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462Y1 - 관통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관통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462Y1
KR890002462Y1 KR2019860011719U KR860011719U KR890002462Y1 KR 890002462 Y1 KR890002462 Y1 KR 890002462Y1 KR 2019860011719 U KR2019860011719 U KR 2019860011719U KR 860011719 U KR860011719 U KR 860011719U KR 890002462 Y1 KR890002462 Y1 KR 890002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loor
elevator
door
shaft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1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577U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1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462Y1/ko
Publication of KR8800045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5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통형 엘리베이터
제1도는 통상의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관통형 엘리베이터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엘리베이터의 저면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케이지를 승강로에 설치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케이지를 회전시켜 케이지도어를 후면 출입구쪽으로 위치되게한 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상태에서 케이지를 역회전시켜 케이지 도어가 전면 출입구쪽으로 위치되게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지 2 : 케이지도어
12 : 하부베이스 16 : 안내레일
17 : 로울러 18 : 도어개폐장치
19 : 종동축 스프로켓 20 : 구동모우터
23, 24 : 체크스위치 25 : 캠
본 고안은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출입문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케이지를 회전 구동식으로 형성하여 구조의 간단화와 탑승객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의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케이지내에 출입문이 전면과 후면으로 구분되어 2개소의 출입문을 설치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관통형 엘리베이터 구성을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고 있으며, 관통형 엘리베이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도 케이지(1)에는 전면 및 후면의 케이지도어(2)(3)를 각각 구비하고 양쪽 케이지도어(2)(3)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각각 도어개폐구동장치(4)(5)도 개별적으로 설치하며, 승객의 엘리베이터 운전을 용이하게하기 위해서 전면 및 후면 출입구의 근접 위치에 메인 운전반(6) 및 서브(S UB)운전반(7)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서어비스 영역을 전면과 후면으로 양분하고 케이지내의 조작반상의 부름이나 승강장의 호출버튼의 부름을 전면층과 후면층으로 구분해서 전면층의 서어비스 부름에 대해서는 전면용 케이지도어(2)가 동작해서 출입구를 개방하고, 후면층의 서어비스 부품에 대해서는 후면용 케이지도어(3)가 동작해서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승객의 안전을 위해 동일층에서 전면 및 후면 도어를 동시에 개방하지 못하도록 제어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1층에서 승객이 2명 탑승한후 1명은 전면 3층 버튼을 눌러주고, 다른 1명은 후면 3층 버튼을 눌렀을 경우, 엘리베이터는 일단 3층에 정지하여 먼저 전면도어를 개방하여 승객이 하차하게한 후 전면 도어 닫히면 비로소 후면도어가 개방되어 나머지 승객 1명이 후면출입구를 통해서 하차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 방식의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많은 안전상의 취약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케이지내에 출입구가 양쪽으로 2개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승객이 케이지내에 탑승하고나서 목적층까지 운행하는 도중에 다른층의 승강장에서 케이즈 호출등록을 하였을 경우, 엘리베이터는 일단 호출층에서 정지하게되고 이와동시 전면 또는 후면의 케이지도어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승객의 입장에서는 항상 전, 후의 출입문에 대해서 신경을 써야하며 승객의 출입이나 하차 동작이 번잡하고 승객간에 출입과정에서 부딪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케이지내의 혼잡에 의해 하차할 목적층의 방향감각(전면, 후면)을 잃게되어 목적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잘못하차하는 사례도 있었다.
또한 승객은 전면 및 후면의 출입구 유무를 각층별로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만약 전면 출입구(1층)에서 승객이 탑승하여 전면 3층에서 하차할 목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운전시킨후 무의식중에 반대쪽인 후면 케이지도어에 기대어서 있을수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후면쪽 2층에서 다른손님이 버튼을 눌러놓았다면 엘리베이터는 일단 2층에서 정지하면서 후면도어가 열리게되는바, 이때 케이지내측에서 기대어서있던 승객은 이를 예측할수 없기 때문에 도어가 열림과 동시 중심을 잃어후면 2층 승강장 쪽으로 전도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불안전한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모두 케이지의 양쪽으로 출입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되므로 본 고안은 승강장의 출입구는 전, 후로 되어있어도 케이지의 출입도어는 단 한개만을 설치하고 그 대신 케이지를 180˚회전구동식으로 형성하므로서 승객이 전면으로 승, 하차할때는 케이지가 회전하여 전면 출입구쪽에 케이지도어가 정지함과 동시 열려지게하고 후면으로 승, 하차할때는 케이지가 다시 회전하여 후면 출입구쪽에서 케이지도어가 열리게 한것으로서 혼란없이 안전하게 하나의 출입구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층마다 전면출입구(9)와 후면출입구(10)가 형성된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8)에 있어서 케이지(1)를 상하단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1개소의 케이지도어(11)만을 형성하고 케이지(1)가 안착되는 사각형 하부케이스(12)는 상부베이스(13)와 여러개의 지주(14)로 결속시켜 사각틀체를 형성한 후 상부에 로우프(15)를 연결시키므로서 사각틀체가 직접 승강작동되게 한다.
이러한 사각틀체의 하부베이스(12)에는 링형 안내레일(16)을 착설하고 케이지(1)하단에는 다수의 로울러(17)를 착설하여 링형 안내레일(16)에 로울러(17)가 안착된 상태로 있게하므로서 케이지(1)가 안내레일(16)위에서 180˚회전될수 있게 한다.
이러한 회전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케이지(1)상부에 도어개폐장치(18)를 장착하여 케이지(1)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케이지(1)에 회전 동력을 전달받기위해서 케이지(1)하부 중앙에 종동축 스프로켓(19)을 고정시키고 하부베이스(12)에 착설된 구동모우터(20)의 구동축 스프로켓(21)과 체인(22)으로 연결시켜주므로서 구동모우터(20)가 종동축 스프로켓(19)을 회전시킴에 의해 케이지(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지(1)의 180˚회전 동작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케이지(1)가 180˚회전하였을때 정지시키는 지시를 얻을 수 있도록 하부 베이스(12)양쪽에 전면측 정지위치 체크스위치(23)와 후면측 정지위치 체크스위치(24)를 설치하고 종동축 스프로켓(19)저면에는 캠(25)을 착설하여 180˚회전시마다 캠(25)이 양쪽 스위치(23)(24)를 작동시켜 케이지(1)를 정지시킬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권상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운전반(6)에는 버튼 배열이 각층마다 전면측과 후면측으로 양분되어 있으므로 승객은 해당 목적층의 버튼을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일단 승객이 케이지(1)내에 탑승하여 목적하는 해당층의 출구 방향이 탑승한 위치와 동일방향일 경우 즉, 예를들면 1층의 전면출입구(9)에서 탑승한 상태에서 목적층이 3층의 전면 일 경우에는 케이지(1)가 회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직상하여 3층전면 출입구에서 하차하게 된다.
그러나 1층의 전면출입구(9)에서 탑승하여 3층의 후면출입구(10)에서 하차할때에는 운전반(6)의 3층후면 버튼을 눌러야 하고 그렇게되면 엘리베이터는 일단 3층에 도착함과 동시케이지(1)가 반대쪽으로 180˚회전하게되고 뒤따라서 케이지(1)상부의 도어개폐장치(18)가 작동하여 케이지도어(11)가 열리게되므로 승객은 후면 출입구(10)로 하차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케이지(1)회전작동을 설명한다.
일단 승객이 케이지(1)내에 탑승하여 반대쪽으로 하차할 목적이라면 해당층, 해당방향의 버튼을 눌러주면 케이지도어(11)가 닫히고 기계실의 권상기(26)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상승작동되며(이때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작동은 기존엘리베이터 방식 그대로 설치된 것이기 때문임)이와동시 하부베이스(12)에 설치된 구동모우터(20)가 회전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구동축스프로켓(21)이 체인(22)을 통해 종동축스프로켓(19)을 회전시킴에 의해 케이지(1)전체(도어개폐장치포함)가 하부베이스(12)에 설치된 안내레일(16)을 따라서 회전동작을 하게되고, 상승하는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달될 시점과 거의 일치되게 케이지(1)의 회전작동이 180˚지점에 이르렀을 때 종동축 스프로켓(19)의 캠(25)이 하부 베이스(12)에 설치된 스위치의 접점을 동작시켜 구동모우터(20)의 전원을 차단시키므로서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착함과 동시에 케이지(1)는 180˚이 회전동작이 완료되며 그 즉시 케이지도어(11)가 열리고 목적층의 출구로 승객이 하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일단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착한 상태에서부터 케이지(1)가 회전작동을 개시하게되면 약간의 시간(5-10초)이 소요되기 때문에 운전시간이 그만큼 증가하게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승강작동에 필요한 운행거리(시간)와 케이지(1)회전시간이 동일하면 가장 이상적이나, 만일 1개층운행에 대해 케이지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면 케이지내의 승객에게 위압감을 줄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2개층운행시간과 케이지 회전시간이 동일하도록 세트 시키는 것이 좋다.
즉, 1개층 운행시는 엘리베이터의 운행과 동시에 케이지는 회전하되 일단 목적층에 도착하여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후에 케이지 회전이 완료되도록하고, 3개층 이상 운행시에는 운행도중에 케이지는 회전동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건물의 사정에 따라 케이지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된 본 고안은 전면과 후면의 출입구를 가진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하나의 도어만 구비된 케이지(1)를 회전식으로 설치하여 해당 버튼만 눌러주면 언제고 목적방향으로 케이지가 회전하여 도어가 열리게 하므로서 종래 케이지도어가 양쪽 2개소에 설치되므로해서 도어개폐장치 및 케이지도어, 운전반 등이 2개소에서 1개소설치로 축설되므로 제작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도 있으며 전기적인 제어회로도 간단히 구성될 수 있고 탑승객이 많아 혼잡하여도 충돌하거나 출구방향을 혼동할 위험성도 없게 된다.
또한 승객이 케이지내에 탑승하여 도어쪽만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 기대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전, 후 양쪽문에 기대어 있다가 예기치못하게 도어가 열려 전도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해소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층마다 전면출입구(9)와 후면출입구(10)가 형성된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승강로(8)에 있어서 케이지(1)를 상하단이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1개소의 케이지도어(11)만을 형성하고 케이지(1)가 안착되는 사각형 하부케이스(12)는 상부 베이스(13)와 여러개의 지주(14)로 결속시켜 사각틀체를 형성한 후 상부에 로우프(15)를 연결시키며 하부베이스(12)에는 횡형안내레일(16)을 착설하고 케이지(1)하단에는 다수의 로울러(17)를 착설하여 링형안내레일(16)에 로울러(17)가 안착된 상태로 회전될수 있게하며 케이지(1)상부에 도어개폐장치(18)를 장착하여 케이지(1)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고 케이지(1)하부 중앙에 종동축 스프로켓(19)을 고정시켜 하부 베이스(12)에 착설된 구동모우터(20)의 구동축 스프로켓(21)과 체인(22)으로 연결시키고 하부 베이스(12)양쪽에 전면측 정지위치 체크스위치(23)와 후면측 정지위치 체크스위치(24)를 설치하여 종동축 스프로켓(19)저면의 캠(25)이 양쪽 스위치(2 3)(24)를 작동시켜 케이지(1)를 정지시킬수 있게한 관통형 엘리베이터.
KR2019860011719U 1986-08-04 1986-08-04 관통형 엘리베이터 KR8900024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719U KR890002462Y1 (ko) 1986-08-04 1986-08-04 관통형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1719U KR890002462Y1 (ko) 1986-08-04 1986-08-04 관통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577U KR880004577U (ko) 1988-05-10
KR890002462Y1 true KR890002462Y1 (ko) 1989-04-22

Family

ID=1925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1719U KR890002462Y1 (ko) 1986-08-04 1986-08-04 관통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4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577U (ko) 198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35623T5 (es) Disposicion en un hueco de la pared de un pozo de ascensor.
US4287967A (en) Self-supporting and self-contained elevator
EP3484807B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CN100542933C (zh) 电梯的层门解锁装置
JP3363711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4190626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EP0020825A1 (en)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loads from one level to another
KR890002462Y1 (ko) 관통형 엘리베이터
JP466102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点検方法
US4645037A (en) Elevator escape structure
JP6703767B2 (ja) エレベータ
JPS62230587A (ja) エレベ−タ装置
JP4212736B2 (ja) エレベータ
KR940002173Y1 (ko) 승강기의 브레이크 장치
KR970004191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객 추락 방지장치
JP2505282B2 (ja) 斜行エレベ―タの昇降路内の換気装置
JP4266465B2 (ja) エレベータ
KR0130367Y1 (ko) 아파트 현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콜스위치
JP343010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1016763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KR19980020171U (ko) 엘리베이터용 승장도어의 잠금장치
JPH0920485A (ja) 群管理エレベーター
KR10033635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장착장치
JPH0720818B2 (ja) エレベータの乗客避難装置
KR870000467Y1 (ko) 엘리베이터 운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