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75B1 -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75B1
KR900002875B1 KR1019860010664A KR860010664A KR900002875B1 KR 900002875 B1 KR900002875 B1 KR 900002875B1 KR 1019860010664 A KR1019860010664 A KR 1019860010664A KR 860010664 A KR860010664 A KR 860010664A KR 900002875 B1 KR900002875 B1 KR 900002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door
plate
manual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297A (ko
Inventor
모토히로 고단다
Original Assignee
도시간리센타 가부시끼 가이샤
모토히로 고단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간리센타 가부시끼 가이샤, 모토히로 고단다 filed Critical 도시간리센타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3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rectilinear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05B81/58Control of actuators including time control, e.g. for controlling run-time of electric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3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 E05B47/0004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movable core said core being linear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8Electrical using electromagnets or soleno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60Systems
    • Y10T70/625Operation and control
    • Y10T70/65Centr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a)는, 본 발명의 자물쇠 장치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1예를 나타낸 외관도.
제 1 도(b)는, 본 발명의 자물쇠 장치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1예의 내부의 운전석의 일부를 나타낸 내관도.
제 2 도(a),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와 배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자동차 문의 걸어맞춤 쇠장식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 4 도(a), (b) 및 제 5 도(a), (b)는 각각 제 2 도(a), (b)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로서, 제 4 도(a)와 제 5 도(a)는 각각 측면도.
제 4 도(b)와 제 5 도(b)는 각각 배면도.
제 6 도(a), (b), (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6 도(a), (b)는 각각 측면도와 배면도.
제 6 도(c)는 제 6도(c)는 제 6 도(a)의 키이로 작동하는 키이용의 작동판의 배면도.
제 7 도 (a), (b)는 제 6 도의(a), (b)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와 배면도.
제 8 도(a), (b)는 각각 제 6 도의 (c)의 동작을 나타낸 배면도.
제 9 도는(a), (b), (c)는 제 2 도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 10 도(a)~(b) 및 제 11 도는 (a)~(h)와 제 12 도 (a)~(f)및 제 13 도(a)~(g)는 각각 제 6 도(a)~(c)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2 : 차체
3 : 운전석의 문 4 : 외부 손잡이
5 : 내부 손잡이 6 : 실린더 자물쇠
7 : 수동 록(LOCK) 8 : 엔진 스위치
11 : 작동판 11a : 조작 손잡이
11b : 작동부재 11c : 걸어맞춤 요입부
11d,11e : 걸어맞춤 부재 12 : 걸어맞춤 부재
13 : 수납 케이스 14 : 압축 스프링
15 : 유지 스프링 16 : 회전판
17 : 회전축 18 : 회전 레버
19 : 자석 20 : 인장 스프링
21 : 연결막대 22 : 연결축
23 : 걸어맞춤 레버 24 : 고정축
25 : 회전자 25a, 25b : 걸어맞춤 요입부
26 : 자석 27 : 회전축
28 : U자형의 걸어맞춤 부재 29 : U자형 걸어맞춤 쇠장식
30 : 유지 스프링 31 : 솔레노이드
32 : 플런저(Plunger) 33 : 솔레노이드용의 작동판
33a : 걸어맞춤 부재 33b : 작동 부재
33c : 걸어맞춤 요입부 34 : 스톱퍼
41 : 키이용의 작동판 41a : 걸어맞춤 부재
41b : 걸어맞춤 요입부 42 : 유지 스프링
43 : 회전판 44 : 고정축
45 : 걸어맞춤 돌기 46 : 스프링
47 : 안내축 48 : 안내 구멍
49,50 : 스프링 받이축 51 : 스톱퍼
K : 실린더 자물쇠의 키이 S1, S2, S3, S4 : 스위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문에 착설된 자물쇠를 잠그고 열고 하는 장치의 열림이 정상적인 것인지 또는 부당한 수단에 의한 것인지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한 동시에, 자동차 엔진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잠그고 여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운전석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열고 하는 장치에는, 문의 바깥쪽에서 문의 키이와 엔진의 키이를 겸한 키이를 가지고 잠그고 열고 하는 실린더 자물쇠와, 문의 안쪽에서 잠그고 열고 하는 수동 록의 2종류가 있다.
승차할때에는 키이를 문의 실린더 자물쇠에 삽입하여 수동 록을 연 다음에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문을 연다.
승차한 다음에는 문을 닫은 후에, 수동록을 눌러 잠근 후에, 키이를 엔진 시동키이의 삽입구에 삽입시켜서 엔진을 시공하고 있었다.
또한, 하차할때에는, 엔진을 정시시킨 다음에 키이를 뽑고, 도어 핸들을 조작하여 문을 열고 하차하고, 수동 록으로 자물쇠를 잠근다음에 문을 닫고 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열고 하는 방법 및 그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즉, 자동차 도둑이 운전석 문을 잠그고 열고 하는 장치의 실린더 자물쇠에 철사 등을 삽입하여 파킹에 의한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를 열거나, 또는 문의 창문 유리를 파손한다거나 창문 유리의 틈새에 얇은 판을 삽입하여 수동 록을 열어, 문을 열고 엔진을 시동하여, 운전하여 훔쳐 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문에, 종래의 잠그고 열고 하는 자물쇠 장치로서는 상기와 같은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가 열렸을 경우에, 키이를 사용하여 정상적으로 자물쇠를 열었는지, 또는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를 열었는지를 판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키이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동차의 외부에서 부정한 수단으로 수동 록을 여는 부정한 행위를 방지하며, 또한, 정상적인 수단으로 자물쇠가 열렸는지, 또는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가 열렸는지를 판별하여,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를 열었을 경우에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게 한 자동차 문을 잠그고 열고 하는 방법 및 잠그고 여는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관한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은, 승차시에, 문을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수단으로 연때에만 스위치를 온으로 되게 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전원 회로를 닫고, 이와 동시에 수동 록에 착설된 작동판에 의하여 잠겨져 있는 자물쇠를 열고 문을 열어 승차 및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하고, 한편, 하차시에는 작동판을 조작하여 안쪽에서 자물쇠를 연 후에 문을 열고 하차하고, 이어서, 작동판을 자물쇠를 잠그는 방향으로 조작한 후에, 문을 닫음으로써, 자물쇠가 잠기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관한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장치는, 문의 안쪽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작동판을 수동 록에 착설하고, 문의 바깥쪽에서는 문에 장치한 실린더 자물쇠에 키이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하는 스위치를 장치하는 동시에, 실린더 자물쇠에 착설한 회전 레버가 작동판에 형성된 걸어맞춤 요입부에 자물쇠가 열리는 방향으로만 걸어맞춰져서 작동시키는 수단을 수동 록에 마련하고, 또한 작동판의 아래쪽으로 항상 밀어 눌려져 있는 걸어맞춤 부재를 마련하여, 작동판을 자물쇠가 잠기는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에, 문을 닫았을때에, 이 걸어맞춤 부재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자물쇠를 잠기게 하는 수단을 수동 록에 마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관한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장치는, 문의 안쪽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작동판을 수동 록에 착설하고, 문의 바깥쪽에서는, 레이저 키이에서 발신된 소정의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였을때에 작동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장치하여, 이 솔레노이드에 착설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을 개재하여 작동판을 자물쇠가 열리는 방향으로만 작동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수동 록에 장치하고, 또한 작동판의 아래쪽으로 항상 밀어 눌려져 있는 걸어맞춤 부재를 마련하여, 작동판을 자물쇠가 잠기는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에, 문을 닫았을 때에 걸어맞춤 부재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자물쇠를 잠그는 수단을 수동 록에 마련하고, 또한 문에 장치한 실린더 자물쇠에 키이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이 작동판을 자물쇠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수단을 마련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있어서는, 승차시에는 문의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수단으로 자물쇠를 열때에만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 회로를 닫고, 문을 개방한다.
승차후에는 문을 닫고 작동판을 조작하여 자물쇠를 잠근다. 하차시에는 작동판을 조작하여 자물쇠를 열고 문을 연 후에, 작동판을 자물쇠가 잠기는 방향으로 조작한 후, 문을 닫고 자물쇠를 잠근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정상적인 수단으로서 키이를 사용한 것으로서, 실린더 자물쇠를 키이에 의해 열때에만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있어서는, 정상적인 수단으로서 레이저 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를 사용한 것으로서, 소정의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였을때에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에 착설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을 개재하여 수동용의 작동판을 열리게 한다.
또한, 키이를 실린더 자물쇠에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용의 작동판을 작동하여 수동용의 작동판을 열리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우선, 제 1 도(a),(b)는 본 발명의 잠그고 여는 장치(자물쇠 장치)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1예를 나타낸 외관도와 내부의 운전석의 일부를 나타낸 내관도로서, (1)은, 자동차의 전체를 나타내고, (2)는 차체, (3)은 운전석의 문, (4)는 상기한 문(3)을 바깥쪽에서 여는 외부 손잡이, (5)는 상기한 외부 손잡이(4)와 연결 구동되며 문(3)을 내부에서 여는 내부 손잡이(6)은 실린더 자물쇠로서, 제 1 도(a)에서는, 자동차(1)의 보조석 쪽에 도시되어 있으나, 제 1 도(b)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 쪽의 문(3)의 바깥쪽에도 장치되어 있다.
(7)은 상기한 문(3)의 내부에서 조작하는 수동 록이며, (8)은 본 발명의 잠그고 여는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자동차(1)의 전원을 온, 오프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엔진 스위치이다.
제 2 도(a),(b)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와 배면도로서, 제 1 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며, (11)은 상기한 수동 록(7)에 착설한 수동용 작동판(이하 "작동판"이라 한다)으로서, (11a)는 상기한 작동판(11)을 손으로 끌어 올린다거나 밀어 내리는 등의 조작을 하는 손잡이며, (11b)는, 작동 부재로서, 작동판(11)의 조작에 의하여 스위치(S1)을 온, 오프 한다.
(11c)는 상기 작동판(11)에 형성한 걸어맞춤 요입부이고, (12)는 걸어맞춤 부재, (13)은 상기 걸어맞춤 부재(12)를 수납하는 케이스, (14)는 상기의 걸어맞춤 부재(12)를 항상 아래쪽으로 밀어 누르고 있는 압축 스프링, (14)는 상기 작동판(11)을 상승 위치 또는 하강 위치 중의 어느쪽인가의 위치에 유지하는 스프링, (K)는 상기의 실린더 자물쇠(6)의 키이, (16)은 상기 키이(K)를 돌림으로써 회전하는 회전판, (17)은 상기 회전판(16)과 일체로 된 회전축, (18)은 상기 회전축(17)에 고정된 회전 레버로서, 작동판(11)을 상승시킬 때에만 작동판(11)의 걸어맞춤 요입부(11c)의 위끝단부에 걸어맞춰지게 되어 있다.
(19)는 상기 회전판(16)에 착설된 자석으로서, 리이드 스위치(이하, “스위치”라고 한다)(S2)를 온, 오프 한다.
(20)은 상기 작동판(11)을 항상 제 2 도(a),(b)에 나타낸 하강 위치에 유지하는 인장 스프링, (21)은 제 1 도에 나타낸 각 손잡이(4),(5)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막대, (22)는 연결축, (23)은 걸어맞춤 레버, (24)는 상기 걸어맞춤 레버(23)를 회전할 수 있게 걸어맞춰져 있는 고정축, (25)는 상기의 걸어맞춤 부재(12)와 걸어맞춤 레버(23)를 걸고 벗기고 하는 회전자로서, (25a)는 상기 걸어맞춤 부재(12)의 걸어맞춤요입부, (25b)는 상기의 걸어맞춤 레버(23)의 걸어맞춤 요입부이다.
(26)은, 상기 회전자(25)에 착설된 자석으로서, 리이드 스위치(이하 “스위치”라고 한다)(S3)을 온, 오프 한다.
(27)은, 상기 회전자(25)와 일체로 된 회전축, (28)은 상기한 문(3)를 차체(2)에 잠기게 하는 U자형의 걸어맞춤 부재로서, 회전축(27)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29)는, 상기 차체(2)에 착설된 U자형의 걸어맞춤 쇠장식으로서, 문(3)을 닫았을 때에, 걸어맞춤 부재(28)가 걸어맞춰진다.
(30)은 상기 걸어맞춤 부재(28)를 걸어맞춤 위치 또는 900°회전시킨 개방 위치를 유지하는 스프링으로서, 연결 막대(21)외에 부호(22)~(30)으로서 나타낸 각부와, 스위치(S3)에 의하여 걸어맞춤 부재(12)를 자동적으로 잠기게 하는 수단을 수동 록(7)에 장치한 것이다.
다음은,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도(a),(b)는, 문(3)이 닫히고 수동 록(7)이 잠겼을때의 상태이다.
자동차(1)에 탈때에는, 먼저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고, 화살표시(A) 방향으로 돌리면, 걸어맞춤 요입부(11c)의 위끝단부에 걸어맞춰져 있는 회전 레버(18)가 제 2 도(b)의 화살표시(B)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인장 스프링(20)을 신장하여 힘을 가하면서 작동판(11)을 상승시킨다. 이때에 스위치(S1)가 오프되고, 스위치(S2)가 온된다.
이어서, 손에 쥐고 있는 키이(K)를 잡고 있는 힘을 늦추면, 인장 스프링(20)의 복원력에 위하여 키이(K)는 당초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동시에 회전 레버(18)도 제 4 도의 (B)의 2점 쇄선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고, 스위치(S2)는 오프로 된다.
그런, 스위치(S1)가 온으로 된 시점에서 도시하지 않은 릴레이 회로의 접점이 만들어지고, 자기 유지되어, 엔진을 시동하는 전원회로를 닫히게 하고, 그후는 엔진 스위치(8)[제 1 도(b)]의 온에 의하여 엔진이 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작동판(11)의 걸어맞춤 요입부(11c)의 절결부를 크게하여 놓았기 때문에, 회전레버(18)가 화살표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5 도(b)의 2점 쇄선의 위치로 되어도 작동판(11)은 내려가지 않고, 스프링(15)의 가하여진 힘에 의하여 위쪽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동시에, 걸어맞춤 부재(12)를 회전자(25)의 걸어맞춤 요입부(25a)에서 이탈시킨다.
이어서, 외부 손잡이(4)를 끌어당겨 걸어맞춤 레버(23)를 회전자(25)의 걸어맞춤 요입부(25b)에서 이탈시킴으로써, Uw자형의 걸어맞춤 부재(28)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문(3)을 열면, 걸어맞춤 부재(28)가 제 3 도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쇠장식(29)을 따라 회전하고, 또한 실선의 위치에서 완전히 이탈하여, 스프링(30)에 의하여 제 4 도(a),(b)에 나타낸 위치를 유지한다. 이때에, 온되어 있던 스위치(S3)가 오프된다.
이어서, 승차한 후에, 문(3)을 닫으면, U자형의 걸어맞춤 부재(29)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와 반대로 회전하여, 실선의 위치에서 걸어맞춤 쇠장식(29)에 접촉하므로, 2점 쇄선의 위치로 회전하고, 디시 제 2 도(a)에 나타낸 위치로 되어 완전히 걸어맞춰지고, 이어서 걸어맞춤 레버(23)가 회전자(25)의 걸어맞춤 요입부(25b)에 걸어맞춰진다.
이어서, 문(3)이 닫힌 다음에 작동판(11)을 하강시키면, 걸어맞춤 부재(12)가 걸어맞춤 요입부(25a)에 걸어맞춰지고, 스프링(15)으로 하강 위치를 유지하여, 제 2 도(a)의 상태로 된다.
이어서, 하차할 때에는 손잡이(11a)를 잡고 작동판(11)을 끌어올려 걸어맞춤 부재(12)를 이탈시켜 내부 손잡이(5)를 조작하여 상기와 마찬가지로 문(3)을 열고 하차한다.
이이서, 작동판(11)을 밀어 내리면, 스위치(S1)는 온되며, 스위치(S2)는 오프로 되고, 회전자(25)와 U자형의 걸어맞춤 부재(28)는 제 5 도(a), (b)의 위치에 있으므로, 걸어맞춤 부재(12)는 회전자(25)의 원주상에 위치하여 압축 스프링(14)을 압축하여, 힘이 가하여져 있으므로, 수동 록(7)은, 잠겨질 준비의 상태에 있게 된다.
이어서, 문(3)을 완전히 닫으면 회전자(25)는 회전하므로, 스위치(S3)가 온으로 되고, 걸어맞춤 부재(12)는 압축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하여 제 2 도(a), (b)에 나타낸 당초의 위치로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의 각 스위치(S1)~(S3)등은 엔진을 시동하는 전원 회로를 닫거나 해제시킨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경보를 발한다든지 하기에 적절히 사용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제 6 도(a),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배면도로서, 제 1 도 및 제 2 도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고, (31)은 솔레노이드로서, 도시하지 않은 레이저 키이 등의 신호에 의하여 작동한다.
(32)는 상기 솔레노이드(31)의 플런저(Plunger), (33)은 상기 플런저(32)에 착설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 (33a)는 상기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에 형성한 걸어맞춤 부재로서, 수동용의 작동판(11)에 형성한 걸어맞춤 부재(11e)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자유로이 걸고 떼고 할 수 있게 걸어맞춘다.
(33b)는 상기 전동용(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에 형성된 작동 부재로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의 동작에 의하여 스위치(S4)를 온, 오프한다.
(34)는 상기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의 스톱퍼, (41)은 상기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한 키이(K)의 회전에 의하여 위아래로 동작하는 키이 용의 작동판으로서, 그 배면도를 제 6 도(c)에 나타낸다.
(41a)는 상기 키이용의 작동판(41)에 형성한 걸어맞춤 부재, (41b)는 상기 키이용의 작동판(41)에 형성되어, 회전 레버(18)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요입부, (42)는, 상기 키이용의 작동판(41)의 위쪽 및 아래쪽의 위치를 유지하는 스프링, (43)은 상기 키이용의 작동판(41)에 마련된 회전판, (44)는 상기 키이용의 작동판(41)에 고정된 고정축으로서, 회전판(43)을 회전할 수 있게 끼워맞추고 있다.
(45)는 상기 회전판(43)에 형성한 걸어맞춤 돌기로서, 회전판(43)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6)의 반발력으로써 회전판(41)을 회전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용의 작동판(33)에 형성한 걸어맞춤 요입부(33c)에 걸어 맞춘다.
(47)은 상기 작동판(41)에 착설되고, 또한 스프링(46)을 장치하는 동시에 회전판(43)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축, (48)은 상기 안내축(47)의 안내 구멍, (49)는 상기 작동판(41)에 착설되어, 스프링(46)에 힘을 가하여 걸어멈추게 하는 스프링 받이 축, (50)은 상기의 회전판(43)에 착설되어, 스프링(46)에 힘을 가하여 걸어멈추게 하는 스프링 받이축, (51)은 상기 회전판(43)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톱퍼이다.
또한, 솔레노이드(31), 플런저(32)는,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가 열려 외부에서 손을 댈 수 없도록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둘러 싼다.
다음은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 도(a), (b)는 수동 록(7)이 잠겼을 때의 상태이다. 자동차(1)에 승차할때에는, 먼저 레이저 키이(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일정한 펄스열로써 이루어지는 레이저 신호를 발신하고, 이 레이저 신호가 수신되어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펄스열과 일치하면, 솔레노이드(31)에 통전이 행하여져, 플런저(32)와 작동판(33)을 끌어올린다. 이때문에, 걸어맞춤 부재(33a)가 수동 록(7)의 작동판(11)의 걸어맞춤 부재(11e)를 끌어올리므로, 자물쇠가 열려 스위치(S4)를 온으로 한다. 동시에 걸어맞춤 부재(11d)가 이탈하여 스위치(S1)를 오프로 한다. 이 상태를 제 7 도(a), (b)에 나타낸다. 그리고, 작동판(11)은, 스프링(15)의 가하여지는 힘에 의하여 그 위치를 유지한다. 이어서, 문(3)을 열고 승차하여, 작동판(11)을 자물쇠를 잠그는 방향으로 밀어내리면, 걸어맞춤 부재(11e)가 걸어맞춤 부재(33a)를 밀어 내림으로써 제 6 도(a), (b)의 상태로 되고, 스위치(S1)를 온으로 하고, 스위치(S4)를 오프로 한다.
다음에, 하차할때에는, 작동판(11)을 손으로 끌어올리면 자물쇠가 열린다. 이때에,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은 움직이지 아니하고, 제 6 도(a), (b)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어서, 작동판(11)을 밀어 내리고 문(3)을 닫는 동작은 제 2 도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레이저 키이가 고장을 일으켜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고, 화살표시(c)방향 [화살표시(c) 방향은 키이(K)로써 자물쇠를 여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서 자물쇠를 잠그는 방향이 되는데, 제 6 도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에서는 키이(K)로써는 자물쇠를 잠글 수 없게 되어 있다.]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레버(18)가 화살표시(D)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키이용의 작동판(41)을 하강시킨다.
이와 동시에 회전판(43)도 하강하므로, 회전판(43)은 스톱퍼(51)에서 떨어지고, 또한, 스프링(46)의 가하여지는 힘에 의하여 회전판(43)도 화살표시(E)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지고, 또한, 회전하여 제 8 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45)가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의 걸어맞춤 요입부(33c)에 걸어맞춰지고, 키이용의 작동판(41)과 솔레노이드용의 작동판(33)이 일체가 된다. 이때에 스위치(S2)가 온이 된다.
이어서, 키이(K)를 제 6 도(a)의 화살표시(C)와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 레버(18)도 제 6 도(c)에 나타낸 화살표시(D)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키이용의 작동판(41)을 개재하여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과 작동판(11)이 끌어올려져서 자물쇠가 열리고 스위치(S2)가 오프로 되고, 제 7 도(a),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때에, 회전판(43)은 제 8 도(a)의 위치에서 제 8 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퍼(51)에 맞닿게 되므로, 화살표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돌기(45)는 걸어맞춤 요입부(33c)에서 이탈된다.
이어서, 승차하여, 문(3)을 닫고, 작동판(11)을 밀어내려 자물쇠를 잠근다. 하차시에는 작동판(11)을 끌어 올려 자물쇠를 열고, 문(3)을 열고, 작동판(11)을 밀어내려 자물쇠를 잠글 수 있는 상태로 만든 다음에, 문(3)을 닫고 자물쇠를 잠근다. 또한, 키이용의 작동판(41)은 키이(K)로 자물쇠를 연 후에는 동작하는 일은 없다.
다음은, 자물쇠 장치의 잠금과 열음, 문(3)의 개폐에 의한 각 스위치(S1)~(S4)의 온, 오프 동작, 신호의 발신과 정지,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의 작동, 주의음, 경보음의 발신, 정지등의 동작을 제 9 도~제 13 도의 파형도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레이저 키이로서는 레이저 펄스 발진부와, 변조부와, 송신 단추 등으로써 구성하고, 송신 단추를 눌러 레이저 펄스 발진부에서 레이저 펄스열을 만들고, 이것을 변조부에서 변조하여 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펄스열을 발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 9 도(a)~(c)는, 제 2 도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의 각 스위치(S1), (S2), (S3)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먼저 문(3)이 닫혀 있는 시각(t0)에서는 스위치(S1)가 온으로 된 상태에 있고, 안쪽에서 자물쇠가 잠겨져 있는 신호가 발신되어 있고, 자동차(1)에서 떨어진 장소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스위치(S2)는 오프, 스위치(S3)는 온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시각(t1)에서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여 돌리면, 스위치(S2)가 온이되고, 바깥쪽에서 자물쇠가 열린 신호가 발신되는 동시에, 제 1 도의 엔진 스위치(8)를 조작하여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전원이 온이 된다.
이어서, 키이(K)를 당초의 삽입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스위치(S2)는 오프가 된다.
이어서, 시각(t2)에서 레이저 키이에 의하여 신호를 발신하게 하면 솔레노이드(31)에 통전되어 솔레노이드용의 작동판(33)이 상승하여 자물쇠가 열리고 스위치(S4)가 온이되고, 바깥쪽에서 레이저 키이로써 자물쇠가 열렸다는 신호가 발신되는 동시에,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전원이 온으로 된다.
이어서, 시각(t2)에서 문(3)을 열면 문(3)이 닫혀 있음을 알리는 신호의 발신이 정지한다.
이어서, 승차한 후에, 시각(t3)에서 문(3)을 닫으면 스위치(S3)가 온이되어, 시각(t4)에서 작동판(11)을 내리면 스위치(S1)가 온으로 되어 자물쇠가 잠긴 신호가 발신되고, 스위치(S2)가 오프되어, 자물쇠가 열린 신호의 발신이 정지한다.
다으에, 하차할때에는, 시각(t5)에서 작동판(11)을 끌어올리면 스위치(S1)가 오프로 되어 자물쇠가 잠긴 신호가 오프로 되고, 시각(t6)에서 문(3)을 열고 스위치(S3)를 오프로 만들고, 시각(t7)에서 작동판(11)을 잠그고, 스위치(S1)를 온으로 만든다.
이어서 시각(t8)에서 문(3)을 닫고 완전히 자물쇠를 잠근다. 이때에,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이 오프로 된다. 이 저원을 오프로 하는 조건은 스위치(S3)가 오프인 때에 스위치(S1)가 온이 되고, 다시 스위치(S3)를 온으로 한때에다. 또한, 키(K)를 사용하지 않고 문(3)의 유리창을 파손하거나, 창틀과 유리창과 틈새에 얇은 판을 끼워 넣어 작동판(11)을 끌어 올리는 등의 부정한 수단에 의하여 자물쇠를 연 경우에, 스위치(S1)는 오프로 되지만, 키이(K)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여 자물쇠를 여는 조작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스위치(S2)를 온으로 되게 할 수 없으므로, 전원이 온으로 되지 않고, 엔진을 시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스위치(S1)의 오프에 의하여 문(3)이 안쪽에서 잠겨져 있는 신호가 오프로 되므로,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가 열렸다는 것이 판명된다. 또한, 스위치(S1)와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와의 조합에 의하여 주의음이나 경보음을 발신할 수도 있다.
제 10 도(a)~(b)는 제 6 도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의 스위치(S1)~(S4)의 동작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먼저, 문(3)이 닫혀 있는 시각(t0)에서는, 스위치(S1)가 온의 상태에 있고, 안쪽에서 자물쇠가 잠겨 있는 신호가 발신되어 있고, 각 스위치(S2), (S4)는 오프 스위치(S3)는 온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시각(t2)에서 문(3)을 열면 문(3)이 닫혀 있음을 알리는 신호의 발신이 정지한다.
이어서, 승차한 후에 시각(t3)에서 문(3)을 닫으면 스위치(S3)가 온이되고, 시각(t4)에서 작동판(11)을 밀어내리면, 스위치(S1)가 온 되어 자물쇠가 잠김 신호가 발신되며, 동시에 스위치(S4)가 오프로 되고, 자물쇠가 열림 신호의 발신이 정지된다.
다음에, 하차하기 위하여 안쪽에서 작동판(11)을 끌어 올려 자물쇠를 여는 시각(t5) 이후의 동작은 제 9 도의 시각(t5) 이후의 동작과 동일하게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1 도(a)~(h)는, 제 6 도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에 있어서, 승차시에 레이저 키이가 고장을 일으켜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의 자물쇠의 잠기고 열림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a)~(d)는 스위치(S1)~(S4), (e)는 타이어(도시하지 않음), (f)는 주의음, (g)는 복구 단추, (h)는 주의음으로부터 경보음으로 변환하는 경우를 나타낸 파형도이다.
시각(t0)에서는 문(3)이 닫혀 있고, 스위치(S1)가 온의 상태에 있고, 스위치(S2)는 오프, 스위치(S3)는 온의 상태로 된다.
다음에, 시각(t1)에서는 키이(K)에 의하여 실린더 자물쇠(6)를 제 6 도(a)의 화살표시(C)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치(S2)가 온이되고, (e)에 나타낸 타이머가 온이 되어 소요시간, 에를 들면 20초간을 작동하고, 동시에 바깥쪽에서 키이(K)로써 자물쇠가 열렸다고 하는 주의음이 발신된다.
이어서, 시각(t2)에서 키이(K)를 제 6 도(a)의 화살표시(C)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을 상승시켜 자물쇠를 열면, 스위치(S4)가 온이되는 동시에, 스위치(S1)가 오프로 되고, 안쪽에서 자물쇠가 잠겨져 있다는 신호의 발신이 정지되고, 또한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전원이 온이된다. 스위치(S4)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원을 온으로 한다. 전원을 오프로 하는 조건은, 제 10 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위치(S3)가 오프상태일때에 스위치(S1)가 온으로 된 신호로 전원을 오프로 한다. 이어서, 시각(t3)에서 문(3)을 열고, 시각(t4)에서 자동차(1) 내부의 복구 단추(도시하지 않음)을 누르면, (g)주의음의 발신을 정지시킬 수가 있고, 시각(t4) 이후의 주의음이 발신되지 않는다.
이어서, 시각(t5)에서 문(3)을 닫고, 시각(t7)에서 작동판(11)을 밀어내리고, 자물쇠를 잠그고, 스위치(S1)를 오프한다. 시각(t7) 이후의 동작은 제 10 도의 시각(t7) 이후의 동작과 같다. 또한,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구 단추를 타이머의 작동시간, 즉 시각(t1)~(t6)의 예를들면, 20초 이내에 밀지않는 경우에는 시각(t6)에서 주의음으로부터 경보음으로 변화하여 발신된다.
제 12 도(a)~(f)는 제 6 도에 나타낸 자물쇠 장치에 있어서, 하차할때에 레이저 키이가 이미 고장이 나 있음을 알고 있으면서, 하차한 후에, 실린더 자물쇠(16)의 자물쇠를 열음에 있어서 주의음의 발신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조작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a)~(d)는 스위치(S1)~(S4), (e)는 타이머, (f)는 주의음을 나타낸다. 시각(t0)에서 문(3)은 닫혀 있고, 시각(t1)에서 작동판(11)을 끌어올려 스위치(S1)를 오프한다. 시각(t2)에서 문(3)을 열면 타이머가 온이 되어 작동한다.
이어서 하차한 후에, 시각(t3)에서 작동판(11)을 밀어내려 스위치(S1)를 온으로 하고, 시각(t4)에서 문(3)을 닫으면, 타이머가 온의 작동을 한다. 그동안, 예를 들면, 20초 동안은 주의음의 발신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타이머가 온으로 되어 있는 동안의 시각(t5)의 시점에서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고, 제 6 도(a)의 화살표시(C)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8 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S2)를 온으로 되게 하여 두며, 타이머 오프의 시각(t6) 이후의 주의음의 발신이 정지한다. 이때문에, 시각(t7)에서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여 자물쇠를 열고, 시각(t8)에서 문을 열고 승차하여도 주의음은 발신되지 않는다.
제 13 도(a)~(g)는, 제 12 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차할 때에 레이저 키이가 이미 고장나 있음을 알고 있는 경우이지만, 도난 방지를 위해서 하차한 후에 실린더 자물쇠(6)의 자물쇠 열림에서 주의음의 발신이 필요한 경우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조작을 나타낸 파형도로서, (a)~(d)는 스위치(S1)~(S4), (e)는 타이머, (f)는 주의음, (g)는 복구 단추의 파형을 나타낸다.
시각(t0)~(t4)까지의 동작은 제 12 도의 시각(t0)~(t4)의 동작과 동일하며, 시각(t5)에서 타이머가 오프로 되어도 스위치(S1),(S2)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주의음은 발신되지 않는다.
다음에, 시각(t0)에서 승차하기 위하여, 제 11 도에 나타낸 시각(t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키이(K)를 실린더 자물쇠(6)에 삽입하고 제 6 도(a)의 화살표시(C)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주의음이 발산된다. 즉, 시각(t6)이후의 동작은 제 11 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이 실린더 자물쇠(6)을 키이(K)에 의해 열므로서 온으로 되고, 엔진 시동용의 전원을 온으로 하는 스위치를 마련하고, 또한 창문 유리가 닫혀져 있을때에는 작동하고, 창분 유리가 열려져 있을때에는 작동하지 않게 되는 창문 유리 파손 검지 스위치를 마련하고, 한편, 문이 닫혀진 후에 작동판을 잠김 방향 작동하였는지 또는 작동판을 잠김 방향으로 작동한 후에 문을 닫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회로를 마련하고, 또한, 작동판을 잠김 방향으로 작동한 후에 문을 닫았다는 것을 판별회로가 판별한 상태에 있어서 창문 유리 파손 검지 스위치가 작동한때에 작동하는 알려주는 수단을 마련하면, 작동판을 잠김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에 문을 닫았다는 것을 판별회로가 판별하고 있는 상태에 있을때에, 문의 창문 유리가 파손되면 창문 유리 파손 검지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알려주는 수단이 작동하기 때문에 경보음을 발신하고, 이것에 의하여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승차시에, 문을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수단으로 열때에만 스위치를 온시켜서 엔진을 시동하는 전원 회로를 닫고, 이와 동시에 수동 록에 착설된 작동판에 의하여 잠겨져 있는 것을 열고 문을 열어 승차 및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하고, 한편, 하차시에 작동판으 조작하여 안쪽에서 자물쇠를 연후에 문을 열고 하차하고, 이어서, 작동판을 자무뢰를 잠그는 방향으로 조작한 후에, 문을 닫음으로써 자물쇠가 잠기도록 하였기 때문에, 자동차의 창문 유리를 파손한다거나 문의 창틀과 유리창과의 틈새로 얇은 판을 끼워 넣어 작동판을 끌어 올리는 등의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가 열리더라도 키이에 의하여 자물쇠가 열린 것이 아니므로, 엔진을 시동할 수 없으므로, 자동차를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키이를 사용하용 정상적으로 자물쇠를 열었는지, 아니면 키이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를 열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형태에 있어서의 정상적인 수단으로서 실린더 자물쇠와 키이를 사용하여, 실린더 자물쇠에 키이 삽입하여 회전시켰을 때에만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하는 스위치를 장치하였으므로, 키이를 사용하지 않고 부정한 수단으로 자물쇠를 열었을 때에는 엔진을 시동시킬 수 없으므로,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작동판의 아래쪽에는 항상 아래쪽으로 밀어 눌려져 있는 걸어맞춤 부재를 마련하고, 작동판을 자물쇠를 잠그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임시로 잠긴 상태로 하고, 하차시에 문을 닫았을 때에 자동적으로 자물쇠가 잠가지는 수단을 마련하였으므로, 키이로 자물쇠를 잠그는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문을 완전히 잠글 수 있다. 이때문에, 잠그는 장치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형태에 사용한 키이 대신에, 레이저 키이를 사용하여, 레이저 신호를 발신하고, 이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여 솔레노이드에 착설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을 개재하여 수동용의 작동판을 작동시켜,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을 온이되게 할 수 있게 하였으므로, 레이저 키이를 사용할 때 외에는 엔진을 시동할 수 없으므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차시에 문을 임시 잠근 후에, 문을 닫고 완전히 잠글 수 있으므로, 레이저 키이로써 자물쇠를 잠글 필요가 없고, 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다. 그리고, 키이를 실린더 자물쇠에 삽입하여 자물쇠를 여는 장치를 갖추었으므로, 레이저 키이가 고장이 나서 작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키이로써 자물쇠를 열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문(3)을 잠그고 여는 수동 록(7)을 갖춘 자동차(1) 문을 잠그고 여는 방법에 있어서, 승차시에, 상기의 문(3)을 바깥쪽에서 정상적인 수단으로 열때에만 스위치를 온으로 되게 하여 엔진을 시동하는 전원 회로를 닫고, 이와 동시에 상기의 수동 록(7)에 착설된 작동판(11)에 의하여 잠겨져 있는 자물쇠를 열고 상기의 문(3)을 열어 승차 및 엔진을 시동할 수 있게 하고, 한편, 하차시에 상기의 작동판(11)을 조작하여 안쪽에서 자물쇠를 연 후에 상기한 문(3)을 열고 하차하고, 이어서, 상기의 작동판(11)을 자물쇠를 잠그는 방향으로 조작한 후에, 상기의 문(3)을 닫음으로써, 자물쇠가 잠기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2. 문(3)을 잠그고 여는 수동 록(7)을 갖춘 자동차(1) 문(3)을 잠그고 여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3)의 안쪽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작동판(11)을 상기의 수동 록(7)에 착설하고, 상기 문(3)의 바깥쪽에서는 상기의 문(3)에 장치한 실린더 자물쇠(6)에 키이(K)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하는 스위치를 장치하는 동시에, 상기의 실린더 자물쇠(6)에 착설한 회전 레버(18)가 상기의 작동판(11)에 형성한 걸어맞춤 요입부(11c)에 자물쇠가 열리는 방향으로만 걸어맞춰져서 작동시키는 수단을 상기의 수동 록(7)에 마련하고, 또한 상기 작동판(11)의 아랫쪽으로 항상 밀어 눌려져 있는 걸어맞춤 부재(12)를 마련하여, 상기의 작동판(11)을 자물쇠가 잠기는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에, 상기의 문(3)을 닫았을 때에 상기의 걸어맞춤 부재(12)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자물쇠를 잠기게 하는 수단을 상기의 수동록(7)에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장치.
  3. 문(3)을 잠그고 여는 수동록(7)을 갖춘 자동차(1) 문(3)을 잠그고 여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3)의 안쪽에서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작동판(11)을 상기의 수동 록(7)에 착설하고, 상기 문(3)의 바깥쪽에서는 레이저 키이에서 발신된 소정의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작동하여 엔진을 시동시키는 전원을 온으로 되게 하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31)를 장치하여, 이 솔레이노드(31)에 착설된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을 개재하여 상기 수동용의 작동판(11)을 자물쇠가 열리는 방향으로만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상기의 수동 록(7)에 착설하고, 또한, 상기 작동판(11)의 아래쪽으로 항상 밀어 눌려져 있는 걸어맞춤 부재(12)를 마련하여, 상기의 작동판(11)을 자물쇠가 잠기는 방향으로 작동시킨 후에, 상기의 문(3)을 닫았을 때에, 상기의 걸어맞춤 부재(12)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자물쇠를 잠그는 수단을 상기의 수동록(7)에 마련하고, 또한, 상기의 문(3)에 장치한 실린더 자물쇠(6)에 키이(K)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 용의 작동판(33)이 상기 수동용의 작동판(11)을 자물쇠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장치.
KR1019860010664A 1985-12-18 1986-12-12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KR900002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305985A JPH07116876B2 (ja) 1985-12-18 1985-12-18 自動車扉の施解錠方法および施解錠装置
JP60-283059 1985-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297A KR870006297A (ko) 1987-07-10
KR900002875B1 true KR900002875B1 (ko) 1990-05-01

Family

ID=1766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664A KR900002875B1 (ko) 1985-12-18 1986-12-12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87223A (ko)
EP (1) EP0227412B1 (ko)
JP (1) JPH07116876B2 (ko)
KR (1) KR900002875B1 (ko)
AU (1) AU590036B2 (ko)
BR (1) BR8606250A (ko)
CA (1) CA1271044A (ko)
DE (1) DE366933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947A (en) * 1987-07-30 1989-02-02 Shiroki Corp Door lock/unlock detecting device for burglary preventing device for automobile
DE3737468A1 (de) * 1987-11-05 1989-05-24 Kiekert Gmbh Co Kg Tuerverschlusssystem fuer ein kraftfahrzeug
DE4312342C2 (de) * 1993-04-15 1995-06-01 Deutsche Aerospace Einrichtung zum Schutz von Personen- und Nutzfahrzeugen gegen Diebstahl
JPH06307138A (ja) * 1993-04-21 1994-11-0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防盗装置
JPH0726816A (ja) * 1993-07-14 1995-01-27 Nissan Motor Co Ltd ドアロック装置
JP3866783B2 (ja) 1995-07-25 2007-01-1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US5656990A (en) * 1996-01-22 1997-08-12 Schwimmer; Martin Vehicle safety device
US5743380A (en) * 1996-12-02 1998-04-28 Augat Inc. Rotary door lock switch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R2799169A1 (fr) * 1999-08-12 2001-04-06 Roger Philippe Boedec Mecanisme d'ouverture de porte de vehicule a detection d'intrusion
CN102383669A (zh) * 2011-10-21 2012-03-21 昆明理工大学 一种全息光学锁
US9359988B2 (en) * 2012-04-19 2016-06-07 Kevin Lloyd McNabb Direct current electric starter solenoid manual activation device
CN102999957B (zh) * 2012-09-22 2015-07-29 华南理工大学 基于超声波成像与识别技术的保险柜系统及其密匙
CN104658087B (zh) * 2015-01-14 2017-09-05 殷思昊 一种接触式激光编码防盗锁
CN114320038B (zh) * 2021-12-10 2023-02-03 华人运通(江苏)技术有限公司 车辆应急开门装置、方法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44960A (en) * 1923-10-08 1925-07-07 Otto G Klein Door latch
DE6922710U (de) * 1969-06-04 1969-12-18 Herbert Szigat Wuppertaler Sch Alarmvorrichtung an kraftfahrzeug-tuerschloessern
JPS5048625A (ko) * 1973-09-06 1975-04-30
GB1517721A (en) * 1975-06-26 1978-07-12 Wilmot Breeden Ltd Vehicle door locking or fastening systems
DE2911630C2 (de) * 1979-03-24 1982-10-14 Kiekert GmbH & Co KG, 5628 Heiligenhaus Elektrische Zentral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türen
DE2929772A1 (de) * 1979-07-23 1981-02-12 Kirsten Elektrotech Diebstahlsicherung fuer kraftfahrzeuge
FR2501271A1 (fr) * 1981-03-03 1982-09-10 Mecanismes Comp Ind De Serrure, notamment pour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AU545001B2 (en) * 1982-11-11 1985-06-27 Joseph Day Car locking device
US4667990A (en) * 1984-07-16 1987-05-26 Quantz Norman G Electrically actuated lock mechanism
US4586737A (en) * 1984-08-22 1986-05-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body door 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606250A (pt) 1987-09-29
EP0227412A3 (en) 1987-10-14
JPH07116876B2 (ja) 1995-12-18
EP0227412B1 (en) 1990-03-07
CA1271044A (en) 1990-07-03
JPS62146378A (ja) 1987-06-30
KR870006297A (ko) 1987-07-10
AU6663386A (en) 1987-06-25
EP0227412A2 (en) 1987-07-01
US4787223A (en) 1988-11-29
DE3669339D1 (de) 1990-04-12
AU590036B2 (en) 198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2875B1 (ko) 자동차 문의 자물쇠를 잠그고 여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8999500B (zh) 具闩锁机构和带重置装置的外侧释放机构的闭合闩锁组件
US20010005078A1 (en) Door lock apparatus
US20040012468A1 (en) Electrically operated ratcheting pawl latch
EP0775793A1 (en) Vehicle door lock actuator
US5497640A (en) Door locking system for vehicles
US4855710A (en) Burglarproof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303367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어셈블리
GB2211552A (en) Theft prevention device for automobiles
KR100249478B1 (ko) 자동차의도어로크(래치)
KR100256175B1 (ko) 자동차 전동식 도어래치
JPH0219335Y2 (ko)
JP2604019Y2 (ja) 盗難防止装置
JP2526222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
JPS62199555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H0219501Y2 (ko)
JP2797275B2 (ja) 確認スイッチ付き平面ハンドル装置
JP3310915B2 (ja) 車両ロック装置
JPH0781440B2 (ja) 自動車扉の施解錠装置
KR100214719B1 (ko) 자동변속기 탑재 차량의 도난 방지장치
JP4253769B2 (ja) 自己保持機能を持つシステムスイッチ
JPS61179981A (ja) 自動車の自動ドアロツク装置
JP3310914B2 (ja) 車両ロック装置
JPS61237778A (ja) 自動車のドアロツク装置
JP2599664Y2 (ja) プッシュボタン式シリンダ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