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683B1 - 클로로페니라민 제형 - Google Patents

클로로페니라민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683B1
KR890004683B1 KR1019870002544A KR870002544A KR890004683B1 KR 890004683 B1 KR890004683 B1 KR 890004683B1 KR 1019870002544 A KR1019870002544 A KR 1019870002544A KR 870002544 A KR870002544 A KR 870002544A KR 890004683 B1 KR890004683 B1 KR 890004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opheniramine
formulation
wall
compartment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716A (ko
Inventor
아이.스티븐스 샐리
지.하멜 로런스
이.바클래이 글렌
에스.-엘.웡 패트릭
Original Assignee
알자 코오퍼레이숀
에드워드 엘.맨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자 코오퍼레이숀, 에드워드 엘.맨델 filed Critical 알자 코오퍼레이숀
Publication of KR87000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4Osmotic delivery systems; Sustained release driven by osmosis, thermal energy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클로로페니라민 제형
제 1 도는 온혈동물의 위장관으로 클로로페니라민을 경구투여하기 위한 형태의 제형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제형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방도.
제 3 도는 수해자에게 클로로페니라민을 단시간에 즉석식으로 투여하기 위해 표면에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제형의 측면도.
제 4 도는 제형의 외측에서 즉석식으로 단시간에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고 그후에 제형의 내측으로부터는 장시간에 걸쳐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는 삼투식 투여장치로서 제조된 제 3 도의 제형의 개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형 21 : 몸체부재
22 : 벽 23, 24 : 출구수단
25 : 절단위치 26 : 내측격실
27 : 클로로페니라민 28 : 막
본 발명은 클로로페니라민(chlorpheniramine)제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별히는 본 발명은 장시간에 걸쳐서 치료학적 유효량으로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기 위한 제형(dosage form)에 관한 것이다.
클로로페니라민은 역가가 좋고 단기-작용의 항히스타민제이다. 클로로페니라민의 항히스타민성 약역학 작용은 실질적으로 체내에서의 히스타민 작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 클로로페니라민의 이러한 효과는 섭수체부위, 주로 히스타민이 제거되는 주효체(effector cells)속에 있는 H-1 섭수체부위를 점윤하므로써 성취된다. 항히스타민성 클로로페니라민은 이와 같이 H-1 섭수체 길향제이다.
클로로페니라민은 알레르기반응을 완화처리하기 위한 치료에 적용된다. 클로로페니라민은 천식의 면하, 계절적인 고초열 증상의 면하, 취세 및 취누, 우리카리아(uticaria)의 처치, 피부과민(skin irritations), 항문가려움증, 접촉피부염, 곤충교상등에 적용된다.
선행기술에서는 클로로페니라민을 경구투여 하였는데 그 이유는 클로로페니라민이 경구투여 후에 잘 흡수되기 때문이다. 경구투여하는 선갱기술의 재형의 통상적인 결함은 이런 제형으로서는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율의 조절이 안된다는 것이다. 이를 테면, 클로로페니라민은 선행기술의 제형에서는 착염의 소화되는 물질로 피복된 미소와 펠릿으로부터 걸러내어 사용 조건하에서 존재하는 유체의 용량에 비례하는 율로 배출된다. 이런형태의 배출에서는 제형으로 배출율 조절이 안된다.
상기 제시된 견지에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알수 있는 것은 제형으로 투여율을 조절하여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할 수 있는 신규의 제형에 대한 강한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클로로페니라민의 유익한 약효를 내도록 투여할 수 있는 제형의 필요성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당면한 목적은 선행기술에서 알려진 결함을 극복하면서 클로로페니라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하게 투여율을 조절하는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최소한 10시간동안 클로로페니라민을 서서히 계속적인 배출율로 투여할 수 있어서 클로로페니라민의 조제를 개량하고 발달시키는 신규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클로로페니라민을 실질적으로 치료의 유지율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투여하여 투여량의 단절이 본질적으로 없는 투여율로서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여 장시간에 걸쳐서 클로로페니라민의 치료를 최적의 수준으로 제공하기 위한 신규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현재 사용되는 제형의 최고와 최저의 투여방식 대신에 클로로페니라민을 보다 고루게 투여하도록 클로로페니라민을 편리하게 경구투여하는 식의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를 위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일의 경구투여제형을 투여하여 최소한 10시간 항히스타민 클로로페니라민 투약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것을 의도하여 설계된 치료효과를 얻는 항히스타민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기 위한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시간 동안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를 조절하면서 지속적으로 배출시켜 클로로페니라민의 짧은 작용시간을 실질적으로 극복하는 경구식 삼투식 투여장치로서 제조되는 신규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첫째로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외측적층으로부터 그리고 두번째는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격실로부터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여 수용자에 대한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의 역학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신규의 제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과 부수되는 청구범위와 함께 아래의 명세서로부터 본 클로로페니라민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척도는 나타내지 않고 다만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본 도면과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명세서의 앞부분, 도면의 설명 및 이들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도 별도의 개시에서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제형의 실시예의 형태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는 아닌 도면을 세밀히 참조하면 제 1 도에는 제형의 한실시예가 설명되어 있으며 이 제형을 부호(20)으로 표시한다. 제 1 도에서 제형(20)은 제 1 도에서 표시는 되지 않은 하나의 내측격실을 감싸고 형성하는 벽을 포함하는 몸체부재(21)를 포함한다. 더우기 제형(20)은 제형(20)의 내측과 사용시의 외측과 연결되는 최소한 하나의 출구수단(23)이나 하나이상의 출구수단(24)을 포함한다.
제 2 도는 제형(20)의 내측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25)에서 절단된 벽(22)을 가지는 개방부분을 나타내는 제 1 도의 제형(20)의 개방도이다. 제 2 도에서 제형(20)은 몸체부재(21), 내측격실(26)을 감싸고 한정하는 벽(22), 제형(20)의 외측과 격실(26)을 연결하기 위한 출구수단(23)과 출구수단(24)을 포함한다.
제형(20)의 벽(22)은 실제 사용목적의 생물학적환경에서 존재하는 외측유체는 투과성이 되고 클로로페니라민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조성물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한다. 제형(20)의 벽(22)은 실질적으로 비활성이고 제형(20)의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중에 그 물리적 및 화학적성질을 그대로 유지한다. 이 "물리적 및 화학적 보존을 유지한다"는 용어는 제형(20)의 투여수명중에 벽(22)이 그 구조를 상실치않고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벽(22)은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다. 벽-형성조성물은 전체의 100중량중에서 70 내지 85중량%의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중 하나의 바람직한 제품에서 벽(22)은 75중량%의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와 25중량%의 히드록시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벽(22)은 80중량%의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와 20중량%의 히드록시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의 아세틸 함량은 39.8% 내지 43.5%가 될수 있다. 작동시 사용되는 유체가 함유된 상태에서 벽(22)은 그속에 있는 히드록시 셀룰로오스의 유체가 수화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걸쳐 유체가 통과되는 투과성의 증가를 나타낸다. 제형(20)과 협동하여 작동하는 벽(22)의 이러한 독특한 성질로 인하여 제형이 최소한 12시간 또는 그 이상의 장시간에 걸쳐서 90 내지 95% 이상의 클로로페니라민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내측격실(26)은 점으로 표시된 유용한 약물인 클로로페니라민(27)을 포함하는 투약가능한 치료제 조성물과 절선으로 표시된 만니롤, 폴리(비닐피롤리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과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막(28)을 형성하는 다른 조성물을 감싼다. 이 약물 클로로페니라민(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말레인산염으로 존재한다.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은 37℃에서 용해도가 514mg/ml가 되며, 37℃에서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의 포화용액의 삼투압은 11.3기압이 된다. 생리학적 유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서의 이러한 낮은 삼투압과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의 이러한 성질은 삼투식 제형으로부터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즉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이 8시간이내에는 너무 급히 배출되고 그후에는 배출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이 성질로서는 삼투-조절식 투여에는 적합치 못하다. 본 발명은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 보조약으로서 소르비롤을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과 제제화하여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성질을 향상시키려고 시도하였다. 불행히도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과 소르비롤의 양자를 포함하는 제형이 적용불가능한 배출형태를 나타내었다. 소르비롤을 포함하는 제형은 6 내지 10시간 동안에 50% 이상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 약물을 배출하였다. 인조위액의 경우, 이 제형의 평균 배출율은 0.89mg/hr 그리고 인조장액의 경우에 이 제형의 평균 배출율은 동일한 기간에 2.53mg/hr이었다.
금번 본 발명에서 클로로페니라민의 투여 보조약으로서 구조적으로 유사한 만니롤을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의외로 발견하였다.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과 만니롤을 포함하는 제형은 16시간 이상의 장시간 동안에 클로로페니라민을 조절된 율로 배출하였으며 이와 동일한 시간에 인조위액의 경우에는 이 제형으로 1.0mg/hr의 평균 배출율을 나타내였고, 인조장액의 경우에는 이 제형으로 1.01mg/hr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의 평균 배출율을 나타내었다. 더우기 본 발명은 삼투식 제형의 클로로페니라민의 농도보다 1.5 내지 6배나 큰 만니롤의 농도를 유지하여 제형의 작동성과 효능의 두가지 모두를 증가시켰다.
삼투식 제형(20)의 격실(26)속에 존재하는 클로로페니라민의 양은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부분이 2 내지 24mg가 되고 그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은 35 내지 100mg의 만니롤, 0 내지 5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0 내지 5mg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 내지 5mg의 스테아린산 그리고 0 내지 20mg의 미세결정형의 셀룰로오스가 된다. 금번의 보다 바람직한 제품에서는 격실(26)은 46 내지 8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 40 내지 50mg의 만니롤, 1 내지 3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그리고 0.2 내지 2mg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포함하고 ; 금번의 또다른 바람직한 제품에서는 격실(26)은 10 내지 15mg의 클로로페니라민, 45 내지 75mg의 만니롤, 1 내지 4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0.3 내지 2mg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어느 하나에서는 격실(26)은 4.5 내지 9mg의 미세결정의 셀룰로오스나 그 유사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또다른 제형(20)을 설명한다. 제형(20)은 클로로페니라민의 즉석투여가 가능케 한다. 제 4 도의 제형(20)은 이것의 몸체(21)의 외측벽(22)의 최소한 일부분을 감싸는 외측 클로로페니라민 약품피복(29)을 포함한다. 외측 클로로페니라민의 약물피복(29)은 클로로페니라민을 배출가능하게 피복하기에 적합하고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제형(20)의 외측벽(22)에 비교된다. 외측피복에 있는 클로로페니라민의 양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5mg이고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의 양은 0.5 내지 10mg이다. 즉석식 클로로페니라민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피복은 사용여견의 생리학적유체에 클로로페니라민을 즉시에 30분의 클로로페니라민시간에 걸쳐서 배출시킨다.
제 4 도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또다른 제형(20)을 설명한다. 제형(20)은 외측피복(29)으로부터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고 내측격실(26)로부터 클로로페니라민을 배출한다. 제형(20)은 몸체(21), 벽(22), 격실(26), 클로로페니라민(27), 만니롤 및 조성물 막을 형성하는 부재(28),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외측피복(29) 그리고 출구수단(23)(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출구수단(exit means)"이라는 용어는 격실(26)로부터 최소한 하나의 출구수단(23)(24)을 통하여 클로로페니라민(27)을 배출하는데 적합한 수단과 방법을 포함한다. 이 용어에는 격실(26)과 통하기 위하여 벽(22)을 통하는 최소한 하나의 통로나 오리피스가 포함된다. 표현 "최소한 하나"에는 통로(passageway), 개구부, 도어(dore), 약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기소(porous element), 공동섬유(hollow fiber), 모세관(capillary), 튜브 및 그 유사품이 포함된다. 이 표현에는 사용목적의 생물학적 환경의 유체에서 벽(22)에서 마모되거나 걸러진 제형(20)속에서 최소한 하나의 통로를 만드는 물질이 포함된다. 최소한 하나의 출구통로나 다수의 통로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대표적인 물질은 벽속에 있는 마모성 폴리(글리콜의) 또는 폴리(유산)부재, 겔상의 필라멘트, 유체에서 제거되어 다공을 형성하는 염, 산화물, 다당류 또는 그 유사체와 같은 걸러지는 물질을 포함한다. 하나의 통로나 다수의 통로는 벽에서 소르비롤과 같은 물질을 걸러내어 배출량이 조절되는 다공성-통로를 제공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 통로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및 그 유사형태와 같은 어떤 모양일 수 있다. 제형은 이 제형의 하나이상의 표면과 관련하여 이격된 하나나 그 이상의 통로로서 구성된다. 통로를 형성하는 통로와 장치는 미국특허 제3,916,899호, 제4,063,064호 및 제4,088,864호에 개시되어 있다. 걸러져서 형성되어 크기가 조절된 다공성-통로는 미국특허 제4,200,098호에 개시되어 있다.
삼투식 제형 및 외측피복의 벽은 공기현탁 방법을 사용하는 하나의 기술로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은 벽의 조작이나 외측피복이 압착된 조성물에 도포될때까지 공기의 흐름하에서 미리 단위 덩어리로 압착한 클로로페니라민과 다른 격실형성부재, 그리고 벽을 형성시키거나 외측피복형성하는 조성물을 현탁시키고 가연마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공기 현탁방법은 벽이나 피복을 독립적으로 형성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 공기현탁 방법은 미국특허 제2,799,241호 ; J.Am.Pharm.Assoc., Vol. 48, pp. 451-459, 1959 ; 및 ibid, Vol. 49, pp. 82-84, 1960에 기술되어 있다. 삼투식 제형은 예로서 염화메틸렌-메탄올 공용매를 사용하는 Wurster
Figure kpo00001
공기현탁 피복기로서, 벽이나 또는 벽형성이나 피복형성 조성물로되는 맨 바깥의 피복으로 피복할 수 있다. 또한 Aeromatic
Figure kpo00002
공기현탁 피복기도 공용매를 쓰는데에 사용할 수 있다. 팬(pan)피복과 같은 다른 벽이나 피복도포기술도 제형을 만드는데 사용할 수 있다. 팬피복시스템에서는 벽이나 피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회전하는 팬에서 가연마하여 조성물의 연속적인 분무에 의해서 석출된다. 팬피복기는 두꺼운 벽이나 피복을 만드는데에 사용한다. 메탄올과 같은 용매를 다량으로 얇은 벽이나 피복을 만들때의 공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벽이나 피복된 격실을 50℃에서 1주일간 강제송풍으로 건조시켜 제형의 용매를 없앤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술로 형성되는 벽은 그 두께가 2 내지 20mil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mil이 된다. 외측피복 클로로페니라민 제형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15mil, 통상적으로는 0.5 내지 6mil이 된다.
벽이나 외측피복을 만드는데 적합한 대표적인 용매에는 벽, 피복이나 최종 시스템에 역효과를 내지 않는 비활성의 무기나 유기용매가 포함된다. 이런 용매에는 알코올,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 지방족, 탄화수소, 할로겐화한, 시클로지방족, 방향족, 헤테로고리게, 수용액 및 그 유사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부분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삼투식 제형은 표준제조 기술로서 제조한다. 예를들면 성분을 형성하는 격실을 제립유도체로서 유기용매나 공용매를 사용하는 습식제립법으로서 제제형으로 만든다. 한가지 제조의 경우 격실을 형성하는 성분은 40메쉬채를 개별적으로 통과한 다음에 혼합기에서 완전히 조합된다. 다음에 제립유체의 일부에 결합제를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제립기 용기를 연속적으로 혼합시키는 가운데 건조분말에 분무한다. 다음에 젖은 조합물을 20메쉬의 채에 통과시켜 오븐접시에 받아서 50℃로 18 내지 24시간동안 건조시킨다. 건조한 입자는 다시 20메쉬채로 선별한다. 다음에 윤활제를 80메쉬채로 걸른 다음에 이 제립기에 첨가한다. 다음에 이 입자를 분쇄 항아리에 넣고 15분간 분쇄항아리에서 혼합시킨다.
다음에 이 조합물을 형성하는 이 조성물을 Manesty
Figure kpo00003
정제 압착기를 써서 압축시킨다. 한가지 제조에서는 4-스테이션 압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압착기의 속도는 예로서 30rpm에 고정시키고 최대 부하는 1내지 2톤으로 한다. 제형은 표준 오목펀치, 표준 둥근펀치 또는 그 유사품을 사용하여 정제로 만든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은 다른 표준기술로도 제조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한가지 제조에서 격실을 포함하는 유익한 약물과 다른 성분을 혼합하고 고체 덩어리로 압착시킨다. 이 고체 덩어리는 이 덩어리가 제형속에 점유되는 면적이 되는 내측 크기에 상응하는 치수가 된다. 또한 약물과 다른 성분을 용매와 혼합시키고 볼밀, 광택기, 교반기 또는 롤밀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체나 반고체로 혼합시킨 다음에 사전에 결정한 형태로 압착한다. 그리고 압착된 형태는 외측벽과 가장 바깥의 피복으로 감싼다.
격실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또다른 제조방법은 유체상의 제립기에서 분말성분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립기에서 분말성분을 건조상태로 혼합시킨 후에 예로 물에 결합제를 녹인 것과 같은 제립유체를 분말에 분무한다. 이 방법으로 제립유체를 첨가하는 중에 존재하는 모든 성분을 제립한다. 그리고 피복된 입자를 제립기에서 건조시킨다. 입자를 건조시킨 후 이 제립기에 윤활제를 첨가한다. 그리고 입자를 상기한 방법으로 압착한다.
아래의 방법에 따라서 클로로페니라민을 투여하는 다수의 제형을 제조한다. 첫째로 12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과 51.3mg의 만니롤을 개별적으로 40메쉬채로 걸른 다음에 혼합기에서 약 15분간 혼합한다. 다음에 2.7mg의 Povidone
Figure kpo00004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증류수에 녹여서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이 성분을 약 15분간 혼합하여 완전히 혼합된 것을 보장하였다. 입자가 잦은 입자로된 것이 확실시 될때까지 폴리(비닐-피롤리돈)용액을 이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이 젖은 입자를 밤새껏 건조시키고 10메쉬채로 선별하였다. 이 건조입자를 미리 80메쉬채로 걸른 0.8mg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으로 혼합하고 성분전부를 5분간 혼합하여 균질의 조합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에 상기의 제조된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 조합물을 7/32인치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여 Manesty
Figure kpo00005
압착기에 넣고 이 조합물을 1톤의 압력으로 압착하였다. 이 압착된 성분의 무게는 67mg이었다.
그리고 압축된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으로 압축한 조성물을 벽으로 감쌌다. 벽은 43.6%의 아세틸 함량을 가지는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 75중량%, 80%의 염화메틸렌과 20%의 메탄올을 포함하는 공용매에 녹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25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되어서 3%의 고체를 포함하는 벽형성 조성물을 수득한다. 벽형성 조성물은 두 용매를 혼합하고 모든 고체가 공용매에 녹을 때까지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서서히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 압축된 조성물은 Aeromatic
Figure kpo00006
피복기에 넣고 약 3.4mil(0.08mm)두께의 반투과성 벽으로 감쌀때까지 40℃에서 피복하였으며 이 벽의 무게는 7.4mg이었다. 이 제형을 강제 송풍되는 오븐에서 50℃의 온도와 5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2일간 건조시키고 50℃의 강제송풍 오븐으로 5일간 이동시켰다. 이 건조제형의 두 먼곳의 표면에 구멍을 뚫어서 각 표면에 10mi1(0.256mm)의 통로를 만든다. 이 제형은 평균 배출율이 12 내지 14시간의 배출기간에서 약1mg/hr이었다.
또다른 제형을 본 실시예의 제형 맨 바깥 보호막으로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조건이 바로앞에 기술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보호막은 80중량%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과 20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였다. 이 보호막은 말레인사 클로로페니라민을 물에 녹인 다음에 모든 고체가 수용액에 녹을때까지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첨가하여 형성시켰다. 이 보호막을 Aeromatic
Figure kpo00007
H Hi-피복기에서 벽의 외측표면에 도포하였다. 피복된 제형을 오븐에서 50℃로 4일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보호막 조성물은 4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였다.
바로위에 기술한 형태와 방법에 따라서 아래의 제형을 추가로 제조하였다 ; (a) 12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 65.5mg의 만니롤, 1.6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0.8mg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9mg의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43.5%의 아세틸 함량을 가지는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 75중량%와 25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벽과 10mi1의 통로가 있는 팬(pan)을 가지는 제형 ; (b) 8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 43.7의 만니롤, 1.1mg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과 0.5mg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격실속에 포함하며 43.5%의 아세틸 함량을 가지는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 75중량%와 25중량%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격실을 감싸는 벽과 10mi1의 통로가 있는 팬, 그리고 2.0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외측층을 가지는 제형 ; (e) 4mg의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외측층을 제외하고는 (b)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제형 ; 그리고 (d) 4.5mg의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며 (b)나 (c)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제형.
요약하면 본 발명은 실제의 용도를 가지는 불분명한 제형의 투여기술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의 실제의 실시예를 첨조하면서 상세하게 기술하고 지적하였지만 여기서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요지범위내에서 각종 변화, 변경, 대체 및 삭제를 할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 청구범위내에서 이들과 동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8)

  1. 유용한 약물인 클로로페니라민(chlorpheniramine)을 사용목적의 생물학적 환경에 투여하기 위한 제형(dosage form)에 있어서, 이 제형이 (a) 아세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최소한 한부분으로서 포함하는 벽, 이 벽은 외측 유체의 통과에는 투과성이 있으나, 클로로페니라민에는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며 제형을 감싸서 제형을 형성하며 ; (b) 한 격실 ; (c) 격실에 클로로페니라민과 만니롤의 투여량을 포함하는 조성물, 이 조성물속의 만니롤의 양은 클로로페니라민의 양의 최소한 1.5 내지 6배이며 ; (d) 클로로페니라민을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목적의 생물학적환경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의 외측과 격실을 연결하는 벽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는 제형.
  2. 제 1 항에 있어서, 클로로페니라민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존재하는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3. 제 1 항에 있어서, 클로로페니라민이 말레인산 클로로페니라민으로서 존재하는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4. 제 1 항에 있어서, 아세틸 셀룰로오스가 트리아세트산 셀룰로오스인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5. 제 1 항에 있어서, 격실이 2 내지 24mg의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의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맨 바깥층을 포함하는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형이 1 내지 15mg의 클로로페니라민을 포함하는 맨 바깥층을 포함하는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목적이 되는 생물학적 환경이 위장관이고 제형이 전술한 생물학적 환경속으로 경구투여하게 되는 클로로페니라민 투여용 제형.
KR1019870002544A 1986-04-17 1987-03-20 클로로페니라민 제형 KR890004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310986A 1986-04-17 1986-04-17
US853.109 1986-04-17
US853109 1986-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716A KR870009716A (ko) 1987-11-30
KR890004683B1 true KR890004683B1 (ko) 1989-11-25

Family

ID=2531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544A KR890004683B1 (ko) 1986-04-17 1987-03-20 클로로페니라민 제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247709B1 (ko)
JP (1) JPH0784385B2 (ko)
KR (1) KR890004683B1 (ko)
AT (1) ATE59550T1 (ko)
AU (1) AU597952B2 (ko)
CA (1) CA1285484C (ko)
DE (1) DE3766885D1 (ko)
ES (1) ES2019634B3 (ko)
GR (1) GR3001277T3 (ko)
ZA (1) ZA8721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2059A (en) * 1988-08-30 1997-03-18 Pfizer Inc. Use of asymmetric membranes in delivery devices
EP0542926B1 (en) * 1990-08-07 1995-02-15 Pfizer Inc. Use of interfacially-polymerized membranes in delivery devices
US5178867A (en) * 1991-08-19 1993-01-12 Alza Corporation Dosage form for delivering drug in short-time period
US10016437B2 (en) 2009-06-16 2018-07-10 Infirst Healthcare Limited Drug combinations and uses in treating a coughing condition
US9308211B2 (en) 2009-06-16 2016-04-12 Infirst Healthcare Limited Drug combinations and uses in treating a coughing condition
GB0921803D0 (en) * 2009-12-14 2010-01-27 Biocopea Ltd Drug composition and its use in therapy
US9314465B2 (en) 2009-06-16 2016-04-19 Infirst Healthcare Limited Drug combinations and uses in treating a coughing condition
WO2015114152A1 (en) 2014-02-03 2015-08-06 Galenicum Health S.L.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itagliptin in the form of immediate release table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873783A (en) * 1982-10-08 1984-04-12 Verex Laboratories Inc. Constant release formulation
US4576604A (en) * 1983-03-04 1986-03-18 Alza Corporation Osmotic system with instant drug availability
GB2150830B (en) * 1983-12-05 1987-08-19 Alza Corp Drug dispenser
CA1266827A (en) * 1984-06-20 1990-03-20 Merck & Co., Inc. Controlled porosity osmotic pump
US4743248A (en) * 1986-08-11 1988-05-10 Alza Corporation Dosage form for delivering acid sensitive beneficial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3001277T3 (en) 1992-08-26
EP0247709B1 (en) 1991-01-02
KR870009716A (ko) 1987-11-30
JPH0784385B2 (ja) 1995-09-13
JPS62249924A (ja) 1987-10-30
CA1285484C (en) 1991-07-02
AU597952B2 (en) 1990-06-14
EP0247709A1 (en) 1987-12-02
ES2019634B3 (es) 1991-07-01
ATE59550T1 (de) 1991-01-15
AU7071487A (en) 1987-10-22
DE3766885D1 (en) 1991-02-07
ZA872128B (en) 1987-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3852A (en) Oral dosage and method for treating painful conditions of the oral cavity
JP2720932B2 (ja) 経口投与用アセトアミノフエン錠剤の製造法及びアセトアミノフエン二層錠剤
EP0279976B1 (en) Pseudoephedrine dosage form
US4415547A (en) Sustained-release pharmaceutical table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950010144B1 (ko) 펄스(pulse)식 약제 전달용 투약장치의 제조방법
US4851226A (en) Chewable medicament tablet containing means for taste masking
CA2417686C (en) Manufacture of oral dosage forms delivering both immediate release and sustained release drugs
US5472704A (en) Pharmaceutical controlled-release composition with bioadhesive properties
JP3718522B2 (ja) 薬剤遅延送達用剤形
JP3208568B2 (ja) 眼用の医薬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5777B2 (ja) 溶解度制御手段を有する投与用製剤
EP0281708B1 (en) A lamina composition and osmotic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900003385B1 (ko) 베라파밀 제형
JPH11505264A (ja) オキシブチニンを含んで成る剤形
US4857330A (en) Chlorpheniramine therapy
JP2789525B2 (ja) 調節放出性物品
EP0317274B1 (en) Chewable medicament tablet containing means for taste masking
KR890004683B1 (ko) 클로로페니라민 제형
KR960006062B1 (ko) 딜티아젬(diltiazem) 공급용의 제형(dosage form)
US20120003307A1 (en) Levetiracetam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
US5185158A (en) Dosage form comprising succinimide drug for treating depressive disorders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U5592694A (en) Drug delivery device
CA2152673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tandospirone or its analogs
JPH0530810B2 (ko)
JPH042088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