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92Y1 -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92Y1
KR200172692Y1 KR2019970021231U KR19970021231U KR200172692Y1 KR 200172692 Y1 KR200172692 Y1 KR 200172692Y1 KR 2019970021231 U KR2019970021231 U KR 2019970021231U KR 19970021231 U KR19970021231 U KR 19970021231U KR 200172692 Y1 KR200172692 Y1 KR 200172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flyback transformer
display device
supplied
high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708U (ko
Inventor
박승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1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92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7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개시된 고압조정회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플라이백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있어서, HV 프로세서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 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의 변화를 고압감지부를 통해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조정하고, 조정된 펄스에 의해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VCC)을 단속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항상 모니터로 안정된 고압(High Voltage)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생산공정에서 저항소자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고압조정을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고압조정시 고압이 노출됨으로써 발생되는 안전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HV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컴퓨터부터 입력되는 기준전압과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 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의 변화를 고압감지부를 통해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을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조정하고, 조정된 펄스에 의해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단속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를 구동시켜 주기 위해서는 고압 발생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구동용 고압(High Voltage; H.V.)을 발생하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와,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에 응하여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는 펄스폭변조부(1)와, 펄스폭변조부(1)의 출력펄스에 응답하여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VCC)을 단속하는 고압출력제어부(2)와, 펄스폭변조부(1)로 인가되는 노드전압(Va)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R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춘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고압조정회로의 동작을 고압출력제어부(2)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압출력제어부(2)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일정한 듀티사이클을 갖는 고압발생제어용 펄스가 펄스폭변조부(1)를 통해 고압출력제어부(2)로 입력되면 고압출력제어부(2)는 펄스의 듀티사이클중 하이신호가 출력되는 동안만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측 권선으로 전원전압(VCC)을 공급하고, 로우신호가 출력되는 동안에는 전원전압(VCC)의 공급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측으로 모니터 구동을 위한 고압(H.V.)이 유기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보조권선에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따변화되는 전압이 유기되고, 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을 다이오드(D1) 및 저항(R1)을 통해 노드 A로 출력하면 저항(R2)에 의해 노드전압(Va)이 결정되고, 이 노드전압(Va)에 따라 펄스폭변조부(1)에서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이 결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CRT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플라이백트랜스포머로 공급되는 고아을 항상 안정화시키기 위해 펄스폭변조부에서 플라이백트랜스포머를 구동시키기 위한 고압발생 제어용 펄스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고압발생 제어용 펄스를 생성하기 위해 펄스폭변조부로 공급되는 기준전압을 저항을 이용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저항을 교체시켜야 하는 경우 고압단으로 작업자가 고압에 감전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있다.
또한, 펄스폭변조부로 공급되는 기준전압을 저항을 이용하여 공급하기 때문에 기준전압이 주변환경(예를 들면, 주변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나, 디스플레이장치가 위치하는 장소의 실내온도)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여 고압단이 항상 안정화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HV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준전압을 일정하게 설정하고,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보조권선에 기되는 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안정된 고아이 유기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FBT : 플라이백트랜스포머 10 : 고압감지부
20 : HV 프로세서 22 : 펄스폭변조부
24 : 고압출력제어부 30 : 마이크로 컴퓨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치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해 변화되는 보조권선의 출력전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고압감지부와,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고압감지부와 비교전압과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값에 응답하여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조정하여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단속하는 HV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감지부(10)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따라 변화되는 보조권선에 유기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펄스폭변조부(22)의 비교전압으로 출력한다.
HV 프로세서(20)는 고압감지부(10)의 비교전압과 마이크로 컴퓨터(30)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값에 따라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결정하는 펄스폭변조부(22)와, 펄스폭변조부(22)의 출력펄스에 응답하여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VCC)을 단속하는 고압출력제업(24)로 이루어진다.
마이크로 컴퓨터(30)는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항상 일정한 기준전압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고압조정회로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V 프로세서(20)의 고압조정회로(24)로 일정 듀티사이클을 갖는 펄스가 펄스폭변조부(22)로부터 입력되면 고압출력제어부(24)는 펄스의 듀티사이클동안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측으로 전원전압(VCC)을 공급하고, 오프듀티 동안에는 전원전압(VCC)의 공급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측에 모니터 구동을 위한 고압이 유기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HV 프로세서(0)의 펄스의 듀티사이클은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측으로 유기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 전압이 변화되는 보조권선에 유기된 전압을 고압감지부(10)를 통해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을 펄스폭변조부(22)의 비교전압으로 하며, 마이크로 컴퓨터(30)로부터 입력되는 일정한 기준전압으로 하여, 두 전압을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고압감지부(10)의 검출전압이 크면 듀티사이클기간이 짧은 고압발생제어용 펄스를 출력하고, 고압감지부(10)의 검출전압이 작으면 듀티사이클 기간이 긴 고압발생제어용 펄스를 출력하여 HV 프로세서(20)로 하여금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측으로 공급 또는 차단되는 시간비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30)의 디지털 데이타는 HV 프로세서(20)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않음)에서 아날로그값으로 변환되고 펄스폭변조부(22)에서 고압감지부(10)의 전압과 비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펄스폭변조부의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인 고압발생 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조정하기 위하여 펄스폭변조부로 공급되는 기준전압을 마이크로컴퓨터 및 II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기준전압 공급소자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 및 IIC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펄스폭변조부로 기준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CRT 디스플레이장치가 항상 안정된 고압단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CRT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화면상으로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되도록 제조자가 미리 설정된 전압으로 공급되는 CRT로 공급되는 고압을 조정하는 회로에 있어서,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이차측에 유기되는 전압에 의해 변화되는 보조권선의 출력전압의 변화를 검출하여 비교전압으로 출력하는 고압감지부;
    작업자에 의해 세팅되고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IIC 통신 방식에 따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상기 고압감지부의 비교전압과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준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값에 응답하여 고압발생제어용 펄스의 듀티사이클을 조정하여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일차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단속하는 HV 프로세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KR2019970021231U 1997-07-31 1997-07-31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KR200172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31U KR200172692Y1 (ko) 1997-07-31 1997-07-31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231U KR200172692Y1 (ko) 1997-07-31 1997-07-31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08U KR19990007708U (ko) 1999-02-25
KR200172692Y1 true KR200172692Y1 (ko) 2000-03-02

Family

ID=1950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231U KR200172692Y1 (ko) 1997-07-31 1997-07-31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5855B2 (en) 2008-06-13 2016-11-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atalyst system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5855B2 (en) 2008-06-13 2016-11-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Catalyst system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08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2692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조정회로
KR10028079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서지보호회로
KR100891109B1 (ko) 디스플레이기의 고압 레귤레이션 신호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0122350Y1 (ko) 다중동기 모니터의 고압안정화 회로
KR0150701B1 (ko) 밧데리구동티브이의화면밝기조절장치와조절방법
AU2002366907A1 (en) Method of regulating output parameters of a power supply
KR200187008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주파수에 따른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100429230B1 (ko) 모니터의 휘도 조정장치
KR950003490B1 (ko) 멀티 입력모드 변화에 따른 bc^+ 자동조정장치
KR930003564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과전압 보호회로
KR920004383B1 (ko) Crt 빔전류 제어회로
KR200217891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엑스-레이발생억제회로
KR100437811B1 (ko)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
KR200179723Y1 (ko) 수평 안정화 회로
KR200187011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전류제한회로
KR0128400Y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다이나믹 레귤레이션 보상회로
KR100304900B1 (ko) 모니터의 빔 전류 제한장치
KR0122114B1 (ko) 스크린 전압 자동조정 회로
KR19980063066U (ko) 고압 조정 장치
KR200239038Y1 (ko) 고압상승방지회로
KR100299174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광대역수평사이즈조절회로
KR100228732B1 (ko) 자동휘도제한 상태의 표시회로
KR920000921Y1 (ko) 수직화면 크기의 자동 보정회로
KR980010686A (ko) 자동 전압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JPH0771752A (ja) 燃焼機の電磁ポン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