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808B1 -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08B1
KR900001808B1 KR1019860700925A KR860700925A KR900001808B1 KR 900001808 B1 KR900001808 B1 KR 900001808B1 KR 1019860700925 A KR1019860700925 A KR 1019860700925A KR 860700925 A KR860700925 A KR 860700925A KR 900001808 B1 KR900001808 B1 KR 90000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level
voltage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546A (ko
Inventor
미찌야 이노우에
쥰이찌 사또오
Original Assignee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905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12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9275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0704A/ja
Application filed by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농 filed Critical 후아낙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70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8Modifications for indicating state of switch

Landscapes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입력회로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전압입력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도는 종래의 입력회로를 나타낸 회로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원리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제어 대상으로부터 인터페이스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점신호 또는 이와 등가의 신호로써 된 인터페이스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제어대상으로부터의 인터페이스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입력회로에는 여러가지의 형식의 것이 있는데, 가장 단순하고 저렴한 것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압 입력회로이다.
제1도의 전압 입력회로에 있어서, 입력 신호는 필터회로(1)에 있어서, 잡음 성분을 제거된 후, 콤퍼레이터(2)에 있어, 기준 전압 Vref와 비교됨으로써, 입력 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일 때, 전압 신호 출력을 발생한다.
한편, 공작 기계와, 수치 제어 장치 또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로울러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 신호는 일반적으로 전압 신호가 아니라 접점 신호 또는 이와 등가의 반도체 소자에 의한 무접점신호로서, 그 온/오프로써 된 신호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접점신호를 받아 전압신호 출력을 얻기 위하여는 변환용의 회로를 갖고, 온/오프로써 된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가 있는 입력회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입력회로에 있어서는 인터페이스 신호가 접점신호인 경우, 접점신호 발생회로의 구성의 여하에 불구하고, 접점의 온/오프에 대하여 동일 극성의 전압신호의 변화를 일으킬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접점신호 발생회로가 다수 있는 경우에도, 가급적 그 구성이 간단함이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온/오프로써 된 접점신호 등을 변환하여, 전압신호 출력을 얻기 위하여는, 종래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력회로가 사용되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3은 변환회로, 4는 저항, 5는 접점을 나타내며, ①은 전원단자, ③은 신호단자, ②는 신호단자 ③에 접속된 저항(4)와 다른 단부를 접속된 단자, ④는 접지단자이다. 신호단자 ③은, 제1도에 나타낸 입력회로의 입력측에 접속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변환회로에 접점을 접속할 경우, 접점의 일단을 접지에 접속하는가, 전원에 접속하는가에 따라서 2종류의 접속방법이 있다. 제2a도는 접점의 일단을 접지단자 ④에,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때는 단자 ①②사이는 단락되며, 접점(5)는, 단자 ③④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2b도는 전원단자 ①에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는 단자 ①③사이에 접점(5)이 접속되며, 단자 ②④사이는, 단락된다. 이와 같은 2종류의 접속방법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는, 일반적으로 안전규격이나, 공작기계측 접점의 형편등에 의해 정해진다.
제2도에 나타낸 입력회로는 (a)에 나타낸 접속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b)에 나타낸 접속방법을 사용한 경우와는 접점(5)의 온/오프에 수반하여 생기는 전압신호 출력의 극성의 변화가 반대로 된다.
따라서, 상기 어느 접속방법을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접점의 온/오프에 따른 수치 제어 장치 또는 프로그래머블 콘트로울러의 내부 제어 논리에 대한 입력신호의 부호가 다르게 되어 결함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입력회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3도와 같은 원리적 구성을 갖는다. 즉, 101은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입력회로를 나타내며, 실선 및 점선에 의하여 나타낸다. 제2a, b도에 나타낸 2종류의 접속방법에 따라서, 접점(5)의 온/오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극성이 변화하는 전압신호 출력을 발생한다. 102는 전압레벨 검출수단으로서, 입력회로(101)에 있어서의 단자 ②의 전압레벨을 검출하여 출력신호를 발생한다. 103은 불일치 검출수단으로서, 입력회로(101)의 출력신호와, 전압레벨 검출수단(102)의 출력신호와의 불일치를 검출하여, 전압신호 출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회로에서는 변환회로에 있어서의 접점의 접속방법이 다르며, 따라서 접점의 온/오프에 따른 입력회로(101)의 전압신호 출력의 극성의 변화가 반대로 될 경우에도, 전압레벨 검출수단(102)에 의하여 검출된 저항의 타단의 전압레벨에 대응하는 출력신호에 따라서, 불일치 검출수단(103)에 의하여 입력회로(101)의 출력신호를 반전 또는 비반전시켜서, 전압신호 출력을 얻도록 하고 있으므로, 변환회로에 있어서의 접속방법의 여하에 불구하고, 접점의 온/오프에 따라서 전압신호 출력의 같은 극성의 변화를 얻을 수가 있다.
[발명의 최선 실시 형태]
제4도는 본 발명의 입력회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a도는 변환회로의 접지측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b도는 변횐회로의 전원측을 공통으로 접속하는 경우로서, 각각 제2a도, b도에 있어서와 같은 부분을 동일한 참고 부호로 나타내고, 6은 전압레벨 검출회로, 7은 배타적 논리합 회로이다.
제4a도에 있어서, 접점(5)의 온/오프의 변화에 따라서, 단자 ③에는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며, 따라서, 콤퍼레이터(2)의 출력레벨은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로 된다. 한편, 전압레벨 검출회로(6)의 출력은 항상 하이레벨이다. 배타적 논리합회로(7)는 콤퍼레이터(2)의 출력과 전압레벨 검출회로(6)의 출려고가의 불일치를 검출하여, 접점(5)의 온/오프에 따라서,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의 출력을 발생한다. 즉, 이 경우의 출력은 입력회로(101)의 전압 출력레벨에 대하여, 반전의 관계에 있다.
제4b도에 있어서, 접점(5)의 온/오프의 변화에 따라서, 단자 ③에는,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며, 따라서 콤퍼레이터(2)의 출력레벨은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로 된다. 전압레벨 검출회로(6)의 출력은 항상 로우레벨이다. 배타적 논리합회로(7)는 콤퍼레이터(2)의 출력과, 전압레벨 검출회로(6)의 출력과의 불일치를 검출하여, 접점(5)의 온/오프에 따라서,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의 출력을 발생한다. 즉, 이때의 출력은 입력회로(101)의 전압 출력레벨에 대하여 비반전의 관계로 된다.
제4도에 나타낸 입력회로는 각 인터페이스 신호마다 전압레벨 검출회로와 배타적 논리합 회로를 필요로 하며, 따라서 인터페이스 신호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회로 규모가 커져서 소형화가 방해됨과 동시에 경제적이 못 된다.
제5도는 이와 같은 결점을 개량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10-1∼10-4, 10-5∼10-8은 각각 제4도에 나타낸 입력회로(101)과 같은 4개의 입력회로로써 된 입력회로 그룹으로서, 입력회로(10-1∼10-4)에 있어서는 변환회로(1)에 있어서의 접지단자 ④가 공통이며, 접점(5)이 단자 ③④사이에 접속된 단자 ①②사이는 단락되어 있다. 또 입력회로(10-5∼10-8)에 있어서는 전원측단자 ①이 공통으로서, 접점(5)이 단자 ①③사이에 접속되며, 단자 ②④사이는 단락되어 있다. 각 입력회로(10-1∼10-4, 10-5∼10-8)의 출력에 각각 대응하여 게이트회로(11-1∼11-4, 11-5∼11-8)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 입력회로(10-1∼10-4, 10-5∼10-8)의 각각의 단자 ②를 공통으로 접속하여, 각각 전압레벨 검출회로(12-1∼12-2)에 접속하며, 멀티플랙서(13)에 의하여, 전압레벨 검출회로(12-1∼12-2)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입력회로(10-1∼10-4, 10-5∼10-8)는 각각의 대응하는 출력이 병열로 접속되어서, 각각 배타적 논리합 회로(15-1∼15-4)의 한쪽의 입력에 가해짐과 동시에, 각 배타적 논리합 회로의 다른 쪽의 입력에는 멀티플렉서(13)에 의하여 선택된 출력이 공통으로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입력회로 그룹의 한쪽, 예를 들면, 10-1∼10-4로부터 접점신호를 변환한 전압신호 출력을 취출하고자 할 때에는 애드레스 신호에 따라서, 멀티플렉서(13)에 있어서, 전압레벨 검출회로(12-1)의 출력을 선택함과 동시에, 같은 애드레스 신호에 의하여 디코우더(14)를 통하여 게이트회로(11-1∼11-4)를 온으로 한다.
이로써, 배타적 논리합 회로(15-1∼15-4)에는, 입력회로(10-1∼10-4)의 전압출력과, 전압레벨 검출회로(12-1)의 출력이 가해지는데, 입력회로(10-1∼10-4)는 제4a도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점(5)의 온/오프의 변화에 따라서, 하이레벨 또는 로우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며, 전압레벨 검출회로(12-1)는 항상 하이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므로, 배타적 논리합 회로(15-1∼15-4)는 양 입력의 불일치를 검출함으로써, 접점(5)의 온/오프에 따라서,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의 전압신호 출력을 발생한다.
또, 입력회로 그룹(10-5∼10-8)로 부터 접점신호를 변환한 전압신호 출력을 취출하고자 할 때에는 같이 애드레스 신호에 의하여 멀티플렉서(13)에 있어서, 전압레벨 검출회로(12-2)의 출력을 선택함과 동시에 디코우더(14)를 통하여, 게이트회로(11-5∼11-8)를 온으로 한다.
이로써, 배타적 논리합 회로(15-1∼15-4)에는 입력회로(10-5∼10-8)의 전압출력과, 전압레벨 검출회로(12-2)의 출력이 가해지는데, 입력회로(10-5∼10-8)은 제4b도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점(5)의 온/오프의 변화에 따라서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며, 전압레벨 검출회로(12-2)는 항상 로우레벨의 출력을 발생하므로, 배타적 논리합 회로(15-1∼15-4)는 접점(5)의 온/오프에 따라서,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벨의 전압신호 출력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입력회로 방식에서는 변환회로에 있어서의 접속방법에 의하여, 다른 극성을 갖는 입력회로로부터의 출력을 불일치 검출회로에 의하여 반전하거나 비반전함으로써, 접점의 온/오프에 따라서 같은 극성의 변화를 발생하는 전압신호 출력을 얻을 수가 있다.
본 예에서는 4개의 입력회로로써 된 2개의 입력회로 그룹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입력회로 방식은 더 입력신호수가 많은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예를 들면, 입력신호수가 64신호의 경우, 8개의 입력회로로써 된 8개의 입력회로 그룹으로써 구성함으로써, 전압레벨 검출회로(12-1∼)를 1/8로 감소할 수가 있다.

Claims (2)

  1. 전원 또는 접지에 일단을 접속한 저항과, 이 저항의 타단과 접지와의 사이 또는 전원과의 사이에 접속된 접점과, 이 접점과 저항과의 접속점의 전압레벨을 검출하는 제1전압레벨 검출수단을 갖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저항의 일단의 전압레벨을 검출하는 제2전압레벨 검출수단과, 이 제2전압레벨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전압레벨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의 불일치를 검출하여, 전압신호 출력을 발생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2. 저항을 통하여 서로 접속된 제1, 제2의 단자와 이 제2의 단자의 전압레벨을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회로를 갖는 복수의 입력회로와, 전원에 접속된 제3의 단자와, 접지된 제4의 단자를 갖고, 이들 입력회로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 내에서는 상기 제1의 단자를 공통으로 접속하에서 된 회로에 있어서, 이 각 전압레벨 검출회로의 출력을 온/오프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회로와, 상기 각 그룹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1의 단자의 전압레벨을 검출하는 전압레벨 검출수단과, 이 각 전압레벨 검출수단의 출력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각 그룹의 각 게이트 회로의 출력을 병열로 각각의 한쪽의 입력에 순차 접속되고, 각각의 다른 쪽의 입력에, 상기 멀티플렉서의 출력을 공통으로 접속되어서, 양 입력의 불일치를 검출하여 각각 출력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불일치 검출수단과 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회로 방식.
KR1019860700925A 1985-04-26 1986-04-25 입력회로 KR900001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90587A JPS61251225A (ja) 1985-04-26 1985-04-26 インタフエ−ス回路
JP60-090587 1985-04-26
JP60-092759 1985-04-30
JP60092759A JPS61250704A (ja) 1985-04-30 1985-04-30 入力回路方式
PCT/JP1986/000210 WO1986006566A1 (en) 1985-04-26 1986-04-25 Input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546A KR880700546A (ko) 1988-03-15
KR900001808B1 true KR900001808B1 (ko) 1990-03-24

Family

ID=2643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925A KR900001808B1 (ko) 1985-04-26 1986-04-25 입력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61566A (ko)
EP (1) EP0220326B1 (ko)
KR (1) KR900001808B1 (ko)
DE (1) DE3680176D1 (ko)
WO (1) WO1986006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1726A1 (en) * 1986-09-03 1988-03-10 Renishaw Plc Signal processing for contact-sensing probe
US5014155A (en) * 1988-06-13 1991-05-07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Circuit for protecting input of semiconductor device
US5010260A (en) * 1989-12-19 1991-04-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grated circuit furnishing a segmented input circuit
US5287404A (en) * 1990-12-20 1994-02-15 Northern Telecom Limited Telephone subscriber line voltage change detection
JPH0522099A (ja) * 1991-07-11 1993-01-29 Nissan Motor Co Ltd 半導体入力保護回路
WO1995019661A1 (en) * 1994-01-12 1995-07-20 Loyer, Daniel, W. Proximity sens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8314A (en) * 1966-04-26 1969-11-11 Automatic Elect Lab Transistorized exclusive-or comparator
JPS4710445U (ko) * 1971-03-05 1972-10-07
JPS51134049A (en) * 1975-05-16 1976-11-20 Hitachi Ltd Function generating unit
US4298810A (en) * 1980-01-14 1981-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Semiconductor device conduction state detection circuit
JPS56149868A (en) * 1980-04-23 1981-11-19 Mitsubishi Electric Corp Pulse conversion circuit
US4329730A (en) * 1980-06-12 1982-05-11 Eaton Corporation D.C. Switch circuit
JPS5762629A (en) * 1980-10-01 1982-04-15 Nec Corp Detecting device for fault of thyristor circuit
US4461961A (en) * 1981-11-19 1984-07-24 Memorex Corporation Accurate high speed absolute value circuit and method
US4630215A (en) * 1983-10-31 1986-12-16 Graham Jr Merrill E Machine tool tracer assembly and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6006566A1 (en) 1986-11-06
DE3680176D1 (de) 1991-08-14
KR880700546A (ko) 1988-03-15
EP0220326B1 (en) 1991-07-10
EP0220326A4 (en) 1989-01-18
EP0220326A1 (en) 1987-05-06
US4761566A (en) 198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8570B2 (en) Supply voltage monitoring
KR900001808B1 (ko) 입력회로
US4743842A (en) Tri-state circuit tester
US4600916A (en) Parallel analog-to-digital converter circuit
KR950035097A (ko) 에이디(a/d)변환기 및 에이디(a/d)변환기의 데스트방법
US5124704A (en) Multi-comparator a/d converter with circuit for testing the operation thereof
KR970049834A (ko) 전기 전도성 물체, 특히 칩카드상에서 집적회로의 존재 검출 시스템
KR100252478B1 (ko)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의앰프오프셋평가방법
US20090189592A1 (en) Identification Of Integrated Circuit
JPH028760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610824B2 (ja) ハイ・インピーダンス機能素子を備えた論理回路の測定装置
JP2648218B2 (ja) 半導体装置
SU89236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полупроводниковых приборов
SU15998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относительного отклонени емкости конденсаторов от номинального значени
KR0180764B1 (ko) 가변저항 검사회로
KR20000025406A (ko) 엔코더(encoder)의 단선 및 단락 감지 회로
SU161920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цифровых блоков
JPS6055846B2 (ja) キ−ボ−ドスイツチ装置
SU135991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двоично-п теричного кода
KR0155906B1 (ko) 차동 비교기
SU1659919A1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 замыканий
KR0174502B1 (ko) 집적소자의 아날로그 스위치 테스트 회로
JPH04122865A (ja) 半導体集積回路及びその試験方法
JPS61250704A (ja) 入力回路方式
JPS61251225A (ja) インタフエ−ス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