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45B1 -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45B1
KR890004945B1 KR1019840001236A KR840001236A KR890004945B1 KR 890004945 B1 KR890004945 B1 KR 890004945B1 KR 1019840001236 A KR1019840001236 A KR 1019840001236A KR 840001236 A KR840001236 A KR 840001236A KR 890004945 B1 KR890004945 B1 KR 89000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ck
platform
container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8135A (ko
Inventor
마틴 켈리 유진
벤톤 바네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씨랜드 써비스 인코포레이티드
월리엄 제이.코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랜드 써비스 인코포레이티드, 월리엄 제이.코페이 filed Critical 씨랜드 써비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4000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제 1 도는 콘테이너선에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의 상세도.
제3a도는 및 제3b도는 내부 및 외부 피보트 아암의 상세도.
제4a도는 및 제4b도는 내부 및 외부 피보트 아암의 상세도.
제 5 도는 피보트 아암의 회전작동기와 설치상태의 상세도.
제 6 도는 로킹못과 설치용 블록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콘테니어 16, 32 : 맞춤못
17 : 주조재 18 : 탑형 조립체
20 : 교차부재 21 : 수직탑
26 : 캔틸레버형플랫포옴 28, 29 : 피보트 아암
30 : 플레이트 34 : 비임
36 : 회전작동기 40 : 전부
42 : 연장부재 44 : 로킹못
50, 53 : 설치용 블록 52 : 힌지
본 발명은 콘테이너선상에서 이용하기 위한 화물 취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테이너선의 갑판상에 옮겨진 콘테이너 더미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테이너가 출현한 이후, 화물취급에 노동과 시간의 절약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그러나, 이러한 콘테이너를 운송하고 취급하는데 필요한 특수한 장치의개발이 시급하게 되었다. 가장 혁신적인 개발은 콘테이너 화물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항구의 부대시설과 함께 콘테이너선의 발전이다. 이러한 선박은 선창에서 콘테이너를 보관할뿐 아니라, 이용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여 콘테이너를 기판상에 적치할 수 있게 한다.
갑판상의 콘테이너에는 현재 몇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는 해양 항공중에 선박이 흔들거림에 따라 콘테이너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는 점이고, 둘째는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 콘테이너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싣고 내릴 수 있어야 하는 점이며, 그렇기 않으면 노동과 시간이 절약되지 않을 것이다. 셋째로는 고정장치가 부적당하게 위치하여 선박의 무게 중심이 상승되지 않아야 하는 점이다. 고정장치는 높이가 낮고 무게는 가벼운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서 콘테이너를 선박의 안정성이 유지되는한 최고의 높이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간단히 생각하여 장치의 높이를 가능한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로는 그 장치가 믿을만한 것이고 또한 보수를 자유로이 할 수 있어야 한다. 콘테이너, 승강구의 뚜껑 또는 그 외의 비품을 크레인으로 처리하는 경우에 장치는 손상 및 비가동율이 최소로 되어야 한다.
콘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원시적인 방법은 묶는 것이다. 더미의 하부 콘테이너를 갑판상에서 또는 승강구 뚜껑이 보관하기에 최적인 갑판지역을 형성할 때는 특히 승강구 뚜껑에서 콘테이너의 모서리를 묶어 측면이동이 발생하지 않게 배치된다. 수직배치구멍은 콘테이너의 상부와 하부의 모서리에 있고, 수평배치 구멍은 단부와 측면의 모서리에 있다. 콘테이너의 상부에 있는 수직배치구멍에 박힌 맞춤못은 이웃한 콘테이너의 한부에 뚫린 구멍에 결합되어 측면이동을 방지한다. 그런다음 전체의 더미를 죔쇠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고정시킨 밧줄로 제위치에서 유지시킨다. 이렇게 묶는 방법은 확실히 힘도 더 들고 귀중한 시간이 부두에서 소비된다. 또한 묶어도 항해하는중에 자주 살펴보아여 하며 틀어지면 바로 제자리에 놓아야 한다.
묶는것에 대한 단점중 몇가지는 밧줄 대신에 적재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장치는 규모가 크고, 크레인으로 옮겨야 하며 선박에 싣거나 내리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부언하면, 통상적인 사용에서 프레임은 콘테이너의 더미보다 더 높으므로 선박의 무게 중심이 상승되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일례로 어떤 전형적인 적재용 프레임을 사용하면 큰테이너 더미는 묶었을때보다 약 35㎝ 정도 더 높아지게 된다. 외관상 차이는 근소하지만 그에따른 무게 중심의 변화는 선박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고, 그런 경우에서는 화물을 남겨두고 항해해야 하는 입장에 놓이게 된다.
그밖의 방법으로 갑판상에 고정된 격자틀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격자틀은 유도레일에 대하여 콘테이너가 적합하게 고정되도록 놓여야만 한다. 그러나 콘테이너는 보통 승강구 뚜껑위에 적재되기 때문에 격자틀은 승강구 뚜껑위에 겹치게 되고 따라서 승강구 뚜껑을 치우는데 상당히 어려워진다. 고정된 격자틀을 사용하여 승강구 뚜껑을 제거하는동안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하든가 또는, 제거 가능한 격자틀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는 유도 시스템을 설치하고 분해하기 위하여 싣고 내리는동안 부수적인 시간이 요구되었다.
타부쉬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 3,680,518호에 기재된 내용은 승강구 뚜껑의 근처에 세워져 있고, 콘테이너 배치구멍과 결합하는 핀을 갖는 스윙 아암을 갖춘 기둥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한 것이다. 피보트 아암은 상부 콘테이너를 포함하여 콘테이너 더미에서 각각의 콘테이너에 제공되어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두가지의 주요한 단점이 있다. 첫째는, 스윙 아암이 승강구 뚜껑을 제거하는동안 후퇴위치에서도 손산을 입는다는 점에 있어서 격자틀을 사용하여 당면하게 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는 것이다. 무거운 승강구 뚜껑을 돌출장치의 연속열을넘어 들어올린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즉, 바람의 방향이 약간만 바뀌어도 또는 크레인의 작동상 약간의 실수가 있어도 승강구 뚜껑이 흔들거리게 되며 돌출된 아암 기구와 충돌하게 되어 분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본래 손실로 인하여 비가동율이 높은 경향이 있다. 또한 최상부 콘테이너의 상단에 피보트 아암 장치가 있으면 선박의 무게 중심을 상승시킨다. 효과적인 시스템은 무거운 장치를 갑판으로 부터 상당히 먼 거리에 배치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많은 노력을 했지만 위에서 설명한 기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장치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콘테이너선 제조업에서는 갑판상 콘테이너를 고정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사용상 용이하며 간결한 장치를 제작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괄적으로 말하면 갑판상의 콘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콘테이너를 신속하게 선적 및 양륙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승강구 뚜껑을 제거하는 동안 장치에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고 또한 장치를 분해할 필요도 없이 승강구 뚜껑을 제거할 수 있는 콘테이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선박의 무게 중심을 과도하게 상승시키지 않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과 그외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고정장치는 콘테이너 적하구역의 어느 한면, 전형적으로는 화물 승강구에 위치한 교차부재에 의해 결합된 수직탑을 갖는 탑형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직립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를 회전하도록 설치된 양쪽 탑 사이로 연장되어 있다.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직립위치에서는 탑형 조립체 정면의 바로 뒤의 평면에 위치하며, 연장된 위치에서는 적하구역내에서 탑형 주립체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콘테이너의 상부에 겹쳐있는 플레이트와 맞추어진다. 각각의 플레이트는 적재될 콘테이너의 수직배치구멍과 결합하도록 위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직 배치 맞춤못을 가진다. 또한 더미에서 최상부 콘테이너를 받치는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최상부 콘테이너의 하부에 있는 수평구멍과 결합하는 로킹못을 가진다. 따라서 콘테이너의 더미는 최상부 콘테이너의 상부를 장치로서 고정할 필요없이 제위치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설치의 실시예는 제 1 도에 도시하였다. 일반적으로 갑판상의 콘테이너는 콘테이너가 갑판의 어떠한 공간에 적재될 수 있더라도 승강구 뚜꺼우이에 적재하게 된다. 선박의 측면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승강구 뚜껑은 선창구간으로 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콘테이너를 선창으로 옮기고, 승강구 뚜껑을 제위치로 놓은 다음에 콘테이너를 승강구 뚜껑위에 적재하여 고정시킨다. 제 1 도에는 3개의 승강구 뚜껑이 도시되어 있다. 외측의 뚜껑은 각각 2개의 더미를 수용하나, 중심부 뚜껑은 3개의 더미를 수용한다. 콘테이너가 이러한 배치로 적재됨으로 해서 2차원으로 볼수 있다. 콘테이너는 수직상으로 더미를 형성하고 수평적으로는 1층 그리고 연속층(하나이상의 중간층 및 상부층)으로 구성된 층을 형성한다.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조립체만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완전히 맞추어진 콘테이너선은 각각 콘테이너 적하구역에서 유사한 설치구조를 가질 것이다.
콘테이너(12)의 상부, 하부, 측면 및 단부의 각 모서리에는 배치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구 뚜껑(14)은 L형 콘테이너틀인 주조재(17)와, 또한 각 더미에서 최하부 콘테이너의 저면에 형성된 배치구멍과 결합되는 위치에 있는 갑판에 부착된 맞춤못(16)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맞춤못 및 틀은 콘테이너의 위치를 정하여 측면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맞춤못의 다른 형태로서 공업분야에서는 가끔 콘테이너의 구멍과 결합하기 위한 비틀림 잠금쇠를 사용한다. 상기 두가지의 공구는 기능상 대등하다. 맞춤못이라는 것은 비틀린 잠금쇠와, 이와 유사한 것이거나 대등한 공구를 모두 망라한다.
탑형 조립체(18)는 승강구 테두리판(15)의 바로 전방과 후방에 세워져 있다. 구조상 세부적인 것은 개개의 상황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지만, 각각의 조립체는 승강구의 폭만큼 연장하는 일체의 단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각각의 조립체는 교차부재(20)에 의해 함께 결합된 수직탑(21)을 포함하고, 사다리(22)는 콘테이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조립체는 4개의 탑을 포함하고 있는데, 두개는 외측 승강구의 외부 말단부에 위치하고, 다른 두개는 중심 승강구의 단부와 외측 승강구의 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2세트의 교차부재는 탑의 상단면이 콘테이너의 제 1 층 및 제 2 층의 상부 약간 아래에 위치하도록 탑을 결합한다. 따라서 탑형 조립체는 3개의 승강구에 대응하는 3개의 적하실을 규정한다. 탑형 조립체는 통상적인 구조강을 사용하여 갑판에 용접하는 것이 적합한다.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은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잘 나타나 있듯이 교차부재(20)의 상부면에서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플랫포옴은 비임(34)에 의해 결합된 일련의 피보트 아암(28)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위로 향해 돌출한 맞춤못(32)을 바치고 있는 플레이트(30)는 각각의 피보트 아암의 돌출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플랫포옴은 각각의 교차부재상에 배치되므로, 플랫포옴의 총 갯수는 탑형 조립체의 설계에 의존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도에 6개의 플랫포옴이 나타나 있다. 배치상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플랫포옴이 콘테이너 적하실내로 돌출하는 연장위치(제 1 도의 26a)와, 탑형 조립체의 정면 바로 뒤에서 인접할 수직탑 사이의 공간내에 위치한 플랫포옴의 직립위치(26b) 사이를 플랫포옴이 피보트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제 1 도에 도시한 설치상태가 본 발명의 하나의 시설임을 나타내는데, 즉, 콘테이너선에 완전시 설치되면 몇개의 탑형 조립체가 두개의 인접한 콘테이너 적하구역 사이에 위치할 것이며, 그때 탑형 조립체는 각각의 적하실의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하는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을 받치도록 규격이 정해져 있다.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을 구조적으로 상세히 설명학 이전에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제 1 도에 장치의 여러작동단계가 나타나 있다. 제 1 도의 중심부에서 불 수 있듯이 콘테이너를 적하하기 전에,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직립위치(26b)로서 유지된다. 여기서 전체의 플랫포옴은 탑형 조립체의 전면 뒤에 놓이게 된다. 콘테이너의 제 1 층은 제 1 도의 좌단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콘테이너는 주조재(17)와 맞춤못(16)에 결합되어 적소에서 유지된다. 제 1 층을 적재한 다음에는 이에 인접한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연장위치(26a)로 하강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플레이트(30)의 돌출부는 맞춤못(32)이 승강구 뚜껑의 맞춤못(16)과 수직으로 정렬되면서 콘테이너의 상부에 놓인다. 다음층의 콘테이너를 적재할때는, 각 콘테이너의 하부면에 위치한 수직배치구멍이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상에 받쳐진 맞춤못(32)과 결합되어서 각 콘테이너를 병렬위치에서 보유한다. 콘테이너의 최상층의 상부면에서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이 겹치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주시해야 한다. 오히려 제 1 도의 우단에서 최상부층이 놓여있는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c)은 추가로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각 더미에서 최상부 콘테이너를 고정하는 하기에서 설명할 수단을 포함한다.
피보트 아암(28)은 예를들어 제3a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공통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다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아암은 박스 비임의 한 단편으로부터 형성된 연장부재(42)를 중심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플랜지대의 두개의 부품은 연장부재의 측면에 고정되어 연장부재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전부(40)를 형성한다. 샤프트 구멍(38)은 연장부재의 후방에 있는 전부의 이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재의 전단부는 부재의 상부면과 겹쳐지며 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장방형 플레이트(30)를 지탱한다. 하기에서 설명할 하나 이상의 맞춤못(32)은 플레이트(30)의 상부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다. 맞춤못을 다른 배치구멍의 설계에 맞추기 위해 모양을 변경시킬 수 있지만, 각 맞춤못은 장방형 단면을 하부로 하여 그위에 절두형 파라밋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보트 아암의 세부 구조는 특수한 조건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샤프트 구멍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맞춤못의 중심선까지의 총 깅이가 용접 되었을때 약 71㎝에 달하는 구조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같은 특색을 기초로 하여 피보트 아암의 4가지 유형은 탑형 조립체상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한다. 첫번째는 특정한 피보트 아암을 제 1 도의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a)과 같이 콘테이너의 중간층과 결합하여 사용할 것인지 또는 제 1 도의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c)과 같이 콘테이너의 상부층에 결합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구별한다. 두번째는 특정한 피보트 아암을 제 2 도에 도시된 플랫포옴의 단부 또는 내측에 놓을 것인지를 구별한다. 따라서 제3a도에는 중간층 외부 아암(28a)이 되시되어 있고, 제3b도에는 중간층 내부 아암(28b)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4a도에는 상부층 외부 아암(29a)이, 제4b도에는 상부층 내부 아암(29b)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내부 아암과 외부 아암의 유일한 차이점은 각 외부 아암(28a, 29a)은 단지 하나의 맞춤못(32)을 가지고, 반면 각 내부 아암(28b, 29b)은 두개의 맞춤못을 가진다는 점이다. 물론, 내부 아암에 걸쳐진 플레이트(30)는 여분의 맞춤못을 수용하기 위해 외부 아암에 걸쳐진 프레이트보다 넓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설계로 한 이유는 내부 아암이 각 프레이트에서 두개의 콘테이너를 수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맞춤못(32)은 각각의 아암에서 동일한데, 차이점은 다만 맞춤못의 갯수와 플레이트의 폭에서 찾을 수 있다.
제4a도,제4b도 및 제 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상부층 피보트 아암(29a, 29b)은 중요한 특징의 한 면이다. 맞춤못(32)에 추가하여 각 플레이트(30)는 설치용 블록(50)을 지탱한다. 상기 블록은 맞춤못의 후방에 배치되며, 피보트 아암의 장축에 평행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는 구멍(51)을 갖는다. 설치용 블록의 전면은 경사지게하여 콘테이너가 수직맞춤못(32)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설치용 블록은 로킹못(44)을 수용하고, 받치며, 상기 로킹못은 콘테이너를 수직위치에서 보유하기 위하여 콘테이너의 수평배치구멍(콘테이너의 단부의 하부 모서리에 위치함)과 결합된다. 콘테이너와 결합되는 상기 로킹못의 전방부분은 단면이 사각형이고, 동시에 원형 단면의 후방부분까지 외부로 벌어져 있어서 설치용 블록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로킹못이 설치용 블록내로 삽입되면 유지핀(46)에 의해서 제위치에서 보유되는데, 상기 핀은 직각으로 굽어진 부품으로서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킹못의 후방부분에 형성된 교차구멍(47)에 삽입된다. 교차구멍은 로킹못이 설치용 블록으로부터 전방으로 충분히 돌출하여 콘테이너(12)에서 그 배치기능(제 6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장하는 위치에 있다. 취금하기 용이하도록 로킹못에 핀을 체인(48)으로 연결하며, 로킹못의 후단부에 핸들(49)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층 아암과 같이 상부층 아암은 두개의 형태로 사용한다. 상부층 외부아암(29a)은 제4a도에서와 같이 하나의 맞춤못과 하나의 설치용 블록을 가지며, 상부층 외부 아암(29b)은 제 4b도에서와 같이 두개의 맞춤못과 이중 설치용 블록(53)을 가진다. 각각의 피보트아암은 교차부재(20)에 고정된 힌지(52)에서 피보트된다. 제 2 도 및 제 5 도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듯이, 두개의 수직부재가 힌지의 기부로 부터 상향으로 돌출되어 피보트 아암의 견부(40)내에서 맞추어진다. 제 2 도에서 힌지 샤프트(55)는 코터핀 또는 그밖의 적절한 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피보트 아암을 힌지에 결합시키지만, 피보트 아암이 직립위치와 연장위치간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의 피보트식 운동은 수압 회전작동기(36)에 의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작동기가 내부 피보트 아암에 설치되어 각각의 플랫포옴을 작동시킨다. 작동기를 갖춘 피보트 아암을 위하여, 아암과 힌지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동기에 부착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작동기 샤프트(54)에 의하여 결합된다. 토오크 아암(56)의 한쪽 단부는 작동기의 한면에 적합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다른쪽 단부는 교차부재상에 부착된 앵커(58)의 U형 플랜지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작동기는 작동기 샤프트(54)에 쐐기로 고정되거나 다른 방법으로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토오크 아암(56)은 작동기에 볼트로 결합되고, 앵커(58)에 핀(60)을 결합되어 있다. 앵커(58)와 힌지 기부는 둘다 교차부재에 용접하는 것이 좋다. 또한 힌지의 기부는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수적으로 부재에 볼트로써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작동기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하는데, 일례로 버어드존슨 모델의 HS-15-280 회전작동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콘테이너의 제 1 층은 적재되어 주조재(17)와 갑판상 맞춤못(16)에 의해 적소에서 유지된다. 적재하는 동안, 모든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직립위치로 유지하여 플랫포옴이 콘테이너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한다. 그런다음, 첫번째 위치의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연장위치로 낮춘다. 명확히 알 수 있듯이 교차부재(20)는 콘테이너의 연속층 각각의 바닥 높이에 거의 비슷하게 유지해야 하며, 따라서 플레이트(30)가 콘테이너의 최상단 위에 놓이면 동시에 피보트 아암과 거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맞춤못(32)는 갑판상의 맞춤못(16)과 수직으로 정렬되고, 이에따라 콘테이너의 제 2 층의 적재되어 맞춤못과 결합할때 더미에서 연속적인 콘테이너가 서로의 최상단 위에 정확히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콘테이너의 최상층이 적재될때까지 반복한다. 제 1 도에는 콘테이너를 3층 높이로 적재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이용하여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층으로 설치할 수 있다. 최상층이 완전히 적재 되면 로킹못(44)을 각각의 콘테이너에 수평으로 위치한 구멍내로 설치용 블록(50)을 통하여 삽입한다. 유지핀(46)이 제 위치에 끼워지면 최상층의 콘테이너와 전체의 더미는 수직이동을 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보다 탁월한 방법으로 콘테이너선적 공업에서 필요한 오랜 숙원을 해결했다. 첫째로 콘테이너는 아무런 손상도 입지않고 적소에서 안전하게 유지되며, 둘째는 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콘테이너를 신속하게 적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더우기 항해중의 악조건하에서도 콘테이너를 유지하기 위하여 장치를 보수해야할 필요성이 없다. 세째로 본 발명의 장치는 선박의 무게 중심의 상승을 최소로 낮춘다. 콘테이너의 최상층에 기계류가 필요없기 때문에 장치는 최고의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네째는 장치가 내구력이 있으며 별다른 문제점이 없다는 점이다. 캔틸레버형 플랫포옴은 탑형 조립체의 정면 바로 뒤로 후퇴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는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고 콘테이너를 취급할 수 있으며, 승강구 뚜껑을 제거하고 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했는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만 가능하다.

Claims (5)

  1. 수평으로 서로 인접한 콘테이너(12) 더미에서 최하부 콘테이너는 최하층을 이루며 연속하는 콘테이너는 연속층을 이루게 하여 선박의 갑판상에 적재된 다수의 콘테이너 더미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콘데이너의 최하층에 위치한 각각의 콘테이너(12)를 결합하기 위해 선박에 장착된 다수의 콘테이너 결합수단(16, 17)과, 콘테이너의 각 연속층의 바닥과 거의 일치하는 높이에 있는 교차부재(20)에 의해 연결된 수직탑(21)을 가지며 콘테이너 적하실을 규정하도록 갑판상에 설치된 적오도 두개의 격리된 탑형 조립체(8)를 구비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수직탑(21) 사이에 완전히 안치된 직립위치와 상기 탑형 조립체로부터 적하실내로 돌출하는 연장위치 사이에서 피보트 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교차부재(20)상에 설치된 다수의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과, 플랫포옴(26)이 상기 연장위치에 있을때 수직 정렬된 콘테이너 사이의 중간 연결을 위해 플랫포옴(26) 각각에 지지되고 또 바로 아래쪽의 콘테이너와 결합하고 그 상방에서 다음 콘테이너를 수용하여 가해지는 수직 부하력을 하방의 콘테이너에 전달하고 또 각각의 다음 콘테이너가 수평 이동하지 못하도록 다음 콘테이너 바닥의 개구에 결합하는 맞춤못(32)을 갖게 되어 있는 플레이트(30)와, 더미가 수직 이동하지 않도록 더미의 최상부 콘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한 구멍과 결합하기 위해 콘테이너 최상층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플랫포옴의 각각에 받쳐진 로킹못(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을 직립위치와 연장위치로 운동시키는 동력장치(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3. 측면이동을 저지하는 갑판상 수단(16, 17)에 의해 결합되어 적하실의 최하층에 배치된 콘테이너(12)를 연속층으로 적재하여 형성된 다수의 더미의 각각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직탑에 설치된 고정수단을 가지며 적하실에 인접하여 위치한 탑형 조립체(18)를 포함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캔틸레버형 플랫포옴(26)은 각각의 플랫포옴이 두개의 인접한 팁 사이에 힌지로 장착되어서 탑형 조립체(18) 정면의 뒤에 완전히 안치된 직립위치와 적하실내로 연장된 연자위치로 피보트식 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각 플랫포옴은 연장부재(42)와 이 연장부재의 후미에 고정되어 힌지(52)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는 견부(40)와 상기 연장부재의 전단부에 상부면에 고정되어 이 면을 지나서 돌출하는 플레이트(30)와 이 플레이트에서 콘테이너의 하부 배치구멍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상향돌출 맞춤못(32)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2개의 피보트 아암(28)과, 상기 피보트 아암과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비임(34)과, 상기 플랫포옴을 피보트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장치(36)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플랫포옴(26)이 콘테이너의 연속층의 바닥과 일치하는 탑형 조립체(18)상에 연속적으로 장착될때 더미에서 최상부 콘테이너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기 플랫포옴중에서 하나에 위치하는 상기 피보트암(28)의 각각의 상기 맞춤못(32) 뒤의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의 구멍(51)이 형성된 설치용 블록(50, 53)과, 더미의 수직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콘테이너의 하부의 수평배치구멍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블록에 지탱되는 로킹못(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36)는 수압으로 동력을 얻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5. 선박의 갑판상에서 이격된 탑형 조립체(18)를 콘테이너 더미에 인접하게 위치시켜서 이 더미를 수직으로 고정시키는 갑판상 콘테이너고정장치에 있어서, 콘테이너(12)의 수직 배치 구멍과 결합하도록 상기 탑형조립체(18)상에 장착된 피보트 수단(26)과, 콘테이너 더미의 수직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더미에서 최상부 콘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한 구멍과 결함하도록 배치된 로킹못(44)과, 상기 로킹못(44)을 소유하도록 배치된 설치용 블록(50, 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KR1019840001236A 1983-03-14 1984-03-12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KR89000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537383A 1983-03-14 1983-03-14
US475373 1983-03-14
US475.373 198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8135A KR840008135A (ko) 1984-12-13
KR890004945B1 true KR890004945B1 (ko) 1989-12-02

Family

ID=238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236A KR890004945B1 (ko) 1983-03-14 1984-03-12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21681B1 (ko)
JP (1) JPS59176185A (ko)
KR (1) KR890004945B1 (ko)
BR (1) BR8400927A (ko)
DE (1) DE3465449D1 (ko)
DK (1) DK159535C (ko)
ES (1) ES530541A0 (ko)
NO (1) NO159915C (ko)
YU (1) YU4614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95Y1 (ko) * 2013-07-25 2015-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스툴 레더
KR20190014846A (ko) * 2017-08-04 2019-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설치용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73720B1 (fr) * 1984-11-23 1987-02-27 Nord Mediterranee Chantiers Dispositifs pour transporter des conteneurs sur les panneaux de cale et navires porte-conteneurs equipes de ces dispositifs.
JPS61146489U (ko) * 1985-03-05 1986-09-09
JPS61150287U (ko) * 1985-03-11 1986-09-17
JPS61257387A (ja) * 1985-05-10 1986-11-14 Osaka Shosen Mitsui Senpaku Kk 船倉内コンテナ積付装置
JPS6218388A (ja) * 1985-07-17 1987-01-27 Kawasaki Heavy Ind Ltd 甲板上コンテナの集合固縛装置
FR2909080B1 (fr) * 2006-11-27 2009-01-16 Christophe Riquier Equipement facilitant la mise en place des dispositifs destines a rendre solidaires des conteneurs superposes embarques sur un navire.
NL2000975C2 (nl) * 2007-11-01 2009-05-06 Libran Internat B V Containerschip, samenstel van een container en een tankcontainer, adapterframe, draagbalk en werkwijze voor het laden van een containerschip.
CN102145799A (zh) * 2011-03-18 2011-08-10 张家港市海星集装箱制造有限公司 一种集装箱
DE202012004349U1 (de) * 2012-05-04 2013-08-05 Olb Offshore Logistics Bremerhaven Gmbh Ponton für den Transport großer und schwerer Lasten
CN105905261B (zh) * 2016-06-27 2018-01-09 中海工业(江苏)有限公司 一种集装箱船绑扎桥立式总组胎架
CN113501096B (zh) * 2021-06-28 2022-08-19 华能灌云清洁能源发电有限责任公司 海上风机设备平台及其柜体的安装方法、海上风机
WO2024025566A1 (en) * 2022-07-29 2024-02-01 Pan Trevor System for cargo transpo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1298A (en) * 1968-06-14 1969-12-02 American Export Isbrandt Securing system for deck container or the like
DE2024333A1 (de) * 1969-05-19 1970-11-26 Mitsui Shipbuilding And Engineering Co. Ltd., Tokio Haltevorrichtung für Container
DE1939133A1 (de) * 1969-08-01 1971-02-04 Lehner Fernsprech Signal Schaltungsanordnung fuer Empfaenger in Rundsteueranlagen
US3820664A (en) * 1971-07-19 1974-06-28 R Macy Apparatus for transporting factory constructed housing units
JPS498289U (ko) * 1972-04-20 1974-01-2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895Y1 (ko) * 2013-07-25 2015-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스툴 레더
KR20190014846A (ko) * 2017-08-04 2019-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설치용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21681A1 (en) 1984-10-17
EP0121681B1 (en) 1987-08-19
BR8400927A (pt) 1984-10-16
ES8600140A1 (es) 1985-10-01
JPS59176185A (ja) 1984-10-05
YU46141B (sh) 1993-05-28
NO840958L (no) 1984-09-17
KR840008135A (ko) 1984-12-13
YU45584A (en) 1988-02-29
DE3465449D1 (en) 1987-09-24
ES530541A0 (es) 1985-10-01
DK159535C (da) 1991-04-02
NO159915B (no) 1988-11-14
JPH0229559B2 (ko) 1990-06-29
NO159915C (no) 1989-02-22
DK117084A (da) 1984-09-15
DK117084D0 (da) 1984-02-28
DK159535B (da) 199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15B2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between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KR890004945B1 (ko) 갑판상 콘테이너 고정장치
US6227397B1 (en) Variable height container for vessel
US8079791B2 (en) Bulk bag transport apparatus
US7975865B2 (en) Cargo basket
US20040188433A1 (en) Convertible, transport, cargo box system
US4331320A (en) Clamp lift truck
US4890565A (en) Apparatus for securing on-deck containers
CN217918934U (zh) 钢制折叠托盘
US20200062447A1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Palletized Loads Between A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KR200492532Y1 (ko) 선박의 해치커버 지지 지그
CN111846643A (zh) 一种多用途集装箱
JPH1067381A (ja) コンテナ支持装置
CN212448915U (zh) 一种多用途集装箱
WO2012064506A1 (en) Modular cell elevator for container ship
JP4514277B2 (ja) 製品コイルの船積方法
EP0558152B1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ation of goods such as pipes
JPH11180387A (ja) コンテナ支持装置
JP2871301B2 (ja) コンテナ固縛装置
KR200252102Y1 (ko) 금속 스트립 코일 운반용 컨테이너 장치
JPS6345435Y2 (ko)
JPH11180383A (ja) コンテナ支持装置
GB2369111A (en) Flatrack with additional lifting connector
JPH11180386A (ja) コンテナ支持装置
JPH04135487U (ja) 鋼板等の運搬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