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893Y1 - 피막부착장치(被膜府着裝置) - Google Patents

피막부착장치(被膜府着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893Y1
KR900004893Y1 KR2019840010288U KR840010288U KR900004893Y1 KR 900004893 Y1 KR900004893 Y1 KR 900004893Y1 KR 2019840010288 U KR2019840010288 U KR 2019840010288U KR 840010288 U KR840010288 U KR 840010288U KR 900004893 Y1 KR900004893 Y1 KR 900004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per
signal
detecto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58U (ko
Inventor
요오이찌 고바야시
스스무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32B38/1841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during lay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Dry transfer
    • B44C1/1712Decalcomanias applied under heat and pressure, e.g. provided with a heat activabl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05Lamina transferred to base from adhered flexible web or sheet type carrier
    • Y10T156/1707Discrete spaced laminae on adhered carrier
    • Y10T156/171Means serially presenting discrete base articles or separate portions of a single article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막부착장치(被膜府着裝置)
제1도는 얻고자 하는 라미네이트된 원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피막부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약선적 계통도.
제3도는 그 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약선적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각부의 신호를 나타낸 신호파형도.
제5도는 제2도의 위치검출회로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접속도.
제6도 및 제7도는 필름(3) 및 원지 L의 위치결정 동작의 설명을 위한 약선도.
제8도는 피막층을 필름에서 원지로 다시 옮기는 동작의 설명을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막부착장치 2L, 2R : 공급, 권취리일
3 : 필름 4L, 4R : 안내로울러
5 : 구동제어부 6 : 열접착용 히이터
7 : 보조로울러 9 : 회동아암
10 : 아이들로울러 11 : 머리내기용 관통공
12,15 : 위치검출기 14 : 위치검출회로
16 : 종단마아크 21 : 필름유무판별회로
25 : 원지유무판별회로 29 : 원지 및 종단아아크판별회로
본원 고안은 피막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며, 원지상에 투명한 필름 또는 접착제 층으로 이루어진 피막을 부착시킬 때 원지에 대한 피막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피막부착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원지 L상에 프린트된 문자, 화상등의 정보를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한 보호피막 M을 부착시킴으로써 원지 L상에 그려진 화상정보를 보호토록 한 시이트체 N를 얻도록한 것으로서, 원지 L상에 그려진 화상범위에 걸쳐서 확실히 보호피막 M을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원지 L에 대한 보호피막 M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원 고안은 이러한 위치결정을 비교적 간이한 방법에 의해 할 수 있도록 한 피막부장치를 제안코자 한 것이다.
본원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름의 피막층의 선단위치에 각기 필름과는 다른 광투과율을 갖는 광학적위치표시수단을 설치하여, 이 광학적 위치표시수단을 광학적 위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압력에 의거하여 당해 위치검출수단의 위치에 위치표시수단 및 원지의 선단부를 위치결정함으로써 원지를 피막층에 겹쳐지도록 한다.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본원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전체적으로 피막부착장치를 나타내며, 공급리일(2R)상에 장착되 테이프형상필름(3)이 안내로울러(4R) 및 (4L)을 지나 권취리일(2L)까지 연장하고, 권취리일이 구동제어부(5)에 의해 간혈적으로 소정량만큼 회전구동됨으로써 필름(3)이 화살표(K1)의 방향으로 안내로울러(4R) 및 (4L)간을 간헐적으로 한칸씩 이송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안내로울러(4R)에 압접시키면서 종동하도록 되어 있다. 안내로울러(4R) 및 (4L)간에는 열접착용 히이터(6) 및 이것에 전접(轉接)하는 보조로울러(7)가 필름(3)을 끼고 서로 당접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필름(3)상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원지 L보다 약간 짧은 폭 및 길이를 갖는 열접착피막층(8)이 소정의 간격 W을 유지하여 순차 한칸식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피막층(8)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재로 구성되며, 상온 보다 높은 소정온도에서 접착성능이 생기고 또한 상온에서는 접착한 채 고화해서 1매의 투명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필름(3)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열접착용 히이터(6)에 의해 주어지는 온도에서는 연화됨이 없이 고체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필름(3)은 별도의 그 제조장치에 있어서 필름(3)상에 거리 W간격으로 가열 연화한 폴리에스테르수지재료를 한칸씩 도포, 고화시켜, 이것을 로울형상으로 감아들여 공급리일(2R) 및 권취리일(2L)간에 장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리하여 히이터(6) 및 보조로울러(7)에 의해 필름(3)에 부착되어 있는 피막층(8)를 원지 L에 바꾸어 놓기 위한 바꾸어 놓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공급리일(2R)측의 입구측 안내로울러(4R)에는 회동아암(9)선단에 회전자재로 장착된 아이들러로울러(10)가 전접되어, 회동아암(9)이 아이들러로울러(10)를 안내로울러(4R)에 압접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아이들러로울러(10)를 필름(3)을 사이에 끼고 안내로울러(4R) 및 아이들러로울러(10)간에는 그 입구측에서 피막층(8)에 겹쳐지도록 원지 L가 넣어지며, 이때 아이들러로울러(10)가 원지 L 및 필름(3)을 일체로 끼면서 안내로울러(4R) 및 아이들러로울러(10)간을 출구측에 송출하는 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회동아암(9)은 구동제어부(5)에 의해 회동제어되며, 원지를 끼워넣을 때에는 아이들러로울러(10)가 안내로울러(4R)와는 이간된 위치에 있는 회동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또 원지 L를 필름(3)과 겹쳐서 함께 보낼 때에는 아이들러로울러(10)를 안내로울러(4R)에 압접하는 회동위치에 위치결정된다.
필름의 선두부 우측연위치에는 광학적 위치수단으로서 필름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설치되고, 이 관통공(11)을 상하위치에서 끼도록 광항적위치검출기(12)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검출기(12)는 광원(12A)으로서의 발광다이오우드와 그 투사광을 받는 수광소자(12B)로서의 포토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수광소자(12B)에서 광원(12A)과의 사이에 개재하는 부재의 광투과율에 따른 신호레벨의 검출신호(D1)가 발생하여 위치검출회로(14)에 송출된다. 즉 광원(12A) 및 소광소자(12B)간에 원지 L가 개재했을 때 광원(12A)으로부터의 투사광은 차광되어서 수광소자(12B)에는 도달하지 않는 차광상태로 되고, 이때 수광소자(12B)는 제4a도에 나타난 것처럼 최저신호 레벨(L1)이 검출신호(D1)를 발생한다. 또 둘째로 광원(12A) 및 수광소자(12B)간에 원지 L가 없으며 더구나 관통공(11) 및 피막층(8)도 없는 상태 즉 필름(3)만이 개재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수광소자(12B)에서 중간신호레벨(L2)의 검출신호(D1)를 발생한다. 또한 셋째로는 광원(12A) 및 수광소자(12B)간에 원지 L가 없으며 더구나 관통공(11)이 있는 상태에서 최고신호레벨(L3)의 검출신호(D1)가 발생한다.
참고로 검출신호(D1)의 레벨이 신호레벨(L2)로 되어 있을 때 수광소자(12B)에는 필름(3)을 투과한 광이 입사되게 되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 필름(3)의 투과율은 대충 75% 정도인데 대해 관통공(11)이 개재하고 있을 경우에는 광원(12A)의 광이 그대로 수광소자(12B)에 투과하므로 투과율은 100%로 되고, 이것에 대해 원지 L가 개재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투과율이 0%로 된다.
한편, 필름(3)의 좌단연에 대향하며 또한 위치검출기(12)와 줄짓는 위치에는 제2의 광학적위치검출기(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검출기(15)는 위치검출기(12)와 마찬가지로 광원(15A) 및 수광소자(15B)로 이루어지며, 수광소자(15B)에서 얻어지는 걸출신호(D2)가 위치검출회로(14)에 송출된다. 따라서 수광소자(15B)의 검출신호(D2)는 광원(15A) 및 (15B)간에 필름(3)이 개재할 때 제4b도에 나타낸 것처럼 중간신호레벨(L2)로 되고, 또 원지 L가 개재했을 때 최저신호레벨(L1)로 된다.
이것에 더해서 이 실시예의 경우 필름(3)의 최후의 피막층(8)의 선단부에 광학적 위치표시수단으로서 광을 차광하는 재료로 이루어진 종단마아크(16)가 도포 또는 접착되어 있으며, 이 종단마아크(16)가 광원(15A) 및 수광소자(15B)간에 개재할 때 검출신호 D2가 최저신호레벨(L1)로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위치치검출회로(14)는 검출신호(D1) 및 (D2)를 받아 그 신호레벨의 변화에 따라 위치검출기(12) 및 (15)에 개재하고 있는 재료의 위치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제5도의 구성의 것이 사용된다. 위치검출기(12)의 검출신호(D1)는 필름유무판별회로(21)의 비교회로(22)에 대해 그 반전입력단으로의 비교입력으로서 주어지며, 비반전입력단에 기준전압회로(23)에서 주어지는 기준레벨전압(VL2)가 비교된다.
기준전압(VL2)은 제4a도에 나타낸 것처럼 검출신호(D1)의 중간검출레벨(L2) 및 최고검출레벨(L3)간의 레벨로 설정되며, 이것에 대해 위치검출기(12)에 필름(3)이 개재하고 있을 때 검출신호(D1)이 신호레벨이 기준전압(VL2)보다 낮은 신호레벨(L2)로 되므로, 비교회로(22)에서 논리 "H"의 판별신호(S1)를 송출한다.
이것은 위치검출기(12)의 위치에 필름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개재하고 있을 때에는 판별신호(S1)의 논리 레벨이 "L"로 하강하는 것을 뜻하고 있다.
또, 위치검출기(12)의 검출신호(D1)는 원지 유무판별회로(25)의 비교회로(26)에 대해 그 비반전입력단에의 비교입력으로서 주어지며, 기준전압회로(27)에서 비반전입력단에 주어지는 기준전압(VL1)과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전압(VL1)은 제4a도에 나타낸 것처럼 위치검출기(12)에 원지 L가 개재해서 광원(12A)의 투사광이 차광되었을 때의 검출신호(D1)의 신호레벨(L1)보다 약간 높은 신호 레벨에 설정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위치검출기(12)에 원지 L가 개재하고 있을 때 비교회로(26)에서 논리 "H"의 판별신호(S2)를 송출한다. 이것은 위치검출기(12)에 원지 L가 도래하고 있지 않을 때는 필름의 유무에 불구하고 판별신호(S2)의 논리레벨이 "L"로 하강하는 것을 뜻하고 있다.
또한, 위치검출기(15)의 검출신호(D2)는 원지 및 종단 마아크판별회로(29)의 비교회로(30)에 대해 그 반전 입력단의 비교입력으로서 주어지며, 기준전압회로(31)에서 반전입력단에 주어지는 기준전압(VL1)과 비교된다. 여기서 기준전압(VL1)은 제4b도에 나타낸 것처럼 검출신호(D2)의 최저신호레벨(L1)보다 약간 높은 신호레벨로 설정되며, 이것에 의해 위치검출기(15)에 원지 L 또는 종단마이크(16)가 개재했을 때 검출신호(D2)의 신호레벨이(L1)으로 됨으로써 논리 "H"로 되는 판별신호(S3)를 송출한다.
비교회로(22)의 판별회로(S1)는 제1의2입력엔드회로(32)에 제1의 입력신호로서 주어지며, 또 비교회로(26)의 판별신호(S2)는 인버어터(33)를 통해 앤드회로(32)를 제2의 입력신호로서 주어진다.
이리하여 앤드회로(32)는 판별신호(S2)가 논리 "L"의 상태(이때 검출기(12)에 원지 L가 개재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냄)에 있어서 판별신호(S1)가 논리 "H"로 하강했을 때(이 상태는 검출기(12)에 관통공 11이 개재한 것을 나타냄)논리 "H"레벨에서 "L"로 하강하는 필름머리내기 검출신호(S11)를 송출한다.
또 원지유무판별회로(25)의 판별신호(S3)는 제2의 2입력 앤드회로(34)에 제1의 입력조건신호로서 주어지며 또한 원지 및 종단마아크 판별회로(29)의 판별신호(S3)가 제2의 입력조건신호로서 주어진다. 이리하여 앤드회로(34)는 판별신호(S3)가 논리 "H"레벨로 된 상태에서(이때 검출기 15에 원지 L가 개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냄)판별신호(S2)가 논리 "L"레벨에서 논리 "H"로 상승했을 때 (이 상태는 검출기(12)에 원지 L가 개재하는 상태로 논리 된 것을 나타내고 있음), 논리 "L"레벨에서 논리 "H"로 상승하는 종이삽입검출신호(S12)가 송출된다.
또한, 원지 및 종단마아크판별회로(29)의 판별신호(S3)가 제3의 앤드회로(35)에 제1의 입력조건신호로서 주어지는 동시에 필름유무판별회로(21)의 판별신호(S1)의 판별신호(S1)가 인버어터(36)를 통해 제2의 입력조건신호로서 주어진다. 이리하여 앤드회로(35)는 판별신호(S1)가 논리 "L"의 상태에서(이 상태는 검출기(12)에 필름 3 및 원지 L의 어느 것도 개재하고 있지 않은 바꾸어 말하면 관통공(11)이 개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판별신호(S3)가 논리 "L"레벨에서 "H"로 상승했을 때(이 상태는 검출기(15)에 종단마아크 16 또는 원지 L가 개재한 것을 나타냄), 논리 "L"레벨에서 논리 "H"로 상승하는 필름종단검출신호(S13)를 송출한다.
이와같이 해서 위치검출회로(14)에서 송출되는 필름머리내기검출신호(S11), 종이삽입검출신호(S12), 필름종단검출신호(S13)는 구동제어부(5)에 대해 구동조건신호로서 주어진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필름(3)의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검출기(12)의 위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는 제4도에 있어서 구간(T2)에서 나타낸 상태에 있다. 즉 검출기(12) 및 (15)에는 필름(3)이 개재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검출신호(D1) 및(D2)는 신호레벨(L2)에 있으며, 따라서 판별신호(S1),(S2),(S3)는 각기 논리 "H","L","L"(제4c,d,e도)에 있다. 그래서 필름머리내기검출신호(S11), 종이삽입검출신호(S12), 필름종단검출신호(S13)는 각기 "H","L","L"(제4f,g,h도).
이때 구동제어부(5)는 회동아암(9)을 안내로울러(4R)에서 이간하는 위치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권취리일(4L) 및 보조로울러(7)를 회전구동하여 필름(3)을 화상표(K1)의 방향으로 송출해 간다. 그래서 필름(3)의 머리내기용 관통공(11)은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부호(K2)로 나타낸 것처럼 검출기(12)에 점차 가까워져간다.
이윽고, 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검출기(12)에 개재하는 상태로 되면, 제4도에 있어서 구간(T3)으로 나타낸 상태로 된다. 즉 검출기(12)에는 필름(3)이 개재하지 않는 상태로 되는 것에 대해 검출기(15)에는 계속해서 필름(13)이 개재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검출기(12)의 검출신호(D1)의 신호레벨이 레벨(L3)로 상승하고(제4a도), 이것을 필름유무판별회로(21)가 판별해서 판별신호(S1)의 논리레벨을 "H"에서 "L"로 하강한다. 따라서 앤드회로(32)의 출력단에 얻어지는 필름머리내기 검출신호( S11)의 논리레벨은 "H"에서 "L"로 하강한다. 이 필름검출신호(S11)의 하강의 타이밍은 필름(3)의 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소정위치 즉, 검출기(12)의 위치에 도래한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구동제어부(5)는 권취리일(2L) 및 보조로울러(7)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리하여 필름(3)은 순차 부착되고 있는 다수의 피막층(8)중 검출기(12)의 위치에 개재하고 있는 머리내기용 관통공(11)에 대응하는 피막층(8)을 열접착용 히이터(6)에 들어가지 전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원지 L를 안내로울러(4R) 및 아이들러로울러(10)간에 제2도의 부호(K3)로 나타낸 방향으로 1매만 끼워넣는다. 이때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부호(K4)로 나타낸 것처럼 원지 L는 그선단이 검출기(12)에 점차 가까워져 가는 상태로 되며, 그 후 이윽고 원지 L의 선단부가 검출기(12)의 위치에 도달하면 원지L가 검출기(12)에 개재해서 제4도에 있어서 구간(T4)로 나타낸 차광상태로 한다.
이때, 검출기(12)의 검출신호(D1)는 최저신호레벨(L1)로 저하하여(제4a도), 이것에 의해 필름유무판별회로(21)의 판별신호(S1) 및 원지유무판별회로(25)의 판별신호(S2)가 모두 논리 "H"레벨로 상승한다(제4c,d도), 여기서 원지L의 삽입이 바르게 행해지면, 그 선단부간 검출기(12)에 개재했을 때 이것과 대충동시에 검출기(15)에 개재한 것으로 되므로, 그 검출신호(D2)의 논리레벨도 최저신호레벨(L1)로 저하하고(제4b도), 이것에 의해 원지 및 종단마아크판별회로(29)의 판별신호(S3)의 논리레벨도 "H"로 상승한다(제4e도), 그래서 앤드회로(34)의 출력단에 얻어지는 종이삽입검출신호(S12)의 논리레벨이 "L"에서 "H"로 상승하고(제4g도), 이 상승이 타이밍이 원지 L를 피막층(8)과 겹쳐지는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한 타이밍을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구동제어부(5)는 이 검출신호(S12)의 상승에 따라 회동아암(9)을 그 아이들러로울러(10)가 안내로울러(4R)에 전접하는 상태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열접착용히이터(6)를 가열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위치검출기(12)를 사용하여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된 필름(3)의 열접착피막층(8)에 대해 검출기(12)및(15)를 사용하여 원지L를 위치맞춤함으로서 원지L를 열접착피막층(8)에 겹치고, 그 후 이 상태를 회동아암(9) 및 안내로울러(4R)에 의해 끼워서 유지한 상태가 얻어지며, 이 상태에 있어서 히이터(6)가 가열되어 가는 예비 가열상태로 된다.
이러한 원지위치결정상태에 있어서, 원지 L가 필름(3)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크게 어긋난 상태로 넣어졌을 경우에는 원지 L가 위치검출기(12) 또는 (15)의 어느 한쪽에 개재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며, 그 결과 판별신호(S2)또는 (S3)의 어느 한쪽이 논리 "L"의상태로 된다. 그래서 앤드회로(34)의출력단에 얻어지는 종이삽입 검출신호(S12)의 논리레벨은 논리 "H"레벨로 상승하지 않으며, 논리 "L"레벨인 채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잘못 넣어진 상태대로 원지 L가 히이터(6)의 방향으로 보내지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원지 L가 어긋난 상태에서 히이터(6)에 의해 열접착피막층(8)을 연화시키면 보조로울러(7)에 피막층(8)의 재료가 부착하여 사용 불가능한 상태로 될 염려가 있지만, 제5도처럼 구성하면 이러한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히이터(6)의 온도가 올라가 피막층(8)이 열접착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면, 이것을 히이터(6) 내부에 설치된 온도검출기가 검출하여 온도검출신호(S21)를 구동제어부(5)에 주어, 권취리일(2L) 및 보조로울러(7)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때 필름(3)은 권취리일(2L)에 의해 화살표(K1)의 방향으로 보내지며, 이때 원지 L는 안내로울러(4R) 및 아이들러로울러(10)에 의해 필름(3)에 압착된 상태채로 필름(3)과 함께 검출기(12) 및 (15) 위치를 지나 히이터(6) 및 보조로울러(7)간에 보내진다. 이리하여 필름(3)에 압착된 상태채로 필름(3)과 함께 검출기(12)및(15)위치를 지나 히이터(6) 및 보조로울러(7)간을 통과해서 나왔을 때에는 피막층(8)이 필름(3)에 부착하고 있던 상태(제8a도)에서 원지 L의 표면에 접착한 상태(제8b도)롤 옮겨지며, 이렇게 해서 히이터(6) 및 보조로울러(7)의 출구측에는 이른바 라미네이트된 원지 L가 얻어지는 동시에, 피막층(8)이 벗겨진 필름(3)이 권취리일(2L)에 감겨가게 된다.
이와 같은 필름이송상태에서는 검출기(12)간에 개재하고 있던 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통과해 버리므로 위치검출기(12) 및 (15)의 검출신호(D1) 및 (D2)의 신호레벨은 제4도의 구간(T2)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같은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에 있어서 필름(3)이 1피치 W(제3도)만큼 보내져서 다음의 열접착피막층(8)에 대응하는 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위치검출기(12)에 개재하는 상태로 되면, 제4도의 구간(T3)에 대해 상술한 상태로 되어 구동제어부(5)는 권취리일(2L) 및 보조로울러(7)의 회전을 정지하고, 히이터(6)의 가열동작을 정지하는 동시에 회동아암(9)을 그 아이들러로울러(10)가 안내로울러(4R)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이렇게 해서 필름(3)을 다음의 열접착피막층(8)이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정지되며, 새로운 원지 L의 삽입을 기다리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해서 제4도의 구간(T5)에 있어서 순차 넣어지는 원지(1)에 대해 필름(3)상에 순차 부착된 열접착피막층(8)을 사용하여 라미네이트되어 간다.
최후의 열접착피막층(8)이 검출기(12)의 위치에 위치결정되면, 제4도의 구간(T6)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즉 이때 검출기(12)에 머리내기용 관통공(11)이 개재함으로써 검출신호(D1)의 신화레벨이 최고신호레벨(L3)로 상승하는(제4a도) 동시에 검출기(15)에 종단마아크(16)가 개재함으로써 그 검출신호(D2)의 신호레벨이 최저신호레벨(L1)로 저하한다(제4b도). 따라서 이 때는 판별신호(S1)의 신호레벨은 구간(T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논리 "L"로 하강하지만 판별신호(S3)의 신호레벨은 구간(T3)의 경우와는 달리 논리 "H"로 상승한다. 따라서 앤드회로(35)의 출력단에 얻어지는 필름종단검출신호(S13)가 논리 "H"로 상승한 타이밍으로 필름(3)의 열저착피막층(8)의 전부를 사용한 것을 판단할 수 있고, 그 결과 피막부착장치(1)를 전체적으로 정지보우드로 절환한다.
이렇게 하여 필름(3)이 공급리일(2R) 및 권취리일(2L)에서 제거되었을 때의 상태는 제4도에 있어서 구간(T1)에 나타낸 것처럼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필름(3)상에 부착하는 열접착피막층(8)의 간격(즉 피치)을 모든 피막층(8)에 대해 등간격인 것처럼 설명했지만 상이한 간격을 갖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 상술한 바에 있어서는 필름(3)에서 원지 L에 열접착피막층(8)을 옮길때에 보조로울러(7)에 대해 히이터(6)를 압접시키는 구조의 것을 사용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열된 서로 전접하는 한쌍의 로울러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도록 한 것 등 여러 가지 구조의 것에 본원 고안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에 있어서는 필름(3)의 피막층(8)의 머리내기를 하기 위해 관통공(11)을 설치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재료를 도포 또는 접착하는 등, 요컨대 필름(3)의 광투과율과는 다른 광투율을 갖는 광학적 위치 표시수단을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원 고안에 의하면 필름의 각 열접착피막층(8)에 대응시켜 머리내기용 관통공을 설치하고, 이 머리내기용 관통공을 사용하여 각 피막층과 원지와의 위치결정을 광학적인 위치검출기를 사용하여 행하도록 한 것에 의해 비교적 간이한 구성에 의해 높은 정도로 원지의 소정위치에 피막층을 라미네이트할 수 있는 피막부착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

  1. 순차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피막층을 부착해서 이루어진 필름을 원지와 함께 옮기는 수단에 보냄으로써 상기 피막층을 상기 원지상에 옮겨지도록 된 피막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상기 각 피막층의 선단위치에 각기 상기 필름과는 다른 광투과율을 갖는 광학적 위치 표시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옮기는 수단의 입구측의 소정위치에 광학적위치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위치검출수단의 검출출력에 의거하여 당해 위치검출수단의 위치에 상기 위치표시수단 및 상기 원지의 선단부를 위치결정함으로써 상기 원지를 상기 피막층에 겹쳐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막부착장치.
KR2019840010288U 1983-12-09 1984-10-18 피막부착장치(被膜府着裝置) KR9000048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90968U JPS6098631U (ja) 1983-12-09 1983-12-09 被膜付着装置
JP83-190968 1983-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58U KR850007958U (ko) 1985-10-26
KR900004893Y1 true KR900004893Y1 (ko) 1990-05-31

Family

ID=162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288U KR900004893Y1 (ko) 1983-12-09 1984-10-18 피막부착장치(被膜府着裝置)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17080A (ko)
EP (1) EP0147966B1 (ko)
JP (1) JPS6098631U (ko)
KR (1) KR900004893Y1 (ko)
AT (1) ATE55727T1 (ko)
CA (1) CA1255575A (ko)
DE (1) DE348303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507030A (pt) * 1984-11-05 1987-01-06 Schlaepfer & Co Ag Aperfeicoamentos em e relativos a producao de decalques
US4835720A (en) * 1986-03-11 1989-05-30 Adolph Coors Company Obstructed-field-indicia-sensing device
US5297712A (en) * 1987-10-06 1994-03-29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feeding and positioning articles being processed
FR2647104B1 (fr) * 1989-05-17 1992-12-31 Saint Gobain Vitrage Procede de fabrication de vitrage feuillete asymetrique par calandrage et ruban prefabrique pour la mise en oeuvre
JP2617356B2 (ja) * 1989-06-07 1997-06-04 株式会社新川 タブテ−プボンディング装置
AU650636B2 (en) * 1990-02-05 1994-06-30 Molins Plc Image applying method and apparatus
JPH04226351A (ja) * 1990-06-27 1992-08-17 Somar Corp ラミネータの自動制御方法
US5532724A (en) * 1992-08-31 1996-07-02 Toppan Printing Co., Ltd. Image transfer device
US5512126A (en) * 1994-03-11 1996-04-30 Polaroid Corporation Optical laminator
US5660676A (en) * 1995-10-19 1997-08-26 Brooks; Robert E. High speed labeler
US5807461A (en) * 1996-05-09 1998-09-15 Fargo Electronics, Inc. Lamination technique
US6685312B2 (en) 1997-10-24 2004-02-03 Fargo Electronics, Inc. Ink jet card printer
JP2002525716A (ja) 1998-09-14 2002-08-13 ファーゴ・エレクト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カード処理装置
US6409872B1 (en) * 1998-11-06 2002-06-25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 printer and laminator
US6261012B1 (en) 1999-05-10 2001-07-17 Fargo Electronics, Inc. Printer having an intermediate transfer film
US7339690B2 (en) * 1999-07-14 2008-03-04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 printer with client/server
WO2001033163A2 (en) * 1999-10-29 2001-05-10 Fargo Electronics, Inc. Alignment sensor and control system for laminate film and card
US7399131B2 (en) 2001-03-05 2008-07-15 Fargo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an ink-receptive card substrate
US20020127042A1 (en) * 2001-03-05 2002-09-12 Klinefelter Gary M. Printer with reverse image sheet
US7037013B2 (en) 2001-03-05 2006-05-02 Fargo Electronics, Inc. Ink-receptive card substrate
US6979141B2 (en) 2001-03-05 2005-12-27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s, protective coatings, film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7430762B2 (en) 2002-03-01 2008-09-30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 manufacturing security
KR200287509Y1 (ko) * 2002-05-21 2002-09-05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라미네이터 정.역회전 제어장치
US7620815B2 (en) 2003-02-21 2009-11-17 Fargo Electronics, Inc. Credential production using a secured consumable supply
JP4451880B2 (ja) 2003-06-23 2010-04-1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伸縮性基材上に高度に位置決めされた印刷画像及びエンボス加工パターンを生成する製造方法
CA2530235C (en) * 2003-06-23 2011-0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lled substrate products with highly registered printed images and embossment patterns
WO2005026908A2 (en) 2003-09-11 2005-03-24 Fargo Electronics, Inc. Identification card manufacturing system supply ordering and diagnostic report
WO2005109716A2 (en) 2004-05-03 2005-11-17 Fargo Electronics, Inc. Managed credential issuance
US8099187B2 (en) 2005-08-18 2012-01-17 Hid Global Corporation Securely processing and tracking consumable supplies and consumable material
US7767050B2 (en) * 2007-03-26 2010-08-03 Hid Global Corporation Laminating roller assembly, credential substrate laminator and method of laminating a credential substrate
US9566771B2 (en) * 2007-03-27 2017-02-14 Assa Abloy Ab Credential substrate laminator having a cartridg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US8956490B1 (en) 2007-06-25 2015-02-17 Assa Abloy Ab Identification card substrate surface protection using a laminated coating
EP2713344B1 (en) * 2012-09-26 2014-06-11 MEI, Inc. Tape detector
CN107351452A (zh) * 2017-07-11 2017-11-17 成都远洋蓝猫科技有限公司 可自动加热的膜卷收卷装置
US10859494B2 (en) * 2018-09-03 2020-12-08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ransmittance measur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577472B2 (en) * 2019-01-18 2023-02-14 Reynolds Presto Produc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a zipper closure to polymeric fil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9693A (en) * 1937-12-20 1939-05-23 Jr William Standish Gaylord Transfer
US2877586A (en) * 1955-09-06 1959-03-17 Sperry Rand Corp Transfer machine
US2880539A (en) * 1956-02-02 1959-04-07 Marvin A Frenkel Decal stamping machine
FR2273671A1 (fr) * 1974-06-07 1976-01-02 Whiley Ltd George Appareil de transf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617080A (en) 1986-10-14
EP0147966B1 (en) 1990-08-22
ATE55727T1 (de) 1990-09-15
EP0147966A2 (en) 1985-07-10
CA1255575A (en) 1989-06-13
DE3483039D1 (de) 1990-09-27
JPS6098631U (ja) 1985-07-05
KR850007958U (ko) 1985-10-26
EP0147966A3 (en) 1987-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4893Y1 (ko) 피막부착장치(被膜府着裝置)
JP2591630B2 (ja) 集積回路を有するデータキャリア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5807461A (en) Lamination technique
JP6384734B2 (ja) 第一のフィルムウェブと第二のフィルムウェブとの接合方法及び装置
DE69516231T2 (de) Sicherheitsglas
AU679590B2 (en) Quality control of printed sheets
JPH1086562A (ja) 認証識別媒体、その作成方法、作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41116B1 (ko) 적층차폐시트 제조장치
US20050175381A1 (en) Plastic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plastic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JPH0740435A (ja) ラミネート装置
JPS5995169A (ja) 熱転写型印刷装置
JP4565327B2 (ja) 被覆装置
JP4492114B2 (ja) 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作製方法、プラスチックシートの作製装置及びプラスチックシート
JPH1067187A (ja) 感熱記録紙のラミネート方法及び装置
JP2721397B2 (ja) 透明フィルム及び透明フィルムの検知方法
JP2010278097A (ja) Acf貼付装置、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装置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CN216889341U (zh) 一种用于光学膜片的转贴装置
GB1573158A (en) Method for protective film lamination with curl control
CA1089345A (en) Method for protective film lamination with curl control
JPS6161087A (ja) 光透過性フイルムの検出装置
JPH0550707A (ja) 画像表面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S6296244A (ja) 基板搬送装置
JP2006142531A (ja) 記録媒体の被覆装置
JP2002019291A (ja) 熱転写記録材料及びサーマルプリント方法並びに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6142528A (ja) 記録媒体の被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