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94B1 -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94B1
KR890001994B1 KR1019850008242A KR850008242A KR890001994B1 KR 890001994 B1 KR890001994 B1 KR 890001994B1 KR 1019850008242 A KR1019850008242 A KR 1019850008242A KR 850008242 A KR850008242 A KR 850008242A KR 890001994 B1 KR890001994 B1 KR 890001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ear
roller
discharge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962A (ko
Inventor
기요시 하시모도
미쯔오 야마시다
기요시 도미모리
신지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도오시바지도우기기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야수오까 수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도오시바지도우기기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야수오까 수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5/00Overturning articles
    • B65H15/004Overturning articles employing 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3Modifying, selecting, changing orientation
    • B65H2301/333Inverting
    • B65H2301/3332Tri-roller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Pile Receiver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제1도는 화상형성장치의 일예인 레이저프린터의 개략단면도.
제2도는 레이저프린터의 구동메카니즘의 개략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용지반전장치의 개략단면도.
제4(a)도, 제4(b)도는 각각 용지반전장치의 게이트 구동메카니즘의 개략단면도.
제5도는 가요성가이드의 구성과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놓은 단면도.
제6도는 가요성가이드의 배치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중간트레이로 부터의 용지가 낙하되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설명도.
제8도는 용지반전장치의 구동전달계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9도는 용지반전장치의 구동입력 전달부의 개략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구동입력 전달부의 평면도.
제11도는 배출기어가 가동기에 가하는 압접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설명도.
제12도는 11도에서의 압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배출기어, 가동기어, 입력기어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개략설명도.
제13(a)도,제13(b)도는 각각 반전검지 스위치의 ON, OFF상태를 나타낸 개략설명도.
제14도는 프린터의 배출계통 구동모우터의 구동제어 블록선도.
제15도는 제14도의 CPU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아트.
제16도는 종래의 배출계통 구동모우터의 제어를 나타낸 플로우챠아트.
제17(a)도, 제17(b)도는 각각 용지반전장치의 하우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
제18도는 레이저프린터와 분류기의 장착을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19도는 레이저프린터에 용지반전장치 및 분류기가 연결장착시켜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지반전장치 2 : 제1반송통로
3 : 제2반송통로 4 : 게이트
5 : 제1가이드판 6 : 제2가이드판
7 : 제3가이드판 8 : 제5가이드판
9 : 제6가이드판 10 : 반전기구
11 : 구동로울러 11A : 회전축
12 : 제1종동로울러 13 : 제2종동로울러
14 : 제4가이드판 15 : 중간트레이
30,112 : 부착부재 31,41,111 : 후크부
35,341 : 걸림축 36 : 프레임
37,344 : 설치부 40 : 용지배출트레이
42 : 걸림계단면 51 : 레버
52 : 미끄럼이동판 52A,52B,52C : 장공
53 : 제1링크 54 : 제2링크
55 : 구동편 56 : 지지부재
60 : 가용성가이드 70 : 입력기어
71 : 가동기어 72 : 구동로울러기어
73 : 용지배출로울러기어 74,75,76,77 : 중간기어
78 : 미끄럼이동판 79 : 지지스프링
80 : 상부프레임 81 : 고정판
81A : 지지축 82 : 고정판
100 : 분류기 104,335 : 용지배출로울러
105 : 가이드프레임 106 : 슬라이더
300 : 프린터 301 : 감광체드럼
302,303 : 제전램프 304 : 대전차아저
305 : 전사차아저 306 : 박리차아저
307 : 현상기 308 : 자기로울러
309 : 자동토너 측정기 310 : 크리닝블레이드
311 : 레이저주사장치 312 : 다각미러
313 : 주사모우터 314 : 렌즈
315,316 : 반사미러 317 : 상단카세트
318 : 상단급지로울러 319 : 상단종이무 검출스위치
320 : 상단카세트사이즈 검출스위치 321 : 하단측급지카세트
323 : 하단용지무 검출스위치 324 : 하단카세트사이즈 검출스위치
325 : 수동공급 수위치 326 : 수동가이드
327 : 수동용급지로울러 328 : 수동정지 스위치
329 : 레지스터로울러 330 : 반송벨트
331 : 정착기 332 : 정착용 로울러
333 : 히터램프 334 : 서미스터
336 : 용지배출 스위치 337 : 냉각팬
340 : 인쇄회로기판 유니트 342 : 프레임판
350 : 드럼모우터 351 : 공급모우터
352 : 급지구동기어장치 353 :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
354 : 기어계 355 : 배출기어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출 끝쪽부위에 장차되는 용지반전장치(用紙反轉裝置)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라던가 전자프린터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급지카세트로 부터 공급되어지는 용지가 본체로 공급되어 화상형성부에서 용지의 일면에 화상이 형성시켜진 다음, 용지배출트레이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류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위로 배출되는 용지가 화상형성면을 위쪽으로 해서 쌓여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형상이 잘되어졌는지를 즉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편리하나, 화상형성면을 위로 향하고 있는 여러장의 순차적으로 쌓이게 되어 복사순서와는 역순으로 쌓이게 되므로서, 나중에 페이지를 맞출때 다시 쌓여진 용지의 순서를 바꿔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특히 여러장의 복사된 용지를 화일하는 작업이 커다란 부담으로 되고, 그 때문에 화상형상장치의 배출단쪽부위에다 복사되어진 용지의 화상형성면을 반전시키는 용지반전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즉, 종래의 용지반전장치는 용지의 반전동작에 필요한 각 로울러의 구동 및 용지배출로울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동력원이 갖춰져야만 하기 때문에, 용지반전장치가 불가피하게 대형으로 되었을 뿐 아니라 중량이 무거워지게 되게, 또 화성형성장치에 장착시키는 것이 극히 번잡스러웠다. 이에 대해 용지반전장치 자체에는 구동동력원을 갖춰놓지 않고 화상형성장치로 부터의 구동력으로 반전시켜지도록 하면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촉진될 수는 있다.
그러나 수요자의 선택사양인 용지반전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시켜야 하고, 그 때문에 기어에 의해 본체쪽으로 부터 구동력을 정확히 전달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출력기어와 용지반전장치의 입력기어를 각 장치내에서 정확한 위치에 부착시켜야 하고, 또 양기어가 정확히 맞물려질 수 있도록 용지반전장치를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한가지 방법으로 정확히 위치가 결정되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조립 및 가공에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어 가격이 비싸지게 됨으로서 현실적이지 못한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소형화와 경량화가 이루어져야 할 화상형성장치 측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전동작이 이루어지돌고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가공 및 조립정밀도가 그렇게 높히 요구되지 않고 정확히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된 용지반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쉽게 착탈되도록 되어 이 화상형성장치에서 반출되는 화상형성면을 반전시키는 반전기구를 갖춘 용지반전창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기어로서, 화상형성장치의 구동계통의 배출기어에 근접배치된 입력기어와, 이입력기어의 회전중심에 그 한쪽끝이 지지되어지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미끄럼이동판, 이 미끄럼이동판을 상기 배출기어쪽으로 밀어부치는 지지부재, 상기 미끄럼이동판의 다른쪽 끝에 지지되어 상기 입력기어와 배출기어를 잇빨물림되는 가동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가동기어의 이동에 따라 장착시의 부착오차가 허용되면서 정확한 동력전달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1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용지반전장치가 쉽게 착탈시켜질 수 있도록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1예로서 레이저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는 레이저프린터를 도시한 개략사시도로서, 참조부호 300은 프린터이고, 301은 레이저비임으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감광체드럼, 302는 상기 감과체드럼(301)의 전하를 초기상태로 제거해 주기 위한 제전램프(除電 lamp)로서 여러개의 적색발광소자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03은 전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제전램프로서 이는 상기 제전램프(302)와 마찬가지로 여러개의 적색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참조부호 304는 상기 감광체드럼(301)을 일정하게 소정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차아저, 참조부호 305는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에 현상되어진 토너를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차아저, 306은 전사후의 용지를 상기 감광체드럼으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박리차아저이다.
참조부호 307은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에 레이저비임에 의해 기입되어진 정전잠상(靜電潛像)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기이고, 308은 이 현상기(307)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토너를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의 정전잠상에다 부착시키기 위한 자기로울러인데, 이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참조부호 309는 상기 자기로울러의 현상체와 접촉시켜, 현상제의 토너비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토너 측정기, 310은 전사후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블레이드이다. 또 참조부호 311은 데이터제어부로 입력되는 비디오데이터를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에 레이저비임을 주사 변조해서 기록해 주기 위한 레이저주사장치이고, 312는 레이저다이오우드로 부터의 레이저비임을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에 유도해 주기 위한 8면체로 된 다각미러, 313은 상기 다각미러(31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주사모우터, 314는 상기 감광체드럼(301)상에서의 레이저비임주사속도를 일정하게 해 주기 위한 f.θ렌즈이며, 참조부호 315 및 316은 상기 레이저주사장치(311)로 부터 나온 레이저비임을 상기 감광체드럼(301)으로 유도해 주기 위한 반사미러이다.
참조부호 317은 500매의 용지가 수납될 수 있는 상단카세트이고, 318은 상단카세트(317)에서 용지를 1매씩 꺼집어내기 위한 상단급지로울러, 319은 상기 상단카세트(317)에 용지가 없음을 검출하는 상단용지무 검출스위치, 320은 상기 상단카세트(317)에 마련해 놓은 사이즈식별용의 표식을 검출하는 4비트로 구성된 상단카세트사이즈 검출스위치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321은 하단측급지카세트이고, 332는 하단급지로울러, 323은 하단용지무 검출스위치, 324는 하단카세트사이즈 검출스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또 상단(上段)쪽에는 하단(下段)쪽의 250매 정도 용지를 수납할 수 있는 카세트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325는 수동가이드(326)로 부터 삽입되어진 용지를 검출하는 수동공급스위치이고, 327은 이 수동공급 스위치(325)에 의해 삽입이 확인된 다음 그 용지를 반송시키기 위한 수동용급지로울러, 328은 이 수동급지로울러(327)에 의해 반송되어져 온 용지를 검출하는 수동정지 스위치이다. 그리고 329는 상기 감광체 드럼(301)상에 현상되어진 화상과 용지를 동기(同期)시켜 주기 위한 레지스터로울러이고, 330은 상기 박리차아저(306)상에 현상되어진 화상과 용지를 정착기(定着器)까지 반송시켜 주기 위한 반송벨트, 331은 전사되어진 용지상의 토너를 정착(定着)시키기 위한 정착기, 332는 정착용 로울러, 333은 상기 정착용 로울러(332)를 가열해 주기 위한 히터램프, 334는 상기 정착용 로울러(332)의 표면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서미스터(thermistor), 335는 용지 배출로울러, 336은 상기 정착기(331)로 부터 배출된 용지를 검출하기 위한 용지배출 스위치이다.
한편 상기 용지배출로울러(335)의 뒷쪽 계단쪽에는 후술하는 용지반전장치(1)와 용지배출트레이(40) 또는 분류기(100)등이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용지배출로울러(335)의 아래쪽에는 상기 용지반전장치(1)등을 걸어놓기 위한 걸림축(341)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37은 프리터(300)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핀이고, 338은 상기 대전차아저(304)와 전사차아저(305), 박리차아저(306) 및 상기 현상기(307)와 자기로울러(308)에 각각 인가되는 고압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트랜스, 339는 각각의 제어에 사용된 DC전압을 발생하는 전원장치, 340은 프린터(300)를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유니트이다.
그런데 상기 감광체드럼(30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구동시켜지게 되는 바, 그렇게 되면 먼저 대전차아저(304)에 의해 이 감광체드럼(301)이 일정하게 대전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부터 입력되는 비데오데이터에 의해 레이저주사장치(311)가 구동되어져, 레이저광이 반사미러(315,316)을 거쳐 감광체드럼(301)상에 상(像)을 맺게 되어 정전잠상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되어진 정점잠상은 현상기(307)에 의해 포지티브(positive)로 현상되어져 나타나게 되어 전사차아저(305)로 보내지게 된다.
한편 자동 또는 수동으로 공급되어진 용지가 레지스터로울러(329)에 의해 감광체드럼(301)과 동기를 이루어 반출되어져, 미리 감광체드럼(301)상에 형성되어져 있던 전사차아저(305)에 의해 용지상에 전사시켜지게 된다.
이렇게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박리차아저(306)에 의해 감광체드럼(301)에서 박리되어져, 반송벨트(330)에 의해 반송되어 정착용 로울러(332)로 인도되게 되고, 여기서 전사상(轉寫像)이 용율정착되어진 다음 용지배출로울러(335)에 의해 장치외부로 반출시켜지게 된다. 이때 용지의 화상형성면이 위쪽으로 놓여져 반출시켜 지게 된다.
한편 감광체드럼(301)상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는 크리닝블레이드(310)에 의해 청소되고, 다시 제전램프(302)에 의해 감광체드럼(301)상의 잔상이 소거되어져 다음번의 프린터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레이저프린터의 구동메커니즘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참조부호 350은 상기 감광체드럼(301)을 구동시키는 드럼모우터이고, 351은 용지의 급지계통장치를 구동시키는 공급모우터로서, 이 공급모우터(351)이 상기 드럼모우터(350)와 동기해서 구동되어져 급지구동기어장치(352)를 구동시키고, 또 상기 상단급지로울러(318)와 하단급지로울러(322) 및 레지스터로울러(329)등을 회전구동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참조부호 353은 배출계통구동모우터로서, 이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에 의해 일련의 기어계(354)를 거쳐 상기 반송벨트(330)와 정착용 로울러(332) 및 배출기어(355)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이 배출기어(355)는 출력기어로서, 상기 용지배출러울러(335)를 구동시킴과 더불어 용지반전장치의 가동기어(후술함)로 회전출력을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다음에는 상기 용지반전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제3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용지반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로서, 이 제3도에서 보면 용지반전장치(1)가 상기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단 쪽에 쉽게 착탈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져 있는 바, 이 용지반전장치(1)는 상기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로울러(335)로 부터 반출되는 용지를 제1반송통로(2) 또는 제2반송통로(3)중에 어느 한쪽으로 분리시켜 주는 게이트(4)와, 제1반송통로(2) 앞쪽에 설치된 반전기구(10), 용지배출로울러(335) 및, 다수개의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판(5)은 상기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로울러(335)로 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반송선단을 안내해서 용지반전장치(1)로 받아들이기 위한 가이드인 바, 이 제1가이드판(5)의 뒷계단부 에는 제2가이드판(6)과, 제3가이드판(7)이 거의 평행으로 배치되어져 있다. 또 상기 게이트(4)는 상기 제2가이드판(6)과 제3가이드판(7)사이에서 지지점(AA)을 중심으로 해서 도면중 화살표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전기구(10)로 용지를 유도해 주는 제1반송통로(2)는 게이트(4)가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이 게이트(4)의 상부면과 상기 제2가이드판(6)하부면사이에 형성되게 된다. 또 상기 제2반송통로(2)는 상기 게이트(4)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 이 게이트(4)의 하부면과 상기 제3가이드판(7) 사이에 형성되게 되는바, 이 제2반송통로(2)는 프린터(300)로 부터 반출되는 반출상태와 동일한 상태, 즉 화상형성면을 위쪽으로 해서 용지를 반송하는 통로이다. 또 상기 게이트(4)는 후술하는 레버에 의해 조작자가 선택적으로 조작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반전기구(10)는 구동로울러(11)와, 이 구동로울러(11)에 구름접촉하는 제1종동로울러(12), 이 제1종동로울러(12)보다 회전방향 뒷쪽에서 상기 구동로울러(11)와 구름접촉하는 제2종동로울러(13), 이 제2종동로울러(13)의 윗쪽에 경사배치된 제4가이드판(14) 및, 이 제4가이드판(14)의 대채로 윗쪽방향연장 선상에 용지반전장치(1)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중간 트레이(15)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거서 상기 제1, 제2종동로울러(12,13)는 구동로울러(11)를 밀어눌러 주도록 되어 있어서, 구동로울러(11)의 회전력에 의해 용지를 마찰송출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트레이(15)는 덮개(16)를 부착시켜용지에 프린터(300)의 상기 냉각판(337)으로 부터의 송풍이 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덮개(16)의 상부면(16A)은 투명한 재질로 되어 있어서 용지의 화상형상면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에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로울러(11)와 제2종동로울러(13) 반출끝부위 뒷계단부에는 만곡된 제5가이드판(8)과 제6가이드판(9)이 배치되어 반전되어진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로울러(20,20)로 유도해 주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루어 지는 반전 및 정규반송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반전반송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로울러(335)로 부터 용지가 반송시켜지게 되면 이 용지의 반송선단이 제1가이드판(5) 및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의 게이트(4)에 의해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의 파지부에 닿아 안내되게 되면 이 용지가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사이에 끼워져 반송되어져 윗쪽으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 송출시켜지게 된다. 이 경우 용지는 후술하는 가요성가이드(제2가이드판(6)에 부착되어져 있음)에 의해 송출각도가 규제되어, 용지의 반송선단이 중간트레이(15)면위를 얕은 각도로 닿게 되고, 그 이후는 중간트레이(15)면위를 따라 송출시켜지게 된다. 이 중간트레이(15)내 용지의 화상형성면은 덮개(16)의 투명한 상부면(16A)을 통해 육안으로 볼 수가 있게 되므로 화상형성이 올바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에 의해 용지의 반송후단이 송출되어지면, 이 반송후 단쪽이 구동로울러(11)의 회전력과 용지의 자중에 의해 구동로울러(11)의 원주면을 따라 이동해서, 구동로울러(11)와, 제2종동로울러(13)의 파지부에 닿게 되는 바, 이때 제4가이드판(14)에 의해 용지의 반소후 단이 상기 파지부에 닿게 되는 용지를 안내해 주게 된다. 이어 이 용지는 구동로울러(11)와 제2종동로울러(13)사이에 끼워져 반송되게 되고 제5, 제6가이드판(8,9) 및 용지배출로울러(20)를 거쳐 반송시켜지게 된다. 즉 용지는 그 반송선단이 바뀌어져 반송됨과 더불어, 용지의 화상형성면이 반전되어 이 화상형성면이 아래로 향하도록 되어 반출시켜지게 된다. 그 결과 최초로 화상이 형성되어진 용지가 이 화성형성면을 아랫쪽으로 해서 후술하는 용지배출트레이(40)위에 놓여지게 되고 그 위에 화상형성면이 아래쪽으로 향하면서 용지가 순차적으로 적재되게 된다. 따라서 연속페이지로 된 용지인 경우에는 번호가 낮은 순으로 화상형성면이 아래쪽으로 되어 순차적으로 싸여지게 되고, 그 다음 용지를 화일할때 용지를 차례로 뒤지는 수고가 덜어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용지반전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페이지가 낮은 순으로 화상형성면이 윗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쌓아지게 되므로 화일의 순서가 역으로 되어 불편하게 된다.
그런데 이 용지반전장치(1)를 사용하게 되면 미리 용지를 화일할 때의 편의를 고려해서 상기 레이저주사장치(311)를 제어하는 정보공급장치에서 최종페이지로 부터 데이터를 송출해야 한다고 하는 곤란을 배제할수가 있게된다. 또 이 용지반전장치(1)는 상기 게이트(4)의 절환구동에 따라 프린터(300)에서의 용지반출상태와 동일상태로 용지를 반송시킬 수도 있는바, 즉 게이트(4)를 제3도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 구동변위시키게 되면,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로울러(335)에서 반출되어진 용지가 제1, 제3안내판(5,7)의 면위를 통과해서 용지배출로울러(20)에 유도되어져, 화상 형성면을 위로 향한 상태 그대로 반송되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반전·정규반출중 어느 쪽이던 선택적으로 반송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요구되는 상황에 따라 이 용지반전장치(1)를 탈착시키는 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어 조작성이 극히 향상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 용지반전장치(1)를 상기 프린터(300)에다 부착시키는 데에 대해 설명한다.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단쪽에는 용지배출로울러(335)아래쪽에 걸림축(341)이 설치되고, 그 아래에는 프레임판(342)이 배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린터(300)는 이 프레임판(342)에 배면덮개(343)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배면덮개(343)는 수평상의 계단차면(수평면 ; 343A)을 갖고 있다. 또 상기 걸림축(341)과 계단차면(343A)에 의해 프린터(300)의 설치부(344)가 구성시켜 지는 한편, 상기 용지반전장치(1)의 프린터가 닿은 면쪽에는 비스듬히 경사진 윗쪽에 후크부(31)를 갖춘 피부착부재인 부착부재(30)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터(300)에 이 용지반전장치(1)가 부착시켜지는데는, 부착부재(30)의 후크부(31)를 걸림축(341)에 대해 경사진 아래쪽으로 삽입해서 후크부(31)를 걸림축(341)에 건다. 다음, 이 용지반전장치(1) 전체를 상기 걸림축(341)를 중심으로 그 자중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부착부재(30) 아래끝과 상기 계단차면(343A)을 맞닿게 한다.
이와같이 이 용지반전장치(1)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걸림축(341)과 계단차면(343A)에 의해 부착부재(30)를 걸어줌으로서 프린터(300)에다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더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부재(30)의 양쪽을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연장편(32)을 나사(33)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판(342)에다 체결시키도록 해 놓았다.
상기와 같이 용지반전장치(1)가 프린터(300)에 부착되는 것과 똑같은 형태로 이 용지반전장치(1)에 용지배출트레이(40)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는바, 즉 용지반전장치(1)의 상기 용지배출로울러(20)아래쪽에 걸림축(35)이 설치되면서, 이 걸림축(35) 아래쪽에 프레임(36)이 배치되어져 있다. 또 이 프레임(36)에는 배면덮개(37)가 나사(38)로 고정되고, 이 배면덮개(37)에는 계단차면(수평면 ; 37A)이 형성되어져 있는바, 상기 걸림축(41)과 이 계단차면(37A)으로 용지반전장치(1)의 설치부(39)가 구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용지배출트레이(40)에는 피부착부재로서의 후크부(41)와 걸림계단면(42)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41)이 걸림축(35)에, 상기 걸림계단면(42)이 계단차면(37A)에 각각 걸려지도록 하면 용지배출트레이(40)가 쉽게 착탈될 수 있게 부착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프린터(300)의 설치부(344)와 용지반전장치(1)의 설치부(39)가 동일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어댑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선택사양품인 용지반전장치(1)와 용지배출트레이(40)를 프리터(300)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용지배출트레이(40)를 용지반전장치(1)의 설치부(39)에 쉽게 부착시킬 수도 있게 된다. 더구나 후술하는 바와같이 소정매수마다 용지를 구분해서 집적시키는 분류기(100)도 상기 프린터(300) 또는 용지반전장치(1)에 동일한 형태로 부착시켜지도록 되어 있어서, 이들 각종 선택사양품을 호환적으로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 게이트(4)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50)에 대해 제4(a)도, 제4(b)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게이트(4)의 구동수단(50)은, 레버(51)가 고정부착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미끄럼이동판(52)과, 지지점(53A)을 중심으로 이 미끄럼이동판(52)에 의해 요동시켜지는 제1링크(53), 이 제1링크(53)가 변위됨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제2링크(54), 이 제2링크(54)상단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게이트(4)의 하면과 닿게되는 구동편(55) 및, 상기 게이트(4)의 선단을 항시 아래쪽으로 밀어부쳐주는 지지부재(56)로 구성되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51)는 이 용지반전장치(1)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져 있어서 조작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51)가 부착시켜진 상기 미끄럼이동판(52)은 3개의 핀(57A,57B,57C)이 삽입되는 종방향의 장공(52A,52B,52C)이 형성되어, 이 미끄럼이동판(52)은 상기 핀(57A,57B,57C)에 안내되어져 상기 레버(51)의 조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미끄럼이동판(52)은 세워진 핀(52D)에 상기 제1링크(53)의 일단이 자유로이 회동하도록 지지되어져 있다. 이렇게 상기 제1링크(53)가 그 한쪽끝이 상기 미끄럼이동판(52)에 다른쪽끝이 상기 제2링크(54)의 끝부위에 각각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상기 지지점(53A)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요동하도록 되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54)에도 장공(54A)이 형성되어, 이 장공(54A)이 핀(58)에 삽입되어 지지시켜져 있다.
다음에는 이와같이 구성된 구동수단(50)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4)의 구동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용지를 제1반송통로(2)로 유도할려면 레버(51)를 상단쪽으로 이동시켜 미끄럼이동판(52)을 제4(a)도의 위치로 설정시켜 놓는다. 그렇게 하면 제1링크(53)가 지지점(5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져 제2링크(54)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편(55)도 최하단위치에 설정시켜지게 되는바, 이때 게이트(4)가 지지부재(56)가 밀어부치는 힘에 의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가이드판(7)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정시켜지게 되고, 그에 따라 용지가 이 게이트(4)에 의해 반전기구(10)로 인도시켜 된다.
이어 용지를 제2반송통로(3)로 유도할려면, 레버(51)를 하단측으로 이동시켜 미끄럼이동판(52)을 제4(b)도의 위치에다 설정시켜 놓는다. 그렇게 하면 제1링크(53)가 지지점(53A)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져 제2링크(54)를 윗쪽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편(55)도 최상단쪽에 설정시켜져 이 구동편(55)과 닿게 되는 게이트(4)는 상기 지지부재(56)가 밀어부치는 힘에 대항해서 윗쪽으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지가 게이트(4)에 의해 차단시켜지지 않고 제3가이드판(7)상으로 유도되어져 정규의 반송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같이 용지를 제1반송통로(2) 또는 제2반송통로(3)로 분기시키기 위한 게이트(4)의 선택구동이 장치 외부에 돌출형성된 레버(51)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에 의해 송출되는 용지의 송출각도를 규제하기 위한 가용성가이드(60)에 대해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의 접촉점 앞쪽계단쪽에, 상기 제2가이드판(6)의 상부면에 한쪽끝이 걸려지고 다른 끝쪽이 용지반송로에 교차되도록 연장형성시켜진 가요성가이드(60)가 배치되어 있는 바, 이 가요성가이드(60)는 제6도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측상에 4개씩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상기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가 인접하는 로울러사이에 배치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 가용성가이드(60)의 상기 다른 끝쪽은 상기 구동로울러(11)의 회전축(11A)상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가요성가이드(60)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바, 즉 도아(4)에 의해 제1반송통로(2)로 유도된 용지(P)가 이 반송로에 교차되어 형성된 가요성가이드(60 ; 실선으로 나타내어짐)에 닿게 되어, 용지의 반송력에 의해 이 가요성가이드(60)가 윗쪽으로 밀어올려져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위치로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요성가이드(60)는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에 의해 반송시켜지는 용기(P)의 상부면을 그 가요성으로 접촉압압해서 용지(P)의 송출각도를 규제해주게 된다.
이렇게 해서 가요성가이드(60)에 접촉압압되어진 용지(P)는 굵은실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송출되어져 중간트레이(15)에 대해 낮은 각도록 돌입시켜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중간트레이(15)에 닿은 용지(P)의 반송선단은 중간트레이(15)의 벽면을 따라 원활히 상승이동시켜지게 된다. 여기서 만일 이와같은 가요성가이드(60)를 설치하지 않게 되면, 용지(P)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용지(P)의 반송선단은 종이가 버텨주는 힘에 의해 처음에는 똑바로 수직으로 송출되다가, 종이의 자중에 의해 서서히 만곡되어져 중간트레이(15)에 대해 상당한 각도를 이루면서 돌입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 용지는 중간트레이(15)의 벽면을 따라 상승하지 않고 거기서 용지가 접혀뭉쳐지는 일이 종종 일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가요성가이드(60)를 가지고 용지의 송출각도를 규제해 주게 되면 중간트레이(15)에서의 반송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뭉쳐지는 일이 생겨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이와같은 작용을 하게 되는 가요성가이드(60)의 재질로서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라면 제한이 없고, 특히 마이러(Mylar)등과 같은 유연성을 갖는 기타의 얇은판으로 된 금속이라도 좋다. 그리고 구동로울러(11)와 제1종동로울러(12)에서 송출된 다음의 용지에서 생겨나는 정전기를 제전시켜 중간트레이(15)에서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가요성가이드(60)를 금속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정전기를 제전하는 기능도 겸비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이러한 제전작용은 가요성가이드(60)에 의하지 않고 제전브러쉬를 부가로 배치해도 좋다.
또 상기 중간트레이(15) 및 제4가이드판(14)의 수평선에 대한 각도는 제5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α와β로 되는바, 이에 대해 본 실시예장치에서는 각도 α를 66°로 하였고, 각도 β는 48°로 해놓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상기 제4가이드판(14)의 각도 β는 용지(P)가 이 가이드판을 따라 용지(P)의 자중에 의해 구동로울러(11)와 제2종동로울러(13)의 파지부로 안내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용지의 자중에 의해 원활히 낙하이동할 수 있도록 45°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용지반전장치(1)의 구동전달메카니즘에 대해 제8도 내지 제12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이 용지반전장치(1)는 전술한 바와같이 구동원이 내장시켜지지 않고 상기 프린터(300)의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의 배출기어(35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지반전장치(1)의 동력전달메카니즘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기어(70)와, 이 입력기어(70)의 회전중심에 지지되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동기어(71), 상기 구동로울러(1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로울러기어(72), 상기 용지배출로울러(20)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출로울러기어(73) 및, 상기 입력기어(7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로울러기어(72) 또는 용지배출로울러기어(73)로 전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중간기어(74,75,76,77)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 상기 입력기어(70)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부착부재(30)의 후크부(31)에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걸려져 장착되어, 용지반전장치(1)가 프린터(300)에 장착시켜졌을때 프린터(300)내의 상기 배출기어(335)에 근접되게 배치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동기어(71)는 상기 입력기어(70)의 회전중심에 지지된 미끄럼이동판(78)의 한쪽끝에 자유로이 회동판(78)의 한쪽끝에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져 있어서, 상기 입력기어(70)와 잇빨물림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미끄럼이동판(78)은 제8도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착부재(30)와의 사이에 지지부재인 지지스프링(79)이 배치되어, 이 지지스프링(79)이 상기 가동기어(71)와 배출기어(355)가 서로 잇빨물림되도록 밀어부쳐주도록 되어 있다. 또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가동기어(71)와 배출기어(355)에는 각각 그 기어피치원이 같은 직경으로 된 보스(71A,355A)가 각각 고정부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300)에 용지반전장치(1)가 장착시켜지게 되면, 프린터(300)의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의 출력이 상기 배출기어(355)에 전달되고, 또 이 배출기어(355)의 회전이 가동기어(71)를 매개로 입력기어(70)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이 입력기어(70)의 회전력은 상기 중간기어(74~77)를 매개로 구동로울러기어(72)와 용지배출로울러기어(73)로 전달되어져, 앞에서 설명한 용지반전 또는 정규의 반송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프린터(300)로부터의 동력전달이 가동기어(71)를 매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지반전장치(1)를 프린터(300)에다 부착시킬 때에 미세한 치수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고서도 확실한 동력전달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미끄럼이동판(78)은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기어(70)와 가동기어(71)가 일정한 맞물림으로 서로 맞물려지도록 연결하면서 상기 가동기어(71)를 부착판(30)의 한쪽끝이 연결된 지지스프링(79)에 의해 배출기어(355)쪽으로 항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가동기어(71)는 입력기어(70)와의 맞물려진 상태를 유지한채 미끄럼이동판(78)의 요동범위내에서 이동되어지기 때문에, 배출기어(355)와의 위치관계에 어긋남이 있더라도 상기 미끄럼이동판(78)의 요동범위이내에 있는 경우라면 배출기어(355)와의 확실한 잇빨물림이 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기어(71)는 미끄럼이동판(78)의 한쪽끝에 부착된 지지스프링(79)에 의해 항시 배출기어(355)쪽으로 밀어부쳐져 있게 되나, 상기 가동기어(71)의 보스(71A)와 배출기어(355)의 보스(355A)가 접촉되게 됨으로서 과도하게 맞물려지지 않고 항시 피치선상에서 정확히 맞물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양기어(355,71)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보스(71A,355A)는 양기어(71,355)의 피치선상에서 닿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보스(71A,355A)의 회전속도가 각각 양기어(71,355)의 회전속도와 일치하게 되어, 보스(71A,355A)의 접촉면에서 어긋남이 일어나지 않고 정규의 구름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71A,355A)의 마찰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배출기어(355)와 가동기어(71)와의 맞물림에 따라 가동기어(71)가 배출기어(355)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조건에 대해 생각해 본다.
제11도는 배출기어(355)와 가동기어(71)와의 맞물림을 도시한 것으로 0점은 피치점이다. 또 이 피치점(0)을 통과하는 법선을 11으로 한다. 배출기어(355)와 가동기어(71)는 상기 피치점(0)에서 맞물려지게 되나, 구동기어인 배출기어(355)가 피구동기어인 가동기어(71)에 대해 작용하는 압접력(F)은 상기 법선(11)에 대해 피치점(0)에서 각도(θ)만큼 교차하는 작용선(12)상에 생기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θ)는 양기어(355,71)의 압력각으로서, 표준치차인 경우에는 20°이다.
한편, 이 압접력(F)은 작용방향과 상기 배출기어(355)와 가동기어(71) 및 입력기어(70)위치와의 관계가 제12도에 도시되어져 있는바, 즉 가동기어(71)에 작용하는 압접력(F)이 당연히 미끄럼이동판(78)에도 작용하게 되나, 이 미끄럼이동판(78)과 회전중심인 압력기어(70)의 중심에 대해 상기 압접력(F)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시계방향의 모우멘트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미끄러이동판(78)이 반시계방향으로서 항시 회전력을 받게 되는바, 즉 배출기어(355)와 가동기어(71)는 항시 맞물려지도록 작용을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프린터(300)에서의 구동력이 확실히 용지반전장치(1)에 전달되게 된다.
이에 대해 입력기어(70)의 지지점의 위치가 상기 압접력(F)에 의해 미끄럼이동판(78)에 시계방향모우멘트를 부여하도록 위치하게 되면, 반대로 상기 가동기어(71)가 배출기어(355)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작용을 받게 되어 정확히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다음에는 이 용지반전장치(1)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상기 프린터(300)의 구동제어계통장치에 대해 제13도 내지 제16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상기 프린터(300)에는, 제13(a)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용지반전장치(1)의 장착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인 반전감지스위치(200)가 배치되어 있는바, 이 반전검지스위치(200)는 용지반전장치(1)가 프린터(300)에 장착되어져 있지 않을때는 OFF상태로 되고, 용지반전장치(1)가 프린터(300)에 장치되어졌을 때는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ON상태로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장치에 있어서는, 용지반전장치(1)의 장착과 비장착시에 프린터(300)에서의 용지배출계통의 구동제어가 달라지도록 되어 있다.
제14도는 프린터(300)에서의 상기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의 구동제어블록선도인 바, 도면에서의 참조부호 336은 상기 용지배출스위치로서, 이는 제1도에도 도시된 바와같이 용지배출로울러(335)의 앞단부에서 용지의 반송선단을 검지하고 나서부터 용지의 반송후단을 검지하는 동안에 걸쳐 ON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용지배출스위치(336)의 ON되어졌을때 용지배출로울러(335)에 용지의 반송선단이 도달하였음이 검지되고, 용지배출스위치(336)의 ON상태가 꺼졌을때 즉 OFF되어졌을때 용지배출로울러(335)에 용지의 반송후단이 도달하였음이 검지되게 된다.
여기서 이 용지배출스위치(336)와 상기 반전검지스위치(200)의 출력은 입력포오트(202)를 거쳐 CPU(203)로 입력되게 되는바, 이 CPU(203)는 상기 용지배출스위치(336)가 OFF상태인 때(반송후단검출시)로 부터 딜레이타이머를 더불어, 상기 반전검지스위치(200)로부터의 입력의 유무에 기해 2가지 종류의 타이머값(A),(B)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타이머값(A),(B)의 관계는 (A)<(B)로 되어 있고, 용지반전장치(1)가 장착시켜진 경우에는 타이머값(A)에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양 타이머값(A) 또는 (B)가 0으로 되었을때는 상기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를 OFF시키는 회전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 회전구동정지신호는 출력포오트(204)를 거쳐 모우터드라이브(205)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모우터 드라이브(205)는 상기 감광체드럼(301)이 회전을 시작할때 동기되어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의 회전개시를 구동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정지신호에 기해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의 회전을 정지제어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동제어수단(206)이 상기 CPU(203)와 출력포오트(204) 및 모우터드라이브(205)로 구성되어져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300)의 용지배출장치구동제어부의 작용에 대해 제15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15도는 상기 CPU(203)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챠아트로서, 이 CPU(203)는 먼저 상기 용지배출스위치(336)가 ON상태인지 즉 용지배출로울러(335)에 용지의 반송수단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그리고 용지배출스위치(336)가 ON상태일 경우에는 다음에 이 용지배출스위치(336)가 OFF상태로 되어질 타이밍, 즉 상기 용지배출로울러(335)에 용지의 반송후단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이어 CPU(203)는 상기 반전검지스위치(200)가 ON상태인지, 즉 용지반전장치(1)가 프린터(300)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되는데, 반전검지스위치(200)가 OFF상태로 되어 있늘때는 딜레이타이머를 타이머값(A)로 설정한다. 이 타이머값(A)로 설정한다. 이 타이머값(A)란 용지의 반송후단이 용지배출로울러(335)를 통과한 다음 용지배출트레이(40)에 바르게 집적되어지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따라서 이 타이머값(A)이 0으로 되어 있을때 상기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면, 즉 용지배출로울러(335)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화상이 형성되어진 용기가 용지배출트레이(40)위에 바르게 쌓여지게 된다.
한편, 반전검지스위치(200)가 ON상태일 때는 CPU(203)가 딜레이타이머를 타이머값(A)보다도 긴 타이머값(B)로 설정하게 되는데, 이 타이머값(B)란 용지의 반송후단이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로울러(335)를 통과한 다음 용지반전장치(1)내에서 용지가 반전 또는 정규반송되어진후, 용지배출트레이(40)위에 용지가 바르게 쌓여지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그리고 용지반전장치(1)가 장착시켜져 있을 때는 프린터(300)내의 용지배출로울러(335)를 통과한 후의 용지처리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또 용지반전장치(1)의 구동시 상기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타이머값(B)가 타이머값(A)보다도 긴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결과 이 타이머가 0으로 된 타이밍에서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를 정지하도록 제어하게 되면, 용지가 용지반전장치(1)내에서 정지되어져 뭉쳐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용지배출트레이(40)위에 확실하게 배출시켜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16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률적인 타이머값(A)으로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를 정지제어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프린터에 용지반전장치를 장착시키고, 또 이 용지반전장치를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로 구동시키게 되면, 용지반전장치내에서 용지의 이송이 정지시켜지게 되고 말 염려가 있었다. 또 이러한 정지현상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타이머값(A)을 긴 시간으로 설정해서, 용지반전장치의 장착유무에 불구하고 일률적으로 긴 시간동안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를 구동시켜야만 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화란 면에서 불리하였었다. 다음에는 용지반전방치(1)의 하우징구조에 대해 제17(a)도, 제17(b)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이 용지반전장치(1)내에는 상부 프레임(80)과 하부프레임(81)이 한쪽끝부위에서 지지축(81A)을 매개로 지지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80)에는 제2도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가이드판(6,14,18)과 게이트(4), 구동로울러(11), 제1종동로울러(12), 제2종동로울러(13) 및, 윗쪽용지배출로울러(20)가 부착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81)에는 제1가이드판(5)과 제3가이드판 및 제6가이드판(9) 및 아랫쪽 용지배출로울러(20)가 부착되어져 있고, 또 이 하부프레임(81)에는 나사(83,84)로 고정판(82)이 체결되어져 있는데, 이 고정판(82)에는 상기 중간트레이(15)를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85)가 고정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80)의 회동단쪽은 상기 나사(83)의 머리부위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80)이 지지축(81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지게 됨에 따라 제17(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지의 제2반송통로(3)와 상기 구동로울러(11) 및 제2종동로울러(13)로부터 용지배출로울러(20)에 이르는 용지의 반송로에 따라 개폐시켜지도록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반송통로(3)도중에 용지가 걸렸을때 또는 제5가이드판(8)과 제6가이드판(9)사이에 용지가 걸렸을 때에는, 상기 하우징구조에 따라 상부프레임(80)을 회동시켜 용지를 간단히 제거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만일 이와같은 하우징구조를 채용하지 않으면, 상기 영역에 용지걸림현상이 생길 경우 이 영역의 상하에 복잡한 기구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을 넣을 여지가 없게 되어, 용지가 걸렸을 때의 대응이 극히 번잡해 지고 말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도 쉽게 용지걸림에 대처할 수가 있게 되어 유지관리면에서도 뛰어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단쪽 및 용지반전장치(1)의 용지배출단쪽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선택사양장치에 대해 제3도와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프린터(300)의 설치부(344)와 상기 용지반전장치(1)의 설치부(39)는 각각 걸림축(341,35)과 수평의 계단차면(343A,37A)을 구비한 동일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3도에서 상기 프린터(300)에는 용지반전장치(1)와 용지배출트레이(49)가 동일한 부착방법으로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이 도시되어져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른 선택사양장치인 분류기(100)를 상기 용지반전장치(1)등과 동일한 방법으로 프린터(300)에 부착시킬 수가 있고, 또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류기(100)를 용지반전장치(1)의 용지배출단쪽에 장착시킬 수도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분류기(100)는 용지를 소정매수씩 여러개의 핀(10A,101B,....)위에 구분해서 집적시키는 장치로서, 이는 상부가이드판(102)과 하부가이드판(103)으로 용지를 안내해서 용지배출로울러(104,104)로 유도하고, 또 이 용지배출로울러(104,104)로부터 배출시켜지는 용지를 상기 여러개의 핀(101A,101B,...)으로 구분해서 집적시키게된다.
그리고 상기 핀(101A,101B,...)은 수직상방으로 세워설치된 가이드프레임(105)내에 각각 슬라이더(106)를 미그럼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해 놓고 있어서, 이 가이드프레임(105)위에서 회전하는 원통캠(도시않음)의 홈속에서 상기 슬라이더(106)를 안내 이동시켜, 상기 핀(101A,101B...)을 소정매수씩의 용지를 윗쪽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분류기(100)의 피부착부(110)는 상기 용지반전장치(1)의 부착부(39)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는바, 즉 경사방향 윗쪽에 후크부(111)를 연장형성시킨 부착부재(112)로 구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분류기(100)를 프린터(300)에다 부착시키는데, 상기 용지반전자치(1)가 프린터(300)에 부착시켜지는 것과 전혀 마찬가지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착부재(112)의 후크부(111)를 걸림축(341)에 대해 경사지게 아래쪽방향으로 끼워 후크부(111)를 걸림축(341)에다 걸어주게 된다. 이어 이 분류기(100)전제를 상기 걸림축(341)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부착부재(112)의 하단과 상기 계단차면(343A)이 닿도록 한다. 이와같이 이 분류기(100)는 상기 용지반전장치(1) 및 용지배출트레이(40)의 부착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상기 걸림축(341)과 계단차면(343A)에 의해 부착부재(112)가 걸려지도록 해서 프린터(300)에다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지반전장치(1)를 부착시킬때와 마찬가지로 다시 튼튼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부착부재(122)의 양쪽을 수평방향으로 연장시킨 연장편(112A)을 나사(33)로 상기 프레임판(342)에 체결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프린터(300)에 분류기(100)를 부착시켜놓을으로써 화상형성면이 위를 향해서 프린터(300)로부터 배출시켜지는 용지를 분류기(100)로 소정매수식 구분해서 집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용지반전장치(1)는 상기 프린터(300)의 부착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된 부착부(3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용지반전장치(1)의 부착부(39)에 상기 분류기(100)를 쉽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바, 이 부착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분류기(100)를 프린터(300)에다 부착시키는 것과 전혀 마찬가지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단쪽에 용지반전장치(1)와 분류기(100)를 연결시켜 부착시켜놓음으로써, 화상형성면을 아래쪽으로 해서 놓여지게 되는 용지를 소정매수씩 자동적으로 구분해서 집적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화상형성이 된 후의 용지화일작업이 대폭으로 경감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장치에 있어서는, 프린터(300)의 용지배출단쪽에 용지반전장치(1)와 용지배출트레이(40) 또는 분류기(100)를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착탈시킬 수 있고, 다시 프린터(300)에 장착시켜진 용지반전장치(1)의 용지배출단쪽에 용지배출트레이(40) 또는 분류기(100)를 선택적 택일해서 장착시킬수가 있게 된다. 더구나 이러한 각 선택사양장치의 부착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특별한 어댑터등이 필요치않고서도 착탈작업이 쉽고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본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시 할 수도 있는바, 예를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반전장치(1)가 구동력을 받게 되는 구동동력원이 정착용 로울러(332) 및 용지배출로울러(335)등을 구동시키는 용지배출구동계모우터(353)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린터(300)내의 구동동력원이어도 좋다. 또 배출기어(355)로서는 용지배출로울러(335)와 동축으로 된 기어에 한하지 않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구동시켜지는 다른 여러가지 기어라도 좋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반전장치를 소형화와 경량화를 꾀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쪽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반전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가동기어의 이동으로 장착시의 부착오차가 허용되어 정확한 동력전달이 받을 수가 있는 용지반전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한 조립과 가공에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게 됨으로서 장치를 싼값으로 제공할 수가 있게 될뿐 아니라 장착과 이탈작업도 간편하고 쉬워지게 된다.

Claims (3)

  1. 화상형성장치에 쉽게 착탈시켜질 수 있도록 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출시켜지는 용지의 화상형성면을 반전시키는 반전기구가 구비된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전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기어로서 화상형성장치의 배출기어(355)에 근접재치되는 입력기어(70)와, 이 입력기어(70)의 회전중심에 한쪽끝이 지지시켜져 요동할 수 있도록 된 미끄럼이동판(78), 이 미끄럼이동판(78)을 상기 배출기어(355)쪽으로 밀어부치는 지지스프링(79) 및, 상기 미끄럼이동판(78)의 다른쪽끝에 지지되어져 상기 입력기어(70)와 배출기어(335)양쪽에 맞물려지는 가동기어(7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기어(71)와 배력기어(355)가 각각 그 피치선상에서 외접하게 되는 보스(71A,355A)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어(70)의 지지점이, 배출기어(355)가 가동기어(71)에 부여하는 압접력에 의해 이 가동기어(71)가 배출기어(355)에 닿는 방향으로 상기 미끄럼이동판(78)에 대해 회전모우멘트를 발생시키는 위치에 설정시켜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KR1019850008242A 1984-11-13 1985-11-05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KR890001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39638A JPS61119549A (ja) 1984-11-13 1984-11-13 用紙反転装置
JP59-239638 1984-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962A KR860003962A (ko) 1986-06-16
KR890001994B1 true KR890001994B1 (ko) 1989-06-07

Family

ID=1704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242A KR890001994B1 (ko) 1984-11-13 1985-11-05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29173A (ko)
JP (1) JPS61119549A (ko)
KR (1) KR890001994B1 (ko)
DE (1) DE3540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3145A (en) * 1985-03-22 1988-02-02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separate motors for driving the image bearing member and the transfer material supporting member
US4788575A (en) * 1986-01-29 1988-11-2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machine for detecting a workable document turnover unit
US4955597A (en) * 1986-05-15 1990-09-1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having a device for holding sheets
US4814825A (en) * 1986-06-13 1989-03-2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Multiple speed sheet inverting and discharge
JPS63176246A (ja) * 1987-01-13 1988-07-20 Minolta Camera Co Ltd 作像装置
US4981293A (en) * 1988-02-18 1991-01-0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Sheet storing apparatus provided for a copying machine
US5090682A (en) * 1989-06-28 1992-02-25 Mita Industrial Co.,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comprising a guide member
JPH03171162A (ja) * 1989-11-30 1991-07-24 Mita Ind Co Ltd 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機
US5228669A (en) * 1990-09-21 1993-07-20 Ricoh Company,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FR2751313B1 (fr) * 1996-07-22 1998-10-16 Canon Kk Dispositif de commutation mecanique
JP2008030888A (ja) * 2006-07-27 2008-02-14 Toshiba Corp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給紙装置の制御方法
JP7069756B2 (ja) * 2018-01-31 2022-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295A (en) * 1973-12-28 1974-12-24 Xerox Corp Inverter-reverser for a reproduction machine
JPS5921030B2 (ja) * 1976-02-13 1984-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ト表裏変換搬送装置
US4078789A (en) * 1977-01-21 1978-03-14 Kittredge Lloyd G Document inverter
JPS53118530A (en) * 1977-03-24 1978-10-17 Sumitomo Chem Co Ltd Stabilization of synthetic oil for cosmetics
IT1122891B (it) * 1979-08-30 1986-04-30 Honeywell Inf Systems Italia Dispositivo di trascinamento per supporto di stampa
JPS5652751U (ko) * 1979-09-28 1981-05-09
US4534643A (en) * 1982-01-29 1985-08-13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4579446A (en) * 1982-07-12 1986-04-01 Canon Kabushiki Kaisha Both-side recording system
DE3324996C2 (de) * 1982-07-12 1994-06-23 Canon Kk Vorrichtung zum Wenden von Aufzeichnungsblätt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40279A1 (de) 1986-05-22
US4629173A (en) 1986-12-16
JPS61119549A (ja) 1986-06-06
DE3540279C2 (ko) 1990-05-23
KR860003962A (ko) 198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994B1 (ko) 화상형성기의 용지반전장치
JP2688169B2 (ja) 複写機
KR950007526B1 (ko) 화상 형성장치
US4787616A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4457506A (en) Servo-controlled automatic document feeder
US5315361A (en) Printer using electrostatic process including multiple sheet discharge receivers with a pivotal guide and a full tray detector
US5086319A (en) Multiple servo system for compensation of document mis-registration
CN100357841C (zh) 具有纸张检测器的图像成形装置
JPH02502715A (ja) シート分離装置
US10358306B2 (en) Sheet feed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S6111865B2 (ko)
US5166740A (en) Recirculating document handler having an auxiliary paddle roller rotated at different speeds
JPS597617B2 (ja) 分類機構
JPS61119562A (ja) 画像形成装置
US5188354A (en) Paper storage device
JPS61119551A (ja) 用紙反転装置
JPS61119550A (ja) 用紙反転装置
JPS61119548A (ja) 画像形成装置
JPH0145063B2 (ko)
JPH0412048Y2 (ko)
JP2584849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
JP3807067B2 (ja) ソート装置
KR100449092B1 (ko) 용지 중간계류/반전부를 갖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JPH048341B2 (ko)
JPS611186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6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