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339Y1 -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339Y1
KR890001339Y1 KR2019850010927U KR850010927U KR890001339Y1 KR 890001339 Y1 KR890001339 Y1 KR 890001339Y1 KR 2019850010927 U KR2019850010927 U KR 2019850010927U KR 850010927 U KR850010927 U KR 850010927U KR 890001339 Y1 KR890001339 Y1 KR 890001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horizontal
resistor
circu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0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457U (ko
Inventor
황해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0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1339Y1/ko
Publication of KR870004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의 (a), (b)는 본 고안의 각 단자의 신호파형도.
제3도는 종래의 수평편향 입력회로도.
제4도는 종래 회로의 각 단자의 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동기발진부
3 : 출력부 A-K : 단자
Vcc : 전원단 Q1-Q3: 트랜지스터
C1-C6: 콘덴서 R1-R8: 저항
VR1: 가변저항 D1: 다이오드
A-K : 단자
본 고안은 모니터 수평출력회로의 입력단에 수평동기신호를 입력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상태의 낮은 주파수를 차단하고 정상적인 주파수에서만 동작되도록 한 모니터의 수평편향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
수평편향회로는 음극선관의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주사하는데 필요한 전류신호를 얻기위한 회로인데, 이때 모니터의 수평편향회로에 수평동기신호가 정상적인 경우보다 낮은 주파수로 공급되면 플라이백 트랜스포모에 의한 고압과 수평출력전압이 상승되어 수평회로 전체가 불안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수평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 회로사용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원이 공급된 직후의 초기상태에서는 로직보드(Logic Board)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정상보다 낮은 주파수를 공급되게 된다. 이때, 특히 수평동기신호의 낮은 주파수는 모니터에 치명적인 장애를 발생시키게 되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로직보드에서는 초기상태 기간동안 동기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리셋(Reset)회로를 별도로 설치하도록 설계하여 왔으나, 로직설계시 리셋회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나 리셋회로를 사용하기에 어려운 조건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 모니터의 수평포치(Porch)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로직에서의 타임챠트(Time Chart)를 변경시키거나 회로정수를 변경시켜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포치조정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별도의 리셋회로를 첨가할 필요없이 코일과 콘덴서의 병렬공진회로를 포함한 동기발진부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동기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정상적인 주파수일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포치조정을 이행할 수 있는 모니터의 수평편향 입력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예시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입력부(1)와 동기발진부(2) 및 출력부(3)로 구성되며, 입력부(1)는 콘덴서(C1)와 저항(R1)으로 이루어진 미분회로와 저항(R2)(R3) 및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고, 동기발진부(2)는 코일(L1)과 콘덴서(C2)(C3)로 구성된 병렬공진회로와 저항(R4-R6), 가변 저항(VR1), 콘덴서(C4)(C5)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며 출력부 (3)는 저항(R7)(R8)과 콘덴서(C6),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A-K는 접속점, Vcc는 전원단, a, b, c는 단자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입력부(1)에서는 단자(A)를 통해 인가된 수평동기신호가 트랜지스터(Q1)를 순간적으로 턴온시키고, 이때 동기발진부(2)에서는 전원단(Vcc)을 통해 입력된 전원은 병렬공진회로와 가변저항(VR1)의 작용으로 정상적인 수평동기신호가 인가될때만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키며, 그에 따라 인가된 수평동기신호가 정상적일 경우에만 출력부(1)의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정상적인 수평동기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작용을 제2도에 도시된 각 단자의 파형도를 통해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입력부(1)의 단자(A)에 인가된 신호는 제2도 (a)의 A와 같은 펄스파이고, 이 신호가 콘덴서(C1)와 저항(R1)으로 구성된 미분회로를 거친 단자(B)에서의 파형은 제2도 (a)의 B와 같으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단자(C)와 에미터단자(D)의 파형은 각각 제2도 (a)의 C, D와 같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때 짧은 순간(t)동안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진다.
또한 동기발진부(2)의 전원단(Vcc)으로부터 저항(R1)을 거쳐 입력된 전압은 단자(G)에서 제2도 (b)의 G와 같은 파형을 나타내며, 코일(L1)과 콘덴서(C2)(C3)로 구성된 병렬공진회로를 통해서 단자(E)에는 제2도 (b)의 E와 같은 정현파를 발생시키는데, 이때 이 정현파의 주파수는 콘덴서(C2)(C3)와 코일(L1)의 소자값을 적절하게 선택하므로서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의 정상적인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공진주파수(fo)는과 같이 나타나므로 코일(L1)과 콘덴서(C2)(C3)를 적절히 선택하므로써 수평동기신호의 정상적인 주파수와 상기 정현파의 주파수를 일치시킬 수가 있으며, 이때 콘덴서를 2개 사용한 것은 온도변화에 의해 정전용량이 변화할 때 각각 정특성과 부특성을 갖는 2개의 콘덴서(C2)(C3)를 사용하므로써 정전용량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정현파는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지는 순간 로우상태로 되어지며 저항(R5)(R6) 및 가변저항(VR1)에 의해 분할되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자F)에 인가되는데 이때 단자(G), 즉 에미터와의 전위차가 0.7V이하가 되어 제2도 (b)의 F와 같이 되면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며, 콜렉터단자(H)의 파형은 제2도 (b)의 H와 같이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떨어지게 되는데, 로우레벨은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어 있는 기간동안 지속된다. 이때 가변저항(VR1)을 조정하므로써 트랜지스터(Q2) 구동점(K)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 구동점(K)이 구동점(K')가 될 경우 단자( H)의 신호는 점선과 같이 되어 파형의 듀티사이클(Duty Cycle)을 변화시켜 주므로써 모니터의 포치조정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콜렉터단자(H)의 신호는 저항(R7)(R8)에 의해 단자(Ⅰ)에서 제2도 (b)의 Ⅰ와 같은 파형을 나타내며 콘덴서(C6)을 통하면 교류부분만 다이오드(D1)를 통해 접지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자(J)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를 통해 반전된 후 단자(K)를 통해 출력된다. 단자(J)(K)에서의 파형은 제2도(b)의 J, K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 작용에 있어서 입력부(1)에 인가되는 수평동기신호가 낮은 주파수일 경우에는 동기발진부(2)의 정현파와 동작시간(t)이 일치하지 않아 일정한 정현파가 나타나지 않게 되어 트랜지스터(Q2)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출력부(3)로 전압이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상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가 인가될 경우에는 차단하고 정상적인 수평동기신호에 한해서 동작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수평편향 입력회로는, 단자(a)로 제4도의 a와 같은 신호가 인가되면 콘덴서(C11)와 저항(R11)을 통해서 다이오드(D11)를 통해 접지된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단자(b)에 제4도의 b와 같은 파형을 인가시켜 주게 되고, 이 파형은 트랜지스터(Q11)를 통해 반전되어 콜렉터단자(C)에 제4도의 C와 같은 파형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포치조정의 기능은 물론 낮은 주파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지 못하고 있으므로 수평동기신호가 정상보다 낮은 주파수로 인가될 경우 그대로 통과시켜 주게 되어 고압과 수평출력전압이 상승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서 정상적인 동기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정상적인 주파수일때만 작동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간단히 포치조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콘덴서(C1)와 저항(R1)의 미분회로와 저항(R2)(R3) 및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입력부(1)에다 코일(L1)과 콘덴서(C2)(C3)의 병렬공진회로와 저항(R4-R6), 가변저항(VR1), 콘덴서(C4)(C5) 및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부(1)의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동기발진주파수를 출력하는 동기발진부(2)를 연결하고, 상기 동기발진부(2)에는 저항(R7)(R8)과 콘덴서(C6), 다이오드(D1)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상기 동기발진부(2)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수평동기신호일때만 동기신호를 출력시키는 출력부(3)를 연결하여서 된 모니터의 수평편향 입력회로.
KR2019850010927U 1985-08-24 1985-08-24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KR890001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927U KR890001339Y1 (ko) 1985-08-24 1985-08-24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0927U KR890001339Y1 (ko) 1985-08-24 1985-08-24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57U KR870004457U (ko) 1987-07-31
KR890001339Y1 true KR890001339Y1 (ko) 1989-03-31

Family

ID=1924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0927U KR890001339Y1 (ko) 1985-08-24 1985-08-24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13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57U (ko) 198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130471B1 (en) Voltage and deflection control system of tv receiver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KR910003547B1 (ko) 삼각파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방법 및 그 회로
KR890001339Y1 (ko) 모니터용 수평편향 입력회로
KR100228329B1 (ko) 수평 동기 장치
KR100274062B1 (ko) 디지털회로를 이용한 수평주사펄스신호제어회로
JP2591762B2 (ja) パラボラ状周期信号発生回路
KR970005220B1 (ko) 텔레비젼 편향 장치 및 동기 입력 신호에 동기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텔레비젼 장치
JP2636835B2 (ja) 周波数制御回路
KR930007237Y1 (ko) 모니터의 출력 전압 조정 회로
JPS6236982A (ja) 入力周波数で出力電流を発生させる装置
FI88767C (fi) Vertikalavlaenkningsstroemgenerator
JPH0326709Y2 (ko)
KR900009577Y1 (ko) 모니터의 수평편향 보호회로
KR900006303Y1 (ko) 모니터화상의 좌.우 수평이동장치
KR950000150Y1 (ko) 모니터의 수직발진 회로
KR800000900Y1 (ko) 편향 찌그러짐 보정회로
KR920007509Y1 (ko)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KR900002600Y1 (ko) 수직 발진주파수 및 수직크기 자동조절회로
KR930005667Y1 (ko) 자동 스위칭 회로
SU1688394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тока
KR930001116Y1 (ko) 자동주파수 제어회로
KR890004968Y1 (ko) 16/64 칼라 및 수직/수평 스위칭회로
KR960004827Y1 (ko) 수평동기 안정화 회로
JPS5837178Y2 (ja) パタ−ン信号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