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489B1 -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489B1
KR100212489B1 KR1019930028661A KR930028661A KR100212489B1 KR 100212489 B1 KR100212489 B1 KR 100212489B1 KR 1019930028661 A KR1019930028661 A KR 1019930028661A KR 930028661 A KR930028661 A KR 930028661A KR 100212489 B1 KR100212489 B1 KR 10021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pmca
catalyst
ethylhexyl
anisaldehy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906A (ko
Inventor
이건
이상구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30028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489B1/ko
Publication of KR95001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3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3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57/4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unsaturation outside the rings
    • C07C57/44Cinnamic ac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병은 액상 자외선 안정제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탄올 용매 중에서 p-아니스알데하이드와 메틸아세테이트를 NaOCH3촉매하에 반응시켜서 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합성시킨 후, 이를 아세트산 아연(Zinc Acetate) 촉매하에 2-에틸헥사놀과 반응시켜서 제조하는 바, 저렴한 원료물질을 사용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경제적으로 위 목적물질을 제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아래 구조식 (1)의 액상 자외선 안정제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새로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 구조식 (1)의 물질은 화장품 등에 첨가되는 최대흡수파장 290 - 311nm인 액상 자외선 안정제이다. 종래의 벤조페논계 UV 차단제는 분말형태로 화장품에 첨가시 취급 (handling)이 불편하고, 색상(노란색)을 띠고 있어 최종 제품 자체에 문제가 있는 반면, 본 물질은 색상 문제가 없으며(연노랑 또는 무색), 냄새가 거의 없고, 저점도, 저빙점으로 유탁액(emulsion)와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화장품에의 첨가가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 목적물질을 제조하는 핵심기술은 아래 일반식 (2)의 p-아니스알데하이드 (p-Anisaldehyde)를 출발물질로 하여 중간체인 일반식 (3)의 p-메톡시신남산(p-Methoxycinnamic acid, 이하, PMCA) 또는 일반식 (4)의 PMCA-에스테르를 합성하는 알데하이드 축합반응(aldehyde condensation reaction)과, 합성된 PMCA(또는 PMCA-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하여 2-에틸-1-헥사놀(이하, 2-EH)과의 에스테르화반응(esterification reaction)으로 구분된다. 이를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식에서, R은 CH3또는 CH2CH3이다.
이때, 반응 중간체인 PMCA 또는 PMCA-에스테르가 사용된다. PMCA를 합성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는데 그중 공업적으로 생산이 가능한 방법으로는 말론산법(Malonic acid법, 이하, MA법), 아세트산 무수물법(Acetic anhydride법, 이하, AA법) 등이 있다. MA 법은 특히, 노베나겔축합반응(Knovenagel condensation reaction)으로, 다른 방법에 비하여 반응성이 좋고 수율이 높다(수율 :96)는 장점이 있는 반면, 주원료인 말론산의 가격이 높아 원료비의 50 를 차지하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큰 단점으로 작용하고 있다[Family patents : JCS 1475 ('54), JCS 1977 ('25), USP 2,734,904 ('56), UK1,064,116 ('67)]. AA법은 페르킨반응(Perkin reaction)이라고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 주원료인 아세트산 무수물의 가격이 매우 말론산의 약 50수준으로 저렴하여 원가절감에는 장점이 있으나, MA법에 비해 수율이 현저히 낮다(수율 : 35 - 36)는 단점이 있다[Org. reaction vol 1, Synthesis 177 ('87)].
한편, 중간체인 PMCA-에스테르의 합성은 USP 4,713,473 [('87), 출원인 : 미국 Givaudan사]에 잠시 언급되고 있다. 곧, 메틸아세테이트를 p-아니스알데하이드와 반응시켜서 생성된 PMCA-에스테르를 감압증류에 의해 정제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체 증류). 그러나, 이 경우 3-6 Torr 감압에서 내부온도가 180이상이 되어야 하고 응축기(condenser) 부분의 온도가 80이상(PMCA-에스테르의 융점)이 되어야 관의 막힘이 없이 중간체를 얻을 수 있는 어려움이 있다(condenser jacketting이 되어야 함).
본 발명자들은 오랜 연구를 통하여 기존 알려진 방법을 개선, 경제적이고 간편한 위 구조식 (1)의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식 (5)의 메틸아세테이트와 일반식 (2)의 p-아니스알데하이드를 메탄올을 용매로 NaOCH3촉매하에서 감압증류 없이 순수한 일반식 (3')의 PMCA-에스테르를 합성하였다(수율 :75). 이를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p-아니스알데하이드와 메틸아세테이트, NaOCH3의 최적 당량비는 각각 1:5:3(W/W/W)이고, NaOCH3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28NaOCH3의 메탄올 용액을 사용하였다. 분말 형태의 NaOCH3를 사용할 경우 분진 등에 의한 원료투입이 어렵고, 투입시 메탄올에 용해되면서 다량의 기체와 함께 급격한 발열(60 - 70)이 진행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용액 형태를 사용하면 약간의 미열만 발생할 뿐 기타 문제점이 거의 없고 반응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용매로는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5 vol ./wt. of p-Anisaldehyde), 반응은 50 - 60에서 약 12시간 이상 소요되며, 약 10시간 경과시부터 밝은 노란색 결정체가 석출되기 시작하였다. 반응의 진행은 TLC로 확인하였다(EA : HX = 1 : 6).
반응 종료후 감압 또는 원심여과기(centrifuge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과량으로 투입된 메탄올 및 메틸아세테이트를 회수한 다음 순수로 충분히 세척하여 미반응물 인 무기염 NaOCH3를 제거하였다(무기염 제거로 고체의 부피가 감소되고 중간체의 색상도 짙은 노란색에서 미백색으로 변함). 이때, 용매 및 미반응물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순수로 세척할 경우 중간체의 색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위에서 생성된 일반식 (3')의 중간체 PMCA-에스테르를 충분히 건조시킨 다음, PMCA-에스테르와 2-EH의 당량비를 1: 1.5로 하고 촉매로는 아세트산 아연(zinc acetate)을 사용하여 반응시켰다. 특별한 용매를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약 80에서 용융한 다음 140까지 승온시켜 약 5시간 정도 반응시킨다. 이때 미압의 N2퍼지(purge)를 하여야 하는데 이는 반응기내 용존 산소를 제거하고 반응중 생성되는 MeOH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반응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반응종결시 10Torr 정도의 감압을 걸어 미반응 2-EH를 완전히 제거한다. 이후, 탈색은 점토(clay)를 사용하여 스파클러필터(sparkler filter)로 여과한다. 이때, 생성물은 점성이 크므로 n-헥산을 사용하여 점도를 낮춘 다음 여과하도록 한다. 여과후 증류에 의해 n-헥산을 제거하면 원하는 목적물질이 된다(총수율 : 65-75).
다음 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구체화한다.
[실시예 1]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응축기와 온도계를 설치한 후 메탄올 270를 투입하고 p-아니스알데하이드 54.5g(0.4), 메틸아세테이트 148.2g(2.0)을 넣은 후 교반하였다. 교반을 하면서 NaOCH328메탄올 용액 231.5g(NaOCH364.82g, 1.2)을 서서히 투입하였다. 이후 승온시켜서 50 - 60를 유지하여 16시간 반응시켰다. 이때 반응의 진행 여부는 TLC로 계속 확인하였다. 반응완료후 상온까지 냉각한 후 생성된 노란색 결정체를 여과하였다. 여과시 순수로 충분히 세척하여 노란색이 완전히 빠지도록하여 미백색 결정체를 형성시켰다. 여과후 건조하여 57.8g(수율 : 75)의 중간체 메틸 -p-메톡시신나메이트를 얻었다.
중간체 57.8g(0.3)과 2-에틸헥사놀 46.9g(0.36) , Zn(OAc)21.68g (0.075)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미압의 질소기체를 퍼지하면서 80로 승온시켜 교반하지 않고 녹였다. 이후 교반하면서 147까지 승온시켜서 반응시켰다. 이후 시간간격으로 TLC를 이용하여 반응종결여부를 확인하였다. 반응종결후 감압증류에 의해 미반응의 2-에틸헥사놀을 제거하였다. 이후 40 - 50로 냉각시킨 후 점토 21.5g과 n-헥산 140g을 투입하여 환류시켰다. 약 30분 경과후 셀라이트(Celite) 코팅된 여과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한 액체를감압증류하여 n-헥산을 제거하여 생성물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78.4g(수율 : 90)을 얻었다.

Claims (1)

  1. 메탄올 용매 중에서 p-아니스알데하이드와 메틸아세테이트를 소디움 메톡사이드 촉매하에 반응시켜서 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를 합성시킨 후, 이를 아세트산 아연 (Zinc Acetate) 촉매하에 2-에틸헥사놀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자외선 안정제인 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의 제조방법.
KR1019930028661A 1993-12-20 1993-12-20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KR10021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61A KR100212489B1 (ko) 1993-12-20 1993-12-20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661A KR100212489B1 (ko) 1993-12-20 1993-12-20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906A KR950017906A (ko) 1995-07-20
KR100212489B1 true KR100212489B1 (ko) 1999-08-02

Family

ID=1937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661A KR100212489B1 (ko) 1993-12-20 1993-12-20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878B (zh) * 2019-05-24 2021-10-22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对甲氧基肉桂酸甲酯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906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59B1 (ko) 계피산류의 제조방법
EP0640589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vinyl sulfone groups
KR100212489B1 (ko) 액상 자외선 안정제의 제조방법
JPH05310640A (ja) ヒドロキシフェニルカルボキシレートの製造方法
JP4029992B2 (ja) タートラニル酸の製造法
KR100301756B1 (ko) 0,0'-디아실타르타르산무수물의제조방법및0,0'-디아실타르타르산의제조방법
EP0554636A1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acides arylacétiques et de leurs sels de métaux alcalins
EP0983993A1 (en) Process for producing allyl-2-hydroxyisobutyrate
FR2540873A1 (fr) Nouveaux intermediaires pour la production de derives de l'acide 2-(2-aminothiazol-4-yl) glyoxylique ou d'un de ses sels et le procede de production desdits intermediaires
EP0190524B1 (fr) Nouveau procédé industriel de synthèse du N-[(1'-allyl 2'-pyrrolidinyl) méthyl] 2-méthoxy 4,5-azimido benzamide
JPH09227461A (ja) ビス置換フェニルヘキサフルオロプロパン類の製造法
FR2599737A1 (fr) Procede pour la fixation de groupes alkyles, alkenyles, cycloalkyles ou aralkyles sur une chaine carbonee portant un groupement fonctionnel
KR100399208B1 (ko) 트리스(트리메틸실릴)실릴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KR0169558B1 (ko) 2-아미노-3,5- 디브로모 벤즈알데히드의 제조방법
JP3876933B2 (ja) 硫酸水素エステルの製造方法
EP0124407B1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acides alkanoiques
KR890002552B1 (ko) 알콕시 니트로벤젠의 제조방법
JP2759087B2 (ja) 1,4―ジヒドロキシ―2―ナフトエ酸アリールエステルの精製方法
KR0173545B1 (ko) 고체산을 이용한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의 제조방법
JPH06172257A (ja) ビス(p−ヒドロキシフェニル)酢酸の製造方法
CA1111447A (fr) Composes halogenes, procede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 a la preparation du metaphenoxy benzaldehyde
JPS6115862A (ja) スクシノコハク酸ジアルキルの製法
JPH0623128B2 (ja) 桂皮酸類の製造方法
JPS62103039A (ja) 桂皮酸類の製造法
EP0045234A1 (fr) Nouveau procédé de déalkylation des amines tertiaires par emploi de chloroformiates alpha-chloré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