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659B1 -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659B1
KR890003659B1 KR1019870001719A KR870001719A KR890003659B1 KR 890003659 B1 KR890003659 B1 KR 890003659B1 KR 1019870001719 A KR1019870001719 A KR 1019870001719A KR 870001719 A KR870001719 A KR 870001719A KR 890003659 B1 KR890003659 B1 KR 89000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innamic acid
reaction
alkali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873A (ko
Inventor
가쯔하루 미야따
우사지 다까끼
도시오 마쯔히사
Original Assignee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도쯔까 야스아끼 filed Critical 미쯔이도오아쯔가가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1/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61/16Unsaturated compounds
    • C07C61/2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09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from carboxylic acid esters or lacto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계피산알킬에스테르류의 가수분해에 의한 계피산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피산류는 향료, 감광성수지 및 각종의 유기 또는 생화학물질의 원료로서 공업적으로 중요한 물질이다.
계피산 및 그 유도체의 합성방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각종의 방법들이 알려지고 있다.
이를테면, 벤즈알데히드를 주 원료물질로 사용하는 퍼킨반응, 크뇌베나겔반응 또는 클라이젠 축합반응(유기반응 제1권 217(1942)) ; 과 벤젠 또는 그 유도체와 아클크산에스테르를 원료물질로 사용하는 방법(일본국 특허공고번호 제50,611호/1972, 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59,927호/1983, 미합중국 특허 제3,783,140호 및 제3,922,299호)들이 있다. 또 최근에는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를 촉매 존재하에서 1산화탄소, 알콜 및 산소와 반응시키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허 공고번호 제5570호/1984 및 제23661호/1985).
원료물질로서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트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클라이젠축합반응에 의한 방법 ; 벤젠 또는 그 유도체와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하는 방법 ; 및 스티렌 또는 그 유도체, 1산화탄소, 알콜과 산소를 사용하는 전술한 방법들에 있어서는 중간체로서 항상 계피산에스테르류가 생성되기 때문에 유리 계피산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계피산에스테르류의 가수분해를 수행하여야만 된다.
계피산에스테르류의 가수분해 방법으로서는 촉매로서 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최근에 제안되어 있으나(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12,736호/1985), 일반적으로 알콜, 디옥산 또는 아세톤등의 수성 혼합물을 함유하는 균일계내에서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카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614호/1974).
산촉매를 사용한 계피산에스테르류의 가수분해에 있어서는 반응속도가 낮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반응 시간이 길어진다. 또 전술한 바와같이 알카리 가수분해의 경우에는 유기용매들이 수성 혼합물을 사용한 균일계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목적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추출 및 농축공정들이 필요로 해질뿐만 아니라, 공업적으로 추출에 사용된 용매들을 회수해야만 된다.
또 최종적으로 계피산류를 얻기 위해서는 알카리 가수분해 후에 생성되는 알카리용액을 무기산류에 의해 산처리조작을 행하여야만 된다.
종전의 방법들에 있어서는 유기용매류를 함유하는 전술한 계피산 알카리의 알카리용액에 무기산류를 첨가시키는 바, 이들의 방법에 있어서는 희박한 계피산알카리수용액을 사용하거나, 또는 희박한 산수용액을 사용하거나, 또는 계에 별도의 물을 가하여 희석시켜 사용하는 등 다량의 물로 희석시킨 저농도에서 산처리를 수행하지 않으면 산처리도중에 게가 고점성의 슬러리상으로 되며, 극단의 경우에는 전체의 계가 고화되어 교반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계피산알카리의 수용액과 무기산의 산처리 공정을 고농도에서 실시하는 일이 곤란해지며, 반응기의 단위용적당의 생성되는 목적물의 양이 감소되게 된다.
또 종전의 방법에 서술되어 있는 유기용매류의 사용에 있어서는 목적물의 용매에의 용해로 기인되는 손실 때문에 수율의 감소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계피산에스테르를 알카리로 가수분해하는 계피산의 공업적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용매로서 유기용매 부재하의 물의 존재하에 불균일 2상액계중에 알카리에 의한 가수분해반응의 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불균일 2상액계중에서 계피산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알카리로 개시한 다음, 생성되는 알카리용액을 개량방법에 의해 무기산으로 산처리하는 계피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계피산에스테르류의 알카리 가수분해에 대한 광법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유기용매 부재하에 수성용매를 사용하여 불균일 2상액계중에서 알카리 가수분해를 행한다음, 반응으로 얻어지는 생성 알카리수용액의 pH치가 특정치 이하가 되도록 알카리수용액을 산처리하면 고품질의 계피산을 유효하게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 전술한 알카리 수용액의 산처리에 있어서, 산처리로 얻어지는 혼액의 pH치가 특정치 이하가 유지되도록 알카리수용액을 무기산에 첨가하거나 또는 반응기 내에 알카리수용액과 무기산을 연속적으로 장입하고, 생성물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기 있기 때문에 반응기의 단위용적당 생성되는 생성물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배수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경감되고, 배수시에 용해되는 목적물의 손실이 감소되며, 고품질의 계피산류를 양호한 효율로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또한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기용매 부재하의 수성용매를 사용하여 불균일 2상 액계중에서 계피산알킬에스테르와 알카리의 가수분해 반응을 개시하고, 생성되는 알카리수용액을 산처리 후의 용액의 pH치가 4이하가 되도록 산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게피산에스테르를 알카리로 가수분해하는 계피산의 제조방법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계피산에스테르의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알카리수용액을 무기산에 첨가시키거나, 또는 알카리 수용액과 무기산을, 산처리후의 용액에 pH치가 4이하가 유지되도록 연속적으로 반응조에 장입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배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계피산의 제조방법에 포함한다.
본 발명방법에 따르면, 알카리에 의한 계피산에스테르의 가수분해를 유기용매 부재하의 수성용매를 사용하여 불균일 2상액계중에서 개시할 수기 있기 때문에 유기용매의 회수조작이 불필요할 뿐말 아니라, 생성되는 게피산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기 있다.
또 본 발명방법에 따르면, 계피산에스테르의 알카리 가수분해에 의해 얻어지는 게피산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을 고농도에서 산처리를 할 수 있고, 반응기의 단위용적당의 생성물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물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수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목적물의 용해 배수로 기인되는 손실을 감소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계피산을 고수율로 효율좋게 얻를 수가 있다.
그러므로, 계피산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공업적으로 아주 유리한 것이다.
본 발명방법의 실시에 유용한 계피산에스테르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된다 :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 R'은 동종 또는 이종의 기로서, 수소원자 또는 방향족환상의 적어도 1종이상의 치환기이며, 할로겐원자, 수산기, 탄소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 R2및 R3는 동종 또는 이종의 기로서,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수 1 내지 6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 R4는 미치환 또는 치환된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계피산에스테르류는 예를들면, 계피산메틸, 계피산에틸, 계피산프로필, 계피산부틸, α-메틸-β-페닐아크릴산에틸, α-프로필-β-클로로페닐아크릴산메틸, β-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산메틸, β-4-메톡시페닐아크릴산메틸 및 계피산벤질을 열거할 수 있다.
전술한 계피산에스테르류는 각종의 방법들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벤즈알데히드와 아세트산에스테르로부터의 클라이젠 축합반응에 의한 방법, 스티렌 화합물류의 산화적 카르보닐화 반응의 의한 방법, 벤젠 또는 그 유도체와 아크릴산에스테르의 반응에 의한 방법 및 천연 소합향유(蘇合香油)로 부터의 분리방법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알카리 가수분해에 유용한 알카리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카륨, 수산화칼슘 및 수산화바륨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카륨이 바람직하다. 또 알카리는 또한 2종 이상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계피산에스테르의 1당량이상을 사용한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의 계피산에스테르와 알카리의 가수분해 반응은 용융상의 계피산에스테르와 알카리수용액을 구성하는 불균일 2상 액계중에서 개시되는 바, 가수분해시에 생성되는 계피산알카리는 수중에서 보다 용이하게 용해되지만, 물의 사용량이 불충분하면 불완전하게 용해되기 때문에 균일용액의 생성이 불가능해지며, 극단의 경우에는 용액이 고화되어 조작을 거의 수행할 수가 없게되며, 또 물을 과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수율이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방법을 공업적으로 효율좋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용액중의 계피산알카리의 농도가 1 내지 20중량%가 되는 양으로 물을 사용해야 하며, 2 내지 15중량%가 바람직하다.
계피산에스테르와 알카리수용액의 가수분해 반응을 위해서는 회분식, 2성분을 반응기에 일괄해서 또는 따로따로 장입시키는 반회분식, 이들 2성분을 연속적으로 장입시키는 연속식등 어느 방법도 사용할 수가 있다.
반응온도는 40 내지 12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60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압력은 통상 대기압이나, 어느 경우에 있어서는 약간 감압하거나 또는 가압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반응시간은 반응온도 및 압력에 따라 좌우되며, 1 내지 120분이 바람직하고, 3 내지 3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는 원료물질로서 특정한 계피산에스테르류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계피산알킬과 알카리의 가수분해 반응이 불균일 2상액계중에서 개시되기 때문에 격렬하게 교반을 행하는것이 유효하며, 혼합물은 반응 종료후에 일반적으로 균일용액을 형성한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 가수분해 반응도중에 생성되는 알콜류는 임의로 이를테면 반응도중 또는 반응 후에 계포부터 증류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알콜을 제거시키는 유효한 방법의 1예로서는 불활성 가스를 반응용액에 주입시켜 생성 알콜을 배기가스와 함께 계포부터 증류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는 생성되는 알카리수용액을 무기산으로 산처리하여 게피산류를 석출시킬 수 있으며, 반응 혼합물은 슬러리 또는 현탁액을 형성한다. 계피산류는 혼합물로부터 적당한 수단, 이를테면 여과, 경사 분리등에 의해 분리시킬 수가 있다.
계피산알카리용액의 산처리에는 통상 공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수용성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의 예로서는 염산, 황산 및 인산이었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 고수율의 계피산을 얻기 위해서는 산처리 반응종료 후에 용액 pH치가 4이하, 바람직하게는 3이하가 유지되도록 계피산알카리와 산을 반응시킬 필요가 있다.
pH치가 4이상의 경우에는 목적물의 석출이 산성조건하에서도 불완전하게 되기 때문에 수율이 감소된다. 따라서, 게피산알카리용액의 산처리 반응은 계를 항상 산성조건으로 유지시키면서, 즉 4이하의 pH치, 바람직하게는 3이하의 pH치하에서 적당하게 수행한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 계피산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의 산처리는 회분식, 반회분식 또는 연속식 조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산처리 반응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계피산알카리의 알카리용액에 전술한 무기산을 첨가시키는 조작, 무기산에 계피산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을 첨가시키는 조작 및 이들 2성분을 연속적으로 장입시키는 조작등이 있는 바, 이들 조작중 어느 조작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게피알카리의 수용액중 무기산을 가하는 조작에 있어서는 반응 혼합물의 종종 고점성의 슬러리를 형성하여, 극단의 경우에는 교반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목적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수율이 감소되는 경향이 생긴다.
따라서, 회분식 또는 반회분식 조작에 있어서의 전술한 문제점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피산알카리의 알카리용액을 무기산에 가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산처리반응은 연속식 조작에 의해 수행하여도 바람직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연속식조작이라는 용어는 반응종료후에 원료물질을 일괄해서 장입시키고 배출시키는 회분식 조작과는 다르며, 원료 물질을 장입하면서 목적물을 배출시키는 조작을 의미한다.
또 장입 또는 배출조작이 항상 연속적인 것도 좋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한, 그 조작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간헐적을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이를테면, 산처리 반응후의 pH치가 4이하가 되도록 원료물질의 양을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또 원료물질들을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시켜도 좋다.
본 발명의 산처리 반응을 수행할 때는 미리 교반가능한 충분한 양의 무기산 수요액을 반응기에 장입시킨 후에 임의로 연속반응을 위해 격렬하게 교반해 주는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산처리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게피산의 현탁액은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며, 경우에 따라서는 간헐적으로 배출시켜도 좋다. 구체적 방법으로서는 이를테면, 반응조에 장치된 유출구를 통하여 오우버플로우방식에 의해 현탁액을 배출시켜도 좋으며, 또한 펄프에 의해 배출시켜도 좋다.
현탁액으로부터의 계피산으 분리조작은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계피산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의 산처리에 있어서는 생성되는 계피산의 농도가 현탁액의 1 내지 20중량 %가 되도록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 %가 되도록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범위밖의 농도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하게 달성할 수가 없다. 즉, 목적물의 수율이 1중량 %이하로 감소되며, 또한 고농도의 슬러리가 20중량 %이상으로 형성되어 교반이 불충분하고 반응이 불환전해져서 제품의 순도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산처리에 있어서는 계피산알카리의 수용액을 무기산에 가하는 회분식조작 또는 반회분식 조작, 또는 계의pH를 4이하로 유지시키면서 반응을 수행하는 연속식 조작은 현탁액중에 계피산이 보다 고농도로 생성된다는 점에 산처리를 수행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산처리 반응에 있어서의 온도는 10 내지 80℃가 적당하며, 반응은 통상 대기압하에서 수행하며, 약간 감압시키거나 또는 가압하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하기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열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교반기가 장치된 분리형 플라스크에 계피산메틸 16.2g(0.01몰)과 물 200g주의 97중량 % 수산화나트륨 4.3g용액을 장입시키고, 혼합물을 80℃에서 15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이같이 하여 얻어지는 계피산나트륨의 알카리수용액에 황산 0.56몰을 함유하는 황산수용액을 교반하면서 서서히 가한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 생성되는 현탁액은 1.5의 pH치를 갖는다. 석출물을 흡인여과하고, 비이커내에서 물 50ml로 교반 세척한 다음 재여과하고 감압하에 건조시키면 계피산 14.6g(수율, 98.5%)이 얻어지며, 분석에 의한 순도는 99.9%이상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수분해시에 물 64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공정을 반복 수행한 결과, 계피산메틸과 수산화나트륨의 가수분해 개시직후 약 5분이 경과되면 반응용액이 완전고화되기 때문에 반응의 진행이 불가능해진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수분해시에 물 2100g을 사용하고, 산처리 반응시에 황산 0.08몰을 함유하는 황산수용액 20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공정을 반복 수행한 결과, 계피산이 13.8g 얻어지며, 수율은 93.2%로 감소한다.
[비교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산처리반응시에 황산 0.085몰을 함유하는 황산수용액 2000ml를 산수용액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에 1의 공정을 반복 수행한 결과, 게피산 13.9g이 얻어지며 수율은 93.8%로 감소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수분해시에 물 230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반응 공정을 수행한다. 15분동안 교반 가열한 후에 플라스크에 리비히 응축기를 장치하고, 또 가열을 행하여 증류액 30g을 얻는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의 분석에 따르면, 이 증류액은 메탄올 3.1g을 함유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계피산메틸 대신에 계피산에틸 17.6g(0.1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반응공정을 수행한 결과, 게피산 14.5g(수율, 97.9%)이 얻어지며, 순도는 99.9%이상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가수분해시 수산화나트륨 대신에 85% 수산화카륨 6.9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정을 반복행하여 계피산 14.5g(수율, 97.9%)을 얻는다. 순도 99.9%이상이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산처리시에 황산 0.056몰 대신에 염산 0.112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정을 반복행하여 계피산 14.4g(수율, 97.2%)이 얻어지며,순도 99.9%이상이다.
[실시예 6]
300ml용 분리형 플라스크에 계피산메틸 16.2g(0.01몰)과 물 140g중의 97중량%수산화나트륨 4.3g의 용액을 장입하고, 혼합물을 80℃에서 15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이같이 하여 얻어지는 계피산나트륨의 알카리수용액을 미리 80℃로 유지시킨 보온 적하 깔대기내에 주입시킨다. 황산 0.053몰을 함유하는 황산수용액 20ml가 들어있는 비이커에 상기 용액을 교반적가하여 생성되는 현탁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흡인여과한다. 결정들을 비이커내에서 물 50ml로 교반 세척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서 건조시키면 계피산 14.7g(수율, 99.9%)가 얻어지며, 분석에 따른 순도는 99.9%이상이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 잇어서, 계피산메틸 대신에 계피산에틸 17.6g(0.1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수행한 결과, 계피산 14.6g(수율, 98.5%)이 얻어지며, 순도는 99.9%이상이다.
[실시예 8]
실시예 6에 있어서, 수산화나트륨 대신에 85중량% 수산화카륨 6.9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수행한 결과, 계피산 14.5g(수율, 97.9%)이 얻어지며, 순도는 99.9%이상이다.
[실시예9]
실시예 6에 있어서, 산처리에 0.053몰 대신에 염산 0.102몰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수행한 결과, 계피산 14.4g(수율, 97.2%)이 얻어지며, 순도는 99.9%이상이다.
[실시예 10]
교반기가 장치된 11용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계피산메틸 100.0g(0.617몰)과 수산화나트륨 25.9g(0.647몰)을 함유하는 수용액 700g을 장입시키고, 80℃에서 15분동안 격렬하게 교반한 다음, 생성되는 계피산나트륨 13.1중량% 농도의 알카리수용액을 80℃로 유지시킨 보온 적하깔대기에 이송시킨다.
플라스크의 중간부위에 직경 약20mm의 유출구를 갖는 둥근바닥 플라스크(유출구까지의 용적은 약 130ml)에 각각 교반기, pH측정기의 전극, 25중량% 황산수용액을 일정의 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튜브 펌프의 배출오리피스, 및 계피산나트륨의 알카리 수용액을 함유하는 보온 적하깔대기의 오리피스를 장치한다.
플라스크내에 미리 황산 약 20g을 장입시킨후, pH치가 2가 될때까지 계피산나트륨의 알카리수용액을 교반 적가한다. 다음에 계피산나트륨의 수용액과 25중량% 황산수용액을 각각 13g/분 및 2.0g/분의 속도로 적가하고, 반응을 항상 pH치 2이하에서 수행하여 1시간이 경과되면 반응을 종료시킨다. 반응용기내의 계피산의 농도는 약 10중량%이다. 유출구를 통하여 슬러리를 유출시키고, 플라스크내에 최종적으로 남아있는 계피산을 흡인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감압하에 건조시킨다. 이같이 하여 얻어지는 계피산은 90.0g(수율, 98.5%)이고, 액체 크로마트그래피의 분서겡 따르면, 순도99.9%이상이다. 계피산의 생산량은 물 상용량 1l에 대하여 116g/ㅣ이고, 반응용기의 단위 용적당 약 700g/ㅣ이다.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계피산나트륨의 알카리수용액을 얻은다음, 약 100℃에서 증류하고, 98 내지 99℃의 유분을 포집하여 메탄올 17.8g을 수용액으로서 회수한다.
[비교예 4]
교반기가 장치된 3l용 플라스크에 계피산메틸 100.0g(0.617몰)과 수산화나트륨 25.9g(0.647몰)을 함유하는 수용액 1260g을 장입하고, 80℃에서 15분동안 격렬하게 교반한다. 생성되는 계피산나트륨 7.7중량% 농도의 알카리수용액에 황산 0.35ml를 함유하는 황산 수용액 1240ml을 일괄해서 가한다. 생성되는 3.4중량% 농도의 슬러릴를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pH를 측정하여 약 2를 얻는다. 전체의 반응 혼합물을 배출시키고 흡인 여과한다. 분리되는 석출물은 87.8g(수율, 96.0%)이고, 순도는 99.9%이상이다. 계피산 생산량은 물 1l당 36g/l이고, 반응용기의 단위용적당 35g/l이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있어서, 25중량% 황산 대신에 19중량% 염산을 사용하고, 산처리시에 반응용기내의 pH를 3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공정을 반복 수행한 결과, 계피산 89.5g(수율, 97.9%)이 얻어지고, 순도는 99.9%이상이다.
[비교예 5]
실시예 10에 있어서, 황산 수용액의 적가속도를 감소시키고, 산처리시에 반응혼합물의 pH를 5로유지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정을 반복 행하여 계피산 85.5g을 분리시켜 얻고, 수율은 93.5%로 감소된다.

Claims (5)

  1. 계피산 에스테르류의 알카리로 가수분해하여 계피산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계피산 에스테트류와 알카리의 가수분해 반응을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불균일 2상액계중에서 반응을 개시하여 얻어지는 계피산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에 무기산을 가하여 생서액의 pH치가 4이하가 유지되도록 전술한 알카리수용액의 산처리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계피산을 석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반응으로 얻어지는 계피산 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을 무기산에 가하여 산처리 반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 반응으로 얻어지는 계피산 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과 무기산을 산처리 반응조에 연속적으로 장입시킨 다음, 반응조내에 석출되는 계피산을 함유하는 생성액을 반응조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산처리 반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수분해반응으로 얻어지는 계피산 알카리의 알카리수용액의 농도가 1 내지 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산처리 반응으로 얻어지는 생성액 중의 계피산의 농도가 1 내지 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KR1019870001719A 1986-02-28 1987-02-27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KR890003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977 1986-02-28
JP61041977A JPH0623129B2 (ja) 1986-02-28 1986-02-28 桂皮酸類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873A KR870007873A (ko) 1987-09-22
KR890003659B1 true KR890003659B1 (ko) 1989-09-29

Family

ID=1262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719A KR890003659B1 (ko) 1986-02-28 1987-02-27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06683A (ko)
EP (1) EP0240138B1 (ko)
JP (1) JPH0623129B2 (ko)
KR (1) KR890003659B1 (ko)
DE (1) DE3773028D1 (ko)
DK (1) DK104487A (ko)
ES (1) ES202652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430A (en) * 1990-10-31 1993-04-27 Mitsui Toatsu Chemicals, Incorporated Method for obtaining high-purity cinnamic acid
JPH0778032B2 (ja) * 1991-03-13 1995-08-23 和歌山県 フェルラ酸の製造方法
JP4204792B2 (ja) * 2002-02-19 2009-01-07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ラジカル重合性化合物の金属塩の製造方法
US20060084704A1 (en) * 2004-01-28 2006-04-20 Charles Shih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nhancing degradation of nuclear receptor transcription factors and uses thereof
WO2005072462A2 (en) * 2004-01-28 2005-08-11 Charles Shih Enhancement of anti-androgenic activity by a combination of inhibitors targeting different steps of a steroid-dependent gene activation pathway and uses thereof
US20050234261A1 (en) * 2004-04-14 2005-10-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preparing cinnamic acids and alkyl esters thereof
US9000222B2 (en) 2007-01-08 2015-04-07 Androscience Corporation Compounds with (1E, 6E)-1,7-bis-(3,4-dimethoxyphenyl)-4,4-disubstituted-hepta-1,6-diene-3,5-dione structural scaffold, their biological activity, and uses thereof
US8236852B2 (en) * 2007-01-08 2012-08-07 Androscience Corporation Compounds with (substituted phenyl)-propenal moiety, their derivatives, biological activity, and use thereof
US8710272B2 (en) 2007-01-08 2014-04-29 Androscience Corporation Compounds with (1 E, 6E)-1,7-bis-(3,4-dimethoxyphenyl)-4,4-disubstituted-hepta-1,6-diene-3,5-dione structural scaffold, their biological activity, and uses thereof
KR20100051808A (ko) 2007-07-31 2010-05-18 앤드로사이언스 코포레이션 안드로겐 수용체 분해 강화제를 포함한 조성물 및 탈모와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0087A (en) * 1946-11-14 1952-03-25 Kellogg M W Co Recovery of organic acids
US3162682A (en) 1959-12-28 1964-12-22 Cities Service Res & Dev Co Disproportionation reaction of alpha, beta-ethylenically unsaturated aldehydes in the presence of a silver catalyst
US3783140A (en) * 1965-08-13 1974-01-01 Hercules Inc Introduction of organic groups into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sing a group viii metal salt
JPS49102614A (ko) * 1973-02-12 1974-09-27
US3922299A (en) * 1974-03-05 1975-11-25 Univ Delaware Vinylic substitution reactions
JPS6051145A (ja) * 1983-08-31 1985-03-22 Komatsu Seiren Kk テレフタル酸の回収方法
DE3422412A1 (de) * 1984-06-16 1985-12-19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misches aus einem gegebenenfalls substituierten zimtsaeureester und einem gegenbenenfalls substituierten ss-alkoxy-ss-phenyl-propionsaeureest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gebenenfalls substituierter zimtsaeure
JPS6140240A (ja) * 1984-07-31 1986-02-26 Sumitomo Chem Co Ltd ケイ皮酸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0138A1 (en) 1987-10-07
JPH0623129B2 (ja) 1994-03-30
EP0240138B1 (en) 1991-09-18
KR870007873A (ko) 1987-09-22
DK104487D0 (da) 1987-02-27
ES2026526T3 (es) 1992-05-01
DE3773028D1 (de) 1991-10-24
JPS62201840A (ja) 1987-09-05
US4806683A (en) 1989-02-21
DK104487A (da) 198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59B1 (ko)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CA107705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etic acid derivatives
JPH10279506A (ja) ビスヒドロキシメチル化合物の製造方法
US4623736A (en) Arylalkanoic acid process improvement
EP0089711B1 (en) Process for preparing esters of 2-(6'-methoxy-2'-naphthyl)-propionic acid
CN1130330C (zh) 制备琥珀酰基琥珀酸二烷基酯类化合物的方法
JP3549767B2 (ja) マロン酸モノエチルカリウムの製造方法
EP0416857A2 (en) Process for producing 4-halogeno-2-alkoxyimino-3-oxo fatty acid
EP0759424A1 (en) Process for producing optically active 2-hydroxy-4-arylbutyric acid or its ester, and intermediate therefor
CA1292997C (en) Preparation process of cinnamic acids
US5344975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lower alkanoic acids
KR840000115B1 (ko) 카바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EP0983993A1 (en) Process for producing allyl-2-hydroxyisobutyrate
EP1741695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m, halogenfreien o-Phthalaldehyd
KR100212489B1 (ko)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JPH0623127B2 (ja) 桂皮酸類の製造法
JP2000273057A (ja) 沃化アルキルの製造方法
EP0036030B1 (en) Process for preparing biotin
JP2759087B2 (ja) 1,4―ジヒドロキシ―2―ナフトエ酸アリールエステルの精製方法
JPH0623128B2 (ja) 桂皮酸類の製造方法
JPS6121624B2 (ko)
EP0652862B1 (en) Amidoacids by alkali hydrolysis of amidoesters
US4434104A (en) Preparation of high purity di-lower alkyl naphthalenedisulfonates
EP0373057A1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e l'acide (propyl-2) pentène-2 oique et de ses esters
JPH0615500B2 (ja) 桂皮酸類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