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352B1 - 개량된 방사선 중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량된 방사선 중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352B1
KR900006352B1 KR1019810003267A KR810003267A KR900006352B1 KR 900006352 B1 KR900006352 B1 KR 900006352B1 KR 1019810003267 A KR1019810003267 A KR 1019810003267A KR 810003267 A KR810003267 A KR 810003267A KR 900006352 B1 KR900006352 B1 KR 90000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aromatic
polyamide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762A (ko
Inventor
리 고프 데이빗드
렁 유안 에드워어드
프로스코우 스티이븐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에이 엔 리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에이 엔 리이디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3000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side groups
    • C08F290/14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145Polyamides; Polyesteramides; Polyim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5/00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amides or polyim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량된 방사선 중합 조성물
본 발명은 반도체 및 콘덴서와 같이 전기장치에 대한 양각구조를 힝성하는데 유용한 개량된 중합 열저항광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치에 대한 양각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광중합성 중합체 조성물은, 1976. 4.27일 특허된 시구쉬등의 미국특허 제3,953,877호, 1976.5.18일 특허된 클리버그등의 미국특허 제3,957,512호와 1977.8.9일 특허된 러브너등의 미국특허 제4,040,831호(1980.1.8일 재특허된 재특허번호 제30,186호)에 나타난 바와같이, 잘 알려져 있다. 이를 조성물을 광중합하는데 필요한 방사선 노출시간이 현대 공정에 대해서 너무 길기 때문에, 이를 조성물은 상업적인 사용에 한계가 있다. 1분의 노출시간(30초 이하의 시간정도가 바람직함)이 공정을 효과적으로 하는데 필요하다. 본 발명의 개량된 조성물은 비교적 짧은 시간의 방사선 노출에서 광중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광중합성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와 수지에 대한 용매의 개량된 방사중합성 조성물은 다음을 함유한다 : (a) 방사선에 민감한 중합성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b) 방향족 비이미다졸의 광중합 개시제.
본 개량된 방사 중합성 조성물은 콘덴서 및 반도체와 같은 전기장치에 대한 양각구조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조성물의 용액은 이산화규소 막으로 피복된 실리큰 웨이퍼와 같은 기판에 적용되고 건조되어서 기판에 필름을 형성한다. 필름은 어떤형태를 통하여 방사선에 노출되고 광중합되어 양각구조를 형성한다. 필름의 노출되지 않고 중합되지 않은 부분은 현상 용액으로 용해제거된다. 그 결과 생성된 양각구조는 베이킹(baking)시켜 광중합된 물질을 제거하고 기계적, 화학적 및 전기적 성질이 좋고 한계가 예리한 폴리이미드 구조를 형성시킨다.
방사선 노출시간을 감소시키고 광중합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광중합성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마이드에스테르 수지의 조성물중에 다음 성분이 사용된다:수지중량 기준으로, 방사선에 예민한 중합성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약 5-30중량%, 수지중량 기준으로, 방향족 비이미다졸의 광중합 개시제 약 0.5-15중량%.
전형적으로 유용한 방사선에 예민한 중합성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 트리에틸을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프로판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폴리에톡실레이트 트리에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폴리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와 그의 혼합물 양호한 것은 평균분자량이 약 500-1500인 트리메틸올 프로판 폴리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틸올 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가 있다.
조성물중에 상기 중합성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고 증진된 결과, 즉 더 짧은 중합시간을 얻을 수 있다. 가장 실질적인 경제적인 공정을 위해서는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존재해야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참고로한 모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서 결정된다.
전형적인 방향족 비이미다졸 광중합 개시제는 1969.11 18일 챔버에게 특허된 미국특허 제3,479,185호와 1974.1.8일 쎄스콘에게 특허된 미국특허 제3,784,557호에 기술되어 있는데, 이들 특허는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였다. 2패닐 환에 오르토 치환체를 갖는 2,4,5-트리페닐 이미다졸일 이합체가 특히 유용한 개시제이다. 이 형내의 전형적인 개시제는 2-0-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일 이합체, 2-(0-플루오로페닐) -4,5-디페닐이미다졸일 이합체, 2-(0-메톡시페닐) -4,5-디페닐-이미다졸일 이합체가 있다. 특히 양호한 것은 비스(2-0-클로로페닐-4,5-디페닐이미다졸일)과 비스[2-0-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이이다졸일]인데, 그 이유는 이들 개시제가 안정하여 우수한 광중합 개시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1971.1.5일 피쉬맨에게 특허된 미국특허 제3,552,973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중합 개시제로서 헥사아릴 비이미다졸이 이용될 수 있다.
광중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수지중량 기준으로 약 0 1-10중량%의 기타 광중합 개시제와 광감제가 조성물내에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유용한 광감제와 개시제들은 벤조페논, 미치러의 케톤[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아클릴옥시-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메톡시 -4' - 디메틸틸아미노벤조페 논, 2 -에틸안트라퀴논, 펜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 논, 1,2-벤즈안트라퀴논, 2,3-벤즈안트라퀴논, 2,3-디클로로나프토퀴논, 벤질디메틸케탈, 및 상기 미국특허 제3,552,973호에 기술된 기타 방향족 케톤과 같은 방향족 케톤;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 벤조인 에틸 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 에테르 및 벤조인 페닐 에테르와 같은 벤조인 에테르, 메틸벤조인, 에틸벤조인과 기타 벤조인이 있다.
감광제 및 광중합 개시제 모두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감광제가 첨가되지 않는다면 광중합시간이 더 길다.
중합이 종결될때 색을 변경시키며 중합을 급속히 시작하게 하는 수소주개인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미국특허 제3,552,973호, 6컬럼, 6행-11컬럼,9행에 기술된 염료와 같은 류코(Leuco) 염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염료는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였다. 전형적으로 유용한 염료에는 트리스(디에틸아미노-0-톨일) 메탄, 트리스(디메틸아미노-0-옥실일) 메탄과 트리스(디프로필 아미노-0-톨일) -에탄과 같은 알킬 아미노-방향족 알칸이 있다.
본 조성물에서 사용된 광중합 수지는 광중합성이며 열적, 전기적 및 화학적 성질이 좋은 중합체를 형성하는 올레핀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어떤 수지형태일 수 있다.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가 특히 유용하다. 이들 수지는 상기 러브너의 미국 재특허 제30,186호에 따라 제조되는데, 여기서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을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로 에스테르화하고 이어서 디아민과 반응시킨다. 전형적인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과 디아민은,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고 1965.4.20.일 에드워드에게 특허된 미국특허 제3,179,614호에 기술되어 있다.
전형적인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는 다음과 같다 :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부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
전형적으로 유용한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는 다음 구조를 갖는다 :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는 이성구조이고, R은 방향족 라디칼이며, R1은 광중합성 올레핀 이중결합을 갖는 유기라디칼이며, R2는 방향족, 지방족 또는 환식 지방족 라디칼이고 n은 수지가 약 5,000-75,000의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을 정도로 충분히 큰 양의 정수이다.
특히 한가지 유용한 폴리아마이드 에스테트 수지는 중량 평균분자량이 약 15,000 -60,000인 피토멜리틱이무수물,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옥시디아닐린의 반응 생성물이다.
중합체를 용해시키고 조성물을 이용점도로 희석시키기 위해 홀로 또는 혼합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부티로락톤,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와 헥사메틸인산 트리아마이드가 있다.
조성물은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광중합성 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 약 10-40중량%와 수지에 대한 용매 약 60-9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용매와 비용매의 혼합물은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아 중합되지 않은 수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현상 용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현상용액은 4-부티로락톤/톨루엔(중량비 2/1-1/4) 와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탄올(중량비 2/1-1/4)가 있다.
또한, 가소제도 수지중량 기준으로 0.1-10중량%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전형적인 가소제는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헥실 프탈레이트, 디노닐 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에테르,에틸렌 글리콜 디카프로레이트가 있다.
조성물을 기판에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성물이 적용된 다음 약 20분-5시간 동안 약 30-100℃에서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건조된다. 이때 필름은 약 1초-5분 동안 원형(pattern)으로 노출된다. 바람직하케는 경제적인 공정을 위해서 1-60초의 노출시간이 필요하고 보통 30초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전형적인 방사선 공급원은 파장 250-400나노미터와 강도 0.5-60mw/㎠ 자외선 램프이다.
노출 후, 필름은 현상액에 담그거나 분무되어 비용매로 세척된 다음 건조된다. 필름은 약 200-400℃에서 약 20분-4시간 동안 베이킹(baking)하여 폴리이미드 양각구조로 경화된다. 경화하는 동안 모든 아크릴레이트 성분은 분해되어 폴리이미드 구조가 헝성된다. 그 결과 형성된 양각구조는 예리한 한계와 양호한 화학적, 전기적 및 기계적 성질을 갖는다.
조성물의 전형적인 용도는 다음과 같다. 반도체에 대한 보호막, 다층 집적회로에 대한 유전층, 고온 땜납마스크, 다층 회로 결합, 전기장치에 대한 최종 표면안정 피막 등.
다음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예증한다. 모든 부와 퍼센테지는 중량 기준이며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서 결정된다.
[실시예 1]
Figure kpo00002
*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21.8중량부를 헥사메틸인산 트리아미드 100용량부에 용해시키고, 얼음에서 냉각시키고 휘저어 섞으면서 메타크릴산-2-히드록시에틸 에스테르를 한방울씩 떨어뜨려 반응시키고 이어서 실온에서 4일간 휘저어 섞는다. 용액을 -5°-10℃에서 염화티오닐 24중량부를 계속적으로 한방울씩 떨어뜨려 반응시키고 1시간 동안 계속 휘저어 섞는다. 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용량부에 용해된 4,4'-디아미노 디페닐 메탄 19.8중량부의 용액을 한방울씩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냉각시키지 않으면서 계속 휘저어 섞는다.
상기 성분들은 용기에 장입되고 용기는 롤로에 놓여져 약 2시간 동안 혼합된 다음 그 결과 형성된 조성물은 1마이크론 여과기를 통하여 여과된다.
이산화규소 피막을 갖는 2인치 직경의 규소 웨이퍼는 스핀 피복기술에 의해 아미노실란 접착증진 용액으로 피복되며, 상기 피복기술에서 접착증진 용액이 이용된 후 30초 동안 웨이퍼는 3000rpm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 웨이퍼는 300℃에서 10분 동안 유지된다. 상기 제조된 조성물 A는 다음과 같이 환원된다 : 조성물A l0부 대희석 제1부(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n-메틸피롤리돈-1/1 중량비) 그리고 환원된 조성물은 3000rpm에서 10초 동안 상기 스핀 기술에 의해 이용된다. 조성물은, 스핀 조작동안 적외선(IR)에 노출된다. 조성물 A의 피복물은 55℃에서 2시간 동안 건조되어 약 12,500A 두께의 필름이 형성된다. 피복된 웨이퍼는 따로 4마이크론 떨어진 선과 함께 마스크를 이용하면서 356나노미터(nm)의 200와트 자외선 공급원과 약 5-6mw/㎠의 강도를 갖는 접촉인쇄기에 놓여진 다음 5초 동안 노출된다.
웨이퍼를 4-부티로락톤/톨루엔 용액(1/1)에 10초 동안 침지시켜 현상시킨 다음 도출되지 않은 조성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톨루엔으로 5초 동안 분무하여 세척한다. 그 다음 웨이퍼는 300℃에서 1시간 동안 경화되어 그 양각구조의 두께가 약 4,500Å이 된다.
또 다른 규소 웨이퍼는, 노출시간을 10초,15초,20초,30초,45초 및 60초로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10,15 및 30초의 노출시간으로는 허용치의 깨끗한 상을 형성시키나 그보다 더 긴30,45 및 60초의 노출시간으로는 지나친 노출로 인해 상이 희미해진다.
또 다른 규소 웨이퍼는, 하기 현상액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중량비가 1/1.2,1/1.4 및 1/1.6인 4-부티로락톤/톨루엔. 모든 현상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허용할 수있는 생성물을 얻게한다.
공지 조성물의 대표적인 조성물 B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
Figure kpo00003
성분들은 상기와 똑같은 방법으로 혼합되며 규소 웨이퍼는 상기 피복 및 건조방법을 이용하여 조성물 B와 상기 접착충진제로 피복된다. 피복된 웨이퍼는 상기와 같이(l0,15,20,30,45 및 60초) 상기 광원에 도출되고 4-부티로락톤/톨루엔 현상액(비율 1/1)을 이용하여 현상된다. 피복물은 상기와 같이 경화된다. 노출이 부족되어 허용치 미달인 양각구조가 형성된다. 광원에 대한 노출시간은 허용치의 상이 형성되기전에 3.5분으로 증가시켜야만 했다.
[실시예 2]
Figure kpo00004
상기 성분들은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방법으로 혼합되고 그 결과 형성된 조성물은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피복 및 건조방법으로 실시예 1에서의 접착증진제로 처리된 규소 웨이퍼에 피복된다. 피복된 웨이퍼는4.0분 동안 1.1mw/㎠의 자외선에 노츌되어 현상된 후, 세척된 다음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경화되어 피복물의 상이 깨끗하게 된다.
실시예 1의 조성물 B는 상기와 같이 이용되고 상기와 같은 시간 동안 똑같은 광원에 노출되고 현상 및 정화된다. 노출이 부족한 허용치 미달의 상이 형성된다. 노출시간은, 허용치의 상을 형성하기위해서, 약5-7분으로 증가되어야 했다.
[실시예 3]
다음 조성물들은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성분들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
Figure kpo00005
상기 조성물들은, 각각 실시예 1에서와 같은 건조 및 피복방법으로 접착증진제로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처리된 규소 웨이퍼에 피복된다. 각 피복물은 접촉인쇄기에서 1.1mw/㎠의 표면강도를 갖는 200W 광원을 이용하여 1분동안 노출된다. 피복된 각 웨이퍼는 4-부티로락톤/톨루엔 현상액(비율 1/3)에서 20초 동안 현상되어 톨루엔으로 10초 동안 세척된 다음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경화된다. 모든 웨이퍼는 허용치의 상을 갖는다. 조성물 D로 제조된 웨이퍼는 가장 좋고 가장 깨끗한 상을 갖는다. 조성물 C로 제조된 웨이퍼는 그다음 번째로 깨끗하며 이것은 조성물 E 및 F로 제조된 웨이퍼보다 더 좋다. 조성물 F로 제조된 웨이퍼에 대한 상은 조성물 E로 제조된 웨이퍼의 상보다 약간 좋다.
실시예 1의 조성물 B는 상기 방법으로 실시예 l에서와 같이 처리된 규소 웨이퍼에 피복된다. 1분동안 노출시키면 노출부족인 허용치미달의 상이 형성되었다. 웨이퍼에 선명한 상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출시간을 약 5-7분 동안 증가시켜야만 했다.

Claims (11)

  1. 하기 식의, 광중합성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와 수지에 대한 용매로 구성된 조성물에 있어서, (a)수지중량 기준으로, 방사선에 예민한 중합성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약 5-30중량%와 (b)수지중량 기준으로, 방향족 비이미다졸의 광중합 개시제 약 0.5-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량된 방사 중합 조성물.
    Figure kpo00006
    상기 식에서, ←는 이성구조이고, R은 방향족 라디칼, R1은 광중합성올레핀 이중결합을 갖는 유기 라디칼, R2는 방향족,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n은 수지가 겔 침투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서 결정된 약 5,000-75,000의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히 큰 양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의 R이 피로멜리트 이무수물로부터, R1이 하이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알킬 아크릴레이트로부터, R2는 방향족 디아민으로부터 온것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성 다기능 아크릴레이트가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토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올 프로판 폴리에톡실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토판 폴리에톡실레이트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렌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와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정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중량 기준으로 류코 염료 약 0.1-10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류코 염료가 알컬 아미노-방향족 알칸인 조성물.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가 비스(2-0-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일) 또는 비스[2-0-클로로페닐-4,5-디(m-메톡시페닐)이미다졸민인조성물.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외에, 수지중량 기준으로 감광제 약 0.1-10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가 피로멜리트 이무수물을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에스테르화하고 이어서 옥시디아닐린과 반응시킨 것이고, 다기능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약 500-1500의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는 트리메틸올 프로판 폴리에톡실레이트이고, 광중합 개시제가 비스(2-0-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일)이며 조성물이 수지중량 기준으로 트리스(디에틸아미노-0-톨일) 메탄 약 0.1-10중량%와 테트라메틸 디아미노벤조페논의 감광제 약 0.1-l0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가 피로멜리트 이수물을 히드록시 에틸 에타크릴레이트로 에스테르화하고 이어서 옥시디아닐린과 반응시킨 것이고, 다기능 아크릴레이트가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메틸올 프토판 트리아크릴레이트이고, 중합 개시제가 비스(2-0-클로로페닐-4,5-디페닐 이미다졸일)이며 조성물이 수지중량 기준으로 트리스(디에틸 아미노-0-톨일) 메탄 약 0.1-10중량%와 테트라메틸 디아미노벤조페논의 감광제 약 0 1-10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10. 하기 식의, 광중합성기를 함유하는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와 수지에 대한 용매로 구성된 조성물에 있어서, 수지중량 기준으로, 방향족 비이미다졸의 광중합 개시제 약 0.5-15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방사 중합 조성물.
    Figure kpo00007
    상기 식에서, →는 이성구조이고, R은 방향족 라디칼, R1은 광중합성 올레핀 이중결합을 갖는 유기 라디칼, R2는 방향족, 지방족 또는 환지방족 라디칼이며 n은 수지가 겔 침투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서 결정된 약 5,000-75,000의 중량 평균분자량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히 큰 양의 정수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폴리아마이드 에스테르 수지가 피로멜리트 이무수물을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에스테르화하고 이어서 옥시디아닐린과 반응시킨 것이고, 광중합 개시제가 비스[2-0-클로로페닐-4,5-디(메톡시페닐)이미다졸]이며 테트라메틸 디아미노 벤조페논의 감광제 약 0.1-10중량%를 함유하는조성물.
KR1019810003267A 1980-09-03 1981-09-02 개량된 방사선 중합 조성물 KR900006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648 1980-09-03
US06/183,648 US4329419A (en) 1980-09-03 1980-09-03 Polymeric heat resistan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s and capac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762A KR830007762A (ko) 1983-11-07
KR900006352B1 true KR900006352B1 (ko) 1990-08-28

Family

ID=2267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267A KR900006352B1 (ko) 1980-09-03 1981-09-02 개량된 방사선 중합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329419A (ko)
EP (1) EP0047184B1 (ko)
JP (2) JPS5776017A (ko)
KR (1) KR900006352B1 (ko)
AU (1) AU543702B2 (ko)
CA (1) CA1165932A (ko)
DE (1) DE3168153D1 (ko)
ES (1) ES505185A0 (ko)
GB (1) GB2083064B (ko)
HK (1) HK69085A (ko)
IE (1) IE51582B1 (ko)
IL (1) IL63717A0 (ko)
MY (1) MY8600180A (ko)
SG (1) SG7068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4312A (en) * 1980-09-03 1983-11-08 E. I. Du Pont De Nemours & Co. Photopolymerizable polyamide ester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 scavenger
US4518473A (en) * 1981-08-06 1985-05-21 The Upjohn Company Compositions and process
CA1195039A (en) * 1982-01-04 1985-10-08 David L. Goff Radiation-sensitive polyimide precursor composition derived from a diaryl fluoro compound
JPS58223149A (ja) * 1982-06-22 1983-12-24 Toray Ind Inc 感光性ポリイミド用現像液
DE3227584A1 (de) * 1982-07-23 1984-01-26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Fotolacke
DE3233912A1 (de) * 1982-09-13 1984-03-15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Fotolacke zur ausbildung von reliefstrukturen aus hochwaermebestaendigen polymeren
GB8321379D0 (en) * 1982-10-22 1983-09-07 Ciba Geigy Ag Positive image formation
JPS5978339A (ja) * 1982-10-28 1984-05-07 Fuji Photo Film Co Ltd 光重合性組成物
EP0110285A3 (en) * 1982-11-27 1985-11-21 Prutec Limited Interconnection of integrated circuits
US4548891A (en) * 1983-02-11 1985-10-22 Ciba Geigy Corporatio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prepolymers with olefin double bonds and titanium metallocene photoinitiators
DE3469608D1 (en) * 1983-07-01 1988-04-07 Philips Nv Photosensitive polyamic acid derivative, method of manufacturing polyimide pattern on a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polyimide pattern obtained by using the said method
DE3342851A1 (de) * 1983-11-26 1985-06-05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Fotolacke
US5125138A (en) * 1983-12-19 1992-06-30 Spectrum Control, Inc. Miniaturized monolithic multi-layer capaci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490774A (en) * 1983-12-19 1984-12-25 General Electric Company Capacitors containing polyfunctional acrylate polymers as dielectrics
US5032461A (en) * 1983-12-19 1991-07-16 Spectrum Control, Inc. Method of making a multi-layered article
US4499520A (en) * 1983-12-19 1985-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Capacitor with dielectric comprising poly-functional acrylate polymer and method of making
DE3485857T2 (de) * 1983-12-19 1992-12-10 Spectrum Control Inc Kondensator mit mehrfunktionelles acrylatpolymer enthaltendem dielektrikum und herstellungsverfahren.
US4842893A (en) * 1983-12-19 1989-06-27 Spectrum Control, Inc. High speed process for coating substrates
US4513349A (en) * 1983-12-19 1985-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Acrylate-containing mixed ester monomers and polymers thereof useful as capacitor dielectrics
US5018048A (en) * 1983-12-19 1991-05-21 Spectrum Control, Inc. Miniaturized monolithic multi-layer capaci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US5097800A (en) * 1983-12-19 1992-03-24 Spectrum Control, Inc. High speed apparatus for forming capacitors
US4568601A (en) * 1984-10-19 1986-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 of radiation sensitive polymerizable oligomers to produce polyimide negative resists and planarized dielectric components for semiconductor structures
EP0188205B1 (de) * 1985-01-15 1988-06-22 Ciba-Geigy Ag Polyamidester-Fotoresist-Formulierungen gesteigerter Empfindlichkeit
US4612210A (en) * 1985-07-25 1986-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 for planarizing a substrate
NL8601041A (nl) * 1986-04-23 1987-11-16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inrichting en inrichting vervaardigd met de werkwijze.
US4943471A (en) * 1986-05-20 1990-07-24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atterned thin film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H0770527B2 (ja) * 1987-02-27 1995-07-31 アメリカン テレフォン アンド テレグラフ カムパニー デバイス作製方法
DE3717933A1 (de) * 1987-05-27 1988-12-08 Hoechst Ag Photopolymerisierbares gemisch, dieses enthaltendes aufzeichnungsmateria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waermebestaendigen reliefstrukturen
JPS6461746A (en) * 1987-09-02 1989-03-08 Hitachi Ltd Heat-resisting photosensitive polymer composition
CA1303281C (en) * 1987-09-25 1992-06-09 Masakazu Uekita Patterned thin film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DE3808927A1 (de) * 1988-03-17 1989-10-05 Ciba Geigy Ag Negativ-fotoresists von polyimid-typ mit 1,2-disulfonen
US4908096A (en) * 1988-06-24 1990-03-13 Allied-Signal Inc. Photodefinable interlevel dielectrics
US4987160A (en) * 1989-01-31 1991-01-22 Union Camp Corporation Radiation-curable aminoamide acrylate polymer
US5155177A (en) * 1991-03-18 1992-10-13 Union Camp Corporation Three component aminoamide acrylate resin compositions
JP2546940B2 (ja) * 1991-11-06 1996-10-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US6099783A (en) * 1995-06-06 2000-08-08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for encapsulating microelectronic devices
US5786086A (en) * 1996-01-02 1998-07-28 Union Camp Corporation Conductive wire coating
KR100362937B1 (ko) * 1998-12-31 2003-10-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신규의포토레지스트가교제,이를포함하는포토레지스트중합체및포토레지스트조성물
US7208260B2 (en) 1998-12-31 2007-04-24 Hynix Semiconductor Inc. Cross-linking monomers for photoresist, and process for preparing photoresist polymers using the same
CN1930526A (zh) * 2004-02-19 2007-03-14 斯蒂茨丁荷兰聚合物学会 用于制备聚合物凸起结构的方法
WO2006085741A1 (en) 2005-02-09 2006-08-17 Stichting Dutch Polymer Institute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ic relief structure
CN110941142B (zh) * 2014-03-17 2021-05-25 旭化成株式会社 感光性树脂组合物、固化浮雕图案的制造方法、以及半导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96772A (ko) * 1962-03-21
US3380831A (en) * 1964-05-26 1968-04-30 Du Pon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and elements
US3479185A (en) * 1965-06-03 1969-11-18 Du Pon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and layers containing 2,4,5-triphenylimidazoyl dimers
US3552973A (en) * 1967-07-20 1971-01-05 Du Pont Light sensitive hexaarylbiimidazole/p- aminophenyl ketone compositions
US3623870A (en) * 1969-07-22 1971-11-30 Bell Telephone Labor Inc Technique for the preparation of thermally stable photoresist
NL177718C (nl) * 1973-02-22 1985-11-01 Siemens Ag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reliefstructuren uit warmte-bestendige polymeren.
DE2326314C2 (de) * 1973-05-23 1983-10-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liefstrukturen
US3897395A (en) * 1973-05-25 1975-07-29 Univ Notre Dame Du Lac Process for chain-extending unsaturated terminated polyimides and products prepared therefrom
DE2437348B2 (de) * 1974-08-02 1976-10-07 Ausscheidung in: 24 62 105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eliefstrukturen
CH615935A5 (ko) * 1975-06-19 1980-02-29 Ciba Geigy Ag
US4093461A (en) * 1975-07-18 1978-06-06 Gaf Corporation Positive working thermally stable photoresist composition, article and method of using
US4188224A (en) * 1976-02-23 1980-02-12 Ciba-Geigy Corporation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containing anthrones
US4132812A (en) * 1977-09-02 1979-01-02 W. R. Grace & Co. Photocurable imidizable polyene-polythiol compositions
US4080484A (en) * 1976-12-23 1978-03-21 W. R. Grace & Co. Photocurable imidizable polyene-polythiol compositions, method of coating therewith and coated articles
JPS5545748A (en) * 1978-09-29 1980-03-31 Hitachi Ltd Photosensitive polymer and i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303486A1 (es) 1983-02-01
KR830007762A (ko) 1983-11-07
CA1165932A (en) 1984-04-17
SG70685G (en) 1986-05-02
GB2083064B (en) 1984-08-15
JPS5776017A (en) 1982-05-12
GB2083064A (en) 1982-03-17
EP0047184A2 (en) 1982-03-10
US4329419A (en) 1982-05-11
JPH02210712A (ja) 1990-08-22
AU7482281A (en) 1982-03-11
JPH0233723B2 (ko) 1990-07-30
EP0047184A3 (en) 1982-07-21
IL63717A0 (en) 1981-12-31
AU543702B2 (en) 1985-04-26
HK69085A (en) 1985-09-20
EP0047184B1 (en) 1985-01-09
IE51582B1 (en) 1987-01-21
MY8600180A (en) 1986-12-31
DE3168153D1 (en) 1985-02-21
ES505185A0 (es) 1983-02-01
IE812006L (en) 198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352B1 (ko) 개량된 방사선 중합 조성물
US4416973A (en) Radiation-sensitive polyimide precursor composition derived from a diaryl fluoro compound
US4414312A (en) Photopolymerizable polyamide ester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ygen scavenger
US4454220A (en) Electrical device containing a radiation-sensitive polyimide precursor composition derived from a diaryl fluoro compound
JP6190805B2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US4430418A (en) Radiation-sensitive polyimide precursor composition derived from a diaryl fluoronated diamine compound
JP2010151946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感光性エレメント
JPH04288365A (ja) 感光性重合体材料
US4410612A (en) Electrical device formed from polymeric heat resistant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KR890004138B1 (ko) 감광성 폴리이미드 선구 물질 조성물
US4369247A (en) Process of producing relief structures using polyamide ester resins
JPS6315847A (ja) 感光性ポリイミド組成物
JPH0470661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477741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Goff et al. Radiation polymerizable compositions
JPH0130861B2 (ko)
JPS6337823B2 (ko)
JPH0495962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6282071A (ja)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JPH03233457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3186849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2305821A (ja) 感光性共重合体組成物
JPH01216345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H05165217A (ja) 感光性耐熱重合体組成物
JPH04240856A (ja) 感光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