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7586B1 -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7586B1
KR100247586B1 KR1019970034313A KR19970034313A KR100247586B1 KR 100247586 B1 KR100247586 B1 KR 100247586B1 KR 1019970034313 A KR1019970034313 A KR 1019970034313A KR 19970034313 A KR19970034313 A KR 19970034313A KR 100247586 B1 KR100247586 B1 KR 10024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ignal
output
power
pw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272A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586B1/ko
Priority to US09/120,332 priority patent/US6005789A/en
Publication of KR19990011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1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digit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개시된 과도 현상 억제는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 기기로 사용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과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가 단계적으로 일정 레벨씩 가변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컴퓨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에러 궤환 레벨 조절부가, 2차 정류부에서 에러 검출부를 통해 PWM 제어부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PWM 제어부는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에러 검출 전압에 따라 PWM 신호의 폭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출력하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단계적으로 감소되어 과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주변 기기로 사용되고, 컴퓨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부하에 공급되는 동작 전원을 제어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에 과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원 공급 회로의 과도 현상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을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 등의 영상 표시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할 경우에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변 기기의 하나로서 컴퓨터 시스템은 현재 수행하는 동작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로 출력하고, 이를 영상 표시 장치가 화면상에 표시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가 음극선관의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수직 동기신호 및 수평 동기신호를 이용하고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는 수평 동기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수평 편향 자계를 발생함과 아울러 수직 동기신호에 따라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한다. 그리고 음극선관에 표시할 영상신호에 따라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 빔을 상기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에 따라 편향시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컴퓨터 시스템은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와 함께 음극선관의 화면상에 표시할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다.
한편, 미합중국의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에서는 컴퓨터 시스템이 동작하는 현재 모드에 대응하여 모니터의 전원을 관리하고,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ystem)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DPMS는 컴퓨터 시스템의 사용 상태에 대응하여 모니터의 각 부위에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이 DPMS의 전원 공급 모드에 따라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모니터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정상 동작 모드(ON STATE MODE),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 서스펜드 모드(SUSPEND MODE) 및 파워 오프 모드(POWER OFF MODE)로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즉,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출력될 경우에 모니터는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수평 동기신호는 출력되지 않고 수직 동기신호만 출력될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하며, 수평 동기신호는 출력되고 수직 동기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서스펜드 모드로 동작하며,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가 모두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 파워 오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DPMS는 상기 모니터가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약 80-100W의 전력을 소모하고,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약 65W 이하의 전력을 소모하고, 서스펜드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약 25W 이하의 전력을 소모하며, 파워 오프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는 약 5W 이하의 전력을 소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규정과는 달리 정상 동작 모드 및 스탠바이 모드를 노멀 모드(NORMAL MODE)로 통합하여 노멀 모드, 서스펜드 모드 및 파워 오프 모드의 3가지로 모니터의 전원을 관리하는 것도 있다.
상기 노멀 모드는 소비 전력을 약 80-100W 정도로 하고, 서스펜드 모드는 소비 전력을 약 15W 이하로 하며, 파워 오프 모드는 소비 전력을 약 5W 이하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전원을 관리하는 종래의 모니터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에 따라 바로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도 1 및 도 2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 교류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부(10)와, 상기 전원 입력부(10)가 입력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1차 정류부(11)와, 상기 1차 정류부(11)의 출력 전원을 스위칭시켜 출력하는 스위칭 변압부(12)와, 상기 스위칭 변압부(12)의 출력 전원을 정류하여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2차 정류부(13)와,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레벨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14)와, 상기 에러 검출부(14)의 검출신호에 따라 PWM(Pulse Width Modulation)신호를 발생하는 PWM 제어부(15)와, 상기 PWM 제어부(15)가 출력되는 PWM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스위칭 변압부(12)를 스위칭시키는 스위칭 제어부(16)와, 상기 스위칭 제어부(16)로 과전류가 흐르는 지를 검출하여 상기 PWM 제어부(15)로 궤환시키는 과전류 검출부(17)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로 상기 부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8)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에러 검출부(14)의 궤환 레벨을 조절하는 DPMS 제어부(19)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전원 입력부(10)가 입력하는 상용 교류 전원을 1차 정류부(11)가 정류 및 평활하여 직류 전원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1차 정류부(11)가 발생한 직류 전원은 스위칭 변압부(12)에 인가됨과 아울러 PWM 제어부(15)에 초기 동작 전.원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PWM 제어부(15)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PWM 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 제어부(16)로 입력된다.
상기 스위칭 변압부(12)는 통상적으로 트랜스포머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16)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PWM 제어부(15)가 출력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6)가 온 및 오프를 반복하고, 스위칭부(16)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 변압부(12)는 상기 1차 정류부(11)의 출력 전원을 스위칭시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변압부(12)의 출력 전원은 2차 정류부(13)에서 다시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고, 부하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되며, 또한 상기 2차 정류부(13)의 출력전원이 PWM 제어부(15)에 동작 전원으로 공급됨과 아울러 에러 검출부(14)에 에러 검출 전압으로 공급된다.
상기 에러 검출부(14)는 상기 2차 정류부(13)의 출력 전원으로 부하에 과전원이 공급되는 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상기 PWM 제어부(15)로 출력한다.
그러면, PWM 제어부(15)는 상기 에러 검출부(14)의 출력신호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PWM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PWM 제어부(15)는, 2차 정류부(13)에서 부하로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의 과전원이 공급될 경우에 폭이 좁은 펄스신호를 출력하고, 2차 정류부(13)에서 부하로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의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폭이 넓은 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PWM 제어부(15)가 출력하는 폭이 가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 제어부(16)가 동작하여 스위칭 변압부(1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고, 이로 인하여 부하에는 소모 전력에 따른 안정된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제어부(16)로 흐르는 전류를 과전류 검출부(17)가 검출하여 과전류가 흐르는 지를 판단하고,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 상기 PWM 제어부(15)의 동작을 정지시켜 스위칭 제어부(15)가 과전류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한편, 마이크로 컴퓨터(18)는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고, 전원 공급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 신호에 따라 DPMS 제어부(19)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모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DPMS 제어부(19)가 출력하는 전원 공급 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에러 검출부(14)에서 PWM 제어부(15)로 입력되는 에러 검출 전압의 레벨이 가변되고, 부하에는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전력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바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였다.
그러므로 스탠바이 모드 또는 노멀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변화가 크게 발생한다.
상기 발생한 동작 전원의 변화로 인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이 매우 낮아지게 되는 과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생한 동작 전원의 과도 현상에 의하여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의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고, 부하로 서지 전류를 공급하게 되므로 부하가 오동작하게 되고,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된다.
그리고 정상 동작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하거나 또는 서스펜드 모드에서 파워 오프 모드로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하는 등과 같이 현재의 전원 공급 모드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변화가 적은 다른 전원 공급 모드로 변경할 경우에도 과도 현상이 발생되나, 감소되는 전압 및 전력의 폭이 낮으므로 기기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정도의 과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이 단계적으로 가변되도록 하여 과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에서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발생되는 과도 현상을 보인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가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제4도는 제3도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보인 신호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에 의하여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과도 현상이 억제되는 상태를 보인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가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 입력부 11 : 1차 정류부
12 : 스위칭 변압부 13 : 2차 정류부
14 : 에러 검출부 15 : PWM 제어부
16 : 스위칭 제어부 17 : 과전류 검출부
18 : 마이크로 컴퓨터 19 : DPMS 제어부
20 : 궤환 레벨 조절부 141 : 레벨 안정화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단계적으로 일정 레벨씩 가변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궤환 레벨 조절부가, 2차 정류부에서 에러 검출부를 통해 PWM 제어부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PWM 제어부는 단계적으로 감소되는 에러 검출 전압에 따라 PWM 신호의 폭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출력하고,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단계적으로 감소되어 과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3 및 도 4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를 상세히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가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상기 에러 검출부(14)는, 상기 2차 정류부(13)의 출력단자에 분할 수단인 저항(R1) 및 가변 저항(VR)이 직렬 접속되어 2차 정류부(13)의 출력 전압을 분할한다.
상기 저항(R1) 및 가변 저항(VR)의 접속점은 레벨 안정화부(141)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레벨 안정화부(141)는, 예를 들면, 칩번호 'KA431/A'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소정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안정된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레벨 안정화부(141)의 출력단자는 저항(R2)을 통한 후, 전류 변환 수단인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의 애노드에 접속되고,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의 캐소드에는 전원(B1+)이 인가되게 접속된다.
상기 포토 카플러(PC)의 수광 소자의 콜렉터에는 전원(B2+)이 인가되게 접속되고, 포토 카플러(PC)의 수광 소자의 에미터에는 저항(R3)이 접속되어 그 접속점이 상기 PWM 제어부(15)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부호 20은 마이크로 컴퓨터(18)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에러 검출부(14)에서 상기 PWM 제어부(15)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의 레벨을 조절하는 궤환 레벨 조절부이다.
상기 궤환 레벨 조절부(20)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의 출력단자가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의 일측 단자에 접속되고, 콘덴서(C1)의 타측 단자는 접지된다.
상기 저항(R4) 및 콘덴서(C21)의 접속점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저항(R6)을 통해 접지되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상기 레벨 안정화부(141)의 출력단자 및 저항(R2)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2차 정류부(13)가 부하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여 에러 검출부(14)에 전원(B1+)(B2+)이 인가된 상태에서 2차 정류부(13)의 출력 전압이 저항(R1) 및 가변 저항(VR)에 의해 분할되고, 레벨 안정화부(141)로 입력된다.
상기 레벨 안정화부(141)는 입력된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 증폭하여 안정화시키고, 출력하게 된다.
상기 레벨 안정화부(141)의 출력 전압은 저항(R2)을 통해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의 애노드에 인가된다.
그러면, 포토 카플러(PC)의 발광소자는 상기 레벨 안정화부(141)의 출력 전압에 따른 전류가 흐르게 되어 광을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레벨 안정화부(141)의 출력 전압이 낮을 경우에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로 많은 전류가 흘러 많은 양의 광을 출력하고, 레벨 안정화부(141)의 출력 전압이 높을 경우에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로 적은 전류가 흘러 적은 양의 광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가 출력하는 광을 포토 카플러(PC)의 수광 소자가 수광하여 그의 에미터로 수광되는 광량에 비례하는 전류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포토 카플러(PC)가 출력하는 전류는 저항(R3)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PWM 제어부(15)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PWM 제어부(15)는 에러 검출부(14)를 통해 궤환되는 전압으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폭이 가변되는 PWM 신호를 출력하여 2차 정류부(13)가 부하에 안정된 정격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이크로 컴퓨터(1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고, 단계(S11)에서 현재 부하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11)에서 부하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와 일치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18)는 단계(S10)로 복귀하여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1)에서 부하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단계(S12)에서 상기 판단한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입력에 따른 전원 공급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입력될 경우에 정상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수평 동기신호는 출력되지 않고 수직 동기신호만 입력될 경우에 스탠바이 모드를 설정하며, 수평 동기신호는 출력되고 수직 동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서스펜드 모드를 설정하며,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가 모두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파워 오프 모드를 설정한다.
다음 단계(S13)에서는 상기 설정한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고, 단계(S10)로 복귀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는 내부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 내장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가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제어신호는 궤환 레벨 조절부(20)의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안정화된다.
상기 콘덴서(C1)에 의해 안정화된 제어신호는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바이어스 전압이 가변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로 흐르는 전류가 가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로 흐르는 전류의 가변에 따라 상기 포토 카플러(PC)의 발광 소자로 흐르는 전류가 가변되어 출력되는 광량이 가변되므로 포토 카플러(PC)에서 상기 PWM 제어부(15)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의 레벨이 가변된다.
그러므로 상기 PWM 제어부(15)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레벨의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폭의 PWM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2차 정류부(13)에서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전력을 설정된 전원 공급 모드에 적합하도록 조절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원 공급 모드를 스탠바이 모드 또는 노멀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변경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18)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키고, 이로 인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정류부(13)에서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이 단계적으로 가변되어 과도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가 구비된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 컴퓨터(18)와 궤환 레벨 조절부(20)의 사이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를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마이크로 컴퓨터(18)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비하지 않고, 설정된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출력하는 디지털 제어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의 출력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궤환 레벨 조절부(20)의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안정화된 후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8)의 출력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류가 가변되고, 에러 검출부(14)에서 PWM 제어부(15)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의 레벨이 가변되어 부하에는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전원 공급 모드를 스탠바이 모드 또는 노멀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변경할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제어신호를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 또는 노멀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변경할 경우에만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제어신호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전원 공급 모드를 변경할 경우에 모두 마이크로 컴퓨터(18)가 제어신호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부하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드를 변환할 경우에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이 단계적으로 가변되게 함으로써 부하에는 과도 현상이 발생되지 않은 안정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Claims (4)

  1. 직류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스위칭 변압부; 상기 스위칭 변압부의 출력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하는 정류부; 상기 부하로 공급되는 동작 전원의 에러 값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 상기 에러 검출부의 출력신호에 따른 폭의 PWM 신호를 발생하는 PWM 제어부; 상기 PWM 제어부가 출력하는 PWM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 변압부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 및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로 전원 공급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전원 공급 모드에 따라 상기 에러 검출부에서 상기 PWM 제어부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키는 가변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부는; 상기 2차 정류부의 출력 전압을 분할하는 분할 수단; 상기 분할 수단에서 분할된 전압의 레벨을 안정화시키는 레벨 안정화부; 상기 레벨 안정화부의 출력신호에 따른 전류를 발생하는 전류 변환 수단; 및 상기 전류 변환 수단의 출력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PWM 제어부로 궤환시키는 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수단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로 전원 공급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아날로그 제어신호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에러 검출부에서 상기 PWM 제어부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을 가변시키는 궤환 레벨 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수단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 및 수직 동기신호의 유무로 전원 공급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한 전원 공급 모드에 따른 디지털 제어신호의 레벨을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가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에러 검출부에서 상기 PWM 제어부로 궤환되는 에러 검출 전압을 가변시키는 궤환 레벨 조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KR1019970034313A 1997-07-22 1997-07-22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KR10024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313A KR100247586B1 (ko) 1997-07-22 1997-07-22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US09/120,332 US6005789A (en) 1997-07-22 1998-07-22 Circuit for inhibiting transition phenomenon in power suppl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313A KR100247586B1 (ko) 1997-07-22 1997-07-22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72A KR19990011272A (ko) 1999-02-18
KR100247586B1 true KR100247586B1 (ko) 2000-03-15

Family

ID=1951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313A KR100247586B1 (ko) 1997-07-22 1997-07-22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05789A (ko)
KR (1) KR100247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6152A1 (de) * 1998-06-12 1999-12-16 Thomson Brandt Gmbh Anordnung mit einem Schaltnetzteil und einem Mikroprozessor
KR100280790B1 (ko) * 1998-07-07 2001-02-01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의서지보호회로
MY122426A (en) * 1998-10-29 2006-04-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mory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integrated memory undergoing logical state transitions
JP3607823B2 (ja) * 1998-11-19 2005-01-05 横河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DE69942955D1 (de) * 1999-06-01 2010-12-3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 Vorrichtung zur Pulsbreitenmodulationssteuerung mit Standby-Modus
KR100598412B1 (ko) * 1999-08-31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원절전장치 및 전원절전방법
US6735640B1 (en) * 2000-08-16 2004-05-11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unit and a peripheral unit
JP4200364B2 (ja) * 2003-04-10 2008-12-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式acアダプタ回路
CN1937383A (zh) * 2005-09-22 2007-03-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开关电源装置、半导体装置以及控制方法
US20080243587A1 (en) * 2007-03-30 2008-10-02 American Express Travel Related Services Company, Inc. Increasing Incremental Spend By A Consumer
JP4678429B2 (ja) * 2008-09-11 2011-04-27 船井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システム
TWM354792U (en) * 2008-11-26 2009-04-11 Hipro Electronics Taiwan Co Ltd Automatic detecting device for output power
TW201131344A (en) * 2010-03-05 2011-09-16 Ever Light Technology Ltd Power adapter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power adapter
KR102061178B1 (ko) * 2013-06-19 2019-12-3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시스템
CN104459305B (zh) * 2013-09-17 2018-08-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功率侦测电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004A (en) * 1974-01-24 1978-02-07 Raytheon Company Power supply with voltage protection circuit
US4156273A (en) * 1976-10-07 1979-05-22 Sanyo Electric Co., Ltd. Protection of a switching regulator
US4634939A (en) * 1985-12-24 1987-01-06 Rca Corporation Circuit synchronized by a signal at a deflection frequency
EP0261894B1 (en) * 1986-09-20 1996-04-10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ource apparatus
JPH05297815A (ja) * 1992-02-17 1993-11-12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
KR0109586Y1 (en) * 1994-10-31 1997-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ot killer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5789A (en) 1999-12-21
KR19990011272A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586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과도 현상 억제 회로
KR0154797B1 (ko) 펄스 폭 변조 제어 회로
KR200204874Y1 (ko) 과도전압 안정화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기
US5699236A (en) High-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of a monitor
KR910009432B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전력원
KR10028079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서지보호회로
JPH09265328A (ja) アクティブダミー回路
KR100202080B1 (ko) 저전압 보호회로
KR100503481B1 (ko) 스텐바이 모드시의 전력소모가 적은 전원공급장치
KR10062872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절전회로
KR100195704B1 (ko) 모니터의 전원 회로
KR20180070043A (ko) 음성인식 구동 led 장치
KR100281382B1 (ko)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KR100364735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화면밝기에 따른 고압 출력부 제어 회로
KR100287846B1 (ko) 모니터의 디피앰 모드 소비전력 절감장치
KR200172692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KR940005072Y1 (ko)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장치
KR100474256B1 (ko) 기울기보정용코일의소비전력제어회로
KR0166263B1 (ko) 모니터의 전원 회로
KR200152423Y1 (ko) 음극선관의 히터전압 조정장치
KR200156528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자동 휘도 제한회로
KR960004979Y1 (ko) 음극 선관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20000005822U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20010010985A (ko) 모니터의 고압 스위칭 회로
KR19990038661U (ko) 모니터의 화면크기 보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