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50B1 -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50B1
KR900001750B1 KR1019860005084A KR860005084A KR900001750B1 KR 900001750 B1 KR900001750 B1 KR 900001750B1 KR 1019860005084 A KR1019860005084 A KR 1019860005084A KR 860005084 A KR860005084 A KR 860005084A KR 900001750 B1 KR900001750 B1 KR 90000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iezoelectric
drive type
rigidit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226A (ko
Inventor
히로시 도게
나루요시 두보이
요시히사 사사끼
시게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4311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33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311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12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4310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1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4284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411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8Supports or mountings for load-carriers, e.g. framework, bases, sp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ging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패스피이더(pass feeder)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패스피이더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패스피이더에 쓰이고 있는 연결판의 사시도.
제4도, 제5도, 제6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도, 제3도, 및 제4실시예로서 연결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연결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연결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보울형(bowl)패스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패스피이더의 측면도.
제11도는 제9도에 나타낸 패스피이더에 조입(
Figure kpo00001
)되어 있는 연결판의 사시도.
제12도, 제13도, 제14도는 보울형 패스피이더에 사용되는 연결판의 변형예를 본 발명의 제7, 8, 9실시예로서 나타낸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의 패스피이더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의 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있어서의 패스피이더의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에 나타낸 패스피이더에 사용되고 있는 바이몰프(bimorph)의 사시도.
제19도는 제17도의 패스피이더에 조입되는 연결판의 변형예를 제12실시예로서 나타낸 사시도.
제20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압전구동형 패스피이더를 나타낸 측면도.
제21도는 제20도에 나타내어진 바이몰프의 진동 태양을 나타낸 선도.
제22도는 바이몰프의 직류전압 구동시의 변위대 하중(변위-하중)특성도.
제23도는 교류전압 구동시의 제22도 상당도.
제24도는 바이몰프에 있어서의 반송속도와 판스프링의 강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25도는 바이몰프를 포함하는 종래구조에 의한 진동계의 변형거동을 나타낸 선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의 경우를 나타낸 제25도 상당도.
본 발명은 전기소자 또는 기계부품등 비교적 작은 물품을 진동에 의해서 반송하는 반송체의 진동원으로서 압전소자를 사용한 압전구동형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전소자를 진동원으로 한 종래의 압전구동형 패스피이더는 일본국 실용신안출원 50-148247호 및 55-122316호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지만 그 구성원리를 제20도에 나타낸다. 이 제20도에 있어서 기대1에 고정된 아래틀(
Figure kpo00002
)2의 양단에는 서로 평행이고 또 경사지게 세워진 2본의 판스프링 4의 하단이 연결되고 각각의 상단에 수평상태로 윗틀(
Figure kpo00003
)3의 양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윗틀 3에 피반송물 6을 실은 반송체 예를들면 트로프(trough)5가 지지되어 있다. 전기한 각 판스프링 4의 양측에는 단자 8, 9에 주어진 교류전압이 리드선 8a, 9a를 거쳐서 인가되는 압전소자 7a, 7b가 고착되어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 판스프링 4와 이것에 고착된 압전소자 7a, 7b로 진동발생체 즉 바이몰프(bimorph cell assembly)10을 구성하고 있고 그 압전소자 7a, 7b에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일방의 압전소자 7a는 정의 반사이클에서 신장하고 부의 반사이클에서 축소하는 변형운동을 행한다.
타방의 압전소자 7b는 역으로 정의 반 사이클에서 축소하고 부의 반 사이클에서 신장되도록 구성시킨다.
예를들면 2개의 압전소자 7a, 7b를 양외측의 분극 극성이 다르게 취부하여 이것에 동일극성의 교류전압이 인가되도록 리드선 8a, 9a를 배선하면 일방의 압전소자 7a가 신장했을때 타방의 압전소자 7b는 축소하므로 이 압전소자 7a, 7b의 변형운동이 판스프링 4의 휘어지는 운동으로 변환되어 화살표 11의 방향으로 진동하고 트로프 5를 진동시킨다.
이 종류의 압전구동형 패스피이더는 전자구동 피이더나 전동진동피이더에 비하여 구조가 소형이고 단순하므로 취급 및 보수가 용이하고 더욱이 소비전력량이 적으므로 경제면에서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소음문제의 염려도 전혀 없는 등의 많은 특징을 갖는다. 그 반면 반송효율의 점에서 아직 만족스럽지 못했었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한 압전구동형 패스피이더에 있어서 교류전압을 압전소자 7에 인가하면 압전소자 7은 판스프링 4와 일체가 되어 굽힘진동을 일으켜 판스프링 4의 자유단 4A에 결합된 트로프 5를 화살표 12로 나타낸 경사진 상하방향으로 진동시켜 반송물 6을 트로프 5에 연하여 화살표 13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반송물 6의 반송속도는 트로프 5의 진동진폭에 비례한다.
제21도에 나타낸 δ는 바이몰프 10이 전압인가에 의해서 변형하였을때의 자유단 4a(트로프 5와의 연결점)에 있어서의 변위를 나타낸다. 이 변위 δ는 (1)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d는 압전 왜정수(歪定數), v는 인가전압, t는 바이몰프의 두께, l는 바이몰프의 실효 길이, σ는 판스프링의 두께, α는 비 선형 계수
그러나 바이몰프 10은 자유단 4a부분에 변위방향과 역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변위량이 감소되고 그 외력이 (2)식에 나타낸 구속하중 Fb에 도달하면 변위 δ는 영(0)으로 된다.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w는 바이몰프의 폭의 크기, E는 인가전압이 영(0)일때의 영률이다.
이 변위 δ와 구속하중 Fb와의 관계의 일측정예를 제22도에 나타낸다.
제22도는 직류전압(100V)를 인가하였을때의 예이지만 바이몰프 10의 고유진동수와 동일 주파수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공진현상에 의해서 변위 δ는 비공진시의 10배 이상이 되는 것이 알려졌다.
그러나 공진시에도 구속하중 Fb에는 변화가 없고 동일의 Fb에서 변위가 영으로 된다.
이와같이 바이몰프 10에 하중이 걸리면 진동진폭은 급격히 저하하므로 판스프링 4의 자유단 4a에는 극력하중을 가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20도에 나타냄과 같이 이 패스피이더는 2개의 바이몰프 10이 동일길이이고 또 서로 평행하므로 바이몰프 10의 좌우방향 진동에 대하여 트로프 5는 경사되지 않고 상시 수평으로 유지되어 경사진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을 수 없고 따라서 바이몰프 10과 윗틀 3 즉 트로프 5와의 사이의 연결부분에 굽힘외력이 가해진다.
즉 제21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초기위치에 있었든 바이몰프 10의 전압인가에 의하여 쇄선위치로 변화했을 때 판스프링 4와 트로프 5가 이루는 각은 θ0부터 θ1으로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이 각도변화가 방해되면 구부림 응력이 바이몰프 10에 외력 즉 하중으로서 작용하고 만약 이것이 구속하중 Fb이상으로 되면 트로프 5를 진동시킬 수가 없게 된다.
한편 반송물 6에 요구되는 반송속도 v는 트로프 5의 변위 δ에 의하여 결정되고 (3)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에서 fn는 진동주파수, n는 반송효율이다.
Figure kpo00006
진동주파수 fn로서는 공진주파수가 선택되지만 제23도에 일측정예로서 나타냄과 같이 그 공진진폭도 바이몰프 10 즉 판스프링 4의 자유단 4a에 가해지는 하중의 증가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압전소자를 판스프링에 첨착(
Figure kpo00007
)시켜 이것을 진동원으로 하게 한 패스피이더에 의하면 진동시에 판스프링 4와 트로프 5와의 연결점(제20도 중 P1점)과 압전소자 7의 상단(제20도 중 P2점)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판스프링부분의 강성(rigidity) 즉, 판스프링부분에 가해지는 외력과 그 결과 생기는 판스프링부분의 변형량의 비(이 경우에는 강판의 탄성체에 굽힘응력이 작용되어 있으므로 굽힘강성이 된다)가 높으므로 바이몰프 10에 진동동작에 의하여 가해지는 하중의 크고 이로 인하여 바이몰프 10의 진동진폭이 작게되고 따라서 트로프 5의 진동진폭이 감소하고 실용적인 반송속도가 얻어지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바이몰프 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진동진폭을 크게 얻고 또 이 진동진폭을 효과적으로 트로프 5로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전소자에 그 진동동작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할 수 있고 반송체의 진동진폭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고 충분히 실용화될 수 있는 반송속도가 얻어지는 개량된 압전 구동형 반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전구동형 반송장치는 탄성판에 압전소자를 취부시켜 이루어진 진동발생체에 의하여 반송체를 진동시킴으로서 피 반송물을 반송시키는데 있어서 이 반송체와 탄성판과의 사이를 그 탄성체와 일체 또는 별체의 탄송재로 만든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하고 또 이 연결 부재의 강성을 탄성판의 강성보다도 낮은 값으로 설정한 것에 특징이 있다. 그 결과 진동발생체의 진동 동작중에는 연결부재의 강성을 낮게 한 부분에서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진동발생체와 반송체와의 사이의 각도 변화가 작은 힘 아래서 허용되어 그만큼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어 반송체의 진동진폭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저강성화는 영률이 이와같이 바이몰프 22에서 탄성판 23의 하단은 나사 25에 의해서 아래틀 21에 연결되어 있다. 반송체 예를 들면 트로프 26은 그 상면에 피반송물 27을 올려놓고 이것을 진동에 의해서 직선적으로 반송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 하면이 윗틀 28에 나사 29b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각 바이몰프 22의 탄성판 23의 상단과 윗틀 28과의 사이는 연결부재인 탄성재로 만든 연결판 30에 의해서 나사 31, 32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판 30은 이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나타냄과 같이 짧은 책모양의 스프링 강판의 양측부분에 대략 반원 모양의 절결부 30a를 형성한 모양으로 되어있고 이로 인해서 절결부 30a부근의 굽힘강성은 바이몰프 22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판 23의 강성의 0.3-0.9(단면 2차 모멘트의 비)배 정도의 낮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반송장치 즉 패스피이더에 있어서는 압전소자 24는 연결판 30도 포함한 진동개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압의 인가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로 인해서 반송체 26이 경사진 상하방향으로 진동되어 반송물 27이 화살표 33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바이몰프 22와 트로프 26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것들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판 30의 굽힘강성(이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정수의 값으로 논하여도 같다)은 굽힘강성에 비례하는 값이다. 그 절결부 30a의 형성에 의하여 바이몰프 22의 탄성판 23의 강성보다도 낮은 값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진동에 따른 바이몰프 22와 트로프 26이 만드는 각도변화(제21도의 θ7와 θ1간의 변화에 상당)가 연결판 30의 절결부 30a부분에서의 작은 항력하에서 허용된다. 따라서 이 각도변화를 가져오는 하중의 압전소자 24에 가해지는 정도가 대폭으로 감소되므로 제22도 및 제23도에 나타낸 특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 24의 진폭이 증대된다. 이 사실은 트로프 26의 반송속도 및 반송효율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제 연결판 30의 굽힘강성에 관해서 고찰해보면, 연결판 30이 진동진폭 δ(제21도의 δ와 같음)만큼 변형하는데 요하는 Fi는 이 연결판 30을 외팔보(cantilever)로 취급하면 다음(4)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kpo00008
여기에서, E : 영률, I : 단면 2차 모멘트, L : 길이
연결판 30의 굽힘강성을 저하시켜 상기 Fi를 작게하기 위해서는 단면 2차 모메트 I를 작게하든지 길이 L을 크게하든지 어느 것이든 좋지만 L를 크게하는 것은 패스피이더의 높이가 증가됨과 더불어 패스피이더의 고유 진동수가 저하하여 이 결과 반송속도가 저하하므로 좋은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단면 2차 모멘트 I는 다음의 (5)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kpo00009
여기에서 b는 판폭, h는 판의 두께이다. 즉, I를 작게하기 위해서는 판폭 또는 판의 두께를 감소시키면 좋음을 알 수 있다. 이점에 비추어 이 실시예에서는 연결판 30에 절결부 30a를 형성하고 판폭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켰다.
제24도는 바이몰프 22의 탄성판 23의 단면 2차 모멘트 IB에 대한 연결판 30의 단면 2차 모멘트 IS의 비 β와 반송 속도 V와의 관계에 관한 일측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은 일예로서 IS/IB즉 β가 0.9이상에서는 반송속도가 급격히 저하하고 또 β가 0.5보다 감소하면 반송속도가 서서히 저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25도 및 제26도는 바이몰프 및 트로프를 포함하여 이루는 진동계의 변형거동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종래예에 대응하는 제25도는 바이몰프 10과 트로프 5와의 연결부분의 각도 θ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의 변형거동을 나타내고 또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이 바이몰프 22와 트로프 26과의 사이를 굽힘강성이 낮은 연결판 30에 의해서 연결한 경우의 변형거동을 나타낸.
이들 제25도 및 제26도에 있어서 실선은 인가전압이 영(0)일 경우를 쇄선은 전압인가에 의해서 변형한 경우를 각각 나타내고 또 W1, W2는 진동판폭의 수평방향 성분 H1, H2는 수직방향 성분이다.
제25도 및 제26도에 의하면 연결판 30이 바이몰프 23부분보다도 크게 탄성변형하여 트로프 26의 진동진폭이 증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3, 4(제4도-제3도)]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이몰프 22와 트로프 26 즉 윗틀 28과의 연결하는 연결판으로서는 제4도에 제2실시예로서 나타냄과 같이 중앙부분에 오려낸 구멍 예를들면 폭방향으로 긴 슬리트 34를 형성한 연결판 35를 사용하고 또는 제5도에 제3실시예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 슬리트 36에 의해서 굽힘강성이 낮은 부분을 형성함과 더불어 이것을 사이에 둔 각 영역에 프레스 수단에 의해서 수조(數條)의 립(rib)37을 형성한 굽힘강성이 높은 부분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결판 38을 사용하여도 좋다.
제4실시예로서는 제6도에 나타낸 연결판 39는 대략 L자 모양으로 접곡한 형상을 하고 그 절곡부분의 횡단 방향의 양측연부(緣部)에 절결부 40을 형성한 구조의 것이다. 이 연결판 39는 제2도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친 제7도에 나타냄과 같이 트로프 26에 고정된 윗틀 41과 바이몰프 22의 탄성판 23과의 사이를 연결하게 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제8도에 제5실시예로서 나타낸 연결판 42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의 재료로 되고 단순히 구형으로 하고 판 두께를 제3도에 나타낸 것 보다도 얇게 형성함으로써 낮은 굽힘강성을 얻고 있다. 제8도에 나타낸 형상의 연결판 42은 영률이 낮은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낮은 굽힘강성으로 할 수 있다. 탄성판 23을 스프링강판재로 할때 연결판 42를 형성하는 영률이 낮은 재료로서 인청동벨리륨동 등의 탄성을 갖는 동합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텔이미드등의 기계적 강도가 뛰어난 수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탄소 섬유강화 플라스틱등의 사용이 바람직스럽다. 이 영률이 낮은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연결판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장치를 소형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 6(제9도-제11도)]
제2도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 제9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을 보울(bowl)형 패스피이더에 적용시킨 제6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패스피이더는 기대 43상에 예를들면 3개의 바이몰프 22가 삼점배열로 된 위치에 이점을 통한 원의 접선방향으로 경사상태가 되게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바이몰프 22의 상단이 연결판 44를 거쳐서 보울형의 용기 45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이루어진다.
바이몰프 22가 진동되면 반송물을 수용하고 있는 용기 45가 나선상의 왕복회동진동, 환언하면 상하 및 원주방향으로 진동하여 반송물이 용기 45의 내측에 이미 형성해놓은 반송체 즉 나선상 반송로 46상을 출구 46a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제6실시예에 사용한 연결판 44는 제11도에 나타냄과 같이 긴 방향으로 긴 슬리트 47a를 폭방향에 복수개 형성한 구조이다. 이 결과 슬리트 형성부 47부분의 강성 즉 이 경우에는 동 부분의 비틀림강성(단위 비틀림각을 주는 우력모멘트)은 바이몰트 22의 탄성판 23의 강성보다 낮아져 연결판 44의 비틀림운동에 따라서 바이몰프 22에 대해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된다. 또 이 종류의 보울형 패스피이더에서는 연결판 44의 비틀림 강성이 높은 구조이면 용기 44가 상하로 변이하는 과정에서 회동변위를 수반하므로 용기 45는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그 반경방향으로도 약간 진동한다. 이 반경방향진동은 반송물을 반송로 46부터 용기 45내로 탈락시키는 원인이 되고 반송량이 저하된다.
그러나 이 제6실시예에서는 연결판 44의 비틀림강성이 낮게 되어 있으므로 바이몰프 22로부터 용기 45도의 반경방향의 변위로서 주어지는 힘이 이 저강성의 연결판 44에 의해서 흡수된다. 따라서 용기 45의 반경방향 진동성분의 진폭이 감소하고 반송로 46부터의 반송물의 탈락량이 감소된다.
[실시예 7, 8, 9(제12도-제14도)]
이 보울형 패스피이더에 사용되는 연결판으로서는 제11도에 나타낸것외에 제12도 내지 제1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제12도에 제7실시예로서 나타낸 연결판 48은 양단의 연결대부분(margin)이외를 바이몰프 22의 탄성판 23보다도 극단적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시킨 구조의 것이다.
제13도에 제8실시예로서 나타낸 연결판 49는 제12도와 동일의 전개형상의 것을 중앙에서 대략 h자 모양으로 절곡한 구조의 것이며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로 보울형 패스피이더에 조입된다.
제14도에 제9실시예로서 나타낸 연결판 50은 그것의 일변에만 반원모양의 절결부 50a를 형성함으로서 종축선에 대하여 비 대칭형상으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이 연결판 50은 제10도에 나타낸 것과 동일의 형태로 보울형 패스피이더에 조입되지만 특히 이 경우에 절결부 50a가 원형배열되는 바이몰프의 내측에 위치되게 연결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용기 45의 원주방향운동 성분에 관하여 연결판 50의 비틀림 강성이 굽힘강성과 더불어 낮아진다.
[실시예 10(제15도 및 제16도)]
제15도 및 제16도에 나타낸 제10실시예에 있어서 바이몰프 51은 압전소자 24를 제1도에 나타낸 것보다도 긴 탄성판 52에 고착시켜 이루어지고 그 탄성판의 상하단이 윗틀 28 및 아래틀 21에 나사 31, 25로 연결되어 있다. 이 탄성판 52중 압전소자 24의 양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부분이 연결부재로서 작용하는 연결편부 52a, 52b로 되어 있다. 그중 상방의 연결편부 52a의 양측연부에 제1도와 동양의 절결부 52c가 형성됨으로써 이 부분에 낮은 굽힘강성 특성을 갖게 되어져 있다.
바이몰프 51의 탄성판 52와 입체의 연결부재 즉 연결편부 52a를 부분적으로 저강성화하는 구성은 이 연결편부 52a의 일부분을 제4도 내지 제6도 및 제11도 내지 제1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도 달성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11, 12(제17도-제19도)]
제17도 및 제18도에 나타낸 제11실시예에 있어서 바이몰프 53의 탄성판 54의 양단부는 압전소자 24의 각단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칫수로 돌출되고 이 부분을 취부부54a, 54a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각 취부부54a, 54a에는 탄성판 54의 긴 방향에 연하여 길게 뻗는 취부용의 긴 구멍 55, 55 및 56, 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판 54의 하단이 긴 구멍 55, 55를 관통하는 나사 57로 아래를 21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윗틀 28에는 상단이 연결되어 있는 연결판 30의 하단은 긴 구멍 56, 56을 관통하는 나사 58과 너트 59로 바이몰프 53의 탄성판 5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 24는 연결판 30을 포함하는 바이몰프의 진동계의 고유진동수와 동일의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인가에 의해서 구동되고 공진상태로하는 것이 반송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필수요건이다. 그러나 바이몰프 53의 탄성판 54의 두께, 길이 또는 영률등은 미리 설정된 제작오차내의 범위에서 고르지 못할 경우가 있고 연결판 30도 제작오차내의 범위에서 고르지 못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장치의 진동계의 고유진동수가 고르지 못함을 피할 수 없고 고유진동수가 전원전압의 주파수와 공진하지 않게되어 진동진폭이 감소하고 반송속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제17도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바이몰프 53의 탄성판 54의 양단에 긴 구멍 55, 56을 설비하여 아래틀 21 및 연결판 30에 대한 나사고정의 위치를 변화할 수 있게하여 탄성판 23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유효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 결과 탄성판 54의 고유진동수를 소망의 값으로 설정할 수가 있어 연결판 30을 포함하는 진동계의 고유진동수를 정확히 교류전원의 주파수에 일치시켜서 공진시킬 수가 있고 반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2실시예로서 제19도에 나타냄과 같이 진동계의 유효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7도의 연결판 30대신에 긴 구멍 60을 형성한 연결판 61을 사용하고 탄성판 54의 긴 구멍 55, 56을 통상의 둥근구멍으로 바꾸어 놓아도 좋다.
또 진동계의 유효길이 조절수단으로서 상기와 같은 긴 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나사의 외경보다도 충분히 직경이 큰 둥근구멍이라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바이몰프와 다른 부재와의 연결부분을 긴 구멍 또는 큰 직경의 구멍과 나사로 구성하고 진동계의 고유진동수를 조정하는 수단은 제9도에 나타낸 보울형 패스피이더에 적용시킬 수도 있다.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패스피이더에 있어서의 바이몰프의 진동진폭은 대략 0.3mm의 작은 값이므로 바이몰프의 탄성판과 다른 부재를 겹친 상태로 연결하는 경우 그 겹친 부분간에 기재하는 방청도료등의 어느 물질로 인해서 진동이 흡수되지 않도록 함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진동흡수를 피하기 위해서는 양 부재가 겹치는 면으로부터 방청용 도막을 제거한 후에 연결함으로써 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방청용 도막을 제거한 면에는 방청유를 도포하는 것은 진동흡수의 원인으로는 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진동발생체는 탄성판의 양면에 각각 1매씩의 압전소자를 고착시킨 구조이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전소자를 탄성판의 한 면에만 고착하는 구성 또는 압전소자를 다층으로 조합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연결부재는 윗틀 즉, 반송체측의 부재에서 일체로 연장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탄성판에 압전소자를 고착시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체에 의해서 반송체를 진동시키게 한것에 있어서 전기의 진동발생체의 탄성판과 반송체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강성을 상기한 탄성판의 강성보다도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고 이것에 의해서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반송체의 진동진폭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충분히 실용화할 수 있는 반송효율이 얻어지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진동계의 유효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고 고유진동수를 전원 주파수에 대하여 일치시킬 수 있어 높은 반송효율을 가져오게 하는 장치를 용이하게 얻을 수가 있다.

Claims (9)

  1. 탄성판(23, 52)에 압전소자(24)를 취부하여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체(22, 51)에 의해서 반송체(26)를 진동시킴으로써 반송체상의 물품을 이송하게 한것에 있어서 전기한 진동발생체(22, 51)의 탄성판(23, 52)과 반송체(26)와의 사이를 탄성재로 만든 연결부재(30, 35, 38, 39, 42, 44, 48, 49, 50, 52a)에 의하여 연결하고 또 이 연결부재(30, 35, 38, 39, 42, 44, 48, 49, 50, 50a)의 강성을 전기한 탄성판(23, 52)의 강성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42)의 영률이 탄성판의 영률보다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0, 39, 48, 49, 50, 52a)는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절결부(30a, 40, 43a, 49a, 50a, 52c)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35, 38, 44)는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오려낸 구멍(34, 36, 47a)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42)가 판상이고 그 판의 두께의 설정에 의하여 소망하는 낮은 강성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52a)는 진동발생체(51)의 탄성판(52)를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이것에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절결부(52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52a)는 진동발생체(51)의 탄성판(52)을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하고 이것에 강성을 저하시키기 위한 오려낸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8. 탄성판(23)에 압전소자(24)를 취부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진동발생체(22)와 이것들 진동발생체(22)에 상하 및 원주방향으로 진동되도록 지지된 나선상의 반송로(46)를 갖는 반송체(45)로 구성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에 있어서, 진동발생체(22)와 반송체(4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50)가 종축선에 대하여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부분의 강성이 진동발생체(22)의 강성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9. 탄성판(54)에 압전소자(24)를 고착시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체(53)와 이 진동발생체(53)에 의해 진동되게 지지된 반송체(26)로 구성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의 진동계의 고유진동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반송체(26), 연결부재(30, 61), 진동발생체(53), 기대(20)의 상호간의 연결수단중 적어도 1개의 연결수단을 관통공(55, 56, 60)과, 이것에 관통되는 나사봉(57, 58)으로 구성되는 나사고정구조로 하고 전기한 관통공(55, 56, 60)의 내경이 나사봉(57, 58)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그것에 의해서 진동계의 유효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KR1019860005084A 1985-06-28 1986-06-25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KR900001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3,110 1985-06-28
JP143110 1985-06-28
JP60143110A JPH0613369B2 (ja) 1985-06-28 1985-06-28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142848 1985-06-28
JP14311185A JPS624120A (ja) 1985-06-28 1985-06-28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60-143,109 1985-06-28
JP60143109A JPS624118A (ja) 1985-06-28 1985-06-28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143111 1985-06-28
JP60-143,111 1985-06-28
JP60-142,848 1985-06-29
JP60142848A JPS624117A (ja) 1985-06-29 1985-06-29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143109 1988-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226A KR870000226A (ko) 1987-02-17
KR900001750B1 true KR900001750B1 (ko) 1990-03-19

Family

ID=2747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5084A KR900001750B1 (ko) 1985-06-28 1986-06-25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95025A (ko)
EP (1) EP0211494B1 (ko)
KR (1) KR900001750B1 (ko)
DE (1) DE366529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598A (en) * 1987-09-28 1990-09-11 Fuji Xerox Co., Ltd. Paper feeding apparatus
JP2770295B2 (ja) * 1989-12-05 1998-06-25 株式会社産機 振動式搬送装置
GB2277503A (en) * 1993-04-28 1994-11-02 Albert Ronald Probert Linear vibratory conveyor.
US6870306B2 (en) * 2000-08-11 2005-03-22 Ecchandes Inc. Overlapping type piezoelectric stator, overlapping type piezoelectric actuator and applications thereof
DE10210207B4 (de) * 2001-03-01 2009-08-13 Bühner, Kurt Biegeelemente für Schwingfördersystem mit Piezoantrieb
US7004306B2 (en) * 2002-12-19 2006-02-28 Fmc Technologies, Inc. Conveying apparatus with piezoelectric driver
US7182200B2 (en) 2003-01-14 2007-02-27 Shinko Electric Co., Ltd. Piezoelectricity-driven part feeder
US7754984B2 (en) * 2005-01-20 2010-07-13 Ishida Co., Ltd. Transportation device and combinational weig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872221B2 (ja) * 2005-03-11 2012-02-08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部品搬送装置
TW200700300A (en) * 2005-03-11 2007-01-01 Shinko Electric Co Ltd Parts feeder
DE102007031639B4 (de) * 2007-07-06 2010-07-22 Feintool International Holding Vibrationslinearförderer
EP2011751B1 (de) * 2007-07-06 2011-07-20 Feintool Intellectual Property AG Vibrationslinearförderer
WO2012147838A1 (ja) * 2011-04-27 2012-11-01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物品分別搬送装置
US8517168B2 (en) * 2011-06-20 2013-08-27 Key Technology, Inc. Spring for a vibratory conveyor
US10046916B1 (en) * 2017-02-14 2018-08-14 General Kinematics Corporation Vibratory apparatus with structural resilient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3936A (en) * 1940-06-14 1941-06-03 Hugh E Wurzbach Elongated vibratory conveyer
GB810971A (en) * 1953-12-29 1959-03-25 Cosmocord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US2951581A (en) * 1959-06-09 1960-09-06 Gen Mills Inc Vibratory conveyors
US3447671A (en) * 1966-06-20 1969-06-03 Hans Schweinfurth Vibratory work machine with shakeproof support
DE1506913A1 (de) * 1967-05-02 1969-07-10 Honert W Wendelschwingfoerderer
US3627112A (en) * 1970-07-30 1971-12-14 Floyd E Smith In-line vibratory feeder assembly
US3700094A (en) * 1971-08-02 1972-10-24 Michael K Parr Vibratory feeder bowl drive apparatus
US3729090A (en) * 1971-11-22 1973-04-24 H Hacker Vibratory straight line feeder
US3915292A (en) * 1974-09-16 1975-10-28 Fmc Corp Vibratory feeder with natural frequency adjustment
JPS5261087A (en) * 1975-11-14 1977-05-20 Hitachi Ltd Method of assembling handrail for human conveyor
JPS5746517A (en) * 1980-09-03 1982-03-17 Sony Corp Noise redu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95025A (en) 1989-01-03
DE3665294D1 (en) 1989-10-05
KR870000226A (ko) 1987-02-17
EP0211494A2 (en) 1987-02-25
EP0211494A3 (en) 1987-12-23
EP0211494B1 (en) 198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750B1 (ko) 압전구동형 반송장치
JPH0453786B2 (ko)
JPH0125306B2 (ko)
JPH0255330B2 (ko)
JP2559729B2 (ja) 振動発生器
JPS60209421A (ja) 電磁式加振器
CN102954868B (zh) 用于一冲击总成的轻型冲击单元及冲击总成
JPH0613369B2 (ja)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H0561171B2 (ko)
JP2762211B2 (ja) 圧電駆動型搬送装置
JPH0251806B2 (ko)
JPH0321446B2 (ko)
US3840759A (en) Piezoelectric motor
JPS62116415A (ja) パ−ツフイ−ダ
RU2030343C1 (ru) Виброконвейер
JPH08165013A (ja) 圧電駆動型搬送装置
JPH02198911A (ja)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2789416B2 (ja) 圧電駆動型搬送装置
KR960008835Y1 (ko) 전동구동식 액추에이터(Vibration Driven Actuator)
JPS60209422A (ja) 電磁式加振器
JPH0515607B2 (ko)
JP3086942B2 (ja) 圧電駆動型搬送装置
JPS62111815A (ja) 圧電駆動形搬送装置
JPH0242660Y2 (ko)
JPH11217109A (ja) 圧電駆動型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