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213B1 - 전자기 편향 유니트 - Google Patents

전자기 편향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213B1
KR900003213B1 KR1019830003707A KR860003707A KR900003213B1 KR 900003213 B1 KR900003213 B1 KR 900003213B1 KR 1019830003707 A KR1019830003707 A KR 1019830003707A KR 860003707 A KR860003707 A KR 860003707A KR 900003213 B1 KR900003213 B1 KR 90000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upport
deflection
deflection unit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신가 할베
게릿 빈크 니콜라스
야콥 그루트오프 아드리안
Original Assignee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엠.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아이.엠.레르너 filed Critical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 파브리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 편향 유니트
제 1 도는 두개의 세트인 받침대 코일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 직접감긴 편향 유니트의 투시도.
제 2 도는 음극선관(cathod-ray-tube)의 목(neck)에 공급되는 편향 유니트의 부분적인 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전면 지지링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 지지링의 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중심 지지링의 정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리어 지지링의 정면도.
제 7 도는 제 6 도 지지링의 단면도.
제 8 도는 제 1 도 편향 유니트의 프레임 편향 코일에 대한 도선 분포차트(실선).
제 9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라인 편향 코일에 대한 도선분포 차트(파선)(제 8 도와 9 도는 축적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제 10 도는 받침대 코일 한개의 세트와 환상으로 감긴 코일 한개의 세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 직접감긴 편향 유니트의 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전면 지지링의 정면도.
제 1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리어지지링의 정면도.
제 13 도는 동일한 빈 지지대에 감긴 제 10 도에 도시한 편향 유니트의 환상으로 감긴 한개의 코일과 한개의 받침대 코일에 대한 도선분포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편향 유니트 2 : 편향 코일지지대
3 : 코어 4, 5 : 지지링
7, 7', 7", …등 : 슬롯 8a, 8b, 9a, 9b : 받침대 코일
10, 11, 12, 13, 14 : 플랜지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기 편향 유니트에 관한 것이며, 일부 음극선관을 의장하는데 적용된 중공지지대, 직접감긴 편향 코일을 운반하는 지지대 내부, 각 슬롯 환상 부재를 가지는 지지대, 환상부재의 슬롯으로부터 다른 환상부재의 슬롯까지 새로로 연장하는 코일의 회전그룹을 구비한다.
한 단부에서 표시 스크린을 가지고 다른 단부에서 전자층 시스템을 갖는 형태인 음극선관의 전자총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유니트는 여러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다. 주어진 구성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코일(라이코일)과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코일(프레임코일)은 환상형으로 되어 있으며 편향 유니트의 자기코어에 직접 감긴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두개의 코일은 받침대형으로 되어 있으며 코어에 직접 감기지 않고 분리되어 감긴 다음 자기코어내의 분리 지지대에 위치한다. 또 다른 구성에 있어서, 라인 편향 코일은 받침대형으로 되어 있으며 자기코어의 분리지지대에 위치되는 반면, 프레임 편향 코일이 자기코어에 환상으로 감긴다. 이러한 상이한 편향 유니트 구성은 가장 적당한 특별 목적에 각각 사용된다.
수평 편향하기 위한 편향 코일이(분리되어 감긴)받침대 형으로 된 종래의 편향 유니트에 있어서, 받침대 코일은 슬롯 권선방법에 의한 금속 지그(zig)에 감기는 도체로부터 형성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주어진다(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3, 086, 562 참고). 형성된 받침대 코일은 지지대상에 장치되고 편향 유니트의 자기코어 내에 배치된다. 이것과 비교하여 편향 유니트의 지지대에 직접감기는 받침대 코일은 1970년과 1980년 사이에 특허 문헌에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대표적 설명은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3, 895, 329 호에 있다. 그 특허 출원에 설명된 편향 유니트에 있어서 자기코어는 코어 재료 또는 코어단부에 접속된 환상 부재에 형성되는 각 단부에 슬롯을 가진다. 코일 회전 각각의 세로 그룹은 한단부의 슬롯으로부터 다른 단부의 슬롯으로 코어의 내부 표면을 연장한다. 가로 연결 돌출부는 권처리동안 각각을 회전시키기 위한 초기와 최종 슬롯사이의 자기코어 외부표면과 환상부재 둘레의 환상도선을 유도하므로써 만들어진다.
회선의 수직 도선은 자기코어의 내부표면(지지대)에 접한다. 이는 그러한 코일이 재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감기가 어려운 이유이다. 왜냐하면 도선은 원추체와 접촉하는 부수적인 장소에 남아 있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코일을 다수의 층에 감는 것에 대한 문제이다.
그러한 직접감긴 코일을 가지는 편향 유니트의 설명은 특허 문헌에 공지되어 있으며 재생 문제는 자기 코일의 내부표면에 공급된 홈에 수직회전 도선을 공급하므로써 해결된다. 대표적인 설명은 영국 특허출원 제 2, 015, 146 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법의 단점은 코일을 감는 기능이 방해되기 때문에 홈이 연장하는 방향이 자유로 선택될 수 없다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는 직접감긴 받침대 코일이 아직 실제적으로 사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 잘 재생가능한 방법으로 감길 수 있는 상기 종류의 편향 유니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단부 사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한 형태의 편향 유니트를 공급하며 지지대는 이들 그룹이 지지대 내부표면과 사실상 자유롭게 결합하는 방법으로 코일 회전의 세로 그룹을 국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지지수단은 코일회전의 세로 그룹이 연장하는 내부원주에 슬롯을 가지는 환상부재를 구비한다. 이는 도선이 지지표면으로부터 나가는 장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도선의 위치(필드분포)가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을 제시하며 직선교차 도선에 관해서 어떠한 제한도 없고 도선은 또한 "중심"링의 슬롯을 거쳐 커브로 연장한다. 이 결과 코일 도선의 위치는 각 방향의 세로 축을 따른 방향기능과 코일의 자기 수렴 시스템이 편향 필드에 위치한 자기적인 투수성 재료의 세그먼트(segment)형태인 이러한 보조수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코일회전의 세로 그룹은 요면 윈도우를 외장하는 방법으로 환상부재에 있는 슬롯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두개의 주형 반도체(halves) 사이의 슬롯에 감기는 받침대 코일은 요면 윈도우를 외장하는 방법으로 감길 수 있다. 요면 윈도우는 편향 필드를 주는데 필요하며, 편향 필드는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에 있는 받침대 형태의(프레임) 편향 코일과 자기수렴에 필요한 핀쿠션 형태와 배열형태 변화에 따라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편향 유니트의 상기 실시예는 코일이 지지대의 내부 표면에 대향 연장하는 세로 세그먼트와 지지대의 외부원주에 걸쳐 연장하는 가로 연결세그먼트에 의해 쌍으로 연결되는 단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두 영역에 걸쳐 분류되는 지지대의 한 단부에서 코일의 가로 세그먼트를 가지는 다수의 나선형 회전에 의해 형성된다.
축방향으로 상호 시프트 시키기 위해 장치된 적어도 두개의 원주영역에 걸쳐 코일의 가로 회전세그먼트를 분류시키므로써, 활성화한 코일에 의해 발생된 편향 필드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편향 포인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로세그먼트 분류는 편향 유니트의 측명에 일어나, 동작동안에 음극선관의 전자총 시스템을 시험한다.
지지대의 내부표면는 한단부로부터 다른 단부로 양호하게 연속 확장한다. 이는 도선분포가 원통형으로 부터 원추형으로 변화하는 내부표면보다 더 쉽게 재생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도선이 내부표면으로부터 구속되지 않는 것이 쉽게 보장될 수 있다.
권선처리 동안에 양호한 도선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권선처리 동안 공급된 도선방향으로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중심링의 내부 원주에 슬롯이 공급될때 장점을 가진다. 이는 편향 코일 경우에 세로회전 그룹이 요철윈도우(프레임 편향 코일)를 지정하며, 적어도 이러한 다수의 슬롯이 방사로 연장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방사방향으로 부터 평향을 연장하는 것을 윈도우 요철의 연장 기능이다.
프레임 코일과 라인 편향 코일의 세로회전 그룹이 다수의 슬롯을 통해 연장하는 방법으로 환상 부재의 내부 원주에 걸쳐 슬롯을 분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권선동안에 먼저 프레임 코일이 회전한 다음 라인 편향 코일 회전이 슬롯에 놓인다. 최적 충전도에 관하여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의 중심링의 다수 슬롯이 방사변화로부터 제 1 변화를 가지며 방사변화로 부터 훨씬 더 편향하는 제 2 변화를 가진다. 이에 의해 도선이 비경제적으로 적재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경제적인 적재는 도선이 직선페그 또는 직선슬롯을 따라 유도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과 다른 특성은 도면을 참고로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는 플레어 환상자기코어(3)에 의해 형성된 편향 코일 지지대(2)를 구비하는 편향 유니트(1)를 도시한다. 코어(3)의 넓은 전면에서, 합성 수지로 제조된 환상지지링(4)이 코어에 접속된다. 링(4)은 코어(3)를 합동하여 형성된다. 코어(3)의 좁은 단부(리어)에서 합성수지로 제조된 지지링(5)이 코어에 접속된다. 코어(3)내에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수렴적으로 제조된 중간간격링(6)은 지지링(4)(5) 사이에 장치되며 그 내면에 다수의 슬롯(7)을 가진다. 중간링(6)(제 5 도)의 정면도는 슬롯(7, 7', 7",…등)의 실제 무방사성 위치를 명확하게 도시한다. 코일 지지대(2)는 받침대코일(8a)(8b)을 제 1 세트를 운반하여 편향 유니트(1)를 통해 세로로 통과시키는 제 1 방향(수직)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며, 받침대 코일(9a)(9b)의 제 2 세트를 운반하여 전자빔을 제 2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자기코어(3)내에서 각 코일의 도선은 지지링(4)(5)의 슬롯사이에서 신장된다.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링(4)은 여러 장소로 분류되는 플랜지(10)(11)을 가지며 코일 도선선이 감길수 있는 포스트(post)를 형성시킨다. 링(5)은 코일 도선이 감길 수 있는 포스트를 형성시키기 위해 여러 장소로 분류되는 플랜지(12)(13)(14)를 구비한다. (제 6 도와 7 도 참고) 링(4)(5)사이의 코일 도선은 적당한 슬롯(7, 7' , 7",…등)을 통해 연장하며, 슬롯면은 자기코어(3)의 내부표면을 건드리지 않는 방향으로 도선을 연장하므로써 중간링(6)(제 5 도)의 내부에 접합하나, 편향 코일지지(2)의 한 단부로 부터 다른 단부로 진행하는 도선이 상이한 면사이 (도선의 경로가 "휨"을 나타낸다)에 분포된다.
링(4)은 형성되는 두개의 원주채널(17)(18) 사이에 전체적으로 3개의 플랜지(10)(11)(16)를 가진다. 채널(17)은 편향시스템(이 경우는 수평 방향으로 편항하기 위한 코일 시스템)의 세로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한개의 편향코일 시스템의 코일도선을 이동시켜 각 코일의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작용을 한다. 채널(18)은 다른 편향 코일시스템(이 경우는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 시스템)의 코일도선을 가로방향으로 다시 코일 돌출부를 다시 형성시킨다.
일치하는 방법으로, 링(5)은 두개의 원주채널(19)(20)사이에 형성되는 3개의 플랜지(12)(13)(14)를 가진다(제 7 도), 채널(19)은 한 편향코일 시스템(이 경우는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 시스템)의 코일 도선을 가로방향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며 채널(20)은 다른 편향코일 시스템(이경우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코일시스템)의 코일 도선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돌출부는 코일 시스템용으로 지지대의 다른 단부에 만들어진다. 3개의 원주채널로 링(5) 공급하므로써, 제 4 플랜지(15)를 공급하여 주어진 편향유니트 표시튜브 결합에 적합한 값으로 두 편향코일 시스템의 코일 길이를 조정하는 대신에 링(5)은 예를들면 두배의 넓이인 한개의 단일채널을 구비한다.
측방향에 병렬인 두개의 다른 레벨에서 코일 도선을 분리시키기위해, 간격기가 그러한 단일 채널에 공급된다.
상기한 구조는 제 1 도에 도시한 형태인 표시튜브(23)의 목둘레에 위치한 편향유니트의 단면의 부분적 개략 측면도인 제 2 도를 참고로하여 요약된다. 편향코일을 직접 권선하기위한 상기 편향 코일지지대(2)는 플레어 환상 자기링코어(3)로 형성되며 코어(3)는 각단부에서 지지링(4)과 코어내부에서 동심으로 설치된 중간링(6)을 갖춘 지지링(5)을 구비한다. 원둘레를 연장하는 도선파켓(28)을 가지는 프레임편향코일 시스템과 원둘레를 연장하는 도선파켓(29)을 가지는 라인 편향코일 시스템이 간단하고 재생가능한 방법으로 이러한 어셈블리에 직접감긴다. 중요한 기능은 제 5 도에 도시된 중간링(6)의 내부표면에 공급되는 슬롯(7, 7', 7",…)은 권선처리 동안 공급되는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부터 코일 지지대의 단부로 직선연장하지 않고 휘어지며, 슬롯(7,7', 7",…)의 축방향은 방사방향으로 편향한다. 도선이 슬롯을 통과하며 페그(pag)를 통과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이론적으로는 페그가 원하는 도선 분포를 실현하는데 사용될지라도, 실제의 단점은 도선이 재생 할수없는 방법으로(패그 한개의 벽을 형성하는)에 대해 상부로 크리프(creep)하는 것이며 양호한 충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선을 유도하기 위해 링이 인가된 도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슬롯은 두개의 벽을 가진다)으로 사용될때, 이러한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제 5 도는 두개의 상이한 코일 세트인 코일도선이 한 슬롯을 통해 유도되어야 할 경우, 그러한 슬롯이 방사방향에 대해 각각 두개의 상이한 방향(i)(ⅱ)으로 연장하는 측면을 가지므로써 상당한 방향변화를 받는 제 1 코일 세트의 코일선이 정확한 각도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며 작은 방향변화를 받는 제 2 코일 세트의 코일도선이 정확한각도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한다.
제 8 도와 제 9 도는 받침대 코일을 직접감는 편향유니트의 도선분포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문제의 편향유니트는 14인치 표시 스크린을 가지는 최소 동-서 래스터(raster)로 자동스런 결합을 형성시킨다.
제 8 도는 특히 프레임 편향코일 세트(실선), 두 코일 중 한 도선분포의 각 표시를 도시하며, 주로 편향 유니트의 전면(A), 중심(B)와 리어(C)의 각 표시를 도시한다. 도면은 축척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편향유니트가 플레어되어 B와 C의 단면보다 실제로 더 큰 A에서 0°내지 180°까지의 단면이 생기는 사실이 고려되지 않도록 한다. 제 8 도로 부터 문제의 편향유니트의 전면 지지링(A)이 각(0°, 10°,20°,160°,170°와 180°)으로 지정된 위치의 슬롯을 가지며 중간링(B)은 각(30°, 41°, 52.5°, 64°, 75°, 105°, 116°, 127.5°, 130°와 150°)으로 지정된 위치의 슬롯을 가지며, 리어지지링(C)은 각(15°, 30°, 45°, 135°, 150°와 165°)으로 지정된 위치의 슬롯을 가지고 프레임 편향 받침대 코일 시스템의 한 코일 도선을 수신한다. 실선은 약 10 내지 20개 도선을 각각 구비하는 도선 다발을 나타낸다(프레임)편향 코일의 도선 다발은 한개의 원주 채널을 거쳐 편향코일 지지의 전면(A)을 가로이동한다. 이것은 실선(31)으로 표시된다. 리어측면(C)에서 도선다발은 두개의 원주채널을 가로이동시킨다. 이는 실선(32)(32')으로 표시된다.
제 8 도는 제 8 도와 비슷하나 실선이 제 8 도의 프레임 편향코일 시스템에 대해 90°에 걸쳐 회전된 위치를 가정하는 받침대 라인 편향코일 시스템중 5내지 25개의 코일 도선으로 각각 구성된 도선다발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 경우 여러 지지 26에 걸친 슬롯의 각 분포가 표시된다. 제 8 도와 9 도는 직접 감긴 편향유니트의 설계를 나타내며 이때 양쪽 편향 코일시스템의 도선 다발은 중간링의 다수 슬롯을 통과한다. 예를들면, 먼저 프레임 편향코일 시스템의 도선이 이러한 슬롯을 통해 감긴다음 라인 편향코일 시스템의 슬롯을 통해 감긴다. 전면(A)와 리어(C)각각은 라인 편향코일 시스템의 도선 다발을 이동시키기 위한 분리 원주채널을 가진다. 이러한 원주채널 파선(33)(34)으로 표시된다.
아래의 설명은 받침대 형태에 감긴 무게의 편향코일 시스템을 가지는 편향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편향 유니트는 슬롯된 전면과 리어지지링을 가지는 편향코일 지지에 대해 받침대 형태로 감긴 한개의 코일 시스템과 환상형으로 감긴 한개의 코일시스템을 구비하여 슬롯된 중간링은 받침대형의 코일과 환상형의 코일에 권선하기 적합하다. 제 10 도는 직접감긴 받침대 라인 편향코일 시스템(36a)(36b)과 직접감긴 환상프레임 편향코일 시스템(37a)(37b)을 가지는 편향유니트를 도시한다. 프레임 편향코일 시스템의 두 코일(37a)(37b)을 두 부분(35a)(35b)으로 구성된 편향코일 시스템상에 환상으로 감기도록 하기위해, 2회 5개의 특별 개구(41)는 전면지지링(39)의 플랜지에 공급되며 2회 6개의 특별개구는, 제 1 도의 지지링(4)(5)와 비교한 바와같이, 리어지지링(40)의 플랜지에 공급된다. 각각의 지지링에 있어서 여러 플랜지의 개구는 상호 인라인(in-line)이다.
제 11 도는 지지링(39)의 플랜지(43)을 통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은 환상코일 도선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 12 도는 지지링(40)의 플랜지(44)를 통한 단면도이다.
제 8 도, 제 9 도와 유사한 방법의 제 13 도는 직접감긴 환상프레임 편향코일 시스템과 직접감긴 받침대라인 편향코일 시스템을 가지는 편향유니트(소위 말하는 하이브리드 편향유니트)의 경우에 실현될 수 있는 도선다발의 분포를 도시한다.
제 13 도는 환상으로 감긴 편향코일 시스템의 한 코일 도선다발이 연장하는 방향을 도시한다. 실선은 지지대의 내부에 위치한 도선다발을 표시하며 파선을 지지대의 외부에 위치한 도선다발을 표시한다. 파선은 그러한 편향유니트의 받침대 편향코일 시스템의 한개의 코일 도선 다발의 연장하는 방향을 도시한다. 도시된(동서 래스터 작은 왜곡이 허용되는)고안은 한개의 코일이 다른 코일의 윈도우에 감길 수 있다는 것이다.
편향코일 시스템이 바로 감기는 경우의 하이브리드 편향유니트는 권선이 반 평향코일 지지대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권선이 간단히 되는 장점이 있다. 라인 편향코일과 프레임 편향코일은 각각의 편형코일 지지대(35a)(35b)에 감긴다.
제 13 도는 또한 받침대 편향코일의 특별한 도선다발 변화를 도시한다(점선으로 도시함). 좌측과 우측파켓의 접합도선 다발은 요면윈도우를 구성한다. 요면윈도우의 성형은 프레임 편향필드를 정확하게 분포시키는데 아주 중요하다.

Claims (8)

  1. 음곡선관의 일부를 외장하는데 적용된 속이빈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전기가 편향 유니트로서, 상기 지지부의 내부는 지지부위에 직접 감긴 편향코일을 운반하고,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 각 단부 각각에서 홈이 파인 환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이 권회 그룹은 하나의 환상 부재내의 슬롯에서 다른 환상 부재내의 슬롯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러한 음극선관용 전자기 편향 유니트에 있어서, 중간 환상 부재는 지지부의 단부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중간 환상 부재는 코일 권회의 길이방향 그룹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슬롯을 상기 중간 환상부재의 내부 원주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일권회의 상기 길이방향 그룹이 적어도 일부는 요면 윈도우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중간 환상부재내의 슬로트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지지부의 내부표면에 대향하여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부 원주에 걸쳐 연장되는 횡 방향 접속 세그먼트에 의해 쌍으로 접속되는 그러한 길이방향 세그먼트를 갖는 다수의 나선형 권회이 의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단부중 적어도 한 단부에 있는 코일의 횡방향 세그먼트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두개이상의 원주 영역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가지 편향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편향 코일과 라인 편향 코일의 권회의 길이방향 그룹의 적어도 한 부분은 상기 중간 환상부재내의 동일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에서 상기외부가지 상기 중간부재내에 있고 다수의 슬롯은 방사방향에서 거의 편향되지 않은 제 1 방향을 가지며, 방사방향에서 상당량만큼 편향된 제 2 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위에 직접 감긴 새들형의 제 1 편향 코일 시스템과, 상기 지지 부재상에 감긴 톨로이드형의 제 2 편향 코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 1 및 제 2 반체와, 제 1 편향 코일 시스템의 코일과, 각각의 반체위에 직접감긴 제 2 편향 코일시스템의 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윈도우 개구를 갖는 제 1 코일 시스템의 코일은 각각의 지지부 반체위에 감기고, 제 2 코일 시스템의 코일은 상기 윈도우 개구위에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 편향 유니트.
KR1019830003707A 1982-08-09 1986-08-08 전자기 편향 유니트 KR900003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203,133 1982-08-09
NL8203133A NL8203133A (nl) 1982-08-09 1982-08-09 Afbuigju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213B1 true KR900003213B1 (ko) 1990-05-10

Family

ID=198401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707A KR840005911A (ko) 1982-08-09 1983-08-08 전자기 편향 유니트
KR1019830003707A KR900003213B1 (ko) 1982-08-09 1986-08-08 전자기 편향 유니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707A KR840005911A (ko) 1982-08-09 1983-08-08 전자기 편향 유니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84166A (ko)
EP (1) EP0102658B1 (ko)
JP (1) JPS5949144A (ko)
KR (2) KR840005911A (ko)
AU (1) AU566883B2 (ko)
DE (1) DE3372425D1 (ko)
ES (1) ES8404567A1 (ko)
NL (1) NL82031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8772A (en) * 1982-10-18 1984-05-02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US4922167A (en) * 1985-10-25 1990-05-01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display device having means for compensating line stray fields
JPS62107352U (ko) * 1985-12-25 1987-07-09
NL8600933A (nl) * 1986-04-14 1987-11-0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ktromagnetische afbuigeenheid.
NL8601501A (nl) * 1986-06-10 1988-01-04 Philips Nv Electromagnetische, direct op een drager gewikkelde, afbuigeenheid.
US4737752A (en) * 1986-08-11 1988-04-12 Megascan Technology, Inc. Oscilloscope deflection yoke with heat dissipation means
NL8602377A (nl) * 1986-09-22 1988-04-18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afbuigeenheid voor een kathodestraalbuis.
NL8602407A (nl) * 1986-09-24 1988-04-18 Philips Nv Elektromagnetische afbuigeenheid.
NL8700280A (nl) * 1987-02-06 1988-09-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electromagnetische afbuigeenheid voor een kathodestraalbuis.
NL8701276A (nl) * 1987-05-29 1988-12-16 Philips Nv Beeldweergeefsysteem met afbuigeenheid met dubbel zadelspoelenstelsel.
JPS6472447A (en) * 1987-09-09 1989-03-17 Ibm Cathode ray tube deflector
DE3920699A1 (de) * 1989-06-24 1991-01-10 Nokia Unterhaltungselektronik Sattelspulenanordnung fuer eine kathodenstrahlroehre und spulentraeger fuer eine solche anordnung
US5043823A (en) * 1990-06-22 1991-08-27 Hughes Aircraft Company Cathode ray tube focus coil alignment and assembly arrangement
JP2566787Y2 (ja) * 1991-02-12 1998-03-30 ソニー株式会社 偏向装置
DE4208484C2 (de) * 1992-03-14 1998-09-17 Ald Vacuum Techn Gmbh Magnetisches Ablenksystem für einen Hochleistungs-Elektronenstrahl
DE69306030T2 (de) * 1992-04-24 1997-05-22 Murata Manufacturing Co Ablenkspule und Herstellungsverfahren
JPH08195178A (ja) * 1995-01-18 1996-07-30 Sony Corp 偏向コイル用ボビン
FR2797993B1 (fr) * 1999-08-30 2001-10-26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flex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comportant des bobines de deviation verticales en forme de selle
JP2002367535A (ja) * 2001-06-07 200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偏向ヨー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82921A (ko) * 1975-01-17 1976-07-21 Nat Jutaku Kenzai
US3996542A (en) * 1975-04-14 1976-12-07 Rca Corporation Deflection yoke having nonradial winding distribution
US4023129A (en) * 1975-04-14 1977-05-10 Rca Corporation Deflection yoke with non-radial conductors
JPS5383522A (en) * 1976-12-28 1978-07-24 Denki Onkyo Co Ltd Deflecting yoke
DE2807978C2 (de) * 1978-02-24 1992-08-2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Ablenkjoch für eine Kathodenstrahlröhre
FR2481843A1 (fr) * 1980-04-30 1981-11-06 Videocolor Perfectionnements a un deviateur a profil allonge notamment pour tubes a rayons cathodiques
FR2481842A1 (fr) * 1980-04-30 1981-11-06 Videocolor Perfectionnements a un deviateur a profil allonge notamment pour tubes a rayons cathodiques
US4316166A (en) * 1980-08-28 1982-02-16 Rca Corporation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and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S6029163Y2 (ja) * 1980-10-13 1985-09-04 電気音響株式会社 偏向ヨ−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8203133A (nl) 1984-03-01
ES524788A0 (es) 1984-05-01
AU566883B2 (en) 1987-11-05
EP0102658A1 (en) 1984-03-14
AU1766283A (en) 1984-02-16
ES8404567A1 (es) 1984-05-01
US4484166A (en) 1984-11-20
KR840005911A (ko) 1984-11-19
JPS5949144A (ja) 1984-03-21
EP0102658B1 (en) 1987-07-08
JPH0510789B2 (ko) 1993-02-10
DE3372425D1 (en) 1987-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213B1 (ko) 전자기 편향 유니트
US493793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for a picture display tube
JPH0415979B2 (ko)
US4023129A (en) Deflection yoke with non-radial conductors
EP0249280B1 (en) A cathode ray tube system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 directly wound on a support and an eletromagnetic deflection unit
US4494097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
US4243965A (en) Deflection coil
US4754248A (en) Deflection yoke having winding retaining notches
KR950006098B1 (ko) 전자기 편향 유닛 제조 방법
EP0261723B1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
US3968566A (en) Method of forming a deflection yoke system
US5769351A (en) Method of winding a saddle-shaped deflection coil
US3694781A (en) Toroidal type deflection coils for cathode ray tubes
US482140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flection unit for a cathode ray tube
US2152362A (en) Deflecting coil for cathode ray tubes
US4316166A (en)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and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A2019270C (en) Saddle-coil arrangement for a cathode ray tube and coil carrier for such an arrangement
US4376273A (en) Television deflection yoke having a toroidally-wound deflection coil
KR100766918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JPS63281332A (ja) 偏向コイルの巻線方法
JPH0963506A (ja) 偏向ヨーク装置
JPH02220335A (ja) 偏向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