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174Y1 -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174Y1
KR890004174Y1 KR2019870003200U KR870003200U KR890004174Y1 KR 890004174 Y1 KR890004174 Y1 KR 890004174Y1 KR 2019870003200 U KR2019870003200 U KR 2019870003200U KR 870003200 U KR870003200 U KR 870003200U KR 890004174 Y1 KR890004174 Y1 KR 890004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royal
opening
braking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7964U (ko
Inventor
고재삼
Original Assignee
고재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삼 filed Critical 고재삼
Priority to KR2019870003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174Y1/ko
Publication of KR880017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7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5Drive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위사삽입간 진입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로서,
제2도는 왕골위사 괘지장치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위 괘지장지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는 가이드 관체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제4도와 제5도는 위 괘지장치의 개폐턱을 개구작동시키는 전, 후방제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제6(a)도와 제6(b)도는 본 고안의 왕골위사 괘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6(a)도는 왕골위사를 괘지하는 상태이며, 제6(b)도는 왕골위사를 해지하는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공급로울러 2 : 왕골자리 이송 로울러
3, 3' :직기의 일측벽과 타측벽 4 : 왕골위사 공급부
5 : 연장 지주 6 : 안내레일
7 : 위사십입간 8 : 캠
9 : 작동간 10 : 위사 괘지장치
11 : 개폐턱 12 : 돌부
13 : 개구간 14 :핀축
15 : 수평가이드봉
16 및 16', 16" : 가이드관체 및 나팔형 안내면과 구형공
18, 18' : 전방제동판과 제동봉
19, 19' 및 20, 20' : 제동봉과 쌍으로 연결된 나봉 및 후방제동판과 장공
본 고안은 왕골자리직기에 있어서 왕골위사를 괘, 해지하여 경사 사이로 삽입시키는 왕골위사 삽입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위사 삽입간 전단에 위사 괘지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삽설하는 구성으로 왕골직기에서 가장 많이 고장을 일으키는 위사괘지 장치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위사괘지 장치의 본체 내부에는 개폐턱과 개구간을 동일 핀축상에 유설하고 선단의 수평 가이드봉을 위사 괘지장치가 직기의 왕골위사 공급부측에 도달하였을시 공급부측에 설치된 가이드관체에 삽입 안내되게 하여 위사 삽입간과 위사 괘지장치가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하므로써 공급되는 왕골위사를 보다 정확하게 괘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왕골자리가 비직되는 일이 없게 하였으므로 양질의 제품생산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위사 괘지장치의 본체에 개폐턱을 개구 작동시키는 개구간을 개페턱의 핀축상에 설치하여 개폐턱을 직접적으로 개구 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본체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었을떠 개구작동의 지연현상 없이 정확히 개폐시킬수 있어 왕골위사를 정확위치에 삽입시킬 수 있어 왕골자리를 균일하게 직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왕골자리 직기로서는 실용신안 공보 제641호(공번 83-2961)에 소개된 것이 있는데, 이는 위사 십입간 선단에는 상악하측에 하악을 유설하여 스프링으로 탄지시키고 후단에는 하악을 개구시키는 상, 하 호동편을 유설하되, 하호동편과 하악을 철사줄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위사 삽입간은 그 선단 자체에 상악을 구성하고 하악을 핀으로 유설하여 일체화 상태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하악이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위사삽입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하악과 하호동편을 연결하는 철사줄의 길이를 정확히 맞추어 연결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철사줄이 팽팽하게 설치되지 못하고 반드시 약간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개폐악의 개구작동이 지연되는 결점이 발생되어 왕골위사를 정확한 위치에 삽입시키지 못하게 되는 현상에 의해 왕골위사의 삽입위치가 균일하지 못한 제품이 생산되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왕골자리직기의 위사 삽입간의 재질은 경량재질을 사용해야만 왕복작동에 원활성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서 종래와 같이 위사 삽입간이 경사 사이로 진입하였을 때 직기 전단의 왕골위사 공급측에서 위사 삽입간의 선단을 붙잡아 주지 않을 경우에는 직기의 기계적 작동에 의한 진동등에 의해 위사 삽입간의 선단이 흔들리는 현상과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이 반드시 나타나게 되어 왕골위사의 괘지작동에 정확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위사 삽입간에 위사 괘지장치를 착탈가능하게 삽설하여 위사괘지 장치가 파손 또는 마모에 의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사 괘지 장치만 교체하는 작업으로 위사 삽입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위사 괘지장치의 본체 내부에 동일핀축상에 개폐악과 개구간을 유설함과 동시 선단에는 왕골위사 공급 부측의 가이드 관체에 삽입되어 위사 삽입간을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수평 가이드봉을 부착하여 왕골위사를 정확한 위치에서 괘, 해지할 수 있도록 하여 왕골위사가 균일하게 삽입, 직조된 양질의 왕골자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에는 경사 공급로울러(1)를 상측에는 왕골자리 이송로울러(2)를 설치하고 일측벽(3)에는 왕골위사 공급부(4)를 부착하며, 타측벽(3')과 연장지주(5)에 수평상으로 횡설한 안내레일(6)에 삽입된 위사 삽입간(7)을 캠(8)에 의하여 승강작동하는 작동간(9)으로 왕복 작동시키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위사 삽입간(7)선단에 위사 괘지장치(10)를 삽입하고 보울트로 취부하되, 위사 괘지장치(10)의 본체(10')내부에 공지의 개폐턱(11)과 개폐턱(11) 후상부의 돌부(12)에 걸리며 상, 하부(13'),(13")가 본체(10') 상, 하측으로 돌출된 개구간(13)을 핀축(14)으로 유착시키고, 본체(10') 선단부(10")에 길이가 긴 수평 가이드봉(15)을 부착하여, 왕골위사공급부(4)측에 나팔형 안내면(16')과 구형공(16")이 형성된 가이드관체(16)가 용착된 부착판(17)을 부착하고, 일 측벽(3)에는 개구간(13)의 상부(13')가 걸리는 제동봉(18')을 돌설시킨 전방 제동판(18)을, 타측벽(3')에는 쌍으로 연결된 나봉(19')의 앞상단에 용착한 제동봉(19)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공(20')이 천공된 후방 제동판(20)을 각각 부착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 부호 21은 작동간(9) 승강작동에 따라 위사 삽입간(7)을 왕복 작동시키는 링크구조, 22와 23은 개폐턱(11) 하부와 개구간(13) 상부측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 24와 25는 왕골위사와 직조되고 있는 왕골자리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와는 반대로 위사 삽입간(7)이 진입하는 위치의 하측에 바디와 종광을 설치하여 상측으로 왕골자리(25)를 직조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우터를 구동시키면 캠(8)은 작동간(9)을 승강작동시켜 링크구조(21)가 안내레일(6)에 삽치된 위사삽입간(7)을 왕복작동시켜 주는데, 이때 위사 삽입간(7)의 왕복작동거리는 왕골자리의 직조폭 만큼만 왕복할 수 있도록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위사삽입간(7)이 바디 직상방의 경사사이로 진입할 때에는 그 전단에 삽착된 위사괘지장치(10)의 본체(10')의 핀축(14)으로 유착된 개폐턱(11)은 인장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10") 상단을 폐구시킨 상태이며 또한 개폐턱(11) 후상부에 돌설된 돌부(12)가 같은 핀축(14)에 유착되어 당접하고 있는 개구간(13)의 상부(13')측을 전방측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므로 개폐턱(11)의 폐구상태일 때에는 개구간(13)이 전방을 향해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위사삽입간(7)이 경사 사이로 진입하여 일측벽(3)에 근접하게 될 때 그 전단에 삽착된 위사 괘지장치(10)의 개구간(13) 상부(13')는 전방 제동판(18)에 돌설한 제동봉(18')에 걸리게 되는데, 이 때 본체(10') 선단부(10")에 부착된 수평 가이드봉(15)은 왕골 위사공급부(4)에 부착된 부착판(17)의 가이드관체(16)의 나팔형 안내면(16')에 의하여 구형공(16")으로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서 위사삽입관(7)의 전단부가 일축벽(3)측에 도달하였을 때 직기 자체의 진동과 자증에 의해 요동하거나 밑으로 약간 처진 상태가 되더라도 위사괘지장치(10)의 수평 가이드봉(15)이 가이드관체(16)의 나팔형안내면(16')을 따라 구형공(16")으로 정확히 삽입되어 위사삽입간(7)과 위사괘지장치(10)가 수평을 유지토록 하여 개구간(13)의 상부(13')가 제동봉(18)에 정확하게 걸리도록 함과 동시 위사삽입간(7)의 계속되는 진입작동에 따라 제동봉(18)에 저지된 개구간(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때 개폐턱(11) 후상부의 돌부(12)를 후측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개폐턱(11)은 제6(a)도에 도시된 실선부분과 같이 개구상태가 되며 이때의 개구상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이므로 왕골 위사 공급부(4)에서 공급되는 왕골위사(24)가 개구된 본체(10')의 선단부(10") 상부에 정확히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위사 삽입간(7)이 조금 더 진입작동하면 개구간(13)의 상부(13')는 제동봉(18)에서 해제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인장 스프링(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폐턱(11)이 개구간(13)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선단부(10") 상부에 공급된 왕골위사(24)를 괘지하게 되는 것이다.(제6(a)도 가성선부분 참조.)
상기와 같이 위사 삽입간(7)이 진입작동 완료와 동시 위사괘지장치(10)가 왕골위사를 괘지한 후에는 퇴출작동을 개시하여 왕골위사(24)를 경사사이로 끌고 들어오게 되는데, 위사 삽입간(7)의 전단이 타측벽(3')에 도달하게 될때에는 제6(b)도에 도시된 실선부분과 같이 위사 괘지장치(10)의 개구간(13) 하부(13')가 후방제동판(20)의 장공(20') 상축으로 돌설 고정된 쌍으로 연결된 나봉(19') 의 앞상단에 돌설된 제동봉(19)에 걸리게 되고 계속 되는 퇴출작동에 따라 제동봉(19)에 저지된 개구간(13)은 핀축(14)을 회동지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상태로서 이때에도 개구간(13)의 상부(13') 하축이 돌부(12)를 밀어주게 되어 개폐턱(11)은 제6(b)도에 도시된 가상선 부분과 같이 개구간(13)의 회동각도만큼 개구되면서 괘지하고 있던 왕골위사(24)를 해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왕골위사(24)를 해지하는 위치는 왕골자리(25)의 직조폭에 맞추어 쌍으로 연결된 나봉(19')을 후방 제동판(20)의 장공(20')을 통해 용이하게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위사 괘지장치(10)가 왕골위사(24)를 해지하였을 때에는 곧바로 바디가 작동하여 왕골위사(24)를 쳐줌으로서 왕골위사(24)는 경사 사이에 제직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사 삽입간(17)이 퇴출작동 완료후 다시 진입작동을 개시할 때와, 진입작동 완료후 퇴출작동을 개시할 때 위사 괘지장치(10)의 본체(10')하, 상측으로 돌출된 개구간(13)의 하, 상부(13")(13')가 후방 제동판(20)의 제동봉(19)과 전방제동판(18)의 제동봉(18')에 걸리어 회동작동을 하게 하는데, 이때에는 개구간(13)이 인장 스프링(23)을 인장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공회동하게 되므로 개폐턱(11)은 선단부(10") 상부를 폐구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위사 괘지장치(10)의 진입의 원활성과 왕골위사(24)의 삽입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위사 삽입간 전단에 위사 괘지장치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위사괘지장치의 본체에 내설된 개폐턱을 작동시키는 개구간을 개폐턱을 유착시키는 하나의 핀축상에 동시 유착시키고, 특히 위사 괘지장치의 선단부에 수평 가이드봉을 부착하여 위사 삽입간과 위사 괘지장치가 왕골 위사 공급부축에 도달하였을시 직기구등에 따른 요동현상이나 자중에 의해 밑으로 쳐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공급되는 왕골위사를 정확히 괘지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위사괘지장치의 개폐턱의 개구작동을 종래와 같이 철사줄을 이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채택하지 않고 개폐턱 후상부에 돌부를 돌설하고, 이 돌부를 직접적으로 밀어주는 개구간을 개폐턱의 핀축상에 밀접시킨 상태로 설치하여 직기의 양측벽에 부착시킨 전방제동판과 후방 제동판의 제동봉에 의해 개구간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력을 개폐턱에 직접적으로 전달하여 개구작동토록 하였으므로 개구작동의 지연현상을 방지 하였으며, 그리고 후방제동판의 제동봉은 그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하나의 직기로서 재직폭이 다른 왕골자리를 생산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지닌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일측벽(3)에는 왕골위사공급부(4)를 설치하고, 타측벽(3')과 연장지주(5)에는 수평상으로 횡설한 안내레일(6)에 위사 삽입간(7)을 삽설하여 캠(8)에 연결된 작동간(9)으로 위사삽입간(7)을 왕복 작동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의 위사 삽입간(7) 선단에 위사괘지장치(10)를 착탈 가능하게 삽설하되, 위사 괘지장치(10)의 본체(10') 내부에 공지의 개폐턱(11)과 이의 후상부에 돌설한 돌부(12)에 걸리며 상, 하부(13')(13")가 본체(10')상, 하측으로 돌출된 개구간(13)을 핀축(14)으로 유착시키고, 선단부(10")에는 부착한 길이가 긴 수평 가이드봉(15)이 왕골위사 공급부측에 도달하였을 시에는 가이드관체(16)에 삽입되어 수평을 유지케 하며, 일측벽(3)과 타측벽(3')에는 제동봉(18')(19)이 돌설된 전방. 및 후방 제동판(18), (20)을 부착하여서 된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 장치.
  2. 제1항 기재에 있어서, 왕골위사 공급측(4)에 취부된 가이드관체(16)에는 나팔형 안내부(16')와 구형공(16")을 형성하고, 전방제동판(18)의 제동봉(18')은 고정부착하며, 후방제동판(20)의 제동봉(19)은 장공(20')에 이동조정이 가능하게 삽착된 쌍으로 연결된 나봉(19')의 앞상단에 용착하여 왕골자리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서된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KR2019870003200U 1987-03-13 1987-03-13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KR890004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200U KR890004174Y1 (ko) 1987-03-13 1987-03-13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3200U KR890004174Y1 (ko) 1987-03-13 1987-03-13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964U KR880017964U (ko) 1988-10-27
KR890004174Y1 true KR890004174Y1 (ko) 1989-06-26

Family

ID=1926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200U KR890004174Y1 (ko) 1987-03-13 1987-03-13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1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7964U (ko) 198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8104209A (nl) Inrichting voor het meevoeren van de inslag bij textielweefmachines.
KR890004174Y1 (ko) 왕골자리 직기의 왕골위사 삽입장치
US417897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serting weft threads into a jet loom
JP2021123841A (ja) 製織方法、そのような方法を実施するよこ糸選択装置、及びそのようなよこ糸選択装置を組み込んだ織機
RU2012108570A (ru) Головка рапиры для ткацкой машины
JPH10130999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緊張装置
US4481982A (en) Weft pull-back device of a jet weaving loom
US3424207A (en) Shuttleless wire loom
JPS63196745A (ja) 杼無織機用よこ糸切断装置
JPS5982450A (ja) 織機のバックレスト位置調整装置
CZ418397A3 (cs) Vzduchový tkací stroj se zařízením k ovládání přifukovacích trysek
US2223896A (en) Filling end parting and clamping mechanism
US4022253A (en) Rapiers with means for limiting rapier head divergence during weft-yarn transfer
US2544803A (en) Automatic filling guide for textile looms
JP5731098B2 (ja) レピア織機の緯入れ方法及びその装置
JP3379732B2 (ja) 緯糸糸端挟持装置
US4566500A (en) Apparatus for the constrained actuation of the clamping system of filling-yarn insertion devices in shuttleless weaving machines
JPH0118617Y2 (ko)
JPH0638128Y2 (ja) 織機の経糸ドロッパ取り付け装置
JP2502604Y2 (ja) 多軸織機における緯糸供給装置
SU903401A1 (ru) Кромкообраз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к челночному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HU190998B (en) Weft shooting device for needle looms
KR900010653Y1 (ko) 직기의 위사위입장치용 홀더 (holder)
JP2539684Y2 (ja) 無杼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装置
SU86889A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