에 연결되는 구동축에 축구동 부재가 고정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에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된 역전 방지륜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구동측에 가압부재가 나사 결합되고, 이 가압부재는 압상부재가 권상(들어올리는)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역전 방지륜을 상기 축구동 부재에 대하여 강하게 가압 제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가압부재의 축구동 부재와 반대측으로 대항하여 마찰링이 배치되며, 이 마찰링은 상기 가압부재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주방향으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마찰링과의 사이이 구동륜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구동륜을 상기 마찰링과 상기 가압부재와의 사이에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는 누름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조작륜이 형성되며, 이 조작륜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링에 조작륜의 결합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링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륜에 상기 조작륜의 결합부와 끼워 맞춤 가능한 구동륜 끼워 맞춤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링 끼워 맞춤부와 구동륜 끼워 맞춤부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이 권상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이 구동륜과 마찰링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되며, 그리고 상기 구동륜이 권하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이 구동륜과 마찰링은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상세한 설명과 특허청구의 범위중에서 지적한 그 신규 사항에 나타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원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으로 지지된 측판(1,2)의 중앙부에는 로우드 시이브(3)가 베어링(4,4)을 통하여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로우드시이브(3)는, 그 중심부에 축공(3a)이 형성되어있으며, 이 축공(3a)에는 구동축(5)이 끼워져 있다.
이 구동축(5)의 양단은 로우드 시이드(3)보다 외방으로 돌출해 있으며, 이 돌출한 구동축(5)의 일단부 외주에는 나사부(5a), 스플라인부(5b), 소경 나사부(5c)가 상기 측간(2)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차로 그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5a)는 큰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축(5)의 돌출한 타단부에는 피니언 치차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피니언 치차에 상기 로우드 시이브(3)가 감속치차열을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된다.
상기 구동축(5)의 나사부(5a)에는 축구동 부재(6)와, 가압부재(7)가 측판(2)에 가까운 쪽으로부터 순차로 나사결합되어 있다.
축구동 부재(6)는 상기 나사부(5a)의 맨끝까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축구동 부재(6)에는, 상기 외측의가압부재(7)측으로 돌출하는 보스부(6a)와, 이 보스부(6a)의 주위에는 디스크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이보스부(6a)에는 한쌍의 마찰부재(8,9)와 그 사이에 끼워붙인 래치트(ratchet)(10)가 지지되어 있다.
이 래치트(1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된 역전방지륜을 구성한다. 래치트(10)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마찰부재(8,9)는 상기 축구동 부재(6)와 대향하는 가압부재(7)에 의하여 상기 축구동 부재(6)의 디스크부(6b)에 가압된다. 도면부호 11은 상기 측판(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래치트 클릭으로서, 이 래치트클릭(11)은 상기 래치트(10)와 결합하여 이 래치트(10)를 로우드 시이브(3)의 권상방향에의 회전만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가압부재(7)는 상기 축구동 부재(6)와 반대측부분에 직경이 큰 제 l 보스부(7a)와 직경이 작은 제 2 보스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보스부(7a)에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의 요부(7c)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보스부(7b)에는 나사(7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7)의 각 요부(7c…)에는 원추상 마찰링(12)의 철부(12b...)가 결합되고, 이 철부(12b)는상기 원추상 마찰링(12)의 관통공(12a)으로부터 내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요부(7c...)와 철부(l2b)는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주방향으로는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제 4 도 및 제 5 도 참조)
원추상 마찰링(12)은 제 8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경이 가압부재(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이 큰 단면측에는 공동(12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동(12c)내에 위치하는 제 2 보스부(7b)에는 접시형 스프링(13)이 삽임되고, 이 접시형 스프링(l3)의 외주 단부는 상기 공동(12c)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다. 접시형 스프링(13)은 그 내주단부에 접촉하는 와셔(l4)를 통하여 제 2 보스부(7b)에 나사(7b)에 나사결합하는 너트(15)에 의하여 막아진다.
또, 상기 원추상 마찰링(12)의 선단측(외경이 작은 단면측)에는, 관통공(16c)의 내면이 원추면으로 원 구동륜인 구동치차(16)가 실치되어 있다. 상기 접시형 스프링(13)은 원추상 마찰링(l2)을 통하여, 구동치차(16)의 측면을 설정된 힘에 의하여 가압부재(7)쪽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접시형 스프링(l3)에 의한 가압력의 조정은 상기 너트(15)에 의하여 행해지며, 제 2 보스부(7b)에 형성된 요홈(7e)(제 8 도 참조)에 와셔(14)가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됨과 동시에, 이 와셔(14)의 외주부의 돌부는 상기 너트(15)의 주연에 형성된 복수개의 절결부에의 걸림 위치에 절곡시킨다.
상기 원추상 마찰링(12)의 대경측 단면에는 링 끼워 맞춤부인 절결부(12d) 한 곳에 내지 여러 곳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2d)는 주방향의 양단이 단부 모서리와 거의 직각을 이루어 구동치차(16)의 내측에 달하도록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구동치차(16)에는 원추상 마찰링(12)의 각 절결부(12d)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동륜 끼워 맞춤부인 사다리꼴의 절결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6a)는,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상방향의 선단측이 단연측과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권상방향의 후단측이 단부 모서러쏙으로 넓어지는 경사변(16b)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추상 마찰링(12)과 구동치차(16)에 대향하는 곳에는 조사륜(17)이 형성되어 있으여, 이 조작륜(17)은 상기 각 절결부(12d,16a)에 삽입되는 돌기부(17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륜의 돌기부(17a)와 상기 마찰링의 절결부(12d) 및 상기 구동륜의 절결부(16a)는 그요철 관계를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조작륜(17)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공동(17b)과 이보다 소경의 관통공(1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7c)에는 상기 구동축(5)의 스플라인부(5b)에 끼워지는 스프링 가압부재(18)가 결합되여, 이 스프링 가압부재(18)의 외경상에는 상기 조작륜(17)이 회전 자유롭게 되어 있다. 도면부호(19)는 상기 구동축(5)의 소경나사부(5c)에 나사결합된 너트로서, 이 너트(19)는 상기 스프링 가압부재(18)가 구동축(5)으로부터 탈락항을 방지한다.
상기 스프링 가압부재(18)는 그 외단쪽의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상기 조작륜(17)의 공동(17b)의 내주면과 결합되어서 상기 조작륜(17)과의 사이에 폐쇄된 환상공간부(20)를 형성하고 있다. 스프링 가압부재(l8)에 결합된 조작륜(17)은 상기 환상 공간부(20)에 장착된 스프링(21)에 의하여 구동치차(16)쪽으로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가압부재(7)와 조작륜(17)의 외주에는 구동치차(16)를 둘러싸도, 구동축(5)의 둘레에 회전 자유로운 조작레바(2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23은 조직레바(22)내에 수납된 절환 클릭으로서, 이 절환 클릭(23)은 조작레바(2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축(24)에 고정된 손잡이(25)의 절환조작에 의하여 구동치차(16)와의 권상 및 권하방향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행한다.
즉, 제 l 도 및 제 2 도는 절환 클릭(23)의 결합해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손잡이(25)를 제 2 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2점 짐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시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절환 클릭(23)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치차(16)를 권상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치차(16)와 결합된다. 한편, 손잡이(25)를 제 2 도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2점 점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회전하면, 절환 클릭(23)은 구동치차(16)를 권하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도면 부호 26은 조작레바(22)내에 장착된 누를부재로서, 이 누름부재(26)는 스프링(27)에 의하여 절환 클럭(23)에 항상 가압되며, 이로써, 손잡이(25)에 의하여 소정의 위치에 회전된 절환 클럭(23)을 그 상태로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동작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정격하중내 상태에서의 권상의 경우
구동치차(16)가 권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절환 클릭(23)을 결합시킨 후, 조작레바(22)를 왕복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설정된 정격하중내에서는, 상기 구동치차(16)와 마찰 결합된 원추상 마찰링(12)이 구동치차(16)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며, 나아가서는, 요철부(12b,7c···)에 의하여, 스플라인 결합된 가압부재(7)를 통하여 구동축(5)을 권상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시하지 않은 치차열에 의하여 로우드 시이브(3)를 구동축(5)과 동방향으로 회전하여 정격하중내의 하중을 권상한다.
(B) 과부하 상태에서의 권상와 경우
로우드 시이브(3)에 작용하는 부하가 과부하의 경우, 조작레바(22)의 왕복 회전에 의하여 하중을 권상하고자 하여도 구동치차(16)의 회전에 요하는 회전력이 원추상 마찰링(12)과 구동치차(16)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보다도 커져서, 양자의 사이에 미끄럼이 생긴다.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구동치차(16)가 조작레바(22)에 의하여 권상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돌기부(17a)에 의하여 원추상 마찰링(12)의 절결부(12d)와 구동치차(16)의 절결부(6a)에 결합되어 있는 조작륜(17)은 상기 조작륜의 돌기부(17a)가 절결부(16a)의 경사변(16b)위를 접동하면서 스프링(2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구동치차(16)의 측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압출되어(제 1 도에서 우측방향),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치차(1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러므로, 과부하가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레바(22)를 왕복 회전하여도 조작륜(17)과의 결합이 해제된 구동치차(16)는 원추상 마찰링(12)에 대하여 공회전하여 과부하의 권상에 따른 장치의 손상은 자동적으로 방지된다.
(C) 권하(Unwinding)의 경우
한편, 절환 클릭(23)을 권하방향으로 절환하여 조작레바(22)를 왕복 회전시키면, 절환 클릭(23)과 결합하는 구동치차(16)는 권하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로우드 시이브에 가해지는 하중이 정격하중 이하인 경우에는, 구동치차(16)와 원추상 마찰링(12)이미끄러짐 없이 가압부재(7)를 이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만약, 하중이 걸려 로우드 시이브측에 과부하가 걸리면, 이 과부하에 의하여 구동치차가 회전되며, 또한 축구동 부재(6)가 회전되어서, 가압부재와의 사이에 래치트를 강하게 끼워 구동치차(16)는 원추상 마찰링(12)위를 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륜(17)의 돌기부(17a)가 구동치차(l6)의 절결부(16a)의 권상방향 선단측의 단면과 직각인 면(16d)에 결합한다. 이로써, 구동치차(16)가 권하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작륜(l7)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제 6 도 참조)
그러고, 조작륜(17)이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치차(16)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동치차(16)의 회전에 의하여, 절결부(16a)가 돌기부(17a)와 대향하는 위치에 이동외면, 스프링(21)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는 조작륜(17)은 구동치차(16)측으로 이동하며, 조작륜(17)의 돌결부(17a)는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치차(16)의 절결부(16a)와 결합되며, 그 이후, 조작륜(17)은 구동치차(16)와 동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조작륜(17)의 돌기부(17a)는 원추상 마찰링(12)의 절결부(12d)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조작륜(17)이 구동치차(16)와 일체로 회전되며, 이 조작륜(17)은 돌기부(17a)에 결합되어 있는 원추상 마찰링(12)을 권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써, 원추상 마찰링(12)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가압부재(7)는 마찰부재(9)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마찰부재(9)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래치트(10)와의 마찰결합이 해제된 축구동 부재(6)는 로우드 시이브(3)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구동축(5)과 함께, 하중을 내리는 방향(권하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 구동축(5)은 가압부재(7)가 마찰부재(9)쪽으로 이동하여 마찰부재(9)가 재차 가압될때까지 회전되머,이 기간동안 하중은 권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권상기에 걸려있는 정격내의 하중에 예기치 않은 힘이 작용하여 과부하 상태로 되거나, 또는 권상기가 트랙의 부하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어 트랙의 가로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하여 장치에 과부하가 작용했을 경우에도 조작레바(22)에 의하여 구동치차(16)를 권하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로우드 시이브(3)에 걸려 있는 하물을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로우드 시이브(3)에 작용하고 있는 과부하 상태의 부하를 이완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극히 우수한 수동식 권상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1) 과부하의 권상(과부하로 들어 올릴 경우)에 있어서는, 구동치차가 조작륜을 결합해제하여 공회전하거나, 하물을 들어올리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2) 들어올리거나, 또는 하중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여 과부하 상태로 된 경우에도 조작륜을 통하여 구동치차의 회전을 구동축에 전달할 수가 있으므로, 짐을 내릴 수가 있다.
즉, 조작레바를 왕복 회전시키는 등으로 하여, 구동륜을 짐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작륜이 구동치차에 결합되어 가압부재를 마찰부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로우드 시이브는 권하 또는 짐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된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구동륜이 구동치차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구동륜의 수동식 스프로궷 휘일이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백히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라고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여러가지 변경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됨은 틀림없다.

Claims (8)

  1. 과부하를 방지하는 수동식 권상기에 있어서, 로우드 시이브(3)에 연결되는 구동축(5)에는 축구동 부재(6)가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5) 에는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한 역전 방지륜(10)이 회전 자유롭게 끼워 넣어지며, 상기 구동축(5)에는 가압부재(7)가 나사 결합되여, 상기 가압부재(7)는 권상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역전 방지륜(10)을 상기 축구동 부재(6)에 대하여 가압하여 제동가능하게 하며, 상기 가압부재(7)의 축구동 부재(6)와 반대측으로 대향하여는 마찰링(12)이 배치되며, 상기 마찰링(l2)은 상기 가압부재(7)에 대하여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나, 주방향으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가압부재(7)와 마찰링(12)과의 사이에는 구동륜(16)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륜(16)을 상기 마찰링(12)과 상기 가압부재(7)와의 사이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누룸 수단(13,14,15)이 배치되며,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는 회전 자유로운 조작륜(17)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륜(l7)에는 결합부(l7a)가 형성되며, 상기 마찰링(12)에는 상기 조작륜(17)이 결합부(17a)와 끼워 맞춥 가능한 링 끼워 맞춤부(12d)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륜(16)에는 상기 조작륜(17)의 결합부(17a)와 끼워 맞춤 가능한 구동륜 끼워 맞춤부(16a)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륜(17)의 결합부(17a)가 상기 링 끼워 맞춤부(12d)와 구동륜 끼워 맞춤부(l6a)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구동륜(16)이 권상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상기 구동륜(l6)과 마찰링(l2)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구동륜(16)이 권하방향으로 회전할때는 상기 구동륜(l6)과 마찰링(12)은 상기 조작륜(17)의 결합부(17a)를 통하여 일체로 회전하는 수동식 권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륜(17)의 결합부가 돌기부(17a)인 한편, 상기 마찰링(12)의 링 끼워 맞춤부(12d) 및 상기 구동륜(16)의 구동륜 끼워 맞춤부(16a)가 절결부이며, 상기 링 끼워 맞춤부(12d)인 절결부는 주방향 양단이 상기 마찰링(12)의 단면과 거의 직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구동륜(16)의 내측에 달하도록 절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륜 끼워 맞춤부인 절결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권상방향의 선단측이 단연측과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고, 권상방향의 후단측이 단연측으로 넓어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동식 권상기. ·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 방지륜은 래치트 기구의 클릭차(10)인 수동식 권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12)과 상기 가압부재(7)는 스플라인 결합되어서, 상대적으로 축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주방향으로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동식 권상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12)은 그 외경이 상기 가압부재(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7)의 내면은 상기 마찰링(12)의 외경면에 마찰 결합하는 원추면으로 되어 있는 수동식 권상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룸 수단은 상기 구동축(5)상에 형성되며, 상기 마찰링(12)에 접촉하는 접시형 스프링(13)과 이 접시형 스프링(13)의 내주단부에 접촉하는 와셔(14)와, 상기 구동축(5)에 나사 결합하는 가압력 설정너트(15)로써 구성되는 수동식 권상기.
  7. 제 l 항에 있어서, 구동륜은 구동치차(16)로써 레바(22)에 의하여 회전되는수동식 권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륜은 스프로켓 휘일(sprocket wheel)인 수동식 권상기.
KR1019870009805A 1986-09-10 1987-09-04 수동식 권상기 KR900006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13628 1986-09-10
JP213628 1986-09-10
JP61213628A JPS6371098A (ja) 1986-09-10 1986-09-10 レバ−式捲上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826A KR880003826A (ko) 1988-05-30
KR900006651B1 true KR900006651B1 (ko) 1990-09-15

Family

ID=1664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805A KR900006651B1 (ko) 1986-09-10 1987-09-04 수동식 권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68754A (ko)
JP (1) JPS6371098A (ko)
KR (1) KR900006651B1 (ko)
BE (1) BE1001836A4 (ko)
GB (1) GB2196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38909C (en) * 1987-03-05 1997-02-11 Curtis M. Brubaker Radio control toy
JPH0633155B2 (ja) * 1990-10-19 1994-05-02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US5368429A (en) * 1991-04-29 1994-11-29 Young; Roland O. Panel lifting apparatus
JPH0729754B2 (ja) * 1991-07-23 1995-04-05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捲上機
US5351937A (en) * 1991-09-20 1994-10-04 Elephant Chain Block Company Limited Hoist and traction machine with free rotation control
JP2597273B2 (ja) * 1992-08-27 1997-04-02 象印チエンブロック株式会社 捲上牽引機における遊転制御装置
US5364073A (en) * 1992-12-21 1994-11-15 Ingersoll-Rand Company Free-chain device for a lever hoist
DE4401184C2 (de) * 1993-02-17 1998-10-29 Vital Chain Block Mfg Hebezeug
JPH0729756B2 (ja) * 1993-03-17 1995-04-05 株式会社二葉製作所 レバー式牽引巻上機における遊転装置
TW266198B (ko) * 1993-10-05 1995-12-21 Shoin Chain Block Kk
US5791579A (en) * 1996-09-03 1998-08-11 Columbus Mckinnon Corporation Overload prevention clutch assembly
US6439078B1 (en) 2000-09-08 2002-08-27 Fki Industries Inc. Overload protection device for a lever
US6517054B2 (en) * 2001-04-23 2003-02-11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Lever hoist with overload preventing device
US6578824B2 (en) * 2001-04-23 2003-06-17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Overload-preventing device for winch
CN101249931B (zh) * 2007-05-01 2011-11-09 杭州武林机器有限公司 轻巧型铝合金环链紧线器
JP4498385B2 (ja) * 2007-05-22 2010-07-07 ジヤトコ株式会社 オイルポンプ駆動機構
CN101337643B (zh) * 2007-08-15 2010-09-29 浙江润华机电有限公司 一种电动绞盘离合器
TWM359540U (en) * 2009-02-23 2009-06-21 Yi-De Pan Manual clutch structure for crane
CN102233843B (zh) * 2011-05-03 2013-07-17 浙江双友物流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链条式拉紧器
JP5804986B2 (ja) * 2012-03-08 2015-11-04 株式会社キトー 手動巻上牽引装置
CN104477807B (zh) * 2014-12-18 2016-09-07 重庆维大力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手扳葫芦的制动离合装置
US9994433B2 (en) * 2016-02-18 2018-06-12 Jpw Industries Inc. Brake/clutch device for manual hois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90129A (en) * 1945-04-13 1947-07-09 Gyral Gea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ches and the like
GB519927A (en) * 1938-07-07 1940-04-10 Ivan Petrovitch Shirsho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nches or the like
DE1195920B (de) * 1964-01-29 1965-07-01 Heinrich De Fries G M B H UEberlastsicherung fuer handbetaetigte Hebezeuge
NL7018479A (ko) * 1969-12-30 1971-07-02
US3776514A (en) * 1971-04-28 1973-12-04 Dresser Ind Overload regulator for lever hoists
DE2121017A1 (de) * 1971-04-29 1972-11-02 Uher Patent AG. Zug (Schweiz) Ankerwinde mit Hand- und/oder Motorantrieb
US3741527A (en) * 1971-10-12 1973-06-26 Eaton Corp Stress limiting hoist
US4251060A (en) * 1977-12-20 1981-02-17 Kabushiki Kaisha Kito Hand hoist
JPS58157697A (ja) * 1982-03-11 1983-09-19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
JPS58216895A (ja) * 1982-06-09 1983-12-16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597695A (ja) * 1982-07-02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597696A (ja) * 1982-07-05 1984-01-14 株式会社キト− レバ−式小型巻上兼牽引装置における遊転装置
JPS60202093A (ja) * 1984-03-22 1985-10-12 バイタル工業株式会社 捲上機の過負荷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96929A (en) 1988-05-11
BE1001836A4 (fr) 1990-03-20
GB8721239D0 (en) 1987-10-14
US4768754A (en) 1988-09-06
JPH0244759B2 (ko) 1990-10-05
JPS6371098A (ja) 1988-03-31
GB2196929B (en) 1990-01-10
KR880003826A (ko) 198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651B1 (ko) 수동식 권상기
JP3096290B1 (ja) 過負荷防止装置付き巻上機
JPS6239029Y2 (ko)
US4664357A (en) Overload avoiding arrangement for a hoist
US20220274813A1 (en) Lifting gear
JPH0729754B2 (ja) レバー式捲上機
JPH04159999A (ja) レバー式捲上機
JPH0460916B2 (ko)
JP3280315B2 (ja) レバー式捲上機
JPH10220491A (ja) 荷役機械の過負荷制御機構
US4325470A (en) Hoist overload clutch
JP2782061B2 (ja) レバー式捲上機
US3695402A (en) Plunger stopped bi-directional no-back assembly
WO2006103866A1 (ja) 巻上機における過負荷防止装置
US4819913A (en) Lever type hoisting machine
US4436333A (en) Hand operated hoist having improved means controlling free rotation of a load sheave
US5429339A (en) Rope traction device
JP3953824B2 (ja) 巻上牽引機
JPH0241515B2 (ko)
KR840002136B1 (ko) 수동식 권상기
JPS6316714Y2 (ko)
JPS6322493A (ja) レバ−式捲上機
JP2024072859A (ja) ラチェット機構
JPH0777958B2 (ja) 捲上牽引機
JPH02606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