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96Y1 - 배수겸용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배수겸용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96Y1
KR900005296Y1 KR2019870001414U KR870001414U KR900005296Y1 KR 900005296 Y1 KR900005296 Y1 KR 900005296Y1 KR 2019870001414 U KR2019870001414 U KR 2019870001414U KR 870001414 U KR870001414 U KR 870001414U KR 900005296 Y1 KR900005296 Y1 KR 900005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block body
coupling
retaining wal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6337U (ko
Inventor
이근희
Original Assignee
이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희 filed Critical 이근희
Priority to KR2019870001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96Y1/ko
Publication of KR880016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6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96Y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배수겸용 옹벽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배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 종단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종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집수블록체 20 : 제2집수블록체
11,21 : 집수공간 12,22 : 그라우팅홈
13,23 : 결합용 반원돌기 13',23' : 결합용반원홈
17,27,28 : 지하수 집수공 18,39,35',36' : 결합용 수직장공
19 : 배수공 33,34,35,36 : 단턱
37 : 보강돌기 38 : 매립공간
40 : 지하수 배출공 41,43 : 결합용 볼트
42,44 : 너트 45,46,47 : 셋팅용 돌기
48,49,50 : 셋팅용 홈 51 : 철책설치용 단턱
본 고안은 도로연변에 설치하여 빗물이나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와 옹벽(경사면)의 보호를 겸하는 배수겸용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로연변에서 우수나 지하수를 집수 및 배수하면서 옹벽을 보호함에 있어서는, 도로 연변에 다수의 집수공이 주면에 천공된 유공관을 매설하여 도로포장의 내부와 옹벽의 내부에서 출력되는 지하수를 집수토록하며, 유공관 상부측에는 상부에서 개방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배수블록을 설치하여 로면이나 옹벽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집수토록하고, 이들 유공관과 배수블록은 도로 연변에 있어 소정 간격마다 하수관에 연결하여 집수된 지하수나 빗물을 배수토록하며 옹벽에는 별도의 옹벽블록을 설치하거나 콘크리트 보호벽을 타설하여 옹벽을 보호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지하수를 집수하기 위한 유공관은 주면에 다수의 집수공이 천공된 것으로 출현되는 지하수가 집수공을 통해 유입되어 집수되는 것이지만 일단 집수된 지하수가 하수관으로 배수되기 전에 다시 집수공을 통해 유출되면서 도로포장내부로 침입되어 포장저층에 동상방지층이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파사고를 유발케되는 폐단이 있었다.
한편 종래 배수블록은 상부가 개방된 배수구가 형성된 것인바, 강수량이 많은 경우 배수구에 집수된 빗물등이 배수구를 넘쳐서 도로포장을 침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수구의 규격 즉, 폭과 깊이를 크게 하여야 하므로 배수 블록이 크게 되어 상대적으로 도로의 유효폭이 감소될뿐 아니라 차량이 도로연변을 따라 주행하거나 도로 진입시 차륜이 깊은 배수구에 빠져서 안전사고를 유발케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지하수 집수용 유공관과 빗물 집수용 배수블록 및 옹벽블록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시공이 번거로울뿐만아니라 도로 연변의 지반이나 옹벽이 침식되는 경우 유공관과 배수블록및 옹벽블럭이 각기 침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지하수 집수용 유공관과 빗물 집수용 배수블록 및 옹벽블록을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시공이 번거로울뿐만아니라 도로 연변의 지반이나 옹벽이 침식되는 경우 유공관과 배수블록 및 옹벽블럭이 각기 침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하수의 집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되면서도 일단 집수된 지하수가 다시 포장저층으로 침입되는 일이 없어 포장의 동파방지층에 의한 동파방지역활을 완벽하게 할 수 있으며, 빗물의 집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되면서도 집수구의 깊이와 폭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도로의 침수를 방지하고, 차량의 차륜이 집수구상을 지나더라도 주행에 지장이 없게 되어 상대적인 도로의 유효폭을 넓일 수 있으며, 유공관과 배수블록 및 옹벽블록을 각기 설치하지 않고 하나로 조립된 상태로 시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게 되고 도로 연변의 지반이나 옹벽이 침식되더라도 침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한 배수겸용 옹벽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배수겸용 옹벽블록은, 도시한 바와같이, 양단 하반부에는 그라우팅홈(12)(22) 이, 상반부 일측단에는 결합용 반원돌기(13)(23)가, 타측단에는 결합용 반원홈(13')(23')이 각각 형성되는 집수공간(11)(21)이 형성된 제1집수블록체(10)와 제2집수블록체(20)의 상면에, 양측단부에는 집수공(14')(24')이 천공된 뚜껑(14)(24)으로 복개되는 맨홀(15)(25)이, 맨홀(15),(25)사이에는 다수의 집수공(16')(26')이 천공된 집수홈(16)(26)을 형성하고, 제1집수 블록체(10)의 전면에는 지하수 집수공(17)을, 배면에는 결합용 수직장공(18)을, 저면에는 배수공(17)을, 배면에는 결합용 수직장공(18)을, 저면에는 배수공(19)을 각각 천공하며, 제2집수 블록체(20)의 전, 배면에는 지하수 집수공(27)(28)을 천공하고, 전면이 상부의 경사부(31)와 하부의 수직부(32)로 형성되어 배면에는 상하 좌우측 단턱(33)(34)(35)(36)과 중앙의 보강돌기(37)에 의해 매립공간(38)이 형성되며, 수직부(32)에는 결합용 수직장공(39)과 지하수 배출공(40)을, 하부단턱(34)에는 결합용 수평장공(34)을, 양측단턱(35)(36)에는 결합용 수직장공(35')(36')을 각각 천공한 옹벽블록체(30)를, 제1집수블록체(10)에는 상기 결합용수직장공(18)(39)에 관통되는 결합용 볼트(41)와 너트(42)로 체결하고, 제1집수블록체(20)에는 상기 결합용 수평장공(34')에 관통되는 결합용 볼트(43)를 상면의 배면측에 매립된 너트(44)에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제1 및 제2 집수불록체(10)(20)와 옹벽블록체(30)의 열측단면에는 셋팅용 돌기(45)(46)(47)를, 타측단면에는 셋팅용홈(48)(49)(50)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옹벽블록체(30)의 상부 단턱(33)에는 철책설치용 단관(51)을 매설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제2집수블록체(20)의 폭은, 제1집수블록체(10)의 폭과 옹벽블록체(30)의 하단부폭을 합한 크기로 한다.
상기 제2집수블록체(20)에 매설된 너트(44)는 블록체(20)의 제작시 매설하며, 볼트 삽입홈(29)가 형성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52, 53은 와샤편이다.
54는 도로, 55는 아스팔트표층 56은 아스팔트 기층, 57은 보조기층 58은 동상방지층(선택재로층) 이고, 59는 기초콘크리트, 60은 옹벽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수겸용 옹벽블록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도로(54)의 연변에 피트를 파고 바닥에 기초콘크리트(59)를 타설한 다음 그위에 제1집수블록체(10)와 제2집수블록체(20) 및 옹벽 블록체(30)를 결합한 상태로 설치하여 도로연변을 따라 블록체(10)(20)(30)이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즉, 블록체(10)(20)(30)를 각각 시공현장에 운반한 다음 현장에서 이들 블록체(10)(20)(30)를 하나의 유니트로 결합하는 것이다.
결합에 있어서는 옹벽블록체(30)의 하부 단턱(34)에 천공된 결합용 수평장공(34')에 결합용볼트(43)를 끼워 제2집수블록체(20)의 상면 배면측에 형성된 나사 삽입홈(29)을 통해 그안에 매설된 너트(44)에 체결함으로써 제2집수블록체(20)에 옹벽블록체(30)를 결합하며, 제1집수블록체(10)의 결합용 수직장공(18)과 옹벽 블록체(30)의 결합용수직장공(39)에 결합용 볼트(41)를 끼우고 너트(42)를 조여서 제1집수블록체(10)와 옹벽블록체(30)를 결합한다.
제1집수블록체(10)와 옹벽블록체(30)를 결합함에 있어서는 맨홀뚜껑(14)을 열고 맨홀(15)을 통해 볼트(41)를 수직장공(18)(39)에 끼우는 것이다.
여기서 제1집수블록체(10)를 결합하기 전에 제2집수블록체(20)의 맨홀뚜껑(24)을 열고 맨홀(15)을 통해 인접하는 제2집수블록체(20)의 그라우팅홈(22)에 몰틸 또는 그라우팅제를 채워서 결합부위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음 뚜껑(24)를 덮고 제1집수블록체(10)를 결합하며, 제1집수블록체(10)도 인접하는 블록체(10)간의 그라우팅홈(12)에 몰탈 또는 그라우팅제를 채워서 결합부위에서의 누수를 방지토록한다.
제1 및 제2집수블록체(10)(20)의 집수공간(11)(21)의 양단에 있어서 하반부는 그라우팅홈(12)(22)에 몰탈 또는 그라우팅제를 채워서 밀봉되고, 상반부는 결합용 반원돌기(13)(23)와 반원홈(13')(23')이 끼워 맞춰지므로 누수가 방지되어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옹벽 블록체(30)는 인접하는 블록체(30)간의 양측 단턱(35)(36)에 천공된 결합용 수직장공(35')(36')에 결합용 볼트를 키우고 너트(미도시)로 체결하는 것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각 블록체(10)(20)(31)를 도로 연변에 따라 연결함에 있어서는 각 양측단면에 셋팅용 돌기(45)(46)(47)와 셋팅용 홈(48)(49)(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 돌기(45)(46)(47)와 홈(48)(49)(50)을 맞추는 것에 의해 정확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블록체(10)(20)(30)를 도로 연변에 따라 연결 설치함에 있어 각 블록체(10)(20)(30)는 일직선상으로 연결되지 않고 도로 지반에 따라 굴곡되게 되는바, 각블록체(10)(20)(3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41)(43)가 끼워지는 수직장공(18)(39)과 수평장공(34') 및 옹벽블록체(30)의 양측단턱(35)(36)에 천공된 수직장공(35')(36')이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로 연변에 따라 굴곡지게 설치하더라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및 제2집수블록체(10)(20)의 집수공간(11)(21)의 양단에 있어서도 상반부는 결합용 반원돌기(13)(23)와 반원홈(13')(23')의 결합길이 만큼 여유가 있으므로 도로연변에 따라 굴곡이 생기더라도 틈이 벌어지는 일이 없게 된다.
본 고안의 배수겸용 옹벽블록의 설치가 완료되면 옹벽(60)과 블록체(20)(30)사이에 혹시나 시멘트 몰탈(61)등을 채워 넣으면 된다.
다음 필요에 따라 철책설치용 단관(51)에 철책(미도시)을 설치한다.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로(54)의 표면이나 옹벽(60)의 상부측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은 제1집수블록체(10)의 집수홈(16)에 집수되어 집수공(14')와 (16')을 통해 집수공간(11)내로 유입되며, 다시 배수공(19)을 통해 제2집수블록체(20)의 집수홈(26)에 집수되며 집수공(24')와 (26')을 통해 집수공간(21)로 유입되어 배수되며 일정구간마다 연결되는 하수관(미도시)으로 배수되는 것이다.
한편 도로(54)의 저층이나 옹벽(60)측에서 출현되는 지하수는 제1집수블록체(10)와 제2집수불록체(20)의 지하수 집수공(17)(27)(28)과 결합용 수직장공(18)을 통해 집수공간(11)(21)내로 집수되고, 집수공간(11)측에 집수된 지하수는 다시 집수공간(21)으로 유입되어 상기 빗물과 합류하여 배수되는 것이다.
여기서 빗물과 지하수는 집수공(14')(16') 및 (17)(27)(28) 및 수직장공(18)을 통해 원활하게 집수되며, 일단 제2집수블록체(20)의 집수공간(21)에 집수된 빗물이나 지하수는, 바닥에는 구멍이 없으므로 다시 지층으로 유출되는 일이 없이 배수되어 도로나 옹벽저층에 잔류하지 않게 되므로 도로(54)의 동파사고나 지반의 침식을 미연에 방지하여 도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로(54)의 연변에 노출되는 제1집수블록체(10)에서의 집수는, 집수홈(16)에서 집수하여 집수공간(11)로 재 집수하는 것이므로 집수홈(16)의 깊이나 폭을 작게 하여도 도로(54)가 침수되는 일이 없으며, 차량이 집수홈(16)상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되므로 도로(54)의 유효폭을 넓힐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및 제2집수블록체(10)(20)와 옹벽블록체(30)가 하나의 유니트로써 결합되는 것이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각 블록체(10)(20)(30)를 볼트(41)(43)와 너트(42)(44)로 체결되며 양단에서 셋팅용돌기(45)(46)(47)와 셋팅용 홈(48)(49)(50)이 끼워맞춰지고, 제1 및 제2집수블록체(10)(20)의 집수공간(11)(21)의 양단에서는 하반부의 그라우팅홈(12)(22)에 몰탈이나 그라우팅제를 채워서 결합하며 상반부의 결합용 반원돌기(13)(23)와 반원홈(13')(23')이 결합되므로 블록전체가 견고하게 설치되어 시공후 침하등 하자 발생을 최소한으로 줄일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단 하반부에는 그라우팅홈(12)(22)이, 상반부 일측단에는 결합용 반원돌기(13)(23)가, 타측단에는 결합용 반원홈(13')(23')이 각각 형성되는 집수공간(11)(21)이 형성된 제1집수블록체(10)와 제2집수블록체(20)의 상면에, 양측단부에는 집수공(14')(24')이 천공된 뚜껑(14)(24)으로 복개되는 맨홀(15)(25)이, 맨홀(15)(25)사이에는 다수의 집수공(16')(26')이 천공된 집수홈(16)(26)을 형성하고, 제1집수블록체(10)의 전면에는 지하수 집수공(17)을, 배면에는 결합용 수직장공(18)을, 저면에는 배수공(19)을 각각 천공하며, 제2집수 블록체(20)의 전, 배면에는 지하수집수공(27)(28)을 천공하고, 전면이 상부의 경사부(31)와 하부의 수직부(32)로 형성되며 배면에는 상하 좌우측 단턱(33)(34)(35)(36)과 중앙의 보강돌기(37)에 의해 매립공간(38)이 형성되며, 수직부(32)에는 결합용수직장공(39)과 지하수 배출공(40)을, 하부단턱(34)에는 결합용 수평장공(34')을, 양측단턱(35)(36)에는 결합용 수직장공(35')(36')을 각각 천공한 옹벽블록체(30)을, 제1집수블록체(10)에는 상기 결합용수직장공(18)(39)에 관통되는 결합용 볼트(41)와 너트(42)로 체결하고, 제2집수블록체(20)에는 상기 결합용 수평장공(34')에 관통되는 결합용 볼트(43)를 상면의 배면측에 매립된 너트(44)에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하며, 제1 및 제2집수블록체(10)(20)와 옹벽블록체(30)의 일측단면에는 셋팅용돌기(45)(46)(47)를, 타측단면에는 셋팅용홈(48)(49)(50)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옹벽블록체(30)의 상부 단턱(33)에는 철책설치용 단관(51)을 매설하여서 된 배수겸용 옹벽블록.
KR2019870001414U 1987-02-09 1987-02-09 배수겸용 옹벽블록 KR900005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414U KR900005296Y1 (ko) 1987-02-09 1987-02-09 배수겸용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414U KR900005296Y1 (ko) 1987-02-09 1987-02-09 배수겸용 옹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337U KR880016337U (ko) 1988-10-08
KR900005296Y1 true KR900005296Y1 (ko) 1990-06-15

Family

ID=1925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414U KR900005296Y1 (ko) 1987-02-09 1987-02-09 배수겸용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387B1 (ko) * 2008-07-01 2011-04-13 이정호 노반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6337U (ko) 198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6115A (en) Foundation waterproofing and drainage system
US5480260A (en) Ground water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CN213233719U (zh) 边坡地表截排水结构
KR900005296Y1 (ko) 배수겸용 옹벽블록
KR101416289B1 (ko) 측구
KR20070079372A (ko) 터널 또는 지하차도 배수 구조
CN109914182A (zh) 一种公路排水系统及新型高速公路
CN214363925U (zh) 一种截水渗沟系统
CN210264760U (zh) 隧道防水结构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CN112523802A (zh) 一种预制清污分离侧式水沟检查井及盖板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KR100647210B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JP3248437B2 (ja) 廃棄物処分場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2603614B1 (ko) 맨홀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추락방지 공법
CN210013081U (zh) 市政道路排水边沟
KR102606981B1 (ko) 맨홀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추락방지 공법
JP2559319Y2 (ja) 道路側溝ブロック体
JPH11286983A (ja) 多目的街渠構造
KR200224158Y1 (ko) 공동구조물
JPS62268429A (ja) 複合機能管路
JPH0715176B2 (ja) 複合機能管路
JP2007303088A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KR920005603Y1 (ko) 배수로용 집수조(集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