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26B1 -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26B1
KR890004726B1 KR1019850010153A KR850010153A KR890004726B1 KR 890004726 B1 KR890004726 B1 KR 890004726B1 KR 1019850010153 A KR1019850010153 A KR 1019850010153A KR 850010153 A KR850010153 A KR 850010153A KR 890004726 B1 KR890004726 B1 KR 89000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feed
squid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10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586A (ko
Inventor
도시다까 기구따
가즈오 하야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노나까 다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노나까 다다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스리본드
Priority to KR1019850010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726B1/ko
Publication of KR87000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제 1 도는 먹이섭취율의 시험결과를 표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성장력 시험의 결과를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Ⅰ : 실지렁이 Ⅱ : 기초시료
Ⅲ : , Ⅷ : 제1실시예에 관련한 시료. V', Ⅵ' : 제 2 실시예에 관련한 시료.
본 발명은 실지렁이를 대신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식용 뱀장어의 양식은 뱀장어의 치어인 새끼뱀장어를 사육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지만, 새끼뱀장어에는 최초부터 배합 사료를 섭취하는 습성이 없고, 따라서 어떤 수단에 의하여 먹이를 먹도록 하는 습관을 불어주어야 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와같은 먹이를 섭취하는 습관을 길들이는 수단으로서는, 새끼뱀장어가 매우 좋아하는 실지렁이를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로 줌으로서 길들이고, 길들어감에 따라서 소량의 배합사료를 혼합하고, 서서히 그 분량을 증가함에 따라서 실지렁이를 감소시켜가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새끼뱀장어의 초기 먹이 길들이기용 인공사료에 관한 기술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않고, 뱀장어 사육업자는 새끼뱀장어의 먹이로서 전적으로 천연산의 실지렁이를 사용하는 것이 현상태이다. 여기서, 실지렁이는 각지의 작은 하천에 보통 생식하고 있으며, 관상어의 먹이로서, 또한 양식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실지렁이의 생식지역은 불결하고, 이 때문에 실지렁이는 여러 종류의 병원균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앞서 기술한 실지렁이를 새끼뱀장어에 먹였을 경우 파라콜로병등의 질병을 초래하고, 치어뱀장어의 생존율을 저하시키는 불편이 있다. 또한, 실지렁이는 천연물이기 때문에 그 생산량이 기온, 강우량등 기상 조건에 의하여 좌우되고, 수급군형을 잡기힘들다.
즉,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시료는 11월-3월에 걸쳐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지만, 이 시기에 있어서의 가격변동, 공급량의 부족이 염려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실지렁이는 생물이고, 장기보존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단기간의 경우일지라도 그 보존에는 세심한 주의와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보존중의 폐사, 유출등에 의한 수량감소도 무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기호성이 높고, 먹이섭취율이 양호하며, 또한 성장조장력이 있는 새끼뱀장어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성분인 오징어에다, 유파우지아(Euphausia) 및, 알의 노른자로된, 또는 알의 노른자를 함유한 영양보조재, 베타인 내지는 오징어류를 함유한 성분을 갖는 유인 보조재를 첨가하여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를 구성했다. 또한 냉동오징어를 100분의 6㎜ 이하의 크기로 가늘게 자르고, 그후에 이 가늘게 자른 오징어와 유파우지아 및 기타의 배합성분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반죽 상태로 형성하여 새끼 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오징어에 적당히 유인보조재를 첨가한 인공시료가 기호성 유인성이 우수하고, 먹이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은 점을 증명한다. 이 증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제 1 표와 같이 배합을 실시하고, 예비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1표]
Figure kpo00001
오징어를 미이트 촙퍼로 민치상으로 만들고, 여기에 오징어유를 첨가하여 반죽상의 시료 1-4를 얻고 있다. 그리고, 이들 시료와, 비교를 위한 실지렁이(시료 Ⅰ)를 28±1℃로 유지한 45㎝각의 수조에 넣은 각각 100마리의 일본산 새끼뱀장어에 계속하여 7일간 투여하고, 먹이 섭쉬율을 시험했다.
결과를 %치로 제 2 표에 표시한다.
[제2표]
Figure kpo00002
제 2 표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오징어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공시료는 그 자체가 어느정도의 기호성, 유인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인보조재인 오징어류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하루만에 72%의 먹이섭취율로 된다. 그리고 오징어유를 첨가하면, 먹이섭취율이 보다 높아진다. 오징어유는 사료의 반죽화를 위하여도 이용되는 것이지만, 5중량부 이상의 첨가로는 용출하여 물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3중량부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오징어유는 베타인을 함유하고 있고, 이 베타인이 유인효과를 완수하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베타인을 함유하는 다른 성분, 예컨대 모시 조개등을 배합할 경우에는 이 양은 가감되어야 한다. 실지렁이(시료 Ⅰ)와, 오징어유를 3중량부 첨가한것( 시료 Ⅱ)의 시험결과를 제 1 도에 도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바에 의하면, 오징어 또는 오징어에 오징어유(베타인)를 첨가한 것은 기호성, 유인성이 우수하고, 먹이섭취율이 높고, 그것만으로도 새끼뱀장어의 인공사료로 할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단, 이 인공사료는 새끼뱀장어의 성장을 적극적으로 조장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상술한 시료 Ⅱ에 유파우지아를 첨가한 것이다.
본 예에서는 제조방법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도 합쳐서 실명하기도 한다. 우선 제 3 표와 같은 배합을 실시했다.
[제3표]
Figure kpo00003
오징어는 표피, 내장을 제거한 것을 냉동한 후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냉동 오징어를 미이트 촙퍼로 분쇄하고, 그후에 마스코로이더로 불리는 절구로 0.03-0.06㎜로 분쇄하고, 여기에 0.03-0.06로 분쇄한 유파우지아를 첨가하고, 오징어유를 첨가하면서 사이렌트터등의 혼합장치로 혼합하고, 반죽상의 시료 Ⅱ-Ⅷ을 얻었다. 냉동 오징어를 사용한 것은, 새끼오징어의 구경을 고려하여, 0.6㎜ 이상의 긴 섬유를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얻기 위한 것이다.
즉, 냉동 오징어는 미이트 촙퍼로 분쇄하기 쉽고, 또한 이때에 긴 섬유를 절단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냉동 오징어를 사용하면 분쇄, 혼합에 있어서의 발열에 따르는 온도 상승에 의하여 오징어, 기타의 배합성분중에서 잡균이 번식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하여 얻은 시료 Ⅱ-Ⅷ을 28±1℃로 유지한 45㎝각의 수조에 넣은 100마리의 일본산 새끼뱀장어에 각각 계속하여 7일간 투여하고 먹이섭취율을 시험했다. 결과를 %치로 제 4 표에 표시한다.
(시료 Ⅱ의 결과에 관여하는 제 2 표 참조)
[제4표]
Figure kpo00004
이 결과는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4 표 및 제 1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유파우지아가 소량첨가되면 기호성이 증가하여 먹이섭취율도 양호하다 단, 20중량부 이상의 배합에서는, 기호성의 신장율이 낮고, 40중량부보다 커지면 기호성이 실지렁이보다 떨어진다. 또한 유파우지아 30중량부 이상을 첨가한 것은 점결성이 좋지않고, 40중량부보다 많이 첨가하는 경우에는 수질 오염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파우지아 첨가량은 0-4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고, 2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함을 알수 있다.
다음은, 상술한 시료Ⅱ-Ⅷ에 관하여 성장력의 시험을 실시 하였다. 이 결과를 제 5 표 및 제 2 도에 표시한다.
시험결과는, 이들 시료를 일본산 새끼뱀장어에 투여했을때의 10일 경과후에 체중변화(배율)을 표시하고 있다.
[제5표]
Figure kpo00005
제 5 표 및 제 2 도에 표시한 결과로부터 새끼뱀장어는 유파우지아를 첨가한 사료를 먹고 보다 크게 성장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새끼뱀장어는 먹이 길들이기를 하면서 그동안에 크게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 이유는 유파우지아는 자기소화 효소가 있기 때문에 소화를 돕고 성장을 돕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유파우지아 첨가량은 성장력의 면에서는 10-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인공사료로서의 점결성의 면에서는 5-15중량부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결국 10-15중량부가 가장 좋을 것이다. 이와같이 오징어에 유파우지아를 첨가하면서 기호성, 유인성이 우수해지고, 먹이섭취율이 높을뿐만 아니라 새끼뱀장어에 성장력을 주는 인공사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오징어에 유파우지아 및 오징어유를 첨가하고, 나아가서 여기에 영양보조재로써 알의 노른자를 첨가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유파우지아의 첨가량은 15-20중량부가 최적이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이들 시료를 기초로하여 제 6 표와 같은 배합을 실시하였다.
[제6표]
Figure kpo00006
알의 노른자는 효소처리한 계란의 노른자를 의미한다.
장력(체중변화)의 결과를 제 7 표에 표시하였다. 체중변화치는 배율로 표시하고 있다.
[제7표]
(체중 변화)
Figure kpo00007
시료(V') 및 (Ⅵ')의 결과는 제 2 도에 파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제 7 표의 결과에 의하면 알의 노른자를 5중량부 첨가한 시료에서는 체중변화가 현저하다. 다른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알의 노른자의 첨가량은 3-8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함이 확인되어 있다. 알의 노른자는 달걀노른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류의 것이면 어느것도 좋다.
이와같이 알의 노른자를 첨가함으로서 새끼뱀장어의 성장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이 밖에 알의 노른자에 카제인, 탈지분유, 어란, 동물의 간장, 모시조개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첨가해도 좋다. 제 2 실시예에 관련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에 있어서도, 제 1 실시예에도 표시한 바와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냉동 오징어를 미이트 촙퍼로 분쇄하고 이어서 마스코로이터로 0.03-0.06㎜로 갈아 문지르고, 한편 유파우지아를 마스코로이더로 0.03-0.06㎜로 갈아 문지르고, 양자에 알의 노른자를 첨가하여 오징어유와 함께 사이렌트커터에 투입하고, 반죽상의 사료를 얻는다. 이 사료는 알의 노른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담황색이 된다.
사료가 채색되는 것은 먹이섭취 상태를 볼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보다 진한 색을 내기 위해서 합하여 착색료를 첨가해도 무방하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오징어에 유파우지아만을 첨가하여 사료를 만든 것이다. 제 1 실시예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유파우지아의 첨가량은 15-20중량부가 가장 적당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이를 시료를 기초로 하여 제 8 표와 같은 배합을 실시하였다.
[제8표]
(사료 조정)
Figure kpo00008
시료의 가공은 제 1 실시예와 같으며, 각 시료를 섭취하게 한 다음의 체중변화의 결과를 제 9 표에 배율로 나타낸다.
[제9표]
Figure kpo00009
상기 제 9 표의 결과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오징어에 유파우지아 15-20중량부를 첨가한 시료에서 체중변화가 현저함을 알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오징어에 유파우지아 및, 알의 노른자를 영양 보조재로서 첨가한 것이다. 제10표와 같은 배합을 실시했다.
[제10표]
Figure kpo00010
알의 노른자는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첨가했으며, 이 사료를 섭취하게한 다음의 체중변화의 결과를 제11표에 배율로 나타낸다.
[제11표]
(체중변화)
Figure kpo00011
상기 제11표의 결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알의 노른자를 5중량부 첨가한 시료에서 체중변화가 현저하였으며, 다른 실험결과를 종합해볼때 알의 노른자의 첨가량은 3-8중량부가 가장 바람직함을 알수 있었다.
제 1 실시예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오징어는 가늘게 분쇄되고, 다른 성분과 혼합되고, 반죽 모양으로 형성되지만, 반죽상의 사료는 부패하기 쉽기 때문에 이대로는 장기보존이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반죽상으로 형성된 사료를 동결 건조기에 걸어서 건조 고체화하고, 그후에 얻어진 고형물을 100메시로 분쇄하고, 나아가서 이것에 적당한 점결제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한후에, 소정용량의 용기 또는 주머니에 넣고 적당히 진공포장하여 판매하도록 하였다.
점결재로서는 구아감, α-전분, 소맥글루덴, 카제인, 옥수수전분, 젤라틴, 아르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등의 식품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동결 건조기로서는, 일본 동양기연의 프르리이즈드라이 장치를 사용했다. 이 장치는 분상 용기상에 균일한 두께의 반죽모양 사료를 올려놓고, 약 7시간에 걸쳐서 -30에서 +20℃까지 진공건조하고, 나아가서 +20℃∼-30℃에서 23시간에 걸쳐서 진공건조하는 형식의 것이고, 이 장치에 의하여 판상의 고체형 사료를 얻을 수가 있다.
분쇄기계에 관해서는 어떤 종류의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기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분쇄한 건조사료에 점결재를 첨가한것은 동결 건조에 의하여 점결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고, 완성분말상 제품에 뒤로부터 물을 가하고, 다시 반죽화할때에 얻어지는 반죽상 사료에 적당한 점결성을 지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판매차 제공된 용기 또는 주머니 포장의 사료는, 이것에 중량비로 2-3배의 물을 첨가함으로서 쉽게 반죽화되는 성질의 것이고, 장기보존(수년이상)에 견딜 수 있는 것이 된다.
오징어에 유파우지아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관한 인공사료에 의하면, 기호성, 유인성이 양호하고, 먹이섭취율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새끼뱀장어의 성장을 조성할 수가 있고, 뱀장어 양식의 경영효율을 향산시킬 수 있게된다. 또한 냉동 오징어를 가늘게 분쇄하는 것을 기본으로하고, 반죽상의 사료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관한 제조방법에 의하면, 새끼뱀장어가 쉽게먹을 수 있는 인공사료를 쉽게, 그리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Claims (6)

  1. 주성분인 오징어 100중량부에, 유파우지아 10-20중량부, 영양보조재 3-8중량부 및, 유인보조재 3-5중량부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영양보조재에는 알의 노른자가 포함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알의 노른자가 포함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유인보조재에는 베타인 내지는 오징어유가 포함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4. 냉동 오징어를 100분의 6㎜ 이하의 크기로 가늘게 분쇄한다음, 분쇄한 오징어와 유파우지아 및 기타의 배합성분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반죽상으로 형성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반죽상으로 형성된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는, 그후에 동결건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의 제조방법.
  6. 주성분인 오징어 100중량부에, 유파우지아 10-20중량부를 첨가하여 구성되는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KR1019850010153A 1985-12-31 1985-12-31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890004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10153A KR890004726B1 (ko) 1985-12-31 1985-12-31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10153A KR890004726B1 (ko) 1985-12-31 1985-12-31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586A KR870005586A (ko) 1987-07-06
KR890004726B1 true KR890004726B1 (ko) 1989-11-25

Family

ID=19244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10153A KR890004726B1 (ko) 1985-12-31 1985-12-31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7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586A (ko) 198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16144B2 (en) Solid feed for large-sized fishes
WO1999045792A1 (en) Animal feed gel
US4210634A (en) Growth promoting fish food composition
JP6215074B2 (ja) スッポン用飼料及び養殖スッポンの生産方法ならびにスッポン身肉のアミノ酸増加方法
JP2007267669A (ja) 爬虫類・両生類の固形飼料
EP0226926A2 (en) Baiting feed for cultivating fish, especially elver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890004726B1 (ko) 새끼뱀장어의 먹이 길들이기용 사료 및 그 제조방법
Pigott et al. Special feeds
CN102485020B (zh) 一种方斑东风螺亲螺养成期的软体饵料及其生产方法
TW201528961A (zh) 鱉用飼料及養殖鱉之生產方法以及增加鱉肉內胺基酸之方法
JP2847295B2 (ja) 養魚用飼料の給餌方法
RU2034492C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корм "радуга" для аквариумных рыб
JP5594603B2 (ja) マグロ稚魚用配合飼料
KR101815626B1 (ko) 실뱀장어의 초기 냉동사료
JPH11313617A (ja) アロエを用いた養魚用天然飼料及びこれを用いた養魚用飼料
RU2366265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рма для ранней молоди лососевых рыб
JPH04365454A (ja) 釣り餌用又は養殖魚用餌料
Peterson et al. A meal-gelatin diet for aquarium fishes
JP2592503B2 (ja) 養魚用飼料
JPS5871847A (ja) 稚魚用配合飼料の製造法
JP2016187337A (ja) ウニ用畜養飼料
JPH04173059A (ja) 仔稚魚用人工配合餌料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CN110679786A (zh) 一种养殖鱼的饲料配方
KR960015511B1 (ko) 청둥오리의 사육 사료 제조방법
JPH02171148A (ja) タイ類仔魚用餌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1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