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16B1 - 평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16B1
KR900005116B1 KR1019870012652A KR870012652A KR900005116B1 KR 900005116 B1 KR900005116 B1 KR 900005116B1 KR 1019870012652 A KR1019870012652 A KR 1019870012652A KR 870012652 A KR870012652 A KR 870012652A KR 900005116 B1 KR900005116 B1 KR 90000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light emitting
signal
driver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638A (ko
Inventor
히로시 우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면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평면표시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평면표시장치를 다수이용해서 큰 화면으로 된 평면표시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제1도의 타이밍챠트.
제4도는 1행분의 발광표시소자의 점등상태변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동작파형도.
제6도는 브라이트신호공급회로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제7도는 제6도의 타이밍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부 3a,3b,5 : 드라이버회로
7a,7b : 쉬프트레지스터 9 : 디코더
11,13 : 카운터 15 : 브라이트신호공급회로
CA : 소등신호
본 발명은 발광표시소자를 이용한 평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명한 화상을 고속으로 표시할 수 있는 평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광소자를 표시화소로서 매트릭스상에 다수 배열해서 구성한 디스플레이패널(panel)이라 일컬어지는 평면표시장치가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panel)은 발광소자로서 예컨대 LED를 이용한 경우에는 LED가 저전압구동이 가능한 것이므로 IC 회로와의 조합이 용이하다. 또한, 적황,녹색 등의 각종 발광색이 얻어지므로 컬러화에도 적합할 뿐만 아니라 CRT 표시장치에 비해서 대형화가 가능하다는 등 많은 특징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은 통상 저속으로 구동되고 있는 바, 즉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일단 메모리등에 기억하여 처리한 다음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에 있어서는 화상의 고속적인 리얼타임표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발광소자를 이용한 종래의 디스플레이패널은 통상 저속으로 구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발광소자를 구동시키는 드라이버용 트랜지스터의 동작개시시간 및 동작이 끝나는 시간이 문제시될 정도로 고속으로 발광소자를 점등구동시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등의 CRT에 표시되는 화상을 리얼타임으로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개인용컴퓨터 등의 CRT의 화상은 수십 MHz 정도로 고속인 신호에 의해서 구동제어되고 있으므로 선명한 화상을 고속으로 리얼타임에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해서 발명된 것으로, 선명한 화상을 고속으로 표시할 수 있는 평면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발광소자를 행렬상으로 배치해서 소망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열방향의 상기 발광표시소자를 화상 데이터에 기초해서 점등제어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수단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열방향의 상기 발광소자를 행방향으로 이동주사시켜 주는 제2구동수단,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순차 상기 제1구동수단에 공급하는 제1구동제어수단, 상기 제2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2구동제어수단, 상기 제1 및 제2구동수단이 구동상태로부터 비구동상태로 이행하는 기간보다도 고속인 상기 클럭 신호로 상기 화상데이터가 입력되어 행방향으로 주사가 이행될 때에 상기 제2구동수단을 소정시간 비구동상태가 되도록하는 구동금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는 행렬상으로 배치된 1열분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제어하면서 이 1열분의 점등제어동작을 행방향으로 순차 주사함에 따라 소망의 화상을 표시하고 있으며, 행방향으로 주사가 이행할 때에 소정의 시간 발광표시소자의 점등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발광표시소자를 이용한 평면표시장치(디스플레이패널)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 나타낸 디스플레이패널은 예컨대 개인용컴퓨터에 있는 CRT에 표시되는 화상을 개인용컴퓨터의 CRT에 있어서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와 RGB 신호중 RG 신호 및 14~16MHz 정도의 비디오 RAM 스캔클럭신호를 이용해서 표시하는 것인데, 상기한 화상은 디스플레이패널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배열함으로써 큰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디스플레이패널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와 이 표시부(1)를 구동시켜 주는 드라이버회로(3a,3b,5), 상기 드라이버회로(3a,3b)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쉬프트레지스터(7a,7b), 상기 드라이버회로(5)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디코더(9) 및 카운터(11,13)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는 발광표시소자(예컨대 LED)를 횡방향으로 16개, 종방향으로 16개 매트릭스상으로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발광표시소자는 개인용컴퓨터등의 RGB 신호중 R,G 신호로 점등구동된다.
드라비어회로(3a,3b)는 표시부(1)의 횡방향(데이타방향)으로 배열된 16개의 LED에 각각 대응한 16개의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았음)로 구성되어 있으며, 데이터방향으로 배열된 LED는 각각에 대응한 드라이버로 점등제어되는데, 각각의 드라이버는 LED를 점등제어하기에 필요한 전류를 얻기 위해 예컨대 다링톤 접속된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 드라이버회로(5)는 표시부(1)의 LED를 종방향(공통방향)으로 주사구동시켜 주는 것으로, 16행의 공통방향으로 각각 대응한 16개의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회로(3a,3b)의 드라이버와 동일하게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쉬프트레지스터(7a,7b)는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데이터를 격납해서 쉬프트동작을 하는 것으로, 쉬프트레지스터(7a)는 R신호의 데이터(RED DATA)를 격납해서 쉬프트하는 것이고, 쉬프트레지스터(7b)는 G신호의 데이터(GREEN DATA)를 격납하여 쉬프트하는 것이다.
상기 각각의 쉬프트레지스터(7a,7b)에서는 데이터가 격납되는 1비트째~16비트째의 영역이 각각의 드라이버회로(3a,3b)의 16개의 드라이버에 각각 대응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드라이버는 각각에 대응한 영역에 순차 격납되는 R신호 또는 G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또, 디코더(9)는 카운터(13)의 출력을 디코드하여 드라이버회로(5)의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선택된 드라이버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것인데, 이런 디코더(9)는 표시부(1) 전체의 밝기를 제어하는 브라이트신호 및 소등신호(CA)가 하이레벨로 되면, 드라이버회로(5)의 드라이버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카운터(11)는 개인용컴퓨터에 있어서의 수십 MHz정도의 비디오 RAM 스캔클럭신호(이하 "클럭신호"라 한다)를 카운트하는 것으로, 이 카운터(11)는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16개 카운트하게 되면 소등신호(CA)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카운터(13)는 카운터(11)의 소등신호(CA)를 카운트하여 소등신호(CA)가 입력될때마다 드라이버회로(5)의 드라이버를 선택하는 신호를 디코더(9)로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제3도~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제1도의 타이밍챠트로서, 리셋트신호가 카운터(11,13)로 공급되면 카운터(11,13)는 리셋트되며, 드라이버회로(5)에 의해 표시부(1)의 공통주사선은 가장 아래단의 행이 지정되게 되며, 16개의 클럭신호가 순차 공급되면 공통주사선은 제1행째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구동시키기 위해 제1번째의 클럭신호에서 제1행째로 이동하게 된다. 더우기 16개의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R신호의 데이터 및 G신호의 데이터가 쉬프트레지스터(7a,7b)로 공급되어 순차 쉬프트격납된다.
이와같은 동작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발광표시소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6개의 클럭신호에 동기된 16개분의 데이터가 입력될때까지 각각의 발광표시소자에 대응한 쉬프트레지스터(7a,7b)의 제1~제16번째의 격납영역에 격납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점등/소등되고 있다. 이 때문에 16개의 데이터가 각각의 쉬프트레지스터(7a,7b)에 쉬프트격납될 때까지의 사이는 소위 고스트(ghost) 모양인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제4도에 16개의 클럭신호가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T2)동안에는 1행분의 발광표시소자가 소등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카운터(11)가 16개의 클럭신호를 카운트하고 있는 사이는 소등신호(CA)가 디코더(9)로 공급되어 디코드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그에 따라 드라이버회로(5)가 오프상태(비구동상태)로 되는 것으로, 1행분의 발광표시소자가 소등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16개의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16개의 각각의 데이터가 쉬프트레지스터(7a,7b)에 격납된 직후에 제17번째의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카운터(13)의 카운트값이 1만큼 증가되어 드라이버회로(5)의 제2행째의 드라이버가 선택되고, 1행째의 표시가 행해지지 않게 된다. 그래서 제16번째의 클럭신호가 공급되고 나서부터 제17번째의 클럭신호가 공급될 때까지의 사이에 데이터의 호울드시간(T1)를 설정해서 1행분의 화상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서 1행분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제어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행을 이동시킬 때마다 실행하므로써 표시부(1)에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클럭신호가 상기한 바와같이 수십 MHz로 상당히 고속인 동시에 각각의 드라이버가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라이버가 온상태로부터 오프상태로 될때까지의 오프시간을 T3라 하면 이 오프시간(T3)은 16개의 클럭이 입력될때까지의 시간(T2)보다도 길게 된다.
여기서 점등구동되는 발광표시소자가 예컨대 제1행째부터 제2행째로 이행하는 경우에 착안하면 제5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제17번째의 클럭신호에서 제2행째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제어하는 드라이버가 온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1행째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제어하는 드라이버가 오프상태로 이행하여도 이 드라이버가 제17번째의 클럭신호가 입력되고 나서부터 오프상태로 될때까지의 오프시간(T3)이 필요하게 된다. 더우기 이 오프시간(T3)의 사이에는 제2행째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제어하는 데이터가 제17번째 이하의 클럭신호에 동기해서 각각의 쉬프트레지스터(7a,7b)에 입력되어 각각의 드라이버회로(3a,3b)로 공급된다.
따라서 오프시간(T3)의 사이에 제1행째 및 제2행째의 발광표시소자는 동시에 점등구동상태로 되며, 제17번째 이하의 클럭신호에서 입력된 제2행째의 데이터는 제1행째에 표시되어 오표시(誤表示)로 된다.
한편, 제17번째의 클럭신호에서 제16열째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시키는 데이터 및 제18번째의 클럭신호에서 제15열째의 발광표시를 소등시키는 데이터가 쉬프트레지스터(3a,3b)에 입력된 경우에는 이들의 데이터가 클럭신호에 동기해서 순차 쉬프트되어 제16열째의 데이터가 쉬프트레지스터(3a,3b)의 제15번째의 격납영역에 격납되고, 그에 따라 제15열째의 드라이버가 온상태로 된다.
다음에 제16열째의 데이터가 제23번째의 클럭신호에서 쉬프트되어 제15열째의 드라이버가 오프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16열째의 드라이버가 온상태로 되고, 제16열째의 발광표시소자가 점등된다.
이때 제15열째의 드라이버가 오프상태로 될때까지의 오프시간(T3)을 요하므로 본래 제16열째의 발광표시소자를 점등시키기 적절한 데이터에서 소등하기 적절한 제15열째의 발광소자가 T3의 시간동안 점등되어 오표시로 된다
그래서 제2행째를 주사하는 드라이버가 온상태로 되는 시간을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T4만큼 지연시켜 제15열째의 드라이버가 오프상태로 된 다음에 제2행째를 주사하는 드라이버를 온상태로 되도록 한다. 더우기 제1행째를 주사하는 드라이버가 오프상태로 되는 시간을 T3만큼 빠르게 하여 제1행째를 주사하는 드라이버가 오프상태로 된 후에 제17번째의 클럭신호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기 위해 브라이트신호를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T5(T3+T4)의 기간 하이레벨상태로 하여 T5의 기간 디코더(9)로부터 제1행 및 제2행째를 주사하는 드라이버로의 구동신호의 공급을 정지시켜 제1행 및 제2행째를 주사하는 드라이버를 오프상태가 되도록 한다. 더구나 상기한 설명은 발광표시소자의 점등제어가 제1행째로부터 제2행째로 이행하는 경우이었지만 제2행째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한 타이밍의 브라이트신호를 공급하는 브라이트신호공급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타이밍챠트이다. 제6도에 도시한 브라이트신호공급회로(15)는 일련의 16개의 클럭신호를 입력신호로 해서 이 클럭신호의 제1번째의 클럭신호와 제16번째의 클럭신호를 이용해서 제5도에 도시한 브라이트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회로는 제1번째의 클럭신호를 트리거신호로 하여 전원(Vcc)으로부터 가변저항(R1)을 통해서 용량(C1)에 공급되는 전하가 용량(C1)에 축적되는 사이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Q1)를 출력한다.
더우기 제16번째의 클럭신호를 트리거신호로 하여 전원(Vcc)으로부터 가변저항(R2)을 통해서 용량(C2)에 공급되는 전하가 용량(C2)에 축적되는 사이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펄스신호(Q2)를 출력한다. 그래서 드라이버회로(5)의 드라이버의 오프시간(T3)에 따라서 가변저항(R1,R2)을 조정해서 전하가 용량(C1,C2)에 축적되는 시간을 변화시킴에 의해 펄스신호(Q1,Q2)가 하이레벨상태에 있는 시간(T6,T7)을 변화시켜 펄스신호(Q1,Q2)의 논리합을 취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브라이트신호를 얻게 된다.
이와같이 브라이트신호를 설정함에 의해 수십 MHz의 고속인 클럭신호에서 데이터가 입력되어도 점등제어되어야 할 데이터에서 확실하게 발광표시소자가 점등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행방향으로 주사가 이루어질때에 소정의 기간 발광표시소자의 점등제어를 정지시키게 되므로 고속으로 화상데이터가 입력되어도 발광표시소자가 정확하게 점등제어되어 발광표시소자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선명한 화상을 고속으로 표시할 수 있는 평면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발광표시소자를 행렬상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소망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열방향의 상기 발광표시소자를 화상데이터에 기초해서 점등제어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수단에 의해 점등제어되는 열방향의 상기 발광표시소자를 행방향으로 이동주사시켜 주는 제2구동수단,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1구동수단에 공급하는 제1구동제어수단, 상기 제2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2구동제어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구동수단이 구동상태로부터 비구동상태로 이행하는 기간보다도 고속인 상기 클럭신호에서 상기 화상데이터가 입력되어 행방향으로 주사가 이행될 때에 상기 제2구동수단을 소정기간 비구동상태가 되도록 하는 구동금지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KR1019870012652A 1986-11-10 1987-11-10 평면 표시장치 KR900005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65637 1986-11-10
JP61265637A JP2713893B2 (ja) 1986-11-10 1986-11-10 平面表示装置
JP86-265637 1986-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638A KR880006638A (ko) 1988-07-23
KR900005116B1 true KR900005116B1 (ko) 1990-07-19

Family

ID=1741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652A KR900005116B1 (ko) 1986-11-10 1987-11-10 평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24217A (ko)
EP (1) EP0267426B1 (ko)
JP (1) JP2713893B2 (ko)
KR (1) KR900005116B1 (ko)
DE (1) DE378430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474A (en) * 1990-05-16 1993-12-21 Intelli-Hos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ables
WO1991018482A1 (en) * 1990-05-16 1991-11-28 Intelli-Hos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ables
JPH05158433A (ja) * 1991-12-03 1993-06-25 Rohm Co Ltd 表示装置
US5903246A (en) * 1997-04-04 1999-05-11 Sarnoff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US8965794B2 (en) * 2003-03-07 2015-02-24 Hy-Ko Products Retail identification and inventory system
US20100126188A1 (en) * 2006-11-01 2010-05-27 Terence Andrew Clarke Exchangeable air-conditioning unit
US20100171773A1 (en) * 2007-06-13 2010-07-08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Circuit arrangement and actu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light sour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788A (en) * 1971-09-27 1975-09-30 Litton Systems Inc Driving circuits for light emitting diodes
JPS4869434A (ko) * 1971-12-22 1973-09-20
JPS5331578B2 (ko) * 1973-06-04 1978-09-04
JPS586530B2 (ja) * 1976-09-06 1983-02-04 ライオン株式会社 複合エマルジヨン
JPS5623159A (en) * 1979-07-30 1981-03-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ethod of stacking veneer
JPS5757407U (ko) * 1980-09-20 1982-04-05
JPS58137892A (ja) * 1982-02-10 1983-08-16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4309T2 (de) 1993-09-09
EP0267426A3 (en) 1989-08-23
JPS63121090A (ja) 1988-05-25
DE3784309D1 (de) 1993-04-01
EP0267426A2 (en) 1988-05-18
EP0267426B1 (en) 1993-02-24
US4924217A (en) 1990-05-08
KR880006638A (ko) 1988-07-23
JP2713893B2 (ja) 1998-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787B1 (ko) 이중 모드 디스플레이를 위한 라인 스캐닝 회로
EP0319293B1 (en) Display device
US5172108A (en) Multilevel image display method and system
US68316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44895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4951041A (en) Driving method for thin film 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thereof
JP3266288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4647927A (en) Display device
US20010033278A1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9990067894A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용 구동 회로
US4791415A (en) Digial driving type color display device
US6476779B1 (en) Video display device
KR900005116B1 (ko) 평면 표시장치
DE4240554A1 (en) Matrix display device e.g. LED, LCD, plasma display panel, fluorescent tube display - contains time controller suppressing group timing signal when timing signal interruption detected
KR2009005427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EP0371665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5029257A (en) Method for separating scan line drive in plasma display panel and circuit arrangement thereof
US8279160B2 (en) LED driving element, backlight device, and backlight device driving method
KR20180051884A (ko) Led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5206630A (en) Improved driving circuit for a gaseous discharge display device which provides reduced power consumption
JP2891730B2 (ja) 液晶表示装置と液晶駆動装置
JPS6318046Y2 (ko)
KR890000888B1 (ko) 대형 전광판 표시방법 및 장치
JP2612378B2 (ja) Ledドット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248693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