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848B1 -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48B1
KR900001848B1 KR1019870002034A KR870002034A KR900001848B1 KR 900001848 B1 KR900001848 B1 KR 900001848B1 KR 1019870002034 A KR1019870002034 A KR 1019870002034A KR 870002034 A KR870002034 A KR 870002034A KR 900001848 B1 KR900001848 B1 KR 900001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teering
pinion
field winding
electrical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744A (ko
Inventor
미쓰하루 모리시다
싱이찌 고오게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7000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제1도 내지 제6도는 이 발명에 의한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제1도는 상기 장치의 일반적인 배치의 개요도.
제2도는 동력조향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블록도.
제3도는 제1전자 슬라이딩 클러치의 클러치전류와 전달토오크간의 관계특성도.
제4도는 조향토오크대 모터전압 및 조향토오크대 제1클러치전류의 관계특성도.
제5도는 차속대제1클러치전류 및 차속대제2클러치전류의 관계특성도.
제6도는 제1도와 같은 종래의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개요도.
제7도는 제6도의 제2도와 같은 종래의 동력조향장치의 제어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조향축
3 : 토크센서 5 : 제1피니온
6 : 랙 6a : 제1랙톱니부
6b : 제2랙톱니부 9, 109 : 제어유닛
10 : 차속센서 11 : 축전지
12 : 키 또는 점화스위치 13 : 모터
14 : 제1전자클러치 17 : 제2클러치
18 : 제2피니온 S : 제1스위치수단
109f : 제2스위칭수단 198e : 제어수단
이 발명은 운전자의 조향동작을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보조하는 차량용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 형태의 재래식 조향장치는 제6도에 개략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은 조향축(2), 제1피니온(5)과 제1랙톱니부를 포함하는 제2랙피니온기어(T1)를 거쳐서 한쌍의 타이로드(8a)(8b)를 통하여 그 양쪽끝에 한쌍의 조향차륜(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있는 조향랙(6)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핸들(1)을 운전자가 돌리면은 조향차륜(도시생략)이 운전자의 핸들(1)조향동작에 따라서 적절히 조향동작하는 것이 지금까지 알려져왔다.
다른 한편 조향랙은 제2랙톱니부(6b)와 제2피니온(18)을 포함하는 제2랙피니온기어, 그리고 감속기어(R)을 통하여 모터(13)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모터(13)의 구동력은 감속기어(R), 제2랙피니온기어(T2)를 통하여 랙(6)으로 전달되므로서 운전자의 핸들조향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모터(13)은 제어유닛(9) 과 키(Key) 또는 점화스위치(12)를 통하여 축전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어 제어유닛(9)의 제어하에 축전지(11)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어유닛(9)은 조향토크센서(3)와의 차속센서(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조향토크 및 차속측정치를 기준으로하여 모터(13)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어유닛(9)은 축전지(11)에서 모터(13)의 전기자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예를들면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er), 파워모스에프-이-티(Power MOS 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er))등의 4개의 전기스위칭 엘리먼트(9a∼9b)를 포함하므로서 모터(13)의 회전방향을 전환할수 있으며 또한 토크센서(3) 및 차속센스(10)로부터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어수단(9e)이 있어 전기스위칭엘리먼트(9a∼9b)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스위칭엘리먼트(9a∼9b)는 모터(13)의 전기자로 공급되는 대전류 즉 예를들면 모터구동 개시시에 약 50∼80Amp 그리고 모터(13)의 정상가동상태에서 약 10∼20Amp를 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종래의 동력조향방식은 스위칭엘리먼트가 필연적으로 고가로되며 대규격화되는 결함이 있었다. 상기에 비추어 이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동력보조모터에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전기스위칭 엘리먼트를 염가의 축소규격으로 생산할수 있게하여 종래의 차량용 모터구동식동력조향장치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이 발명의 한실시예에 의하면 핸들이 조향차륜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차량용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핸들에 가하는 조향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조향력을 표시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토크센서; 축전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계자권선과 전기자가 있으며 핸들을 통한 운전자의 조향동작을 동력보조할수 있는 모터; 축전지와 모터의 계자권선 사이에 설치되어 계자권선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므로서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게 하는 전기스위칭수단; 그리고 토크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전기스위칭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는, 핸들; 핸들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고착 연결된 조향축; 차량의 운행속도를 검출하고 차속검출 측정치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차속센서; 조향축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핸들 회전력을 검출하며 이 조향토크측정치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토크센서; 조향축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이 조향축을 거쳐서 핸들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피니온; 타이로드를 통하여 한쌍의 조향차륜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위에 제1피니온과 맞물려있는 제1랙톱니부와 제2랙톱니부가 형성된 랙; 상기 랙의 제2랙톱니부와 맞물려있는 제2피니온; 축전지에 의하여 구동되는 계자권선과 전기자가 있으며, 핸들, 조향축, 제1피니온, 제1랙톱니부를 거쳐 운전자가 유발한 랙의 조향동작을 동력보조하기 위하여 감속기어를 통하여 제1피니온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모터; 모터와 제2피니온 사이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전류크기에 대체로 비례하여 이들간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자슬라딩클러치; 모터와 제2피니온사이에 설치되고 모터와 제2피니온간의 동작연결을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차단시키는 제2전자클러치; 측전지와 모터의 계자권선간에 설치되고 계자권선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므로서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게하는 전기 스위칭수단; 그리고 차속센스와 토크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모터, 전기 스위칭수단, 제1클러치 및 제2클러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에 의한 한실시예의 전기스위칭수단은 그 입력측이 축전지의 양극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계자권선의 일단에 연결된 제1전기 스위칭엘리먼트; 그 입력측이 축전지의 양극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계자권선의 타단에 연결된 제2전기스위칭 엘리먼트; 그 입력측이 계자권선의 타단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축전지의 음극에 연결된 제3전기 스위칭 엘리먼트; 그리고 그 입력측이 계자권선의 일단에 그리로 출력측이 축전지의 음극에 연결된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제1 및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중단되며 제2 및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는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1 및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에 대하여 양자 택일적으로 동시에 작동 또는 작동중단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내지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의 각각은 파워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4전기스위칭엘리먼트의 각각은 파워모스 에프-이-티(MOS FET)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는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전기스위칭 엘리먼트와 축전지의 양극간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 다른 전기스위칭수단이 모터의 전기자와 축전지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며 전기자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한다.
이 발명에 관한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몇가지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은 도시된 첨부도면에 따라 이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제6도 및 제7도의 종래기술에 표시된 동일번호 및 특성은 이 실시예의 동일부분과 같다. 먼저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하여 구성된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의 개략도이다. 제1도에서 도시된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는 핸들(1), 핸들(1)과 일체적으로 회전할수 있게 그 상단에 고착연결된 조향축(2), 이 조향축(2)상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핸들 회전력을 검출하고 이 조향토크 측정치를 표시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토크센스(2), 제1만능이음(4a)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상부(2a)와 하부2(b)를 포함하는 조향축(2), 제2만능이음(4b)을 통하여 조향축(2)의 하단과 그상단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피니온(5), 볼조인트(7a)(7b)를 통하여 한쌍의 조향차륜(도시생략)과 차례로 연결되어있는 타이로드(8a)(8b)와 그 양단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피니온(5)와 맞물려있는 제1톱니부(6a)와 이것과 축방향으로 이격된 혹은 연속된 제2톱니부(6b)가 있는 랙(6), 차량의 운행속도를 검출하고 차속측정치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차속센서(10), 키 또는 점화스위치(12), 랙(6)상의 제2랙톱니부(6b)와 맞물려있는 제2피니온(18), 축전지(11)를 전원으로 하는 계자권선(13a)과 전기자(도시생략)가 있는 직류모터로서 운전자가 유발한 랙(6)의 조향동작을 동력보조하기 위하여 감속기어(R)를 통하여 제2피니온(18)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모터(13), 모터(13)와 제2피니온(18)간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류크기의 대략비례하여 이들간에 동력을 전달하고 예를들면 파워클러치 히스테리시스클러치 등과같은 전자슬라이딩 클러치형태이며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모터(13)의 출력측과 직결된 제1전자클러치(14), 모터(13)와 제2피니온(18)간에 설치된 전자스위칭클러치 형태로서 그들 사이의 동작연결을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차단시키는 제2클러치(17), 그리고 차속센서(10) 및 토크센서(3)로 부터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모터(13), 제1 및 제2클러치(14)(1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09)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감속기어(R)는 제1슬라이딩 클러치(14)의 출력축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웜(15)과 이 웜(15)과 맞물려있는 너트형태의 웜기어(16)로 구성된다.
제2전자스위칭클러치(17)은 웜기어(16)가 제2피니온(18)과 기계적으로 결합 또는 차단시키는 역활을 한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한 제어유닛(109)은 모터(13)의 계자권선(13a)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면서 계자권선(a)의 극성을 절환하며 그럼으로 모터(13)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게 하는 제1전기스위칭수단(S)와 모터(13)의 전기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면서 모터(13)의 동작을 제어하게 하는 예를들면 파워트랜지스터, 파워모스 에프-이-티(MOS FET) 등의 제2전기스위칭수단(109f)과 그리고 토크센서(3)와 차속센서(10)로부터의 출력을 입력하여 제1 및 제2의 전기스위칭수단(S)(109f)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클러치(14)(1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9e)을 포함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전기스위칭수단(S)은 그 입력측이 축전지(11)의 양극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계자권선(13a)의 일단에 제1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와 그 입력측이 축전지(11)의 양극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계자권선(13a)의 타단에 연결된 제2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b)와 그 입력측이 계자권선(13a)의 타단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축전지(11)의 음극에 연결된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c)와 그리고 그 입력축이 계차권선(13a)의 일단에 그리고 그 출력측이 축전지(110의 음극에 연결된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d)로 구성된다. (109a) 내지 (109d)의 각 전기스위칭 엘리먼트는 파워트랜지스터 또는 파워모스 에프-이-티(MOS FET)이다.
제1 및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109c)는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동시에 동작 또는 동작중단되며 제2 및 제4전기스위칭엘리먼트(109b)(109d)는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동시에 동작 또는 동작중단되지만 제1 및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에 대해서는 양자택일적이다. 따라서 한쌍의 제1 및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109c)가 제어수단(109e)의 작용으로 동작될때 전류는 축전지(11)에서 키스위치(12), 제어수단(109e), 제1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를 경우 계자권선(13a)으로 공급되며, 계자권선(13a)에서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e)를 경유하여 축전지(11)로 귀환한다.
다른한편, 한쌍의 제2 및 제4전기스위칭엘리먼트(109b)(109d)가 제어수단(109e)의 작용으로 동작될때 전류는 축전지(11)에서 키스위치(12), 제어수단(109e), 제2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b)를 경우하여 계자권선(13a)으로 공급되며, 계자권선(13a)에서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d)를 경유하여 축전지(11)로 귀환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자권선(13a)의 극성이 가역으로 되므로서 모터(13)의 회전방향이 전환된다.
여기서 계자권선(13a)으로 공급되는 전류가 일반적으로 약 1∼3Amp이며 모터(13)의 전기자로 공급되는 약 10∼80Amp에 비해 현저하게 소량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모터(13)의 전기자에 공급되는 전류제어용으로 종래의 제어유닛(9)에 적용된 (9a) 내지 (9b)와 비교할때 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 내지 (109d)의 제작비와 규격을 실질적으로 감소할수 있게 되는것이다.
동작에 있어서, 제어유닛(109)은 제4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모터(13)와 제1전자슬라이딩클러치(1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먼저 차량이 정차시의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엔진시동을 위하여 우선 키스위치(12)을 온(on)하면 제2전자클러치(17)는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제2피니온(18)을 웜기어(16)와 기계적으로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핸들(1)을 돌리면을 제어유닛(109)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모터(13)와 슬라이딩클러치(14)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조향토크가 우측방향으로 증가하여 제4도의 a점에 도달하면은 한쌍의 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 및 (109c) 또는 대신 한쌍의 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b) 및 (109d)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동작되어서 계자권선(13a)으로 전류를 공급하며 동시에 제2전기스위칭수단(109f)도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동작되어서 모터(13)의 전기자로 전류를 공급하게 되므로서 모터(13)는 회전되며 b점에서 100% 전압이 인가된다. 조향토크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전류는 c점에서 제1전자슬라이딩클러치(14)를 거쳐 흐르기 시작하며 전류의 크기는 조향토크증가에 대하여 대수적으로 증가하고 d점에서 100%전류에 도달한다.
다른한편, 조향토크가 감소함에 따라 제1전자슬라이딩클러치(14)를 거쳐 흐르는 전류는 d점에서 감소하기 시작하여 c점에서 0%전류가 된다. 조향토크가 더욱 감소함에 따라서 모터(13)는 e점에서 모터(13) 오프되어서 모터(13)에 인가된 전압은 f점에서 0%가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모터(13)와 제1전자슬라이딩클러치(14)는 조향토크를 좌측방향으로 증가 및 감소할때도 같은 방법으로 제어된다. 제3도와 같이 제1슬라이딩클러치(14)의 특성은 전달토크 또는 슬라이딩토크가 클러치전류와 대략 직접 비례하는 범위의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제4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모터(13)는 조향토크가 증가하여 a점에 도달하였을때에 제2스위칭수단(109f)를 통하여 100%전압이 인가되고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조향토크를 더욱 증가함에 따라 제1슬라이딩클러치(14)를 거쳐 흐르는 전류는 c점에서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서 제1슬라이딩클러치(14)에서 위임(15)으로 전달되는 토크출력은 점차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운전자가 핸들에 가한 회전력에 대응하는 크기의 보조토크가 모터(13)에서 제1슬라이딩클러치(14), 웜기어(16), 제2전자클러치(17) 및 제2피니온(18)을 경유하여 랙(6)상의 제2톱니부(6b)로 전달되어서 운전자의 조향동작을 보다 가볍게 하게된다.
이번에는 차량이 운행할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경우 제5도와 같이 제1슬라이딩클러치(1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차속증가에 역비례하여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딩클러치 전류는 제5도의 g점에서 0%가 된다. 즉, 운전자가 핸들에 회전력을 가할지라도 제1슬라이딩클러치(14)를 거쳐 흐르는 전류는 제로가 된다. 다른 한편 차속이 증가하여 제5도의 h점에 도달하면은 제2전자클러치(17)의 작용이 중단되거나 오프되어서 웜기어(16)와 제2피니온(18)간에 맞물림되거나 기계적 결합은 해제 또는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핸들(1)을 돌릴때 운전자는 오직 제2랙톱니부(6b)와 제2피니온간에 맞물림으로 인한 부하만을 느끼게 된다.
환언하면, 조향방향식은 동력보조 없는 단지 수동조향이 되버린다. 반대로 차속이 감속할때는 제어유닛(109)은 제2전자클러치(17)가 h점에서 작동 또는 온되어서 제2피니온(18)과 웜기어(16)간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키게 하며 그러면 제1슬라이딩클러치(14)통해 흐르는 전류가 g점으로부터 점차 증가하게 된다.

Claims (9)

  1. 핸들과 조향차륜이 작동할수 있게 연결된 차량용 모터구동식 동력조향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상기 핸들(1)에 가한 조향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조향력을 표시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토크센서(3); 축전지(11)를 전원으로 동작하는 계자권선(13a)과 전기자가 있으며 상기 핸들(1)을 통한 운전자의 조향동작을 동력보조하도록 작동하는 모터(13); 상기 축전지(11)와 계자권선(13a)간에 설치하고 상기 계자권선(13a)으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므로서 상기 모터(13)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게하는 전기스위칭수단(109a∼109d); 그리고 상기 토크센서(3)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서 상기 전기스위칭수단(109a∼109d)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9e)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스위칭수단(109a∼109d)은 그 입력측이 상기 축전지(11)의 양극에 연결되고 그 출력측이 상기 계자권선(13a)의 일단에 연결된 제1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와, 그 입력축이 축전지(11)의 양극에 연결되고 그 출력측이 상기 계자권선(13a)의 타단에 연결된 제2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b)와, 그 입력측이 상기 계자권선(13a)의 타단에 연결되고 그 출력측이 상기 축전지(11)의 음극에 연결된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c)와 그리고 그 입력측이 상기 계자권선(13a)의 일단에 연결되고 그 출력측이 상기 축전지의 음극에 연결된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d)로 구성되, 상기 제1 및 제3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109c)는 상기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동시에 동작 또는 작동중단되며, 상기 제2 및 제4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b)(109d)는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3전기 스위칭 엘리먼트(109a)(109c)에 대해 양자택일적으로 작동 또는 작동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의 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109d)는 각각 파워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의 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109d)는 각각 파워모스 에프-이-티(MOS F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09e)은 상기 제1 내지 제4의 전기스위칭 엘리먼트(109a∼109d)와 상기 축전지(11)의 양극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3)의 전기자와 축전지(11)간에 설치된 또 다른 전기스위칭수단(109f)을 구성하여 상기 제어수단(109e)에 의하여 상기 전기자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전기스위칭수단(109f)은 파워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전기스위칭수단(109f)은 파워모스 에프-이-티(MOS FE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9. 핸들(1), 핸들(1)과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고착연결된 조향축(2), 차량의 운행속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차속을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차속센스(10), 상기 조향축(2)에 설치되고 운전자가 상기 핸들(1)에 가한 회전력을 검출하고, 이 검출된 조향토크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토크센서(3), 상기 조향축(2)과 작동할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조향축(2)를 거쳐 상기 핸들(1)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피니온(5), 타이로드(8a)(8b)를 통하여 한쌍의 조향차륜과 작동할수있게 연결되고 그 상부에 상기 제1피니온(5)와 맞물려있는 제1랙톱니부(6a)와 제2랙톱니부(6b)가 형성되어 있는 랙(6), 상기 랙(6)상 제2랙톱니부(6b)와 맞물려 있는 제2피니온(18), 축전지(11)를 전원으로 작동되는 계자권선(13a)과 전기자가 있으며 상기 제2피니온(18)과 감속기어(R)를 통하여 작동할수있게 연결되어서 상기 핸들(1), 조향축(2), 제1피니온(5) 그리고 제1랙톱니부(6a)를 거쳐서 운전자가 유발한 상기랙(6)이 조향동작을 동력보조하는 모터(13), 상기 모터(13)와 제2피니온(6b)간에 설치되고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략 비례하여 이들간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전자슬라이딩클러치(14), 상기 모터(13)와 제2피니온(18)간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3)와 제2피니온(18)간의 동작연결을 선택적으로 설정 또는 차단시키는 제2전자클러치(17), 상기 축전지(11)와 모터의 계자권선(13a)간에 설치되고 상기 계자권선(13a)으로의 전류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모터(13)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는 전기스위칭수단(109a∼109d), 그리고 상기 차속 센서(10) 및 토크센서(3)로부터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모터(13), 전기스위칭수단(109a∼109d), 제1클러치(14) 및 제2클러치(1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9e)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KR1019870002034A 1986-03-19 1987-03-06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KR900001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063491A JPS62218278A (ja) 1986-03-19 1986-03-19 モ−タ駆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61-63491 1986-03-19
JP63491 1986-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744A KR870008744A (ko) 1987-10-20
KR900001848B1 true KR900001848B1 (ko) 1990-03-24

Family

ID=1323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034A KR900001848B1 (ko) 1986-03-19 1987-03-06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54830A (ko)
EP (1) EP0238346B1 (ko)
JP (1) JPS62218278A (ko)
KR (1) KR900001848B1 (ko)
DE (1) DE377616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6B2 (ja) * 1987-03-04 1994-0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タ駆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方法
US4887682A (en) * 1988-01-06 1989-12-19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nullifying electrical offsets in a torsion sensor
KR920005425B1 (ko) * 1988-04-06 1992-07-03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전동식 동력조향장치
JP2711686B2 (ja) * 1988-09-06 1998-02-10 光洋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100840B2 (ja) * 1994-08-12 2000-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US6054785A (en) * 1999-05-21 2000-04-25 Molon Motor & Coil Corporation Compact miniature motor
US6465915B1 (en) 1999-05-21 2002-10-15 Molon Motor & Coil Corporation Miniaturized motor
US6666294B2 (en) * 2002-01-10 2003-12-23 Dayco Products, Llc Belt driven mechanical boost power steering
DE10256314A1 (de) * 2002-12-03 2004-06-17 Zf Lenksysteme Gmbh Zahnstangen-Elektrolenkung
KR100622767B1 (ko) * 2004-07-05 2006-09-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하중 변화에 따라 조타력이 변화되는 전동 파워스티어링 구조
WO2013172026A1 (ja) * 2012-05-16 2013-11-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操舵制御装置及び操舵制御方法
US10190810B2 (en) 2014-05-28 2019-01-29 Molon Motor & Coil Corporation Miniaturized motor assembly
JP6659396B2 (ja) * 2016-02-19 2020-03-0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操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4465A (en) * 1952-06-07 1956-07-10 Ohio Commw Eng Co Electric motor control for power steering
JPS5235210B2 (ko) * 1973-05-23 1977-09-08
FR2242009A5 (en) * 1973-08-20 1975-03-21 Andriussi Francois Power assist device for steering wheel - has electromechanical shaft drive responsive to shaft rotation
JPS5963264A (ja) * 1982-10-05 1984-04-10 Aisin Seiki Co Ltd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S59130781A (ja) * 1983-01-17 1984-07-27 Aisin Seiki Co Ltd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S59130780A (ja) * 1983-01-17 1984-07-27 Aisin Seiki Co Ltd 電動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US4532567A (en) * 1983-02-18 1985-07-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power steering stall protection circuit
US4527653A (en) * 1984-01-23 1985-07-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ad load insensitive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S60193765A (ja) * 1984-03-16 1985-10-02 Hitachi Ltd 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US4621327A (en) * 1984-06-13 1986-11-04 Nartron Corporation Electronic power steering method and apparatus
JPS6130462A (ja) * 1984-07-20 1986-02-12 Honda Motor Co Ltd 電磁型倍力装置
JPS6150873A (ja) * 1984-08-17 1986-03-13 Jidosha Kiki Co Ltd 電動式動力舵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8346B1 (en) 1992-01-22
EP0238346A3 (en) 1988-08-17
KR870008744A (ko) 1987-10-20
DE3776167D1 (de) 1992-03-05
EP0238346A2 (en) 1987-09-23
JPS62218278A (ja) 1987-09-25
US4754830A (en) 198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9506B1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KR900001848B1 (ko)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US4837690A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EP0249902B1 (en) Fail safe method and system for motor 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US4940102A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EP0239327A2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KR900005710B1 (ko)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JPH0350074A (ja) モータ駆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4862366A (en)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for a vehicle
JPS6320266A (ja) モ−タ駆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KR900001849B1 (ko)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방법
EP0360474B1 (en) Motorized power steering apparatus
KR900001847B1 (ko) 모터구동식 동력조향 제어장치
EP0360470B1 (en) Motorized power steering apparatus
JPH069968B2 (ja) モ−タ駆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EP0360469B1 (en) Motorized power steering apparatus
JP3628510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H05254455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19406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S59227561A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10806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S63284063A (ja) 自動車の電力配分制御装置
JPS6320270A (ja) モ−タ駆動式パワ−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H0569833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27195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