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661B1 - 공기 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661B1
KR890002661B1 KR1019840004292A KR840004292A KR890002661B1 KR 890002661 B1 KR890002661 B1 KR 890002661B1 KR 1019840004292 A KR1019840004292 A KR 1019840004292A KR 840004292 A KR840004292 A KR 840004292A KR 890002661 B1 KR890002661 B1 KR 89000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ing
room
cooling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406A (ko
Inventor
마사오 우에마쓰
야스오 아사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5000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 조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공기 조화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제2도는 건물에 공기 조화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동일하게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응축기
3 : 증발기 2a : 응축측 송풍기
3a : 증발측 송충기 7 : 의기 도입구
16, 20 : 의기 배출구 13 : 가열측 흡입구
15 : 가열측 취출구 17 : 냉각층 흡입구
19 : 냉각측 취출구
13a, 14a, 15a, 16a, 17a, 18a, 19a, 20a : 담퍼
21 : 건물 22 : 천정면
23 : 바닥면
본 발명은 2층 이상의 건물의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는 공기 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빌딩등에 설치되는 업무용의 대형 공기 조화장치는, 설치공간을 가능한 한 적게하기 위해, 천정에 매어다는 형태이거나, 천정에 매입하는 형태로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공기 조화장치에 있어서도 공기 취출구가 천정면 또는 천정근처에 있기 때문에, 냉방 운전시에는 온도분포가 좋으나 난방 운전시에는 난기가 천정근처에 체류하고, 바닥면 근처에까지 그 난기가 고루 분포되지 않는 불합리한 접이 있다. 그러므로, 난방운전시에는 취출루버를 하향으로 하거나, 취출풍속을 올리는 방법을 행하고 있으나, 이 경우 실내의 사람에게 직접 난기가 닿아서 불쾌감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 운전시에는 천정면에서 취출하고, 난방 운전시에는 바닥면에서 취출할 수 있게하여, 실내 온도분포를 향상할 수 있는 공기 조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본체를 빌딩과 같은 건물의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하고, 응축용 열교환기의 취출구와 흡입구를 상기 바닥면에 설치하고, 증발용 열교환기의 취출구와 흡입구를 상기 천정면에 설치하여서, 냉방 운전시는 천정면에서, 난방운전시는 바닥면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표시하는 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공기 조화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1)은 공기 조화기의 본체를 나타낸다. 이 본체(1)내의 한쪽에는 응축용 열교환기(2)(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단순히 응축기라 칭한다)가, 다른쪽에는 증발용 열교환기(이하 단순히 증발기라 칭한다)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응축기(2)와 증발기(3)는 도시않는 압축기 및 교축장치와 배관 접속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내에는 간막이(4)에 의하여, 응축기(2)를 설치한 가열측(5)과 증발기(3)를 설치한 냉각측(6)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간막이(4)에는 의기 도입구(7)가 설치되어, 의기를 상기 가열측(6)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 의기 도입구(7)에는 주도입구(9a), (9b)와 환기용 도입구(10a), (10b)로 구분되어 있어, 각기 의기도입 댐퍼(11a), (11b), 환기용 의기도입 댐퍼(12a), (12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가열측(5)의 본체(1)의 상부에는 가열측 흡입구(13)가, 하부에는 가열측 환기구(14)가 설치되고, 이들은 응축기(2)의 풍로상 1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풍로상 2차측에 있어서의 본체(1)의 상부에는 가열측 취출구(15)가, 측부에는 의기 배출구(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측 흡입구(13), 가열측 환기구(14), 가열측 취출구(15) 및 의기 배출구(16)에는 각기 댐퍼(13a), (14a), (15a), (16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냉각측(6)의 본체(1)의 하부에는 냉각측 흡입구(17)가, 상부에는 냉각측 환기구(18)가 설치되고, 이들은 증발기(3)의 풍로상 1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풍로상 2차측에 있어서의 본체(1)의 하부에는 냉각측 취출구(19)가, 측부에는 의기 배출구(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측 흡입구(17), 냉각측 환기구(18), 냉각측 취출구(19) 및 의기 배출구(20)에는 각기 댐퍼(17a), (18a), (19a), (20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매입형 공기 조화장치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빌딩들의 건물(21)의 각층을 간막이하는 공간부, 즉 천정면(22)과 바닥면(23)사이의 공간(24)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천정면(22)에는 가열측 환기구(14), 냉각측 흡입구(17) 및 냉각측 취출구(19)가 개구하고 있다. 또, 바닥면(23)에는 가열측 흡입구(13), 가열측 취출구(15) 및 냉각층 환기구(18)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의기 도입구(7)는 송풍닥트(25)를 개재하여 옥외와 연통하고 있다. 또, 상기 의기 배출구(16), (20)는 배기 닥트(26)(27)을 개재하여서 옥외와 연통하고 있다.
다음에,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하여서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제3도는, A실을 냉방, B실을 냉방+환기(1), C실을 냉방+환기(2)하는 경우이며, 제4도는 A실을 난방, B실을 난방+환기(1), C실을 난방+환기(2)하는 경우로써, 이와같이 냉방 및 난방을 하도록 화살표방향으로 냉난방 공기 및 환기공기가 개통할 때 각각의 닥트의 개, 폐 위치를 표1에 표시한다.
[표 1]
Figure kpo00001
(A실 냉방운전)
응축용 의기는 송풍닥트(25)에서 의기 도입구(7)를 통하여서 본체(1)내에 들어가고, 응축기(2)를 통하여서 열교환한 후, 의기 배출구(16) 및 배기닥트(26)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한편, 냉방용 공기는 A실에서 냉각측 흡입구(17)를 통애 본체(1)내에 들어가고, 증발기(3)를 통하여 열교환되어 냉각된후, 냉각측 취출구(19)에서 A실로 취출된다.
(B실 냉방+환기(1))
응축용 의기 및 공기의 흐름은 A실 냉방운전과 동일하며, 환기만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우선, 환기용 의기는 의기 도입구(7)에서 환기용 의기도입 댐퍼(12a)를 통하여서 냉각측(6)에 들어가고 증발기(3)에서 냉각되어서, 냉각측 취출구(19)에서 B실로 취출된다. 실내용기의 일부는 가열측(5) 환기구(14)에서 응축기(2)를 통하고 응축용 의기와 더불어 배출구(16)를 통해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예는 환기에 있어서 공조하는 방에 의기를 도입하고, 그 방의 공기를 옥외로 배출하는 예이다.
(C실 냉방+환기(2))
응축용 의기 및 공기의 흐름은 상술의 경우와 동일하며, 환기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환기용 의기는 의기 도입구(7)에서 환기용 의기도입 댐퍼(12a)부를 통하여서 냉각측(6)으로 들어가고 증발기(3)에서 냉각되어, 냉각측 취출구(19)에서 실내로 들어간다. 실내공기의 배기는 공조기를 설치한 천정면(22)의 상측층의 B실에서 취입되어 가열측 흡입구(13) 및 응축기(2)를 통하여 응축용 의기와 더불어 옥외로 배출된다. 이때의 가열측 흡입댐퍼(13a)는 옥외에서 취입된 신선한 공기량 만큼만 실내공기를 배출하도록 조절된량 만큼만 열도록 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환기에 있어서, 의기의 도입은 설치한 층의 공조기로 행하고, 배기는 하측층에 설치한 공조기로 행하는 것으로 된다.
제4도에 표시하는 것은 A실을 난방, B실을 난방+환기(1), C실을 난방+환기(2)하는 경우이다.
(A실 난방운전)
증발용 의기는, 송풍닥트(25)를 통하여서 의기 도입구(7)에서 본체(1)내로 들어가고, 증발기(3)를 통하여 열교환한 후, 의기 배출구(20) 및 송풍닥트(27)를 개재하여서 옥외로 배출된다. 난방용 공기는 A실에서 가열측 흡입구(13)를 통하여서 본체(1)내로 들어가고, 응축기(2)를 통하여서 가열한후, 가열측 취출구(15)에서 동일하게 A실로 취출된다.
(B실 난방+환기(1))
증발용 의기 및 난방용 공기의 흐름은 A실 난방과 동일하여, 환기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환기용 의기는 의기 도입구(7)에서 환기용 의기도입 댐퍼(12b)를 통하여서 가열측(5)으로 들어가고, 응축기(2)에서 가열되어, 가열측 취출구(15)에서 B실로 취출된다. B실의 공기의 일부는 냉각측 환기구(18)에서 증발기(3)를 통하여 증발용 의기와 더불어 옥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 예는 환기에 있어서, 공조하는 B실로 의기를 도입하고, 그 방의 공기를 옥외로 배출하는 예이다.
(C실 난방+환기(2))
증발용 공기 및 난방용 공기의 흐름은 상술의 바와 같으며 환기에 대하여서 설명한다. 환기용 의기는 의기 도입구(7)에서 환기용 의기도입 댐퍼(12b)를 통하여서 가열측(5)으로 들어가고, 응축기(2)로 가열되어서 가열측 취출구(15)에서 C실로 취출된다. 실내공기의 배기는 하측의 방의 공기를 냉각측 흡입구(17)에서 취입하고, 증발기(3)를 통하여서 증발용 의기와 더불어 옥외로 배출된다. 이때의 가열측 흡입댐퍼(17a)는 옥외에서 취입된 신선한 공기량분만 실내공기로 배출하도록 조절된 분만 열도록 한다. 이 예에서는 환기에 있어서, 의기의 도입은 하측층에 설치한 공조기로 행하고, 배기는 그 층에 천정내의 공조기로 행하는 것으로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의기 냉방의 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냉동사이클은 운전하지 않고, 응축측 송풍기(2a)와 증발측 송풍기(3a)만의 운전으로 된다. 중간기의 저온의 옥외 공기를 송풍닥트(25)를 개재하여서 의기 도입구(7)에 넣고, 의기도입 댐퍼(11a)를 통하여서 증발측 송풍기(3a)에 의해 냉각측 취출구(19)에서 실내로 취출하여서 실내를 냉각한다. 배기는 천정면(22)의 가열측 환기구(14)와 바닥면(23)의 가열측 흡입구(13)에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응축측 송풍기(2a)에 의해 의기 배출구(20)에서 배기닥트(27)를 개재하여서 옥외로 배출한다.
또한, 냉방+환기(1), 난방+환기(1)의 경우는 실내에서 배기하는 공기를 열교환기를 통하여서 열회수가 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냉방+환기(2), 난방+환기(2)로서의 환기의 경우, 냉방의 경우는 바닥면에서 필요이상으로 온도가 내려간 공기를 배출하므로 실내의 온도분포가 양호함과 더불어 열회수 효과가 크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방시에는 천정에서 냥기를 취출하고, 난방시는 바닥면에서 난기를 취출할 수가 있으므로 실내의 온도분포가 양호해지고, 쾌적한 공기 조화가 된다. 또 냉방 전용기로 냉방과 난방이 가능하게 되며, 또 천정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실내에 설치하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물의 천정면(22)과 바닥면(23)사이에 설치한 공기 조화기의 본체(1)에 응축용 열교환기(2), 증발용 열교환기(3) 및 응축측 송풍기(2a), 증발측 송풍기(3a)를 설치하고,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2) 및 증발용 열교환기(3)에 의기 도입구(7) 및 배출구(16, 20)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응축용 열교환기(2)의 취출구(15)와 흡입구(13)를 상기 바닥면(23)에 설치하고, 증발용 열교환기(3)의 취출구(19)와 흡입구(17)를 상기 천정면(22)에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취출구(15, 19), 흡입구(13, 17)에 댐퍼(15a, 13a, 19a, 17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장치.
KR1019840004292A 1983-07-20 1984-07-20 공기 조화장치 KR890002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132626 1983-07-20
JP58132626A JPS6023736A (ja) 1983-07-20 1983-07-20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406A KR850001406A (ko) 1985-03-18
KR890002661B1 true KR890002661B1 (ko) 1989-07-22

Family

ID=1508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4292A KR890002661B1 (ko) 1983-07-20 1984-07-20 공기 조화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86300A (ko)
JP (1) JPS6023736A (ko)
KR (1) KR890002661B1 (ko)
AU (1) AU548454B2 (ko)
GB (1) GB21439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1933B (de) * 1986-08-14 1990-12-27 Altexa Lueftungstechnische Anl Klima- und lueftungsgeraet zum einbau in eine wand, fenster oder dergleichen
JP2637460B2 (ja) * 1988-03-31 1997-08-06 株式会社クボタ 排水管装置
DE4017847A1 (de) * 1990-06-02 1991-12-05 Kurt Dipl Ing Karl Abgehaengte decke
US5154666A (en) * 1990-09-17 1992-10-13 Daniel Wapner Air exchange system for use in multi-story building
JP2644425B2 (ja) * 1993-04-07 1997-08-25 リンナイ株式会社 包装箱の内装部材
US5987908A (en) * 1997-09-25 1999-11-23 Floratech Industries Self-contained air conditioner with discharge-air filter
US5901566A (en) * 1997-11-20 1999-05-11 Consolidated Technology Corp. Heat pump
US6557624B1 (en) * 2000-08-09 2003-05-06 Liebert Corporation 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a room
JP4807559B2 (ja) * 2005-09-29 2011-11-02 日本精機株式会社 残燃料表示装置
JP4840207B2 (ja) * 2006-07-12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8568A (en) * 1951-01-02 1955-05-17 Buensod Stacey Inc Air conditioning system
US2896428A (en) * 1954-12-03 1959-07-28 Clyde R Pat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GB1587520A (en) * 1977-12-30 1981-04-08 Mckirdy I D Temperature control systems
US4203302A (en) * 1978-07-14 1980-05-20 The Laitram Corporation Floor mounted air conditioner
JPS607239B2 (ja) * 1978-09-08 1985-02-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高速炉冷却用のナトリウム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3612B2 (ko) 1992-03-10
AU548454B2 (en) 1985-12-12
GB2143942A (en) 1985-02-20
KR850001406A (ko) 1985-03-18
JPS6023736A (ja) 1985-02-06
GB8418283D0 (en) 1984-08-22
US4786300A (en) 1988-11-22
GB2143942B (en) 1987-03-11
AU3059284A (en) 198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565593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JPS6356450B2 (ko)
KR890002661B1 (ko) 공기 조화장치
JP2730351B2 (ja) 空気調和機
JPH07158899A (ja)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装置
JP5423790B2 (ja) 浴室換気空調装置
JP2658597B2 (ja) 空気調和装置
US20210108805A1 (en) Air conditioner ventil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ventilation method
JP2867648B2 (ja) 空気調和装置
JPH06341676A (ja) 空気調和装置
JPH05141699A (ja) 熱交換気空調ユニツト
JPH0650185B2 (ja) 熱交換気空調システム
JPS6222940A (ja) 天井内設置型換気兼用冷暖房装置
KR100546658B1 (ko) 공조시스템
KR20030030473A (ko) 환기 겸용 에어컨
JPH04257636A (ja) 空気調和装置
JPS5916746Y2 (ja) 空気調和装置
JPH0123059Y2 (ko)
JPH1137513A (ja) 空気調和機
JPH07225034A (ja) 新鮮空気の供給による下吹出空調方式
JPS62268943A (ja) 空気調和機
JPH06159725A (ja) エアーコンディショ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