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142B1 -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142B1
KR890003142B1 KR1019840002070A KR840002070A KR890003142B1 KR 890003142 B1 KR890003142 B1 KR 890003142B1 KR 1019840002070 A KR1019840002070 A KR 1019840002070A KR 840002070 A KR840002070 A KR 840002070A KR 890003142 B1 KR890003142 B1 KR 890003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insulated wire
wire
capsta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137A (ko
Inventor
시게오 마스다
모리히꼬 가쓰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덴끼 고우교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쓰 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덴끼 고우교 가부시기가이샤, 나까하라쓰 네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덴끼 고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0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4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bars or wire
    • B21C37/042Manufacture of coated wire or b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4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C07C7/09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by fractional 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중의 소선이 되는 단면 둥근형인 절연전선의 제조방법을 표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리일 2 : 단면 둥근형의 도체
3 : 신선기 4 : 윤활유 도포부
5 : 신선다이스 36 : 캡스턴
7 : 신선된 다음의 도체 8 : 전해세척장치
9 : 연화로 10 : 베이킹로
11 : 두루마리장치
본 발명은 단면 둥근형의 도체에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한 절연전선을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평각선으로 하는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에지와이즈(edge-wise) 감기에 접합한 고성능 절연 특성을 갖이는 평각절연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단면 둥근형의 절연전선을 압연에 의하여 제조하느 평각 절연전선은 주로서 스피이커의 보이스코일에 사용되어 온 것인바 근년 특히 컴퓨터 관련기기에 있어서의 구동 모우터에 사용되게 되며 용도가 확대되어 왔다.
이 평각 절연전선은 코일감기에 있어서, 플레트와이즈(flat-wise)에 감겨지는 경우와, 에미와이즈(edge-wise)에 감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평각 절연전선의 요구되는 특성으로서는 ①. 코일감은 다음의 코일 표면이 미끄러우며, 요철이 없는 일, 즉, 절연전선의 폭칫수의 분산이 있는 범위내에 억제되어 있는 일, ②. 절연피막에 균일이 없이 도체노출이 없는 일, 즉, 압연할때의 압하력에 의하여 피막이 찢어지던지 혹은 코일감을때에 피막이 자극을 받아 도체 홈부분에서 피막이 갈라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일, ③. 도체와 피막과의 밀착이 좋으며 피막의 뜨는 것이 없는 일, 즉, 압연할때 큰 압하력을 토대로 둥근형 절연접선으로부터 평각 절연선으로 변형되는 바 그때 도체와 피막과의 사이에 접착저하를 초래하고 [피막이뜸]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①에 있어서는 경도체에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에서는 얻을수 없었던 폭칫수 정밀도가 좋은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을 확립하여 기히 출원하고 온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② 및 ③에 관하여는 아직 충분한 기술적 대응이 없는대로 이었다.
예로 둥근형 도체에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한 절연전선을 압연하는 경우, 도체에 흠이 있으면 그 부분에서 피막이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에지와이즈 감기 코일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도체에 매우 작은 흠이 있으면 코일 외측 표면은 피막에 신장되는 일도 있고, 피막이 갈라지며 도체 노출이라는 중대한 결합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코일 내측 표면은 도체에 흠이 있을지라도 피막은 오히려 수축되기 때문에 피막이 갈라지는 것을 발생하기 어려운 경향을 나타낸다.
이들의 피막이 갈라지는 것은 당연히 코일의 전기 특성을 저하시키며 코일의 신뢰성이나 수명을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것이며, 피막이 갈라지는 일이없는 평각 절연전선이 강하게 요망되어 왔다.
또, 본 제조방법에서는 두게에 대하는 폭의 비율이 증대될수록, 압하율을 크게 증가할 필요가 있으며 도체와 피막과의 접착이 저하되고 피막이 뜨는 것을 발생하기 쉬운 경향을 나타낸다.
둥근 절연전선을 압연하여 평각 절연전선으로 하는 경우 폭 1두께의 비율이 5를 넘는 바와 같은 경우는 2회 이상의 압연이 필요한것이나 2회이상의 압연으로는 한층 도체와 피막과의 접착력이 약해지며 피막의 뜨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게된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우하여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요점은 도체 표면에 존재하는 흠을 없애며 또한 표면의 부착물을 제거한 도체위에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고 그 다음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핼결한 고품질 특성을 가지는 평각 절연전선을 만드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면 둥근형의 절연전선 라인에 있어서 신선기, 전해세척장치, 절연도료 도포베이킹 장치를 이 순서로 탠댐으로 배열하여 신선기로는 도체 표면위의 흠, 즉 깎아지는 것, 갈라지는 것, 요철형상의 줄이난흠 등의 결합부를 신선하는 것에 의하여 소멸시키고, 전해세척장치로는 신선할때에 부착된 윤활유, 금속분을 제거하며 그러한 다음에 절연도료 도포 베이킹 장치로 도체위에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는 것이다.
그러한 다음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평각 절연전선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된 둥근형 절연전선은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이제는 피막이 갈라지는 것을 초래하지 않고 또는 에지와이즈 감을때도 피막흠을 초래하지 않고 도체 노출의 결함을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또, 도체 표면의 윤활유나 금속분 등으로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도체와 피막과의 접착이 좋은 피막이 뜨는 일이 없는 평각 절연전선이 얻어지게 되었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단면 둥근형인 절연전선의 제조라인을 표시하는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공급리일(1)로부터 풀여 내보내지는 단면 둥근형 도체(2)의 표면에는 그 앞서 공정의 신선에 있어서 캡스턴으로의 슬립이던가 두루마리 리일의 몸통 혹은 턱에의 접촉에 의하여 무수한 미소한 흠이 존재한다.
이들의 홈을 상세히 분석하여 보면 깊이 및 폭이 3-20㎛인 것이 대부분이며 길이는 2㎛로부터 긴 것으로는 수m에 미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도체 흠과 압연할때에 발생하는 피막이 갈라지는 것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길치3μ의 흠이 도체 표면에 존재하면 피막이 갈라지는 것이 발생하기 쉬운 것을 파악하였다.
그래서 깊이 및 폭에 있어서 3㎛이상의 표면흠을 제거하는 것에 예의 노력하였다.
도체중에는 깊이 및 폭에 있어서 흠의 크기가 20㎛를 넘는 도체도 있으나 이와같은 것은 앞서 공정의 신선공정이 충분히 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며 한층 염격한 공정관리가 요구된다.
무수히 존재하는 3-20㎛의 흠을 없애기 위하여 단면 둥근형의 절연전선 제조라인에 있어서 신선기(3)을 탠댐에 설치하고 신선다이(5)를 사용하여 1회 잡아당기는 신선을 행하며 캠스턴(6)으로 끌어보낸다.
여기서 다이스를 사용한 신선의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율(Reduction Percent)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지름 D1의 선을 다이 1개를 사용하여 신선하고 지름이 D2로된 경우,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율(%)는 (D12-D22) / D21×100으로 표시된다.
3mm이상의 흠을 없애기 위하여는 앞으로 잡아당겨 넘어 뜨리는 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로 지름이 0.60mm의 강선으로 흠의 길이가 5, 10, 20㎛의 도체흠을 3㎛미만으로 하고자하는 경우에는 각각 지름이 0.585mm-0.560mm 및 0.550mm정도로 되게 1회 잡아당겨서 신선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앞으로 잡아당겨 넘어뜨리는 율은 각각 5, 13, 16%로 된다.
앞으로 잡아 당겨 넘어뜨리는 율을 크게하는 것은 큰 흠을 제거하는 것에 효과를 발휘하는 바 본 발명은 1회 넘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앞으로 잡아당겨 넘어뜨리는 율이 25%를 넘는 경우에는 앞으로 잡아당겨 넘어뜨리는 데에 필요한 힘이 크게되며 캡스턴과의 접촉에 있어서 재차 도체 표면에 흠이 나게 되어 주의 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신선다이(5) 1개의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그 이유는 캡스턴(6)으로 도체(2)를 끌어보낼때 미끄러지는 것을 없게하며 재차 도체에 흠이 나지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개의 다이를 사용하여 신선을 하는 경우는 다이 사이에 캡스턴을 넣게되며 다이 구멍지름에 의하여 결정되는 도체의 선속도와 캡스턴의 주속과를 안전하게 일치시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우며 따라서 캡스턴 표면에서 도체가 미끄러지게 되며 이것에 기인하여 도체 표면에 새로운 흠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선에 있어서는 다이 1개를 사용한 1회 잡아당기는 신선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신선에 관한 또 하나의 요점은 금속분을 포함하지 않는 윤활유를 도체에 도포하는 것에 있다.
신선다이(5)에 들어가기 전에는 신선다이와 도체와인 사이의 미끄러지는 것을 잘하기 위하여 윤활유 도포부(4)를 설치하여 항상 금속분을 포함하지 않는 윤활유가 도체(2)에 부착하게 되어 있다.
사용한 다음 윤활유는 순환시킨 경우에는 신선중에 발생하는 금속미분이 점차로 기름중에 축적되며 이때문에 신선할대 도체 표면에 흠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분을 포함하지 않는 윤활유를 도체(2)에 도포하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중요한 요소는 캡스턴의 재질에 있다.
도체를 끌어당기기 위한 캡스턴으로 특히 신선되어 끌어보내지는 도체가 접촉하는 부분의 경도가 문제로 된다.
도체보다도 단단한 경우에는 도체(7)과 캡스턴(6)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도체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분의 량이나 크기, 캡스턴 표면의 경도와 거칠음 정도에 기인하여 도체 표면에 재차 미소한 흠이나는 일이 있다.
한편 도체보다도 유연한 캡스턴을 사용하면 도체 표면에는 대부분 흠이 나지 않는 것이 실험에 의하여 환인되었다.
캡스턴의 재질로서는 신선하는 도체보다도 상대적으로 유연한 재질인것이면 여하한 물질로도 사용할 수 있다.
스티로올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6-나이론, 6, 6-나이론, 12-나이론, 폴리아세탈, 폴리카아보네트, 폴리슬폰, 페녹시수지,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규소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유리아수지, 불소수지 등의 일반용 플라스틱,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또 이들의 혼합물, 복합물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며 충전재가 들어간것도 사용할수 있다.
천연고무 각종 합성고무 예로 실리콘고무, 불소고무, 우레탄고무, 아크릴고무, 포리브타젠, 브타젠스티렌고무, 폴리프로펜, 폴리이소프틸렌, 아소브틸렌이소프렌고무등도 사용할수 있다.
이들의 플라스틱, 고무류를 직접 캡스턴의 형상으로 성형가공하여도 좋으며 다른 재료의 캡스턴의 표면, 특히 신선된 도체가 접촉하는 부분에 라이닝하는 형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종 금속도 신선하는 도체보다도 상대적으로 유연한 것이면 캡스턴의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당연히 캡스턴 표면은 가동실적과 동시에 마모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표면을 재차 연마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중요한 요소로서 도체 표면의 청정화를 포함하고 있다.
신선 다이스로 신선된 다음 도체(7)의 표면에는 신선에 사용한 윤활유가 반드시 남으며 또 도체로부터 발생하는 금속분도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금속분이나 윤활유라고한 부착물은 도체 표면의 흠을 제거한 것에 의하여 어느정도 적게할수는 있느나, 완전하게 없게 할수는 없고 이 소위 부착물이 절연전선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이들은 제거시키지 않고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면 압연 다음의 절연전선에 있어서 피막과 도체와의 사이에 있어서 접착의 나쁜 부분에 나타난다.
본 발명자들은 각종 도체 세척방법을 시험하여 온 바 그 세척효과에 있어서 전해세척이 간편하며 또한 표과가 큰 것을 알았다.
즉, 유기용제, 세척, 초음파세척, 알루카리세척, 산세척등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시켜서 세척하여도 전해세척 정도로 도체 표면을 청정하게 시킬수 없었다.
이 전해세척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도체 표면에 존재하는 윤활유와 금속분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피막과 도체와의 접착력은 대단히 개선되며 1회의 압연을 물론 2회이상의 복수회 압연에 있어서도 접착불량으로부터 초래하는 [피막이 뜨는]현상을 격감시킬 수 있었다.
전해세척에 있어서느 도체 표면의 전류 밀도가 문제로 되는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5㎃/㎟이상 있으며 거이 충분한 것이나 세척의 정도를 확인한 다음 전류밀도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은 물론할수 있다.
전해세척한 다음은 도체 표면의 전해액을 온수세척에 의하여 제거하고 그 다음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같이 하여 제조된 단면 둥근형의 절연전선을 압연할 때 피막이 갈라지는 것이나 피막이 뜨는 것을 일으키지 않고 또한 에지와이즈감을 때도 피막이 갈라지는 것을 일으키지 않는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순히 1회 압연에 의하는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예로 복수회 압연에 의하는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에 대하여도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예로 복수회 압연에 의하여 두께에 대하여 폭의 비율이 5를 넘으면 폭 넓이의 평각 절연전선을 제조하는 경우에 특히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절연피막은 도체 연화를 목적으로한 열처리에 견딜수있는 절연피막인 것이 필요한 것이며, 예로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포리에스테르아미드이미드. 폴리히단토인, 포리에스테르아미드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등의 단일피막 혹은 이들을 조합시킨 복합피막을 갖이는 내열 클라스가 200℃이상인 절연피막이 적용될 수 있다.
단, 최종제품의 평각 절연전선의 도체가 아직 연화하지 않은 상태로도 좋은 경우에는 전술한 절연피막에 한정되는 일 없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포르말, 에폭시수지등의 내열 클라스가 200℃미만인 것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비교예1]
지름 0.6mm의 구리도체에 폴리아미드이미드 절연도료를 베이킹하고 피막두께 0.015mm를 갖이는 절연전선을 제조하였다.
이 절연전선을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0.22×1.00mm의 평각 절연전선으로 하며 또한 로온도 450℃의 열연화로를 통하여 도체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을 지름 50mm의 맨드럴(man drel)에 에지와이즈 감기로 50터언 감아붙이고 약 50배의 확대경으로 피막의 갈라지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 JISC 3003를 토대로 하는 균일성 시험에 의하여 시료 30m상당의 결점수를 구하였다.
또, 파막이 뜨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비교예2]
지름 0.66mm의 구리도체를 탠댐방식으로 신선, 전해세척, 폴리아미드이미드 절연도료의 도포 베이킹을 행하여 피막두께 15㎛를 갖이는 폴리아미드이미드선을 제조하였다.
신선인때는 구멍지름 0.60mm의 다이스 1개를 사용하여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율 17.4%로 하며 세라믹스로된 캡스턴을 사용하였다.
다이스에 들어가기 진전에서 항상 신선한 윤활유를 구리도체에 부착시켜서 신선하였다.
전해세척으로는 인가 전압을 30V, 전해밀도 5.5㎃/㎟액으로서 NaHCO31%수용액을 사용하고 전해 세척 다음은 온수세척을 하고서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였다.
이 절연전선을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0.22×1.00mm의 평각 절연전선으로 하고 또한 로온도 450℃의연화로를 통하여 도체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을 지름 50mm의 맨트럴에 에지와이즈 감기로 50터언 감아붙이고 50배의 확대경으로 피막이 갈라지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 JISC 3003을 토대로 하는 균일시험에 의하여 시료 30m상당의 결점수를 구하였다.
또, 피막이 뜨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표1에 표시한다.
[비교예3]
지름 0.5mm의 알루미도체에 폴리이미드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한 피막두께 0.012mm를 갖이는 절연전선을 제조하였다.
이 절연전선을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0.12mm×0.8mm의 평각 절연전선으로 하고 또한 로온도 450℃의 열연화로를 통하여 도체 처리를 행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을 지름 50mm의 맨드렐에 에지와이즈 감기로 50터언 감아 붙이고 약 50배의 확대경으로 피막이 갈라지는 것의유무를 확인하였다.
또, JISC 3003을 토대로 하는 균일시험에 의하여 시료 30m상당의 결점수를 구하였다.
또, 피막이 뜨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표1에 표시한다.
[비교예4]
지름 0.54mm의 알루미도체를 탠댐방식으로 신선, 전해세척 폴리이미드 절연도료의 도포 베이킹을 행하여 피막두께 12㎛를 갖이는 폴리이미드선을 제조하였다.
신선인때는 구멍지름 0.50mm의 다이스 1개를 사용하여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율 14.3%로 하고 캡스턴으로서 스테인레스강으로 된것의 표면을 금속용상(金屬容射)(METCθ 444, Daiichi-Meto Co.)한 것을 사용 하였다.
다이스에 들어가는 직전에서 항상 신선한 윤활유를 알루미도체에 부착시켜서 신선하였다.
전해세척으로는 인가 전압을 30V, 전류밀도 5.5㎃/㎟로 전해액으로서 NaHCO 31%수용액을 사용하여 전해세척 다음은 온수세척하고서 절연도료를 도포 베이킹하였다.
이 절연전선을 압연하는 것에 의하여 0.21×0.86mm의 평각 절연전선으로 하고 또한 로온도 450℃의 연화로를 통하여 토체 처리를 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을 지름 50mm의 맨트럴에 에지와이즈 감기로 50터언 감아붙이고 50배의 확대경으로 피막이 갈라지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 JISC 3003을 토대로 하는 균일시험에 의하여 시료 30m상당의 결점수를 구하였다.
또, 피막이 뜨는 것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표1에 표시한다.
[비교예5]
이하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 4와 동일하다.
캡스턴으로서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것의 표면을 경질크롬 도금한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1에 표시한다.
[실시예]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 2와 동일하다.
신선인때 지름 0.62mm의 구리도체를 공급하고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율은 6.3%로 하였다.
캡스턴으로서 폴리 염화비닐로 된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2]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 2와 동일하다.
캡스턴으로서 강철로 된 것의 표면을 우레탄 고무라이닝한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3]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2와 동일하다.
캡스턴으로서 6.6-나이론으로 된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하였다.
[실시예4]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 2와 동일하다.
캡스턴으로서 에폭시 수지로 된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5]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 2와 동일하다.
캡스턴으로서 멜라인수지로 된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6]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 4와 동일하다.
캡스턴으로서 폴리 염화비닐로 된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7]
이하에 설명하는 이와는 전부 비교예 4와 동일하다.
신선할때 지름이 0.55mm의 알루미도체를 공급하고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울은 17.4%로 하였다.
캡스턴으로서 ABS수지로된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8]
이하에 설명하는 이와는 전부 비교예 4와 동일하다.
신선할때 지름이 0.55mm의 알루미도체를 공급하고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울은 17.4%로 하였다.
캡스턴으로서 강철로 된것의 표면을 실리콘 고무라이닝한 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실시예9]
이하에 설명하는 이외는 전부 비교예4와 동일하다.
신선할때 지름이 0.55mm의 알루미도체를 공급하고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울은 17.4%로 하였다.
캡스턴으로서 폴리아세탈로 된것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평각 절연전선의 특성을 표2에 표시한다.
비교예 1, 3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단면 둥근형의 절연전선을 만들고 나서 압연화시켜서 평각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막이 갈라지며 피막이 뜨는 것을 일으키고 있으며 균일성 시험결과는 각 110개 90개 결점수가 나와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1-9는 본 발명으로 되는 제조방법으로 만든 평각선이며 피막이 갈라지는 일, 피막이 뜨는일이 없이 균일성 시험결과의 결점수도 3-12개로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으며 좋은 결과로 되어있다.
비교예 2, 4, 5는 본 발명으로 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져 있는 것이 가능하나 신선인때 사용한 캡스턴의 재질이 도체의 재질보다도 단단하기 때문에 도체 표면에 미세한 흠이 많이 생기고 그 결과로서 평각선으로 한 도체에서 피막이 뜨는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피막이 갈라지는 일이 발생하며 균일성 시험결과의 결점수는 90-100개로 감소되지 않았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고품질의 특성을 가지는 평각 절연전선을 만드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단면 둥근형의 구리나 구리합금선, 알루미합금선을 탠댐(tendem)방식으로, 신선 전해세척이나, 절연도료의 도포 베이킹을 행하며 그후 압연을 1회이상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이스 1개외 캡스턴(capstan)(6)과를 사용하여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것에 의하여 도체 표면으로부터 3㎛이상의 도전표면 흠을 제거하며 또한 캡스턴(6)은 그 재질이 도체보다도 유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신선에 있어서는 다이스 1개와 갭스턴(6)과를 사용하여 앞으로 당겨 넘어뜨리는 것에 의하여 도체 표면으로부터 3㎛이상의 도체 표면상처를 제거하고 갭프턴(6)은 그 재질이 도체보다도 유연한 것을 사용하여 또한 신선할때 금속분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윤활유를 도체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간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KR1019840002070A 1983-05-11 1984-04-19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KR890003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82206 1983-05-11
JP82206 1983-05-11
JP58082206A JPS59207509A (ja) 1983-05-11 1983-05-11 平角絶縁電線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137A KR850000137A (ko) 1985-02-25
KR890003142B1 true KR890003142B1 (ko) 1989-08-23

Family

ID=1376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070A KR890003142B1 (ko) 1983-05-11 1984-04-19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552599A (ko)
JP (1) JPS59207509A (ko)
KR (1) KR890003142B1 (ko)
DE (1) DE3417541C2 (ko)
GB (1) GB2142260B (ko)
SG (1) SG63386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3528B1 (fr) * 1987-04-03 1989-06-09 Filotex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cable electrique souple a conducteur comprenant des fils fins d'aluminium ou alliage d'aluminium
JP2503380B2 (ja) * 1991-02-04 1996-06-05 日立電線株式会社 平角線の製造方法
US5301119A (en) * 1991-12-23 1994-04-05 Southwire Company Die draft optimizing system
US5432997A (en) * 1994-02-07 1995-07-18 Ni; Jian M. Method of making an elongated welding electrode
DE4435402A1 (de) * 1994-10-04 1996-04-11 Thyssen Draht Ag Verfahren zur Oberflächenbeschichtung von Profildrähten
KR100358499B1 (ko) * 2000-08-23 2002-10-30 엘지전선 주식회사 알루미늄 전선의 표면 세정장치
DE102006014790A1 (de) * 2006-03-29 2007-10-11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Getriebe mit Ausgleichsscheibe
US8256085B2 (en) * 2008-11-17 2012-09-04 Lincoln Glob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lassifying wire
MD4100C1 (ro) * 2009-09-24 2011-09-30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овы Procedeu de confecţionare a unui rezistor din conductor
MD4092C1 (ro) * 2009-09-24 2011-08-31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овы Instalaţie de turnare a microfirului
US20110079427A1 (en) * 2009-10-07 2011-04-07 Lakshmikant Suryakant Powale Insulated non-halogenated covered aluminum conductor and wire harness assembly
CN102148077B (zh) * 2010-12-18 2012-10-24 平湖迪工机械制造有限公司 电缆线芯矩形压型模架
CN104246914B (zh) * 2012-04-02 2017-07-07 住友电气工业株式会社 绝缘电线及其制造方法
CN104338775B (zh) * 2013-08-11 2016-10-12 天津市永强机械科技有限公司 气排钉原料丝自动化制造工艺
RU2551136C1 (ru) * 2013-12-25 2015-05-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Тольятти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ТГУ)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катушки
WO2015160326A1 (en) * 2014-04-14 2015-10-22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Wellbore line coating repair
US9572933B2 (en) * 2014-09-19 2017-02-21 Shawn Grannell Extravas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s
CN105206355B (zh) * 2015-07-24 2017-03-29 苏州市新的电工有限公司 铝芯漆包线的生产方法所使用的设备
CN111069312B (zh) * 2019-12-25 2022-03-29 江阴法尔胜泓昇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低磁奥氏体不锈钢平衡杆线的生产工艺
US20230400501A1 (en) * 2022-06-08 2023-12-14 Essex Furukawa Magnet Wire Us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efects in magnet wire ins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6948A (en) * 1954-05-06 1958-03-18 Western Electric Co Method of forming contact tapes
FR1557128A (ko) * 1967-12-28 1969-02-14
US3874076A (en) * 1971-03-26 1975-04-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oft metal sheaths for electrical wires
US3811311A (en) * 1972-04-07 1974-05-21 Anaconda Co Making flat copper-clad steel wire
US3886894A (en) * 1972-12-14 1975-06-03 M & B Metal Products Company Apparatus for cleaning and coating wire
JPS5359873A (en) * 1976-11-10 1978-05-30 Yasuma Nagaoka Method of manufacturing insulated wire
JPS5512620A (en) * 1978-07-11 1980-01-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ethdo of manufacturing insulated wire
FR2475426A1 (fr) * 1980-02-12 1981-08-14 Secim Procede de realisation de fils metalliques
US4439256A (en) * 1981-02-18 1984-03-27 New England Electric Wire Corporation Method of producing flat stranded magnetic conductor cable
JPS5818809A (ja) * 1981-07-24 1983-02-03 株式会社デンソー 耐過負荷絶縁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US4473716A (en) * 1981-11-12 1984-09-25 New England Electric Wire Corporation Compacted fine wire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17541C2 (de) 1986-06-19
SG63386G (en) 1987-03-27
GB2142260A (en) 1985-01-16
US4552599A (en) 1985-11-12
JPS59207509A (ja) 1984-11-24
GB8411867D0 (en) 1984-06-13
DE3417541A1 (de) 1984-11-15
KR850000137A (ko) 1985-02-25
GB2142260B (en) 1986-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142B1 (ko) 평각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US2802897A (en)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US4571453A (en) Conductor for an electrical power cable
JP2010140641A (ja) 絶縁電線の製造方法
JP2007179983A (ja) 被覆鋼線の製造方法
US10991487B2 (en) Cable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JP2005149892A (ja) 金属メッキによるシールド導体を有する細径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52565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sulated foil conductor
EP0354132B1 (fr) Procédé d'émaillage en continu de fils en alliage d'aluminium destinés à la confection de bobinages électriques
JPS5928530A (ja) エナメル線の製造方法
US2122463A (en) Method of enameling wire
JP2015230773A (ja) 絶縁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40125B1 (ko) 중합체-코팅된 와이어
JPH04313440A (ja) めっき平角線の製造方法
JP6149767B2 (ja) 導体線加工ダ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エナメル線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3517347B2 (ja) 銅被覆鋼線の製造方法
CN115938691A (zh) 一种具有耐腐蚀陶瓷膜层架空线的制备方法
JP7301930B2 (ja) エナメル線
JP2019040672A (ja) エナメル線およびエナメル線の製造方法
US3235472A (en) Method of making strip electrical coils
KR840001444B1 (ko)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CN116313314A (zh) 一种漆包扁线及其制备方法
JPS6230866A (ja) 被覆鋼線の製造方法
JPS61284416A (ja) Pc鋼より線のアンボンド加工方法
JP2022142261A (ja) 絶縁電線、絶縁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絶縁電線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