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056B1 - 핸드스캐너의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핸드스캐너의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056B1
KR890005056B1 KR1019850004760A KR850004760A KR890005056B1 KR 890005056 B1 KR890005056 B1 KR 890005056B1 KR 1019850004760 A KR1019850004760 A KR 1019850004760A KR 850004760 A KR850004760 A KR 850004760A KR 890005056 B1 KR890005056 B1 KR 890005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ark
hand scanne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562A (ko
Inventor
도시노리 이시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88Image or video recognition using optical means, e.g. reference filters, holographic masks, frequency domain filters or spatial domain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04N1/1072Means for guiding the scanning, e.g.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0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 H04N1/107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flat picture-bearing surfaces with manu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9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 H04N1/191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multi-element arrays the array comprising a one-dimensional array, or a combination of one-dimensional arrays, or a substantially one-dimensional array, e.g. an array of staggered elements
    • H04N1/1911Simultaneously or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scanning picture elements on more than one main scanning line, e.g. scanning in sw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5Self-adjusting arrangements, e.g. compensating for temperature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5Details of integral hea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2201/03162Original guide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14Scanning an image in a series of overlapping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6Scanning an image in a series of contiguous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3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e.g. by performing a pre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dedicated de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5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 H04N2201/0472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on or adjacent the sheet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5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 H04N2201/04727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on a linear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29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the main-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in the sub-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2Detecting at infrequent intervals, e.g. once or twice per line for main-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34Detecting at frequent intervals, e.g. once per line for sub-sca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49Detecting position relative to a gradient, e.g. using triangular-shaped masks, marks or gr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58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 H04N2201/04787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scanned image area by changing or controlling the addresses or values of pixels, e.g. in an array, in a memory, by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89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in the main-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1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in the sub-scan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53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position or velocity
    • H04N2201/04794Varying the control or compensation during the scan, e.g. using continuous feedback or from line to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드스캐너의 입력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따른 핸드스캐너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따른 스캔입력시의 상태 설명도.
제 4 도와 제 5 도는 본 발명의 입력처리 플로우챠트.
제 6 도와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크를 첨부하는 방법의 설명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크의 변형 실시예.
제 9 도는 종래의 핸드스캐너의 구성도.
제10도와 제11도는 종래의 장치에 의한 이미지 입력상태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 2 : 받침
3.25 : 입력자 4.27 : 핸드스캐너
6.29 : 스위치 7 : 신호선
8.21 : 입력용지 9 : 정지구
10 : 정지공 11.26 : 슬릿
23,92,100 : 마크 24 : 가이드라인
28 : 감지부 30 : 신호선
31, 32, 33, 60, 61, 62, 63, 64, 65, 66 : 경계선
40 : 핸드스캐너장치 41 : 핸드스캐너 인터페이스 어댑터 로직
42 : 마이크로컴퓨터(μP) 45 : CRT 디스플레이 키보드장치
46 : 마우스 47 : 보조기억장치
48 : 상위장치 인터페이스 어댑터 49 : 이미지 입력메모리
50 : 프로그램메모리 51 : 최초행선
52 : 기억영역 53, 54, 55 : 마크폭
90 : 책 91 : 셀로판용지
본 발명은 핸드스캐너의 주주사 및 부주사에 의해 판독 될 매체사에 기록된 입력대상이 되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판독하는 이미지(像)(이하 이미지라 함)의 입력기구에 사용되는 핸드스캐너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핸드 스캐너에 의한 이미지 입력방식을 제 9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최초의 입력용지(8)을 받침(2)에 고정시키고, 입력자(3)를 최하단에 설치하며, 핸드스캐너(4)를 좌단끝의 레일(1)과 인접하고 입력자(3)에도 인접하게 위치시킨 다음, 스위치(6)를 누르고 수동으로 우측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주주사시 핸드스캐너(4)는 스트로브 발생용 슬릿(11)을 검출하고 신호선(7)을 통해 스트로브 펄스와 데이터를 처리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보내며, 핸드스캐너(4)를 우단까지 이동시키면 그 행(1행)의 입력은 종료되고, 다음에 입력자(3)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즉 여기서는 1단만큼 위로 옮겨놓고 현재의 정지공(10)에서 다음 정지공(10)으로 정지구(9)를 옮기며, 다시 핸드스캐너(4)를 레일(1)과 일력자(3)에 밀접하도록 좌단에 위치시킨 후 스위치(6)를 누르고 핸드스캐너(4)를 수동조작으로 우측 방향으로 입력자(3)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 조작을 되풀이하여 순차적으로 입력용지(8)상의 이미지를 입력해 나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입력수단에 있어서는 핸드스캐너(4)의 최초의 위치 결정을 위해 레일(1)이 필요하게 되며, 각 행마다 입력자(3)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지공(10)이 필요하게 되는 등, 기구부의 구성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하드웨어가 비싸지게 되고, 더구나 조작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자(8)에 기록된 문장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예컨데 n번째의 스캔으로 경계선(12)의 의 하측을 입력하고, n +1번째의 스캔으로 경계선(12)의 상측을 입력하는 경우가 발생하며(입력용지(8)을 받침(2)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거나, 또 문장의 행간격과 감응기의 폭에 따라서 여러 행의 문장일 경우에 이와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이미지를 입력시킨 문자의 질이 낮아지게 되는데, 다시 말해서 수평으로 벗어나는 경우가 생길때는 제10도와 같이되고, 또 경계선(12)의 위치에서 간격이 생길때는 제 11도와 같이 입력이 불완전해지게 되어 "月"이 "月", "金"이 "金"과 같이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핸드스캐너(4)에 있어서는 입력이 불완전해지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입력대상이 되는 문자, 도형 등의 이미지가 기록된 판독될 매체에 일정한 규칙성을 갖는 마크를 첨부해서 각 스캔마다 상기 마크를 판독함으로써 레일(1)과 정지구(9) 및 정지공(10) 등이 필요 없게 되며, 구서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품질의 이미지 입력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구부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품질의 이미지 입력을 행할 수 있는 핸드스캐너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판독 대상이되는 도형 등의 이미지가 그려진 판독될 매체가 되는 입력용지(21)와, 상기 입력용지(21)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22), 스캔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향할 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받침(22)에 인쇄된 검정색의 마크(23), 마찬가지로 받침(22)에 인쇄되고 감응기의 판독폭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입력 주사시의 평행가이드로 제공되는 가이드라인(24), 길이 방향일측병에 스트로브 발생용 슬릿(26)이 설치된 입력자(25), 감지부(28)와 스위치(29) 등을 갖는 핸드스캐너(27) 및 신호선(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선(30)은 이미지 감지 데이타와 스트로부펄스, 스위치신호, 동작전원 등이 도시되어져 있는데 여기서 미설명부호 31, 32, 33,은 이미지를 입력시키는 스캔시의 경계선을 나탄내다.
제 2 도는 상기 제 1 도의 도시되어진 핸드스캐너장치(40)의 이미지 입력을 제어하는 핸드스캐너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써, 상위장치(HOST)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도로 도시된 핸드스캐너장치(40)는 신호선(30)을 통해 핸드스캐너 인터페이스 어댑터로직(41)에 접속되고, 핸드스캐너 제어부 전체의 제어를 관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μP)(42)는 상기 핸드스캐너 인터페이스 어댑터 로직(41)의 입출력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CRT디스플레이 키보드장치(CRT.KB)(45)와 마우스(mouse)(46) 및 보조기억장치(여기서는 플로피디스크장치)(47)의 제어와, 상위장치(HOST)와 상호접촉을 이루는 상위장치 인터페이스 어댑터(48)의 입출력 제어를 행한다. 이미지 입력 메모리(49)는 제 1 도에 도시된 핸드스캐너장치(40)로부터 입력된 데이타를 메모리하며, 프로그램메모리(50)는 마이크로컴퓨터(42)의 제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메모리하게 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는 각각 상기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제 3 도는 스캔입력시의 상태 설명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입력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제 3 도는 제 1 도에 나타난 핸드스캐너(27)를 좌로부터 우로 순차적으로 스캔해서 그 데이타를 제 2 도에 도시된 이미지 입력메모리(49)에 기억시킨 상태를 나타내며,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용지(21)의 최하부, 즉 최초의 스캔에 의한 입력용지(21)의 최하부에 있는 최초행선(51)으로부터 스캔을 시작하는 입력수단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이미지 입력메모리(49)에는 행선보다 상부의 데이타가 각 스캔마다 순차적으로 상방으로(즉 순차적으로 메모리 어드레스가 적은 쪽으로)저장되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경계선(60)(61)(63)은 각 스캔에 대한 경계선을 나타내고 있으며, 경계선(62)(64)은 이번의 주사에 의해 일시적인 기억영역(52)에 입력된 이미지 데이타가 옮겨지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에 도시된 마크(23)의 폭을 나타내는 마크록(23)은 마크폭(54)과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는 각각 입력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마크(23)의 폭을 검출해서 비교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제 5 도 마크(23)의 검출 데이타로 부터 각 스캔마다 이미지데이타를 갖추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면, 핸드스캐너(27)는 좌단부에 설치하되 위치는 마크(23)보다 왼쪽에 있으면 적당히 설치해도 좋으며, 일단 설치가 끝나면 통상의 조작과 마찬가지로 스위치(29)를 눌러서, 핸드스캐너 인터페이스 어댑터 로직(41)을 통해 마이크로컴퓨터(42)에 앞으로 스캔을 시작할 것을 알리고, 스캔조작을 행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42)가 입력데이타를 받아들이며 이미지 입력메모리(49)의 기억영역(52)에 저장하게 한다. 즉 제 4 도에 나타난 단계(70~74)의 처리절차를 입력데이타 1바이트(byte)마다 반복하게 되고, 제 4 도의 단계(75)에 있어서 n=0인때 그 스캔의 데이타입력을 종료한다. 여기서는 제 3 도와 같이 일시적으로 이미지 입력을 제 3 도의 기억영역(52)에 저장한 다음 제 4 도와 단계(75)로 처리를 옮겨서 제 5도의 처리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처리는 좌단부의 스캔개시위치에 의해 입력이미지의 좌단부에서 마크까지의 거리 R(ΔX)가 나오기 때문에 이것을 거리(1)로 맞추기 위한 처리, 즉 제 3 도이 하부에 표시한 ΔX만큼 입력에너지를 좌우 이동하는 처리로써, 우선 B내지 C의 행선중의 임의의 행선의 선두어드레스 A의 1바이트 데이타를 판독한 다음, 이 1 바이트 데이타가 나올때가 마크의 좌단을 표시하고, 이때의 계수치R가 마크까지의 거리(돗트수)가 되므로 R-1이 ΔX이며 B에서 C까지의 전행선을 각각 ΔX=R-1만큼 좌로 이동하면 제 3 도에 표시한 기억영역(52)에 기억된 이미지데이타가 얻어진다. (단계(82)에서 처리) 또 여기에서 R≥1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R<1인 경우는 1-R돗트 만큼 B에서 C까지의 전행선을 각각 우로 이동하면되며, 또 1을 임의로 설절해도 좋다. 여기서 제3도의 이미지 입력메모리(49)는 알기 쉽게 하기위해 입력용지(21)의 데이타에 대응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3도의 B번지의 1행선은, B, B+1, ─, B+197, ─, B+197+α번지(1행선의 우단부)만 필요하게 된다. (A4사이즈, 197mm의 폭, 8돗트/mm의 경우, 는 마크를 포함하는 여유분을 넣은 값으로 한다) 통상 이미지 입력메모리(49)는 1번지마다 1바이트부터 구성되어 있으나 핸드스캐너(47)로 부터의 입력데이타가 반드시 연속적인 번지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며, 하드웨어(다시말해서 핸드스캐너 인터페이스 어댑터 로직(41) 또는 마이크로컴퓨터(42)로 어드레스를 계산해서 저장하게 된다.
다음에 제 4 도에 단계(76)로 처리가 옮겨지느데, 여기서 X는 제 3 도의 마크폭(55)을 의미하고 Y는 제 3 도의 마크폭(53)을 의미하며, 마크폭은 검정색으로 이미지 입력(데이타 "1")이 되어있으므로 데이타폭을 단계(77)에서 비교해서 이변의 주사가 전회의 주사와 겹치는 일이 없게 하며(간격이 있을때) 정확히 겹쳐지지 않았을 때는 처리가 단계(81)로 옮겨진다.
다시말해서 제 3 도의 기억영역(52)에 기억된 이미지 입력데이타를 경계선(63)(지금까지 이미지 입력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최종의 위치)으로 부터 위에 저장하면된다.
제 3 도의 실시예에서는 문자의 도중에서 주사가 끊어지므로 문자입력을 정확히 입력해야 하며, 제 1 도에 있어서 한번의 주사로 경계선(31)보다 아래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음 주사로 경계선(33)(32)의 사이를 주사 입력하면 제 3 도와 같이 된다. 이때 제 4 도의 단계(78)(79)의 처리로 제 3 도의 마크폭(53)과 마크폭(55)에서 아래쪽 행선의 마크폭을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마크폭(55)에서 아래쪽 행선(62)(행성(63)에서 아래측 P번째의 행선)에서 마크폭이 일치한다. 이때 제 4 도의 단계(80)에서 제 3 도의 경계선(63)보다 P행선만큼 내려간 셈이 되지만, 제 3 도의 경계선(62) 위로부터 기억영역(52)의 이미지 입력데이타를 저장하면된다. 이럴경우 경계선(62~64) 사이의 이미 저장된 데이타는 지워지고 기억영역(52)의 이미지데이타가 경계선(62~64)에 실리세 되므로 품질이 좋은 문자입력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같이 스캐너 입력 수단에 의해 핸드스캐너(27)에 의한 주사마다 겹친 입력데이타의 보정이 높은 정밀도를 가지고 용이하게 실현되며, 주사마다 입력의 중복이 없이 고품질의 이미지 입력이 행하여질 뿐만 아니라, 주사시작 위치의 이탈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스캐너(27)의 시작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한 레일이 불필요하게 되며, 조작도 간단하고 가격도 절감될 뿐만 아니라 문자입력에 있어서도 문자의 크기가 핸드스캐너(27)의 입력폭 이내일 경우 품질이 좋은 문자입력이 가능하고 각 주사마다 간격이나 중복 등에 신경쓰는 일이 없이 다소 중복되더라도 주사해두면 마크(23)에 의해 보정되므로 깨끗한 입력이 된다. 즉, 조작을 다소 엉성하게 하더라고 깨끗한 입력이 된다.
다음에 제 6 도 내지 제 8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 6 도와 같이 책(90)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입력하거나 부분적인 이미지를 입력할 경우, 즉 제 7도에 도시된 투명한 셀로판용지(91) 등에 마크(92)를 인쇄한 것을 책(9) 위에 놓고 핸드스캐너(27)를 횡폭(주주사)으로는 T1, 종폭(부주사)으로는 T2의 부분을 입력할 경우, 제 6 도와 같이 셀로판용지(91)를 책(90)의 입력대상 부분위에 설치하고 핸드스캐너(37)를 주주사T3와 부주사T4의 범위로 순차적으로 수동조작하여 이미지 입력을 행하는데, 이와같이 셀로판용지(91)에 마크(92)를 붙여서 판독될 매체상에 마크(92)를 첨부하는 수단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간단한 조작으로 고품질의 이미지 입력이 가능하다.
또 제 8 도는 마크의 형상을 상기 각 실시예와 달리한 것으로써, 여기서는 톱날형상으로 하여 1행 내에 복수 블럭을 가지고 규칙성을 유지한 마크(100)의 판독에 의해 상기와 같은 입려처리를 행하게끔 한 것이며, 이와같은 마크 형상을 함으로써 각 행선마다 변화하는 마크폭의 돗트수 변화를 크게할 수가 있고 입력정도를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효과적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핸드스캐너 입력방법에 의하면, 입력대상이 되는 문자, 도형 등의 이미지가 기록되어 있는 판독될 매체에 일정한 규칙성을 가진 마크를 첨부해서 각 주사마다 상기 마크를 판독하므로써 그 마크의 판독데이타를 근거로 입력데이타이 중복보정과 주사개시 위치의 이탈보정 등을 할 수가 있으며, 이에 의해 기구부에 있어서 레일과 정지구 및 정지공 등이 불필요하여 구성을 간소화 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한 조작으으로 고품질의 이미지 입력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판독될 매체에 기록된 입력대상이 되는 정보를 핸드스캐너(27)의 주주사 및 주부사에 의해서 판독하는 이미지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독될 매체(21)에 기록된 입력대상 정보와는 별도로 판독 가능한 위치에다 상기 방향으로 일정한 규칙성을 갖고서 변화되는 마크(23,92,100)를 첨부하고서, 상기 각 주주사마다 상기 마크를 판독하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스캐너 입력방법.
KR1019850004760A 1984-10-30 1985-07-03 핸드스캐너의 입력방법 KR890005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28510A JPS61105954A (ja) 1984-10-30 1984-10-30 ハンドスキヤナ入力方式
JP59-228510 1984-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562A KR860003562A (ko) 1986-05-26
KR890005056B1 true KR890005056B1 (ko) 1989-12-08

Family

ID=1687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760A KR890005056B1 (ko) 1984-10-30 1985-07-03 핸드스캐너의 입력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60377A (ko)
EP (1) EP0180181B1 (ko)
JP (1) JPS61105954A (ko)
KR (1) KR890005056B1 (ko)
DE (1) DE358239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395B2 (ja) * 1986-07-14 1996-09-11 株式会社リコー 原稿読取り装置の走行体位置検出装置
US4797544A (en) * 1986-07-23 1989-01-10 Montgomery James R Optical scanner including position sensors
US4901163A (en) * 1986-10-16 1990-02-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reader for a portable copier
JPS63103563A (ja) * 1986-10-20 1988-05-09 Sharp Corp イメ−ジ入力デ−タの接続処理方法
JPS63100865A (ja) * 1986-10-16 1988-05-02 Sharp Corp イメ−ジ読取装置
SE457401B (sv) * 1986-12-11 1988-12-19 Hasselblad Ab Victor Kontrollanordning vid bildoeverfoeringsapparter
DE3723785A1 (de) * 1987-07-16 1989-01-26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ptischen abtasten einer vorlage
GB8808095D0 (en) * 1988-04-07 1988-05-11 Hillen S Improvements in/relating to method of & apparatus for producing an enlargement of visual representation
JPH02249064A (ja) * 1989-03-22 1990-10-04 Oki Electric Ind Co Ltd 電子辞書
JPH02274158A (ja) * 1989-04-17 1990-11-08 Omron Corp イメージ・スキャナ
US5239759A (en) * 1989-04-28 1993-08-31 Dudek Raymond A Image scanner guide
US5675672A (en) * 1990-06-26 1997-10-07 Seiko Epson Corporation Two dimensional linker for character string data
EP0592501A1 (de) * 1991-07-04 1994-04-20 WOYDICH, Horst Vorlage zum einscannen von flächig gespeicherten daten
DE4206275C1 (en) * 1992-02-28 1993-05-27 Dietmar Dr. 8045 Ismaning De Augustin Guiding equipment for hand scanner to provide even application pressure in straight line - has guide rail with slot for receiving carriage contg. clamping screws for fixing scanner to carriage
US5420943A (en) * 1992-04-13 1995-05-30 Mak; Stephen M. Universal computer input device
US5254860A (en) * 1992-07-24 1993-10-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guiding an optical character reader over an information containing card
US5448050A (en) * 1992-11-13 1995-09-05 Psc Inc. Integrated bar code reading and location mouse
US5373165A (en) * 1993-07-06 1994-12-13 Willson; William A. Guide for hand held optical scanner
US5539532A (en) * 1993-08-12 1996-07-23 Nec Corporation Image reading apparatus with varied subscanning speed
GB2288512B (en) * 1994-04-14 1998-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818610A (en) * 1994-09-21 1998-10-06 B.C. Labs, Inc. Scanner frame
JPH0896062A (ja) * 1994-09-22 1996-04-12 Nippondenso Co Ltd バーコード検証機の長大バーコード読取装置
JPH08298568A (ja) * 1995-04-27 1996-11-12 Brother Ind Ltd 入出力機器
US5852686A (en) * 1995-10-11 1998-12-22 Nec Corporation Manually operable document read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001076A1 (en) * 2001-06-21 2003-01-02 Brandenberger Sarah M. System and methodology for the use of optical positioning system for scanners
JP5385689B2 (ja) * 2009-06-10 2014-01-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ミリ波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とその撮像方法
JP5917428B2 (ja) * 2013-02-21 2016-05-1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磁波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の計測治具および計測方法
US9729740B2 (en) * 2015-09-21 2017-08-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8501A (en) * 1962-08-29 1966-03-01 Ncr Co Optical scanning pen and codedcharacter reading system
US3471684A (en) * 1966-09-21 1969-10-07 George Berezov Tape having data processing information permanently recorded thereon
US3596060A (en) * 1967-05-04 1971-07-27 Alexander Inc Optical scanning unit for mark sensing
JPS5647580B2 (ko) * 1974-09-28 1981-11-10
US4219736A (en) * 1975-11-14 1980-08-26 National Computer Systems, Inc. Apparatus for photoelectrically reading a translucent answer document having a bias bar printed thereon
US4136332A (en) * 1976-01-30 1979-01-23 Hitachi, Ltd. Device for detecting displacement between patterns
US4216378A (en) * 1978-10-10 1980-08-05 The Mead Corporation Optical scanner
US4300123A (en) * 1979-01-02 1981-11-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Optical reading system
JPS5640976A (en) * 1979-09-11 1981-04-17 Ricoh Co Ltd Running direction guiding device for manual secondary scan type reader
US4260979A (en) * 1979-12-31 1981-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sensing non-coded images
JPS56120264A (en) * 1980-02-28 1981-09-21 Canon Inc Picture read-in device
JPS577674A (en) * 1980-06-17 1982-01-14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Hand scanning device
GB2098348B (en) * 1981-03-25 1985-08-21 Lewis John Processing of optical information
JPS57203371A (en) * 1981-06-09 1982-12-13 Fujitsu Ltd Measuring method of image resolution for image pickup device
JPS5928160A (ja) * 1982-08-07 1984-0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見当合せ用マ−クの形成方法
JPS5955574A (ja) * 1982-09-17 1984-03-30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マ−ク・シ−ト読取装置
US4661699A (en) * 1983-03-28 1987-04-28 T. R. Whitney Corporation Scanning beam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bi-directional reference scale
US4684998A (en) * 1983-06-15 1987-08-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er suitable for manual scanning
US4553035A (en) * 1983-08-30 1985-11-12 Mylex Corporation Data acquisi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hand held reader
JPS60256267A (ja) * 1984-05-22 1985-12-17 インタ−ナショ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ョン 画像読取装置
US4695722A (en) * 1986-04-25 1987-09-22 Ford Aerospace & Communications Corporation Optical scanner error compens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626B2 (ko) 1992-02-12
KR860003562A (ko) 1986-05-26
EP0180181A2 (en) 1986-05-07
US4860377A (en) 1989-08-22
EP0180181A3 (en) 1988-03-16
DE3582391D1 (de) 1991-05-08
EP0180181B1 (en) 1991-04-03
JPS61105954A (ja) 198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056B1 (ko) 핸드스캐너의 입력방법
JP4148441B2 (ja) イメージスキャナ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的文字認識装置
US4449052A (en) Method of printing and detecting optimum bar code test patterns
US4349741A (en) Ear code with alignment mark
US3709525A (en) Character recognition
GB2170934A (en) Automatic printer margin setting device
US582208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07319868A (ja) 文書編集処理装置
JPS6322333B2 (ko)
US5319746A (en) Automatic hyphenation apparatus displaying grammatically correct suggestions for hyphenation of a word isolated on a single display line
US64119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in forms by segments using a scanner and a printer
JPS58102791A (ja) 印字装置
JP2567893B2 (ja) デジタル複写機
GB2196813A (en) Image reproducing machine
JP3386280B2 (ja) ブック原稿の画像読み取り装置
JPH0515551B2 (ko)
JP2000071687A (ja) 自動製図機
US563198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data representative of an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rocessing designated by a designating means
JPH08297711A (ja) 文字列出力装置
JP2863671B2 (ja) 印字フォーマット作成装置
JP2566652B2 (ja) ドットライン型記録器
KR910009064B1 (ko) 프린터용 문자크기의 보정방법
JPH06219019A (ja) 複合装置
JPS6087566A (ja) 画像読取装置
JPH04126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