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382B1 -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382B1
KR100281382B1 KR1019970064402A KR19970064402A KR100281382B1 KR 100281382 B1 KR100281382 B1 KR 100281382B1 KR 1019970064402 A KR1019970064402 A KR 1019970064402A KR 19970064402 A KR19970064402 A KR 19970064402A KR 100281382 B1 KR100281382 B1 KR 100281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anode
high voltage
high pressure
f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3401A (ko
Inventor
이승운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64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3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3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편향회로와 분리되어 수상관의 애노드 고압(H.V)을 발생시키도록 된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니터의 수평출력부와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 레벨의 직류 B+ 전압(예컨대, 170V)을 공급하여 별도로 설치된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를 이용하여 B+ 전압을 단속하므로써 수상관(CRT)의 애노드 고압(H.V)을 발생시키고, 모니터 양산(量産)시 가변저항(VR)을 조절하여 애노드 고압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 비디오모드가 변함에 따라서 고압감지부(13)가 애노드 고압이 변동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이 감지신호에 따라서 수평편향IC(11)가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여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스위칭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므로써 애노드 고압을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Circuit for generating High Voltage in a monitor)
본 발명은 수상관(CRT)의 애노드에 고압(H.V.; High Voltage)을 공급하기 위한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수상관에 있는 양극단자인 애노드에는 캐소드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가 형광면에 충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십kV 단위의 고압(예컨대, 20~25kV)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애노드에 공급되는 고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압발생회로에 의해 발생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고압발생회로는 수평편향IC(10)와; 수평구동부(20); 수평출력부(30) 및; 고압발생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편향IC(10)는 PC의 본체로부터 출력되어 모니터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수평주파수(비디오모드)에 따라서 수상관에 있는 수평편향코일(H.DY)에 톱니파 전류를 흘려보내기 위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평구동부(20)는 수평 구동트랜지스터 Q1과 수평구동트랜스포머(이하, HDT라 한다)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출력부(30)는 서로 병렬접속된 스피드업용 다이오드 D1과 전류제한용 저항 R1이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수평 출력트랜지스터 Q2와, 댐핑용 다이오드 D2, 수평편향코일(H.DY), 귀선용 콘덴서 C1 및, S보정용 콘덴서 C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압발생부(40)는 모니터의 전원공급부(SMPS;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B+ 전압이 일차권선으로 유입되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이하, FBT라 한다)와, 정류용 다이오드 D3 및, 평활용 콘덴서 C3로 이루어져 있다.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압 발생회로의 작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평편향IC(10)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신호가 상기 수평구동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로 인가되면 이 수평구동트랜지스터 Q1은 수평동기신호가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 온/오프를 반복하는 스위칭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HDT의 일차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단속되면 이 HDT의 이차권선에 수평구동신호(H.drive)가 유기되어 상기 스피드업용 다이오드 D1과 전류제한용 저항 R1을 통해 상기 수평출력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수평출력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수평구동신호가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에 따라서 상기 수평출력트랜지스터 Q2가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수평출력 트랜지스터 Q2가 스위칭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전원공급부(SMPS)로부터 FBT의 일차 권선을 통해 공급되는 B+ 전압이 단속되어 이 FBT의 이차권선에 애노드에 공급되는 고압(H.V)이 유기됨과 동시에 상기 수평편향코일 H.DY에 편향전류가 흐르게 된다.또한, 상기 FBT의 이차권선에 유기된 고압은 정류용 다이오드 D3과 평활용 콘덴서 C3에 의해 정류되고 평활되어 수상관의 애노드로 고압을 공급하는 신호선을 통해 애노드로 공급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고압발생회로는 모니터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주파수(비디오모드)가 변하면 상기 FBT의 일차권선에 유기되는 B+ 전압이 가변되며, 동시에 수상관의 애노드로 공급되는 고압도 역시 가변된다. 따라서, 상기 애노드 고압이 가변됨으로 해서 수상관의 애노드 전류가 변함은 물론 화면의 수직/수평 사이즈 및 밝기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출력부와 상기 FBT의 일차권선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 레벨의 직류 B+ 전압을 공급하여 별도로 설치된 스위칭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B+ 전압을 단속하므로써 수상관의 애노드 고압을 발생시키고, 비디오모드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애노드 고압이 변동되면 자동으로 상기 스위칭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항상 안정된 애노드 고압이 수상관의 애노드로 공급되도록 하는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 직류 레벨의 B+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와;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B+ 전압을 단속시키므로써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이차권선에 애노드 고압을 유기시키는 B+전압 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의 이차권선에 유기된 애노드 고압이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라인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 R2와 콘덴서 C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애노드 고압의 변동을 감지하는 고압감지부; 상기 고압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전류증폭하는 버퍼; 상기 버퍼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신호를 가변시켜 상기 애노드 고압을 조절하는 가변저항 VR; 상기 가변저항 VR이 일정한 값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감지부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상기 버퍼와 상기 가변저항 VR을 통해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와 역비례하는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여 변동된 애노드 고압을 안정시키는 수평편향IC; 상기 수평편향IC로부터 고압조절신호가 출력되면 온되는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가 온되면 반대로 오프되어 상기 고압 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의 컬렉터 출력신호를 반전 증폭한 후 상기 B+전압 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로 인가시키는 증폭용 트랜지스터 Q21과 Q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모니터의 수평출력부와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이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를 이용하여 상기 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한 레벨로 공급되는 직류 B+ 전압을 단속하므로써 수상관(CRT)의 애노드 고압을 발생시키고, 모니터 양산(量産)시 상기 가변저항 VR을 조절하여 애노드 고압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 비디오모드가 변함에 따라서 상기 고압감지부가 애노드 고압이 변동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서 상기 수평편향IC가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스위칭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므로써 애노드 고압을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고압발생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수평편향IC 12 : 정전압공급부
13 : 고압감지부 14 : 버퍼
20 : 수평구동부 30 : 수평출력부
40 : 고압발생부 HDT : 수평구동트랜스포머
FBT : 플라이백트랜스포머 FET : 전계효과트랜지스터
Q1 : 수평구동트랜지스터 Q2 : 수평출력트랜지스터
Q11,Q21,Q3 : 트랜지스터 H.DY : 수평편향코일
C1,C2,C3,C4 : 콘덴서 D1,D2,D3 : 다이오드
R1,R2 : 저항 VR : 가변저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 직류 레벨의 B+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12)와;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여 B+ 전압을 단속시키므로써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권선에 애노드 고압을 유기시키는 B+전압 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권선에 유기된 애노드 고압이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라인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 R2와 콘덴서 C4로 이루어져 있고, 애노드 고압의 변동을 감지하는 고압감지부(13); 상기 고압감지부(1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전류증폭하는 버퍼(14); 상기 버퍼(14)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신호를 가변시켜 애노드 고압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 상기 가변저항(VR)이 일정한 값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감지부(13)로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상기 버퍼(14)와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와 역비례하는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여 변동된 애노드 고압을 안정시키는 수평편향IC(11); 상기 수평편향IC(11)로부터 고압조절신호가 출력되면 온되는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 및;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이 온되면 반대로 오프되어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 출력신호를 반전증폭한 후 상기 B+전압 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로 인가시키는 두 개의 증폭용 트랜지스터(Q21,Q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20~25kV의 전압값을 가지는 애노드 고압을 수상관의 애노드로 항상 안정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전압공급부(12)로부터 공급되는 B+ 전압을 170V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조건이면 상기 고압감지부(13)의 저항 R2와 콘덴서 C4에 의해 감지되는 애노드 고압의 변동범위는 10~12V로 된다. 또한, 모니터 양산시에 상기 가변저항 VR을 조절하여 애노드 고압이 20~25kV의 범위로 유지되도록 한 후에 비디오모드가 변할 때마다 애노드 고압이 변동되면, 이때부터는 상기 고압감지부(1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크기에 따라서 상기 수평편향IC(11)가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스위칭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한다.
만약, 비디오모드가 변함에 따라서 애노드 고압이 갑자기 증가하면 상기 고압감지부(13)가 애노드 고압의 증가를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애노드 고압의 증가를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상기 버퍼(14)에 의해 전류증폭되어 상기 가변저항 VR을 통해 상기 수평편향IC(11)로 입력되면, 상기 수평편향IC(11)는 애노드 고압을 정상 상태로 낮추어 안정시키기 위한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며, 이때의 고압조절신호의 주파수는 낮은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애노드 고압을 낮추기 위한 고압조절신호가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의 베이스로 인가되면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은 온/오프되는 스위칭동작을 반복하여 컬렉터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 Q21과 Q3의 베이스로 인가시키며, 이에 따라서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 Q21과 Q3이 오프/온되어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의 컬렉터 출력신호를 반전증폭하여 상기 B+전압조절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로 인가시키면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가 스위칭작용을 하여 애노드 전압을 정상적인 상태로 낮춘다. 즉, 이때는 상기 수평편향IC(11)로부터 출력되는 고압조절신호의 주파수가 낮으므로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가 온/오프되는 스위칭타임이 정상적인 스위칭타임에 비해 더 느려지며, 이에 따라서 상기 FBT의 이차권선에 유기되는 애노드 고압이 낮아져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비디오모드가 변함에 따라서 애노드 고압이 갑자기 낮아지면 상기 고압감지부(13)가 애노드 고압의 감소를 나타내는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와 같이 애노드 고압의 감소를 나타내는 감지신호가 상기 버퍼(14)에 의해 전류증폭되어 상기 가변저항 VR을 통해 상기 수평편향IC(11)로 입력되면, 상기 수평편향IC(11)는 애노드 고압을 정상 상태로 높여 안정시키기 위한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며, 이때의 고압조절신호의 주파수는 높은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애노드 고압을 높이기 위한 고압조절신호가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의 베이스로 인가되면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은 온/오프되는 스위칭동작을 반복하여 컬렉터 출력신호를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 Q21과 Q3의 베이스로 인가시키며, 이에 따라서 상기 증폭용 트랜지스터 Q21과 Q3이 오프/온되어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 Q11의 컬렉터 출력신호를 반전증폭하여 상기 B+전압조절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로 인가시키면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가 스위칭작용을 하여 애노드 전압을 정상적인 상태로 높인다. 즉, 이때는 상기 수평편향IC(11)로부터 출력되는 고압조절신호의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가 온/오프되는 스위칭타임이 정상적인 스위칭타임에 비해 더 빨라지며, 이에 따라서 상기 FBT의 이차권선에 유기되는 애노드 고압이 높아져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수평출력부와 상기 FBT의 일차권선을 분리시켜 상기 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한 레벨로 공급되는 직류 B+ 전압을 단속하므로써 수상관의 애노드 고압을 발생시키고, 모니터 양산시 상기 가변저항 VR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된 애노드 전압이 비디오모드가 변함에 따라서 변동되더라도 상기 수평편향IC가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B+전압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의 스위칭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므로써 애노드 고압을 항상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하면, 애노드 고압이 가변됨으로 해서 수상관의 애노드 전류가 변함은 물론 화면의 수직/수평사이즈 및 밝기가 비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항상 일정 직류 레벨의 B+ 전압을 공급하는 정전압공급부(12)와;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일차권선에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스위칭동작을 수행하여 B+ 전압을 단속시킴으로써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권선에 애노드 고압을 유기시키는 B+전압 스위칭용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상기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이차권선에 유기된 애노드 고압이 수상관으로 공급되는 라인에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저항(R2)과 콘덴서(C4)로 이루어져있고, 애노드 고압의 변동을 감지하는 고압감지부(13); 상기 고압감지부(13)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전류증폭하는 버퍼(14); 상기 버퍼(14)로부터 출력되는 증폭신호를 가변시켜 애노드 고압을 조절하는 가변저항(VR); 상기 가변저항(VR)이 일정한 값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압감지부(13)로 부터 출력된 감지신호가 상기 버퍼(14)와 상기 가변저항(VR)을 통해 입력되면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와 역비례하는 고압조절신호를 출력하여 변동된 애노드 고압을 안정시키는 수평편향IC(11); 상기 수평편향IC(11)로부터 고압조절신호가 출력되면 온되는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 및 ;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가 온되면 오프되어 상기 고압조절용 트랜지스터(Q11)의 컬렉터 출력신호를 반전 증폭한 후 상기 B+전압 스위칭용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의 게이트로 인가시켜는 한쌍의 트랜지스터(Q21,Q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KR1019970064402A 1997-11-29 1997-11-29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KR10028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402A KR100281382B1 (ko) 1997-11-29 1997-11-29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402A KR100281382B1 (ko) 1997-11-29 1997-11-29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401A KR19990043401A (ko) 1999-06-15
KR100281382B1 true KR100281382B1 (ko) 2001-03-02

Family

ID=6609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402A KR100281382B1 (ko) 1997-11-29 1997-11-29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5887B1 (ko) * 2000-10-24 2003-08-27 한국전력공사 지리정보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구축작업에 있어서배전설비도면 자동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401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1382B1 (ko)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KR100190165B1 (ko) 광대역 고압 안정화 회로
KR20000017145A (ko) 영상 표시 장치용 고전압 전원
KR100471058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21801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귀선 시간 조정 펄스 발생 회로
KR19990005563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사이즈 보상회로
KR100274429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압회로
KR200164490Y1 (ko) 모니터의 고압 레귤레이션 회로
KR19980085008A (ko) 복수의 fet를 이용한 수평편향 드라이브 회로
JP3840648B2 (ja) ビデオ表示装置
KR200148098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수평 사이즈 안정화회로
KR19980051598A (ko) 듀티(Duty)변경 회로
KR200183044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200150478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pwm 듀티를 제어하는 수평출력 보호회로
US6396171B1 (en) Circuit for stabilizing a high voltage
JPH083100Y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H11187281A (ja) モニタの高圧調整回路
KR200156528Y1 (ko) 모니터에 있어서 자동 휘도 제한회로
KR100260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포지션 조절회로
KR19990003853A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
JPH08139957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00001589A (ko) 백 래스터 밝기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0361A (ko) 영상표시기기의 광대역 스위칭 드라이브 보상회로
KR19980030043U (ko) 모니터의 고압 안정화 회로
KR19990052747A (ko) 모니터의 고압발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