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517B1 - 가변형 용기 - Google Patents

가변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517B1
KR890004517B1 KR1019840005296A KR840005296A KR890004517B1 KR 890004517 B1 KR890004517 B1 KR 890004517B1 KR 1019840005296 A KR1019840005296 A KR 1019840005296A KR 840005296 A KR840005296 A KR 840005296A KR 890004517 B1 KR890004517 B1 KR 890004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laps
flap
variabl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234A (ko
Inventor
마이클 버스트 에이릭
주엘 안데르스
프레드릭 라스무센 오드
Original Assignee
노르스크 하이드로 에이.에스
핀 오르스타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르스크 하이드로 에이.에스, 핀 오르스타비크 filed Critical 노르스크 하이드로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85000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6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closures for top or bottom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6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7Peculiar, particul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oy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형 용기
제 1 도는 네모진 바닥과 4개의 바닥형성 플랩을 갖는 가변형 용기를 만들기 위한 플렛(flat)직조의 바탕재료를 나타내는 도면.
제 2 도는 6각형의 바닥과 6개의 바닥형성 플랩을 갖는 가변형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플랫직조의 바탕재료를 하반부만 나타내는 도면.
제 3 도는 장방형의 바닥을 갖는 가변형 용기의 플랫 직조의 바탕재료를 하반부만 나타내는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의 바탕재료로 구성된 완성용기의 도면.
제 5 도는 제 3 도의 바탕재료로 구성된 완성용기의 도면.
제 6 도는 유동성의 내용물을 적재하는 중의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제 7 도는 적재 내용물을 적재한 상태의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탕재료 2 : 접는선
3 : 수용개구 4 : 플랩
5 : 리프팅 루우프 6 : 측면 이음매
7 : 바닥 이음매.
본 발명은 시멘트와 같이 유동적인 적재형상을 갖는 물질들을 담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가변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를 플랫(flat)이나 혹은 라운드(round)직조의 바탕재료를 써서 구성하며, 용기의 바닥부는 최소한 4개의 플랩(flap)으로 구성되는데, 이 플랩이란 용기의 측면으로부터 직접 이어져 나온 똑같은 크기의 삼각형 조각들로써, 바탕재료 즉 용기의 실제 몸체를 구성하게 되는 재료를 서로 봉합하여, 이어 놓았을 대 바닥을 형성하게 되며, 아울러 최소한 한 개의 리프팅 루우프(lifting-loop)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형식의 용기는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것으로 몇몇 용도에 알맞은 것으로 입증된 것이었다. 이용기에서는 방수재료로 만들어진 내부 덧판을 추가 하기도 하며, 만약 상기의 용기에 형태가 일정치 않은 부정형 물질, 즉 분말 같은 것을담을 경우, 상기 용기와 내부 덧판은 항상 공기로 미리 부풀려지게 된다.
노르웨이 왕국의 특허 제138,134호(DE 2,759,155와 유사함)에 보면, 이중의 바닥을 갖고 두 개의 리프팅 루우프가 형성되어, 이 리프팅 루우프의 전체폭이 용기의 원주길이의 1/2에 해당하며, 용기 구성 재료의 세로방향 섬유질의 전부로 상기 리프팅 루우프를 구성하고 있는 용기에 대한 것을 볼수가 있다. 이러한 용기는 영국 특허 제1,505,583호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적제물을 담을 수 있으며, 적재시에는 보조 지지 장치없이도 용기가 베이스 위에 놓여져 적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용기에서의 리프팅 루우프는 갈고리나 또는 그와 유사한 장치에 위치시켜, 용기내를 공기로부터 부풀리고, 형태 부정형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의 용기는 적재가 끝난 다음 운반을 위해 용기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즉 내부 덧판을 폐쇄하고 리프팅 루우프를 한데 묶어서 적당한 루우프가 형성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리프팅 루우프를 한데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갈고리나 이와 유사한 리프팅 장치에 쉽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적재 물질을 담기 전에 상기 용기에 영구적인 리프팅 손잡이를 장치하는 수도 있다.
그러나, 적재 장소에서 적재를 하기전 용기를 미리 공기로 부풀리게 하는 것은 특히 먼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적재물의 경우, 적재물이 용기내로 쏟아져 들어감에 따라, 미리 들어가 있던 공기가 용기 밖으로 밀려 나오고, 이때 먼지가 발생하는 등의 불리한 점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즉, 밖으로 밀려 나오는 공기에는 적재물로부터 먼지를 흡수하여 포함하게 되며 따라서 적재 장치 주위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먼지는 포함하고 있는 적재물의 경우에는 적재 파이프에 먼지 제거기를 적용해야 했으며, 공기를 정확하기 위해 공기여과기를 적용시켜야 했었다.
그러나 그러한 먼지 제거 장치는 적재장치의 구조를 복잡하게하고, 장치의 효능을 감소시키는 해악한 결과를 유발하게 되었던 것이다. 먼지 제거 장치를 구비한 적재 장치는 특히 먼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물질을 적재해야 할 여러 곳에서 제대로 적용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러한 용기의 불가피한 한계점을 드러내고 말았던 것이다.
그러나, 바닥의 중앙에 매듭 묶음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는 유동적이고, 먼지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 적재물을 적재할 때 용기를 적재 작업에 앞서, 갈고리에 매어 달면 공기를 사용한 사전 팽창이 필요 없다는 사실이 알려지게 되었다.
매듭 묶음을 갖고 있는 용기의 바닥 중앙부는 적재물에 적재할때, 초기 적재시 적재물이 용기의 바닥 장앙부로 담겨지도록 자동적으로 조절되며, 적재가 점차로 진행됨에 따라 용기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균형되게 적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만약 우리가 상기에 설명했던 노르웨이 왕국의 특허에 기재되어 있는 용기를 위에서 밝힌 방법에 따라 적용할 경우, 즉 사전에 공기로 미리 부풀리지 않고 적재를 진행할 경우는, 가끔 별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적재에 성공하는 경우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적재중에 용기가 한쪽으로 솔려 용기가 균형을 잃는 일이 다반사로 발생하였었다. 더구나 또 다른 문제도 일어났는데, 이는 특히 유동적인 물질을 적개하는 경우에 있어 내부 덧판이 바닥 플랩들 사이에서 밀려져 이중 바닥속으로 밀려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리프팅 루우프를 갖는 용기에 있어서의 몇가지 좋은 이점에 의해서 지금까지 우리들은 그러한 용기의 생산에 계속적인 박차를 가해 왔었다. 그러나 적재물을 적재하기전에 적재 장소에서 공기로부터 부풀리지 않아도 되도록 용기의 형상을 구성했었다. 비록 용기의 바닥부에 매듭 묶음을 구비하는 용기가 유동적이고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물질을 용기에 미리 공기로 부풀리지 않고도 적재하는데, 적합하기는 하였으나 역시 여기에서몇가지 확실한 문제점들이 수반되었다.
즉, 대개 칼이나 그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용기의 바닥을 절개함으로써 용기의 적재물을 쏟아낼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즉, 1)매듭 묶음 전부가 적재물과 함께 떨어지게 된다.
2)비교적 많은 양의 용기 섬유질이 적재물의 방출과 동시에 떨어지게 되며, 이것은 곧 적재물을 오염시키는 결과가 된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바닥의 중앙부에 용기 재료가 쏠리기 때문이다.
3)만약 절개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매듭 묶음 외곽에 일종의 주머니들이 생겨 여기에 남는 적재물의 여분은 나중에 손으로 긁어내야 하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재장소에서 적재를 하기 전, 사전에 공기로 용기를 부풀릴 필요없이 용기를 리프팅 루우프를 이용하여 한쪽으로 한쪽으로 쏠림없이 균형있게 담을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바닥을 절개하여 개방했을 때, 내용물과 함께 용기 재료의 섬유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용기의 적재물과 쉽게 그리고 완전히 쏟아 낼 수 있도록 하여 잔여물을 손으로 긁어내어야 하는 필요를 없앤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설명되었던 노르웨이 왕국의 특허에서 기재된형식의 용기가 세밀한 조사 결과, 상기 용기에서 가장 커다란 결점중 하나였던 내용물이 균등히 담겨지지 않는다는 사실, 특히, 처음 적재 과정에서 내용물이 균형 있게 담겨지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내용물의 적재시 초기 단계에서 균등한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자들은 용기의 형태에 있어 수정을 꽤하였으며, 결국 용기의 바닥을 변형 함으로써 노력의 결과를 달성하였다. 즉, 만약 용기의 바닥이 깔때기 모양으로 구성될 경우, 내용물의 적재는 처음부터 자동적으로 용기의 중앙으로 모일 것이며 따라서 내용물의 적재가 균형있게 이루어 질수 있음을 밝혀 내었다. 그러나 상기에서 밝힌 바처럼 용기 바닥부의 매듭 묶음이 여러가지 해로운 결과의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의 제거가 요구 되었다.
발명자들은 용기의 바닥을 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초기 적재시에, 내용물을 균형있게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적재가 진행함에 따라 용기가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할 수 있었다. 동시에, 용기에서 내용물을 쏟아낼 때, 용기의 바닥이 정확히 깔대기 모양으로 됨으로써, 여분의 내용물이 남아 있지 않고, 모두 쏟아 지게 하여 손으로 긁어내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거 형성된 용기 바닥의 구성은 용기 재료가 바닥의 한 중앙으로 쏠리지 않게 하여 용기의 재료 섬유질이 내용물의 쏟아짐과 동시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약간의 섬유질이 떨어지는 것을 불가피한 것으로 이는 어쩔 수 없는 것으로 받아 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설명된 바 있는, 노르웨이 왕국의 특허 제138,134호로부터 개발을 거듭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공지된 용기의 바닥이 이중으로되어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닥의 구성이 이중이 아님으로해서 종래의 용기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바탕재료 즉, 용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하단을 용기의 측면과 어느 일정각을 갖도록 절단하여 최소한 4개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플랩을 형성하고, 이 플랩들을 봉합선이 서로 교차하고 바닥의 중심부에서 만날수 있도록 봉합 하였을 경우, 종전 형태의 이중 바닥에 비해 강도가 오히려 높아지거나 혹은 최소한 동일한 정도의 강도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바닥부 총 면적은 납작한 형상의 바닥부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면적보다 클 것이고, 적재 내용물이나 혹은 공기에 의해 용기가 팽창되었을 때 상기 용기의 바닥은 원추형의 형상을 갖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용기에 바닥을 형성하는 플랩들의 정각의 총합은 360°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중 가장 적당한 형태의 실시예는 네모진 형상의 바닥을 갖는 용기이다. 이는 α=β<90°의 정각을 갖는 동일한 크기의 4개의 플랩을 구성하도록 용기 재료의 하반부를 절단선을 따라 잘라냄으로써 바닥부의 플랩을 형성하게 된다.
용기 바닥부는 4각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는 플랩의 정각이 α≠β와(2α+2β)<360°의 치수를 갖는 플랩으로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용기 형상 이외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히 청구 범위에 기재하는 사항에 따른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설명을 한다.
즉, 제 1 도 에서는 접혀지지 않는 상태의 바탕재료(1)를 보여 주는 것으로, 이 바탕재료(1)는 접는선(2)을 기준으로 반으로 접혀 용기의 몸체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바탕재료(1)에는 적재개구(3)를 마련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플랩들을 절단선[(a, b),(c, d),(a', b')그리고 (c', d')]을 따라 형성시킨다. 이 각 절단선들은 정각 α를 갖도록 플랩을 형성시키며, 모든 플랩의 크기는 동일하고 이것은 용기의 바닥부를 형성하면서 네모진 형태로 모여진다.
제 2 도는 바탕재료(1)의 절반만을 도시하는 것으로 적재개구(3)와 측변(6), 그리고 리프팅 루우프를 만들기 위한 개구(5)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3개의 똑같은 크기를 갖고 정각 α를 갖는 플랩(4)을 형성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바탕재료(1)를 서로 봉합시킴으로써 동일한 α각과, 6개의 바닥 이음매(7)를 갖는 육각형의 바닥부를 형성할 수가 있고, 이 이음매중에서 두개씩 연결하여 3개의 바닥 이음매를 대각선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대각선(바닥)이음매중에서 하나는 용기의 측변에서부터 바로 이어져 내려온 확장부가 됨을 알 수 있다.
제 3 도는 사각형의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한 바탕재료(1)의 반쪽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α≠β이며 중앙의 플랩(4)은 반쪽의 외곽 플랩(4)두개로 형성하는 바닥플랩보다 길이는 짧고 폭은 더 넓다. 따라서 제 5 도에 보이는 바처럼 플랩(4)들을 서로 봉합시키게 되면 4각형의 바닥부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반쪽, 형상을 갖는 두 개의 외곽플랩(4)은 측변(6)의 하반부로부터 봉합된다. 또한 외곽 플랩을 봉합하는 바닥 이음매는 역시 측변(6)의 확장부가 될 것이다. 여기서 절단선(b)와(a)는 각각 측변(6)에 대해 a/2의 각을 형성하는데, 만약 α=β<90°일 경우, 우리는 총6개의 바닥 이음매를 갖느 4각형의 바닥을 얻게될 것이며, 이들 이음매중 두 개는 외곽 플랩(4)을 봉합하는 측면 이음매의 확장부이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바탕재료(1)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으로 네모진 바닥을 갖고 접는선(2)을 중심으로 접혀서 구성되며 측면 이음매(6)와 바닥이음매(7)를 통해서 봉합된 용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도면에서 잘 도시되어 있듯 바닥 이음매(7) 중2개는 측면 이음매(6)의 연속 확장부이고, 만약 바탕재료(1)의 플랩들이 서로 두 개씩 구성되어 있다면, 결국 용기의 바닥 이음매(6)의 연속 확장부이고, 만약 바탕재료(1)의 플랩들이 서로 두 개씩 구성되어 있다면, 결국 용기의 바닥 이음매(7) 4개중에서 두개는 측면 이음매의 확장부가될 것이다.
제 6 도는 유동성 물질, 예를 들어 시멘트 같은 것을 용기에 채우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용기는 리프팅루우프를 이용해 갈고리에 매달려 있게되며, 용기의 바닥 원추형태를 이루고 적재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적재물, 즉 유동성 물질은 용기속에 균형있게 담아지게 된다.
제 7 도는 유동성 물질로 채워져 창고에 저장되거나 혹은 운반시킬 준비가 완료된 용기의 단면도로서 그 바닥이 평평하지 않고 약간 원추형 깔대기 모양을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기서 4개의 플랩을 형성하고, 봉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용기의 바닥부의 정각(α)은 약 80°정도가 된다.
또한 바탕재료의 형성은 6개 이상의 플랩들, 예를 들어 8개나 혹은 그 이상의 바닥 플랩으로 만들어 구성할 수도 있다.
만약 바탕재료(7)가 라운드(round)직조천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우리는 측면 이음매와 봉합되지 않은 리프팅루우프를 갖는 용기나, 혹은 측면 이음매가 없는 대신 봉합된 리프팅 루우프를 갖는 용기를 얻을 수가 있다.
절단선과 이에 따른 용기의 바닥 이음매는 직선 형상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절단선이 직선이나 고선으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각(α)와(β)를 각각 구성하는 파형의 이음부를 통하는 가상의 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새로운 바닥부는 예를 들어 봉합된 리프팅 루우프를 갖는 용기나 혹은 용기의 원주의 반보다 작은 전체 폭을 갖는 리프팅 루우프를 포함하는 가변형 용기의 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특별 실시예에서 바닥 이음매(7)는 봉합이 중단되어 바닥의 한 중앙부에서 이음매가 없는 작은 구역이 생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차치하고 용기의 바닥의 형태는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방출시킬 경우 확실한 이점을 지니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봉합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용기들과 노르웨이 특허 제138,134호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실시용기에 대해 비교인장 테스트를 실시한다.
시험 대상용기는 우선950kg중량의 유동물질을 담은채 시렁의 갈고리에 매달린다. 이때 적재된 유동물질의 상부에는 원형의 강철 판이 강철봉에 의해 위치된다.
여기서 강철봉은 용기의 바닥과 용기속의 내용물을 관통해서, 상기 원형의 강철판과 베이스를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본장치에 적용된 갈고리는 수력 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 시킬수 있으며 상기 갈고리와 수력 실린더 사이에는 각 용기들이 감당하는 인장력을 기록하도록 중량계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인장의 진행은 기록계를 통해 기록되며, 용기가 파열되는 최고 하중은 계수기에 나타나게 된다.
용기는 처음, 파열 하중의 2/5에 이를때까지 3번 늘려진다.
그리고 나서, 용기가 파열될 때까지 계속해서 늘려지게 된다. 파열하중과 파열 부위(바닥 혹은 꼭대기)는 첨주하는 도표에 설명하였다. 또한 노르웨이 왕국의 특허 제138,134호에 따른 용기에 인장력이 주어진다. 도표에서 1.3, 1.4, 3.3, 3.4, 3.5, 그리고 3.6으로 표시되는 용기는 본 발명에 의한 용기가 아니며, 이들 각 용기는 α=β 90°이다.
피실험 용기 3.11, 3.12는 6개의 바닥 이음매와 α=β=80°의 정각을 갖고, 제 3 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형식으로 절단된 바닥 플랩을 갖는 용기로써, 반쪽의 형상을 갖고 있는 두개의 플랩을 서로 봉합시킴으로써 똑같은 크기를 갖는 4개의 바닥 플랩을 얻게 된다.
용기 번호 1.1 내지 1.6의 피실험용기는 직조 폴리프로필렌 천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제원은 폭 160×길이 212cm이고 정미 체적은 약 0.8㎥이다.
용기번호 1.1그리고 1.2는 노르웨이 왕국 특허 제138,134호에 의해 제조된 표준 용기이다.
용기 번호 1.3 내지 1.6은 똑같은 형식의 용기이나, 바닥의 구성을 각각 변형시킨 것으로, 즉 대각선의 바닥 이음매를 갖는 단층 바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번호 3.1 내지 3.12는 모두 본 출원인의 실험소에서 제작된 것으로 용기 번호 1.1 내지 1.6의 재료와는 또 다른 직조 폴리프로필렌 천으로 만든 것이다. 그러나 채료이외의 모든 재원은 용기 번호 1.1 내지 1.6의 용기와 동일하다.
모든 피실험 용기는 4개의 바닥 플랩을 갖는 바닥으로 구성된다. 각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은 첨부하는 제 1 도표에 기재하였다.
제 1 도
Figure kpo00001
실험의 결과는 새로운 바닥 구조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에 있어, 종전까지 알려졌던 노르웨이 왕국의 특허 제138,134호에 의한 용기보다 더큰 하중에 견딜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4개의 바닥 이음매를 갖는 용기를 4개의 똑같은 크기를 갖는 바닥플랩을 선택함으로써 적어도 동등한 하중에 견딜수 있으며, 나아가 8% 내지 16%의 하중신장을 견뎌낼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때, 4개의 바닥 플랩중에서 두개는 반쪽형상을 하고 있는 플랩을 서로 봉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더구나 앞의 결과에서 용기를 형성할때 각 바닥 플랩들의 정각의 합을 360°이내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바닥 구성에서 최대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각α=90°를 갖고 바닥 플랩을 갖는 비교용기와 본 발명에 따른 정각α=85°내지 80°의 용기를 서로 비교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용기가 정각 α=90°의 용기에 비해 18 내지 25%의 신장 하중에도 견뎌낼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더구나, 정각의 한계를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 정확한 상향한계치는 없음을 알수 있다.
정각의 합이 240 내지 280°에 있을때, 실제 사용에 가능한 최저 하한선으로잡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상한선에 대해 알아보면 정각의 총합이 360° 이내로 책정되었을 경우 즉각적으로 명확한 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용기내에 적재장소에서 공기로 용기를 미리 부풀리지 않고 시멘트와 같은 유동적 물질을 적재할 경우, 처음적재가 시작될 때 용기의 바닥 형태는 깔대기 형을 하고 점차로 적재가 진행됨에 다라 유동성 물질이 용기의 중앙으로 집중되고 따라서 용기에 적재가 끝나 용기를 제 6 도에서 보이는바처럼 갈고리로부터 분리하여 놓았을때 용기가 한쪽으로 치우쳐 적재되는 일이 없다.
또한 유동성 물질인 시멘트와 같은것을 적재할 때 생겨나는 먼지의 발생은 매우 작아서 적재 파이프에 먼저 제거기를 별도로 장착할 필요성이 없을 것이다.
시멘트로 채워진 용기에서 내용물을 방출할 때,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별도의 수동작업, 즉 여분의 내용물을 손으로 긁어 내어야 하는 작업이 필요없을 정도로 용기는 완전히 비워지며, 아울러 용기로부터의 섬유질의 이탈은 매우 작아 내용물을 오염시킬 염려가 별로 없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용기는 본 출원인의 기 출원건이었던 노르웨이왕국 특허 제138,134호에 의한 용기에 비해 그 강도가 최소한 동등하거나 혹은 그 이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그 제작이 간편하고 상기 특허 제138,134호에 의한 용기보다 이음매가 약간 길기는 하지만 (15%)바닥의 구성에 있어 더많은 재료의 사용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는 종래 형태의 것에 비해 더 많은 하중에 견딜수 있음으로 재료의 중량을 줄여 제작할 수 있고, 따라서 재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 그 절감폭은 이음매가 증가한데 대한 추가비용을 보상하고도 남음이 있을 정도이다.

Claims (7)

  1. 최소한 한 개의 리프팅 루우프와 측벽, 그리고 바닥으로 이루어지고, 플랫직조나 혹은 라운드직조의 바탕재료(1)로 만들어지며 상기 바닥은 측벽의 확장부이고, 동일한 크기를 갖는 최소 4개 이상의 바닥플랩(4)으로써 형성하여 유동적인 부피를 갖는 물질을 수용하고 운반하며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가변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랩(4)은 바탕재료(1)를 절단선(a, b),(c, d),(a', b'),(c', d')을 따라 형성하고, 바닥의 중앙부에서 절단성(a, b),(c, d),(a', b'),(c', d')에 대해 형성되는 플랩의 정각 α와β의 합이 360°이하로하여 상기 플랩들을 서로 봉합하여 바닥을 형성하고, 용기가 공기나 내용물로 부풀러졌을 경우 플랩(4)의 이음매(7)에 의한 바닥의 형태가 원뿔형이나 깔때기형이 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이 절단선 (a, b),(c, d),(a', b'),(c', d')을 따라 정각 α=β가 되도록 절단된 4개의 동일한 플랩(4)으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바닥의 형태가 네모진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바닥을 동일한 크기를 갖는 6개의 플랩으로 형성하고 이 플랩들의 정각이α=β가 되도록하여 용기의 바닥이 6각형의 형태를 구성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을 정각 α≠β인 플랩들로 구성하여 바닥의 형태가 장방형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는 가변형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의 이음매(7)를 바닥의 중앙부 근처 어느 부분에서 중단시켜, 용기의 바닥 중앙부 근처에 이음매가 없는 작은 구역을 두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
  6. 제 1 항 내지 제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을 각각의 바닥 플랩(4)들을 봉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각 플랩들의 정각α와 β의 총합이 240°보다는 크거나 같고, 360°보다는 작은 범위내에 놓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을 각각의 바닥 플랩들을 봉합시킴으로써 형성하고, 각 플랩들의 정각α와 β의 총합이 240°보다는 크거나 같고 360°보다는 작은 범위내에 놓여지도록 구성한 것을 트징으로하는 가변형 용기.
KR1019840005296A 1983-09-01 1984-08-29 가변형 용기 KR890004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833,138 1983-09-01
NO833138 1983-09-01
NO833138A NO152870C (no) 1983-09-01 1983-09-01 Storsekk med traktformet bun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234A KR850002234A (ko) 1985-05-10
KR890004517B1 true KR890004517B1 (ko) 1989-11-10

Family

ID=1988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296A KR890004517B1 (ko) 1983-09-01 1984-08-29 가변형 용기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4584705A (ko)
EP (1) EP0134575B1 (ko)
JP (1) JPS6068285A (ko)
KR (1) KR890004517B1 (ko)
AT (1) ATE33011T1 (ko)
AU (1) AU571888B2 (ko)
BR (1) BR8404345A (ko)
CA (1) CA1210711A (ko)
CS (1) CS274408B2 (ko)
DE (1) DE3469880D1 (ko)
DK (1) DK152711C (ko)
ES (1) ES289577Y (ko)
FI (1) FI70864C (ko)
GR (1) GR80224B (ko)
HU (1) HU191718B (ko)
IE (1) IE57041B1 (ko)
IN (1) IN161266B (ko)
MA (1) MA20219A1 (ko)
MX (1) MX161584A (ko)
MY (1) MY100320A (ko)
NO (1) NO152870C (ko)
PL (1) PL249404A1 (ko)
PT (1) PT79139B (ko)
RO (1) RO90574A (ko)
SU (1) SU1724010A3 (ko)
TR (1) TR22022A (ko)
UA (1) UA7089A1 (ko)
ZA (1) ZA8462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1701A5 (de) * 1983-11-09 1987-08-14 Imag Verlags Ag Container aus einem schlauchgewebe.
ES296232Y (es) * 1984-12-21 1988-04-16 Norsk Hydro A.S. Un recipiente flexible para el transporte y almacenamiento de material a granel
GB8520725D0 (en) * 1985-08-19 1985-09-25 Nattrass Hickey & Sons Ltd Flexible bulk containers
NO161111C (no) * 1987-04-24 1989-07-05 Norsk Hydro As Storsekk med i det minste to integrerte loeftestropper.
US4790029A (en) * 1987-06-05 1988-12-06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Collapsible bag with square ends formed by triangular portions
US5236531A (en) * 1988-05-17 1993-08-17 Altech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quare bottom containers
NO165720C (no) * 1988-12-21 1991-04-03 Norsk Hydro As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storsekk.
NO166358C (no) * 1989-02-28 1991-07-10 Norsk Hydro As Storsekk med forbedret bunn og topp.
US5047001A (en) * 1989-07-28 1991-09-10 Willis James E Method for constructing a reversible duffle bag
US5702340A (en) * 1993-12-02 1997-12-30 Super Sack Mfg. Corp. Method of manufacture of a glued bottom bulk container
JPH07315481A (ja) * 1994-05-30 1995-12-05 Nippon Matai Co Ltd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ーバッグ
US5758973A (en) * 1996-11-19 1998-06-02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Bulk bag with reinforced lift straps
US6347886B1 (en) * 1999-10-18 2002-02-19 Charter Medical, Ltd. Disposable contoured tank liner and method of production
FR2831145B1 (fr) 2001-10-19 2004-08-27 Filtisac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conteneur souple destine a recevoir des produits en vrac, et conteneur ainsi obtenu
US20040017953A1 (en) * 2002-03-19 2004-01-29 Bell Thomas G. Methods and apparatus for storing items in selectively shaped bags
FR2865117B1 (fr) * 2004-01-15 2006-04-14 De Boisse Genevieve Mortemard Sac en tissu extensible pour le transport a pied de charges de poids modeste
AU2011256126A1 (en) * 2010-05-18 2012-12-06 Patricia Ann Farruggio Tin liner
ES2600166B1 (es) * 2015-07-24 2017-11-17 Pfm Ibérica Packaging Machinery, S.A. Un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contenedores flexibles que comprenden una base inferior de configuración esencialmente rectangula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78276A (en) * 1927-05-02 1927-10-06 Wilhelm Ernst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bags for containing cement, lime or the like
US3119548A (en) * 1961-06-08 1964-01-28 Dale Products Plastics Ltd Plastic bags
DE1456618A1 (de) * 1966-03-24 1969-12-04 Walter Krause Silo zur Aufnahme von schuettfaehigem Gut
GB1475019A (en) * 1975-04-24 1977-06-01 Norsk Hydro As Sack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bulk goods and method for filling and closing said sack
US4269247A (en) * 1976-02-18 1981-05-26 Norsk Hydro A.S. Large size sack and methods for the formation thereof
NO138134C (no) * 1976-06-28 1978-07-12 Norsk Hydro As Fleksibel beholder for transport og lagring av massegods, samt fremgangsmaate for dens fremstilling
NO143399C (no) * 1978-06-01 1981-02-04 Norsk Hydro As Forsterket fleksibel beholder.
DE2927939A1 (de) * 1979-07-11 1981-01-29 Adolf Lesk Konischer teil bei haengesilos aus biegeschlaffem werkstoff
FI57382C (fi) * 1979-09-28 1980-08-11 Rosenlew Ab Oy W Flexibel behaollare foer transport och lagring av massagods
FI57381C (fi) * 1979-09-28 1980-08-11 Rosenlew Ab Oy W Flexibel behaollare foer transport och lagring av massagods
US4312392A (en) * 1980-03-19 1982-01-26 Toyama Industry Co., Ltd. Bag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5738158A (en) * 1980-08-21 1982-03-02 Ricoh Co Ltd Nozzle plate and manufacture thereof
US4521911A (en) * 1984-01-06 1985-06-04 St. Regis Corporation Bulk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404345A (pt) 1985-07-30
ZA846248B (en) 1985-03-27
DK417884A (da) 1985-03-02
PT79139B (en) 1986-06-03
HUT39395A (en) 1986-09-29
MA20219A1 (fr) 1985-04-01
FI70864B (fi) 1986-07-18
PL249404A1 (en) 1985-05-07
EP0134575A1 (en) 1985-03-20
ES289577U (es) 1986-04-01
CA1210711A (en) 1986-09-02
RO90574A (ro) 1986-12-10
NO152870C (no) 1985-12-04
ES289577Y (es) 1986-11-16
DK152711B (da) 1988-04-25
US4584705A (en) 1986-04-22
DK417884D0 (da) 1984-08-31
JPH0451434B2 (ko) 1992-08-19
MX161584A (es) 1990-11-13
DE3469880D1 (en) 1988-04-21
GR80224B (en) 1985-01-02
IE842006L (en) 1985-03-01
EP0134575B1 (en) 1988-03-16
HU191718B (en) 1987-03-30
KR850002234A (ko) 1985-05-10
NO833138L (no) 1985-03-04
IN161266B (ko) 1987-10-31
FI843207A0 (fi) 1984-08-14
AU3230384A (en) 1986-03-06
PT79139A (en) 1984-09-01
FI843207A (fi) 1985-03-02
CS639284A2 (en) 1990-09-12
IE57041B1 (en) 1992-03-25
JPS6068285A (ja) 1985-04-18
CS274408B2 (en) 1991-04-11
NO152870B (no) 1985-08-26
ATE33011T1 (de) 1988-04-15
DK152711C (da) 1988-10-24
MY100320A (en) 1990-08-11
UA7089A1 (uk) 1995-06-30
AU571888B2 (en) 1988-04-28
FI70864C (fi) 1986-10-27
TR22022A (tr) 1986-01-13
SU1724010A3 (ru) 199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517B1 (ko) 가변형 용기
US4817824A (en) Collapsible bulk container
US4596040A (en) Large bulk bag
US4211266A (en) Flexible container with discharge tube
FI61006C (fi) Flexibel behaollare foer transport och lagring av massagods
US3018880A (en) Stabilized concrete mix and method of use thereof
US4269247A (en) Large size sack and methods for the formation thereof
CA2005867A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means for partly or complete discharge
EP0041586B1 (en) Flexible container for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bulk material
JP6978444B2 (ja) 袋状または大袋状の包装
EP0300539A1 (en) Double-walled bag of high loading capacity
AU583577B2 (en) Flexible container with separate lifting area
EP0111852A2 (en) Flexible container for transport and storage of bulk material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JP2009143583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の再生方法
KR820000209B1 (ko) 하물 운송, 저장용 가요성 콘테이너
NO161305B (no) Storsekk med lukkeanordning.
CA1112612A (en) Sack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bulk goods
GB2313354A (en) A bag with a closure operable from the side
JPS62259983A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の充填出荷方法
GB2189460A (en) Sack
GB2168949A (en) Flexible bulk container
ZA200604690B (en) A flexible container with improved bottom and top
JPH09193943A (ja) 容 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