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09Y1 -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 Google Patents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09Y1
KR920007509Y1 KR2019890013408U KR890013408U KR920007509Y1 KR 920007509 Y1 KR920007509 Y1 KR 920007509Y1 KR 2019890013408 U KR2019890013408 U KR 2019890013408U KR 890013408 U KR890013408 U KR 890013408U KR 920007509 Y1 KR920007509 Y1 KR 920007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fvc
horizont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207U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3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509Y1/ko
Publication of KR910006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09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제1도는 종래의 수평발진전압 안정화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평발진전압 안정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10, R20 : 저항 U1: 비교기
D11, D21 : 다이오드 1 : 주파수-전압변환기
본 고안은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수평동기 발진전압을 출력하는 모니터의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동기 주파수가 불안정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수평동기 발진전압을 출력토록하는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모니터는 멀티싱크(Multi-sync) 모니터로 개발되고 있다. 멀티 싱크 모니터라함은 입력되는 수평동기펄스의 주파수에 따튼 수평출력 주파수를 발진하여 CRT(Cathode Ray Tube)를 구동하는 것으로서 고해상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확대보급되는 추세이다.
이와같은 멀티싱크 모니터에서 사용되는 수평동기펄스의 주파수는 약 15KHz∼38KHz내의 주파수이며, 이와같은 수평동기 주파수는 CRTC(Cathode Ray Tube Controller)에서 출력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싱크 모니터는 수평동기 펄스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압으로서 수평발진기를 구동시키어 수평주파수를 발진토록 되어있다. 이때 상기 수평발진기는 입력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가변되는 것으로 전압제어발진기의 기능을 가지면 족하다.
상기의 수평발진회로에 전압을 공급하는 회로는 전술한 바와같이 수평동기 펄스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주파수-전압변환기(Frequency to Voltage Converter:이하 FVC라함)를 사용하였다.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로서, 전원전압(Vcc)과 접지사이에 직렬 접속된 저항(R1∼R2)와, 상기 저항(R1) 및 (R2)의 접속노드에 베이스가 접속되고 저항(R3)를 통하여 에미터가 상기 전원전압(Vcc)에 접속되며 콜렉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에 애노드가 접속된 일방향 다이오드(D1)와, 수평동기 펄스의 주파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출력하는 FVC(10)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 상기 제1도의 회로에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면, 저항(R1, 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분압된 전압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가해지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부터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공급되는 전압에서 베이스와 에미터간의 순방향 전압(0.7V)이 빠진 전압이 출력된다.
이때 상기 두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어 출력되는 전압은 15KHz의 수펑동기 펄스신호(최저 발진주파수)의 레벨에 대응하여 실정한 전압으로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일정하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FVC(10)의 출력이 없을 때 일방향 접속된 다이오드(D1)에 의해 약 0.7V정도 전압강하된 후 수평발진회로(도시하지 않았음)의 동작전원 전압(Vo)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 펄스가 없거나, FVC(10)내부회로의 고장에 의해 상기 FVC(10)로 부터 출력이 없는 경우 상기 다이오드(D1)를 통해 수평발진회로의 동작전원 전압으로서 공급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상태에서 FVC(10)이 15KHz∼38KHz의 주파수를 갖는 수평동기 펄스가 입력되면, 상기 FVC(10)는 입력되는 수평동기 펄스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이오드(1)의 캐소드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평동기 펄스가 입력되면, 상기 FVC(1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수평발진회로의 동작전원 전압(Vo)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FVC(10)의 출력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발생되고, 이 전압이 상기 FVC(10)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어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어 왔다.
FVC(10)의 출력이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두 전압이 거의 동등한 지점에서는 에러가 발생될 소지가 크며, 수평동기 펄스의 입력이 없을 때에는 상기 FVC(10)의 출력이 OV로 됨으로써 상기의 상태에서 출력되는 전압(Vo)을 수평발진 구동회로의 전압으로 사용할 경우 수평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가 낮아져서 휘슬음이 발생되고, 수평발진회로의 공급전압이 떨어짐으로써 수평출력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의 턴-온시간이 길어지게 됨으로 출력 트랜지스티에 무리를 주는 문제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동기펄스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에 있어서, 수평동기 펄스신호가 없을때에는 설정된 기준전압이 일정하게 출력토록하여 수평발진회로의 전원전압을 공급토록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저항(R10) (R20)가 전원전압(Vcc)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전압(Vcc)을 소정레벨의 전압(V1)으로 저항분압 출력하는 저항분압회로와, 입력되는 수평동기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수평동기 신호에 대응한 전압(V2)을 출력하는 FVC(1)와, 상기 저항분압 회로로 부터 출력되는 분압전압(V1)과 상기 FVC(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V2)을 비교하여 레벨이 큰 전압의 논리을 출력하는 비교기(U1)와, 상기 비교기(U1)의 출력단자에 애노드가 접속되고 캐소드가 상기 FVC(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진 다이오드(11)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본 고안의 동작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저항(R10)과 저항(R20)에 의해 설정(분압)되는 전압(V1)은 두 저항비의 조절에 의해 하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V1=V2-(0.7V) 단 여기서 V2는 15KHz의 수평동기 펄스를 전압 변환하였을 때의 전압 레벨로서 상기 전압 V2은 V1+0.7V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에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CRTC(도시하지 않음)로부터 15KHz이상의 수평동기 펄스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FVC(1)에 입력되면, 상기 저항(R10)과 저항(R20)은 상기 전압을 저항분압하여 분압전압(V1)을 출력하며, 상기 FVC(10)는 상기 입력되는 수평동기 펄스를 전압(V2)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는 상태에서 15KHz의 수평동기 펄스가 상기 FVC(1)로 입력되면, 상기 저항(R10)과 저항(R20)의 접속노드로 부터는 항상 상기와 같이 설정된 일정전압(V1)이 분압 출력되고, FVC(1)로 부터는 15KHz에 대응하는 전압(V2)이 출력되며, 상기 두 전압은 비교기(U1)의 비반전단자(+)와 비반단자(-)로 각각 입력된다.
이때 전압 V1, V2의 크기는 V2>V1이다.
상기와 같이 설정전압(V1)과 상기 FVC(1)의 출력전압(V2)을 비교하는 비교기(1)의 출력은 OV로 된다. 즉 FVC(1)의 출력전압(V2)이 설정전압(V1)보다 크므로 비교기(U1)의 출력은 접지레벨인 OV로 된다.
따라서 수평동기 펄스가 상기 FVC(1)에 정상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비교기(U1)의 출력은 OV로 되어짐으로써 다이오드(D11)은 차단되며, 상기 FVC(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V2)이 다이오드(D21)를 통해 수평발진회로의 수평발진 전압(Vo1)으로 출력된다. 즉, 상기 FVC(1)에 수평동기 펄스가 입력되면, 저항(R10)과 (R20)에 의한 분압전압(V1)은 상기 비교기(U1)과 상기 다이오드(D11)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FVC(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V2)이 수평발진회로의 전원전압(Vo)으로 출력된다.
만약 수평동기 펄스신호가 상기 FVC(1)로 입력되지 않아 상기 FVC(1)의 출력전압(V2)의 전압 레벨이 OV인상태에서 전원전압(Vcc)이 제2도의 회로에 입력되면, 상기 저항(R10)과 저항(R20)은 상기 상기 전원전압(Vcc)을 저항분압하여 분압전압(V1)을 출력한다.
이때 비교기(U1)는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FVC(1)의 출력전압(V2)과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상기 분압전압(V1)을 비교하여 상기 분압전압(V1)을 다이오드(D11)의 애노드로 출력한다. 상기 다이오드(D11)는 상기 비교기(U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V1)을 순방향 전압강하(약 0.7V) 만큼 전압 강하된 출력전압(VO1)을 수평발진회로의 수평발진 전압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수평동기 펄스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전술한 저항(R10) 및 (R20)에 의한 설정전압(V1)이 상기 비교기(U1)로 부터 출력되며, 상기 비교기(U1)의 출력전압(V1)이 다이오드(D11)을 통하여 수평발진회로의 전원전압으로 입력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2도에 도시된 회로는 수평동기 펄스신호가 있을때나 없을때나 수평발진회로에는 항상 일정레벨의 전원전압이 입력됨으로 항상 일정 주파수를 발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멀티싱크 모니터에 있어서 주파수-전압변환회로의 출력을 수평발진회로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동기펄스의 입력이 없는 경우도 항상 일정한 전압을 수평발진회로에 입력시킬 수 있어 수평출력회로의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에 있어서, 전원전압(Vcc)와 접지사이에 저항(R10)과 (R20)이 직렬접속되어 상기 전원전압(Vcc)을 소정레벨의 전압(V1)으로 분압 출력하는 저항분압회로와, 소정 주파수의 수평동기펄스를 직류전압(V2)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FVC(1)와, 상기 저항분압 회로로 부터 출력되는 분압전압(V1)과 상기 FVC(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V2)을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하여 상기 두전압의 레벨을 비교하고, 레벨이 큰 전압의 논리를 출력하는 비교기(U1)와, 상기 비교기(U1)의 출력단자에 애노드가 접속되고 캐소드가 상기 FVC(1)의 출력단자에 접속 되어진 다이오드(D1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KR2019890013408U 1989-09-11 1989-09-11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KR920007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408U KR920007509Y1 (ko) 1989-09-11 1989-09-11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408U KR920007509Y1 (ko) 1989-09-11 1989-09-11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07U KR910006207U (ko) 1991-04-24
KR920007509Y1 true KR920007509Y1 (ko) 1992-10-15

Family

ID=1928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408U KR920007509Y1 (ko) 1989-09-11 1989-09-11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5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207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9958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having a reduced ripple voltage
KR100247586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KR920007509Y1 (ko) 수평동기 발진전압 안정화회로
US4891608A (en) #6 Control circuit for horizontal oscillator
US5949665A (en) Soft start pulse width modulation integrated circuit
JP2001100694A (ja) プラズマ表示パネルの過電流検出装置
US6201426B1 (en) Pulse generation device having integrating circuit having substantially constant charging/discharging ratio
JPH10335089A (ja) バックライト照明装置の調光用バーストパルス発生回路
KR940010484B1 (ko) 멀티 모드 모니터의 수평출력 보호회로
JP2000316280A (ja) 電源装置
KR910008567Y1 (ko) 전자악기의 비브라토 발진회로
KR930003559Y1 (ko) 모니터용 서어지 전압 제거장치
KR100202080B1 (ko) 저전압 보호회로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US6417632B1 (en) Defl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U1144184A1 (ru) Регул тор дл источника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2596943B2 (ja) 水平偏向回路
KR0123835B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구동 듀티 제어 회로
KR940005828Y1 (ko) 이상 주파수의 수평동기신호에 대한 모니터 보호회로
KR100335490B1 (ko) 음극 선관 구동용 전압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322756B1 (ko) 텔레비젼의 엑스선 보호회로
KR19990085825A (ko)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
KR890006036Y1 (ko) 스위칭 파우어 써플라이의 동기화 회로
KR950000524B1 (ko) 리셋트신호 발생회로
KR960004979Y1 (ko) 음극 선관의 고압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