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38B1 -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 Google Patents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38B1
KR890001238B1 KR8201531A KR820001531A KR890001238B1 KR 890001238 B1 KR890001238 B1 KR 890001238B1 KR 8201531 A KR8201531 A KR 8201531A KR 820001531 A KR820001531 A KR 820001531A KR 890001238 B1 KR890001238 B1 KR 890001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holes
hole
members
attach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네 맥심
아다모스키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모네 맥심
인터 콘트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네 맥심, 인터 콘트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모네 맥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2B37/006Walking equipment, e.g. walking platforms suspended at the tube she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aper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Earth Drill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Jib Cran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물탱크의 하나의 챔버내로 도입된 U형 관을 갖는 증기발생기의 하부의 단면도.
제2도는 물탱크의 하나의 챔버의 관판상에 관 단부의 정방형 메시 격자(mesh grid)내의 분포를 도시하는 제1도의 Ⅱ-Ⅱ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실시예로써 고정된 관판 부분의 하방에서 본 확대 설명도.
제4도는 제3도의 장치인 고정된 관판 부분의 수직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2변형을 보여주는 제3도와 같은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장치에 의한 관의 검사 및 변위 가능성의 도시도.
본 발명은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perforation)을 향하도록 부재를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와류담침(eddy current probe) 또는 감지기와 같은 제어장치를 각 관내로 연속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안내관이 핵발전소에서와 같은 증기 발생기의 각 관을 향하도록 안내관을 위치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핵 발전소에서 사용된 증기 발생기의 관은 특히 심한 운전 조건에 접하므로, 파손된 관들은 그 각 단부를 시일링하여 패기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다.
이 검사를 위해서는, 자동장치가 증기 발생기의 물상자 또는 탱크내로 도입되어야 하며, 상기 장치는 외부로부터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런 물탱크의 높은 오염성 및 방사성때문에 사람이 개입하는 것을 최대로 줄이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이유로, 그 장치는 최대로 신뢰할 수 있어야하며 수동적인 개입없이 모든 관들이 검사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로 모든 발생기 관의 검사에 필요한 시간이 가능한한 짧아야 한다.
관의 단부내로의 그 독립적인 고정이 가능한 부재를 갖춘 2개의 수직아암으로써 각각 3개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아암에 의해 운반된 안내관이 모든 증기 발생기 관을 향하게 할 수 있는, 위치 결정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주며 모든 증기발생기 관을 상당히 단시간에 완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그것은 관판의 완전한 주사(scan) 또는 소사(sweep)를 수행하기 위해 수개의 안내관을 가져야 하는 결점을 갖는다. 이것은 와류 감지기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도달할 지점에 따라 필요시엔, 안내관의 하나로부터 분리되며 안내관의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운전은 수동 조작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이것은 전술한 이유로 인해 가급적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어되어야 할 각 관은 정상작동(운전)중에 장치 일체의 변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것은 검사 시간을 증가시키므로 명백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결국, 이 종래의 장치는 그 장착에 있어, 관의 완벽한 유용성을 요구한다. 사실상 이것은, 어떤 관은 앞선 검사의 결과로 이미 시일되어 버렸으므로 명백히 그렇게 하지 못한다. 더우기 전술한 장치의 운전은 천공 시스템이 직교하지 않을 경우에는 방해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 발생기의 모든 관을 자동적이며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게 검사할 수 있으면서도 종래의 장치의 결점을 갖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정의 격자에 따라서 다공판의 구멍의 각각을 향하도록, 부재 위치 결정장치에 의해 전술한 문재를 해결하며, 그 장치는 2개 이상의 부착부재를 갖는 본체,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들 부재를 변위시켜, 이들 부착부재가 대향하는 구멍내로 도입되거나 그 구멍에서 발출될 수 있도록한 수단, 대향하는 구멍내에 각 부착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대에 대해 부재의 하나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그 장치는 또한, 그 자유단부에 상기 부재를 갖는 1개 이상의 지지체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상이한 구멍과 반대되게 상기 부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에 대해 이 지지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안내관과 같은 부재를, 판에 대해 그 장치를 변위시킴이 없이, 수개의 구멍을 향하게 함으로써, 장치를 이동함이 없이 수개의 관을 검사할 수 있어, 관판의 모서리에 위치한 지역으로의 통행성을 좋게함과 동시에 검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써, 다른 부재에 대한 하나의 부재 변윔수단은, 본체와 부착 부재의 하나를 선회축으로 하는 수단을 가진다. 그리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런 변위의 결과로서, 판의 모든 구멍에 접근하는데 단 1개의 안내관만으로도 가능하다. 따라서, 장치를 끼우거나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모든 수동 동작을 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구조적 변형예로써 본체는 적어도 2 이상의 부품을 가지며 그 각각은, 부착 부재와 적어도 1개 이상의 상기 부재에 대해 본체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의 함수로써, 상기 부착 부재를 떨어지게 하는 거리를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지므로써, 다른 부재는, 제1부착 부재가 고정된 구멍으로부터 다른 거리에 배치된 구멍에 대해, 대향 위치로 될 수 있다. 이 제1실시예에 따라서, 지지제가 하나의 부착 부재상에 중심을 잡으며 상기 부재로부터 안내관을 분리하는 거리가 구멍의 간격과 동등하다.
본 발명의 제2구조적 실시예에서는, 구멍에 의해 형성된 격자의 메시 중심에 위치한 지점에, 분체에 의해 운반된 아암의 단부상에 지지체가 중심을 맞추고 있다. 메시를 한정하는 구멍의 2계열과 동 거리도 배치된 축주위에 본체에 대해 아암을 선회축으로 하는 수단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2개의 비한정적인 구조적 변형예로써 상술한다.
제1도에서, 증기 발생기(10)은 그 속에 U형상관들(16)이 고정되고 그 관의 단부가 각기 관판(14) 하방의 물박스 또는 탱크(22)의 배출 챔버(20)와 공급챔버(18)내로 뚫린, 다수의 구멍을 갖는 관판(14)으로써 그 하단부를 밀폐한 수직축 상으로 설치한 외부 원통용기(12)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26)는 맨홀(24)수단으로 예를들어, 챔버(18)내로 도입될 수 있다. 케이블과 라인뭉치(28)는 장치(26)를 장치의 변위 및 원격 위치 결정을 확실히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제어 시스템에 연결한다. 케이블 뭉치(28)는 또한 장치가 감지기와 같은 것으로 관(16)검사를 위해 사용될때, 와류 탐침 또는 감지기의 통행을 위한 관을 갖는다.
예시적으로 제2도는 관판(14)내 구멍(30)이 정방형 메시 격자로 구성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시하지 않는 변형예로써, 격자 구멍(30)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메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26)는, 모든 관을 원격 제어할 수 있으며 최소 시간에 그 수행을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임의의 관이 시일된다는 사실을 고려하게 설계되어 있어, 장치가 해당관의 단부상에 지지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런 각종 요구를 고려하여, 제3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2개부분 (32a,32b)를 갖는 아암으로 구성된 본체(32)를 갖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암(32a)은 그 자유 단부에 수직 스핀들(34)를 수용하고, 스핀들은 부착 부재(36)에서 끝난다. 마찬가지로, 아암(32b)는 그 반대 단부에 수직스핀들(38)을 수용하며, 그것도 부재 (36)과 유사하게 부착부재(40)에서 끝난다. 후술하는 이유로, 아암의 부분(32a) 및 (32b)는 신축적으로 끼워지며, 제3 및 4도의 변형예에서, 스핀들(34) 및 (38)을 분리하는 거리가 구멍(30)에 의해 형성된 격자의 간격의 두배와 동등하도록 스프링(42)에 의해 서로 반대로 통상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부착 부재(36)과 (40)은 격자의 동일 라인 또는 열하나에 위치한 그리고, 이들을 하나의 구멍으로 분리할 수 있는, 2개의 구멍(30)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4도에서, 부착부재(36)과 (40)은 스프링(48)에 축방향으로 당겨진 넓힌 부분(46)에 의해 구멍(30)의 벽에 대해 통상적으로 당겨진 탄성부분(44)를 가질 수 있다.
부착 부재(36),(40)는, 해당구멍(30)의 내부쪽으로 확장부(46)의 축방향 변위를 일으키는 챔버(50)의 가압으로써 독립적으로 이완조정될 수 있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변위의 효과는 탄성부재(44) 밖으로 부재의 확장부(46)를 이동시켜 해당 구멍의 벽으로부터 탄성부재(44)를 이탈시키는 것이다. 챔버(50)는 부착부재(36)과 (40)에 대한 해당 스핀들의 반대단부에 도입하는 라인뭉치(28)의 파이프 또는 라인 (28a)에 의해 가압된다. 공기와 같은 임의의 유체에 의해 가압이 발생할 수 있다. 이 형상에서, 가압 시스템이 고장났을 경우엔 부재(36)과 (40)은 스프링(48)에 의해 자동적으로 막힌다.
도시하지 않은 다른 변형예로서는, 형상이 꺼꾸로 되며, 즉 부착부재(36)과 (40)의 이완이 스프링에 의해 제어되며, 압력 유체에 의해 부착이 행해진다. 선행 부착 시스템의 일반적인 변형예는 공기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부풀어질 수 있는 핑거 (fingers)를 갖는다. 양쪽 경우에, 압력 유체원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치의 중력 중심은 스핀들(34)와 (38)을 통과하는 면에 대해 변위되어 즉각 기울어지도록 하여 해당구멍 안으로 부재(36)과 (40)가 끼이도록 한다. 이런 변위는 높은 밀도부분을 갖는 내향 굴곡 아암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중량 수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26)는, 관판(14)에 수직인 이들 부착 부재를 변위 시킴으로써 대향 구멍(30)에 대해 부착 부재(36)과 (40)을 독립적으로 계합 및 이탈시키는 수단을 갖는다.
예를들면, 이 수단은 부착 부재(36)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실린더(34)의 플랜지(34a)상의 봉(52a)에 의해 지지되며 아암의 부분(32a)에 배치된 단일 작동잭(52)를 갖는다. 부재(40)의 변위를 제어하기 위해, 동일 장치나 아암의 양측의 실린더(38)상에 형성된 플랜지(38a)상의 봉(54a) 및 (56a)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아암부(32b)에 배치된 2개의 분리된 잭(54) 및 (56)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치로 인해, 부착 부재(36)가 이완되면, 잭(52)의 사용으로 대향 구멍(30)으로부터 부재를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마찬가지로, 부착부재 (40)가 이완되면, 잭(54)와 (56)은 대향 구멍으로부터 부품(44) 및 (46)을 이탈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을 고려하면, 구멍(30)에 의해 형성된 격자상의 장치(26)의 변위는, 구멍(30)에 부착된 부재(36)를 갖는 스핀들(34) 또는 부재(40)의 부착이 따르는 스핀들(38)에 대하여 장치 전체의 선택적인 선회축을 주는 수단에 의해 변위가 일어난다. 선회 작동을 촉진시키기 위해 잭의 봉(52a),(54a) 및 (56a)는 로울러 또는 그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플랜지(34a) 및 (38a)와 협동한다.
제3 및 4도에 도시한 구조적 변형예에서, 피벗 수단은, 아암부(32a) 및 (32b)에 각각 수용된 전기 모우터(58)과 (60)을 가지고, 제3, 4도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무한나사 회전을 제어한다. 이 무한 또는 워엄 나사는 각기 피니언(58a) 및 (60a)와 맞물린다. 피니언(58a)는 스핀들(34)상에 설치되고 스핀들에 의해 회전되지만 아암의 부분 (32a)에 대해서 병진운동을 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피니언(60a)는 스핀들(38)에 끼워지면 스핀들에 의해 회전되지만, 아암의 부분(32b)에 대해 병진운동은 하지 않는다.
이 특성으로, 부착 부재의 이완과 잭(54) 및 (56)의 사용에 의한 부재의 이탈 후, 모우터(58) 작동에 의해 스핀들(34) 주위를 장치가 회전할 수 있다. 역으로, 스핀들 (38) 주위에 대한 회전을 모우터(60)로써 회전시키고 그 뒤에 부착 부재(36)의 이완과 이탈도 가능하다.
명백히, 모우터(58)과 (60)을 사용하여 제어되는 이동은, 모우터(58, 60)를 사용하여, 다른 구멍에 대하여 대향 위치로 되게하는 부착부재(36, 40)에 해당하는 각도 만큼 장치가 회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제2 및 3도에 도시한 형식의 정방형 메시 격자의 경우에 회전은 보통 90°또는 180°다. 이등변 삼각형 메시를 갖는 격자의 경우는 회전은 60°, 120°또는 180°다.
전술한 바에 의하여, 장치(26)는 물 탱크의 챔버 내에서 변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변위는 단지 관을 하나씩 걸러서만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다른 관의 검사를 허용하기 위해 1열씩 장치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도시한 구조적 변형예에서, 장치는 스핀들(38)과 함께 회전하며 스핀들에 수용된 캠(62)를 갖는다. 아암 부분(32a)의 신장부(32'a) 단부는 캠 상에 놓인다. 잭의 봉(52a, 54a, 56a) 단부와 같이, 신장부(32'a)는 로울러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지니며, 그것은 스프링(42)의 작용하에 캠(62)을 지지한다.
명백히 캠(62)의 형상은 관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망상구조의 함수로서 선택된다. 따라서, 캠은 장치가 격자 또는 망상구조의 어느 방향으로라도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캠이 언제나 확실히 회전되어 있도록 하기 위해, 제3 및 4도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실린더(38)은 핑거(64)를 가지며 핑거는 부착부재(40)가 배치된 구멍과 인접한 구멍(30)에 계합한다. 즉, 격자 형상의 함수로서 미리 정해진 이송상에서의 모우터 (60) 작동은 스핀들(38) 주위로 장치를 선회시킴으로써 장치 제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로부터 파단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캠(62)은 언제나 완벽하게 위치를 정해준다. 신장부(32'a)와 캠(62)사이의 협동으로써 스핀들(34)에 수용된 부착부재(36)가 인접한 열의 구멍을 면하는 위치를 갖도록, 스핀들(34)와 (38)을 분리하는 거리는 증가한다. 스핀들(34)주위를 본체(32)와 스핀들(38)가 선회중일때, 스핀들(34)와 (38)사이의 거리를 수정하기 위한 유사한 구조를 설치할 수 있음도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장치(26)의 변위없이 여러개의 관들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장치는 안내관(66)을 가지며 이는, 스핀들(38)에 대하여 선회한다. 안내관 (66)은 공지 방법으로, 라인뭉치(28)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요성관(28b)를 사용하여, 도시하지 않은 외부 와류 탐침 또는 감지기를 끌어들이는 시스템으로, 안내관(66)을 연결된다. 증기 발생기의 관 하나 속으로 도입되는 지점에 와류 감지기(68)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 속에 부착부재(40)을 계합되는 관과 인접한 관의 단부를 향하도록 안내관(66)이 지지 아암(70)에 수용된다. 스핀들(38)에 대한 안내관(66)과 아암(70)의 회전은 아암(32b)에 수용된 모우터(72)에 의해, 화살표로 도시한 무한 나사 회전을 콘트롤 한다. 무한 나사는, 아암(70)에 고정되며 스핀들(38)을 중심으로 한 피니언(74)과 맞물린다. 모우터(58) 및 (60)과 동일하게, 모우터(72)에 의해 조정되는 회전은, 구멍(30)에 의한 한정된 격자의 함수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이 회전은 제2 및 3도와 같이 정방향 메시 격자에 대해 90°이거나 이등변 삼각형 메시 격자에 대해 60°이다.
부착부재(40)가 설치된 구멍에 인접한 관의 3개 또는 4개까지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본체(32)는 부착부재(36)과 (40)사이에 위치한 구멍을 막지 않는 요홈 (33)을 이루는, 안으로 굽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도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장치(26)의 위치에서 구멍 30(1), 30(2) 및 30(3)에 상응하는 관을 동시에 검사하는 것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스핀들(34) 및 (38) 주위의 선회운동과, 캠(62)의 존재와 2개의 상이한 부분내에의 본체(32)구조로써, 인접한 구멍에 대한 대향 위치로 스핀들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술한 단일 안내관(66)에 의한 장치는, 임의의 관이 밀폐되더라도 증기 발생기의 모든 관을 신속히 제어하고 관판(14)의 해당구멍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써, 제3 및 4도를 참고로 서술한 장치와 동일한 부재를 표시하는 것에 대하여는 100을 더한 동일한 참고번호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제5도에서 장치(126)은 본체(132)를 가지며, 이는 일체로써 특히 모우터(158,160)를 가지며 선행 실시예의 것과 비유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2개의 스핀들 (134,138)에 대해 회전한다. 명백히 각 스핀들(134, 138)은, 부재(36) 및 (40)에 유사한 부착부재를 지니며, 이 부재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대향 관의 단부로부터 도입 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구멍(13)에 의해 형성된 격자의 2개의 분리된 열내 스핀들(134) 및 (138)의 배치는 제5 및 6도에서 화살표(180a)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이 구성에 의해 형성된 정방형의 측부의 평행하게 장치를 변위시키거나, 화살표(180b)로 설명된 바와같이 정방형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게 한다.
제5도의 변형예에서, 안내관(166)은 지지아암(170)에 고정되며, 이는 구멍 (130)에 의해 형성된 정방형의 중심내에 위치된 스핀들(182)에 대해 선회한다. 스핀들 (182) 그 자체는 아암(184)상에 설치되며, 그것은 본체(132)상 스핀들(186) 수단에 의하여 선회한다. 스핀들(182)에 대한 아암(170)가 안내관(166)의 회전은 제4도의 모우터(72)와 유사한 모우터(172)에 의해 콘트롤되며, 이는 장치(126)의 동일한 위치에서 안내관(166)을 제5 및 6도의 3개 구멍(130(1), 130(2) 및 130(3))에 대해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본체(132)에 대한 아암(184)의 분절은, 스핀들 (182)을 중심으로한 정방형을 이루는 4번째의 구멍(130(4))를 검사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잭(188)의 작용하에서의 아암(184)의 회전은, 제5도의 구멍(130(3))을 보는 위치로부터(제6도의 점선으로 도시한)인접구멍(130(4))을 보는 위치로 안내관 (16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핀들(186)은 그속에 구멍(130(3))과 (130(4))가 위치하는 2개의 인접한 열과 동거리로 배치되어야 한다.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제5도의 장치의 수단에 의해, 구멍으로 이루어진 정방형의 측부에 평행하게 장치(126)을 이동시키거나, (이는 스핀들(186) 주위를 레버(184)를 회전시킴도 사용함), 격자로 형성된 정방형의 대각선을 따라서 장치(126)의 변위로 행함으로써, (즉, 이는 레버(184)의 회전을 사용할 필요없음) 증기 발생기의 모든 관을 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달리 접근할 수 없는 구멍에 도달하기 위하여는 후자의 경우에도 레버는 계속 필요하다.
본 발명은 명백히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장치는, 모든 작동(운동)의 설치와 조정을 주는 어떤 프로그램된 또는 프로그램되지 않은 제어 및 부수의 제어수단과 연결되어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9)

  1. 2개 이상의 부착부재(36, 40)를 갖는 본체(26, 126), 대향 구멍내로 도입되거나 거기로부터 발출될 수 있도록, 서로 독립적으로 그리고 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들 부착 부재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52, 54, 56), 대향 구멍내에 부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44, 46, 48, 50) 및 , 다른 것에 대해 부착 부재의 하나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58, 60)을 가지며, 또한 그 자유단부에 상기 부재(66, 166)를 갖는 1개이상의 지지체(70, 170)와 부착부재를 변위시킴 없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구멍과 마주하도록 상기 부재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에 대해 이 지지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70, 172)을 갖는, 소정의 격자에 따라서 다공판(14)의 각 구멍(30, 130)을 면하도록 부재 (66, 166)의 위치 결정을 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른 것에 대하여 부착 부재의 하나를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은, 다른 것에 대하여 부착부재의 하나와 본체(32)를 선회시키기 위한 수단 (58, 60)을 갖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본체(32)는 적어도 2개의 부분(32a, 32b)을 포함하며, 각각은 부착부재(36, 40)와, 본체의 각 위치 함수로써 적어도 하나의 부착부재에 대해 이들 부착 부재를 떨어지게 하는 거리 변화를 주기 위한 수단(62, 32'a, 42)을 가지고, 다른 부착부재가 격자에 포함된 어떤 위치 내지 방향에 놓인 구멍들을 면하도록 위치할 수 있는 장치.
  4. 제2 또는 3항에 있어서, 지지체(70)는 하나의 부착부재(40)위에 중심을 잡으며 상기한 하나의 부착부재(40)와 부재(66, 166)를 떨어지게한 거리는 구멍(30)의 간격과 동등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부착부재(36, 40)를 통상적으로 분리하는 거리가 판의 구멍 (30) 간격의 적어도 2배와 동등하며, 본체(32)는 부재로 하여금 부착부재 사이에 배치된 구멍에 대해 대향위치로 되게 하는 요홈(33)을 갖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170)는, 구멍(130)에 의해 형성된 격자 메시의 중심위치 지점에, 본체(132)에 수용된 아암(184)의 단부에 중심을 잡고 있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격자를 이룬 구멍(130)의 2개 열과 같은 거리로 배치된 스핀들 주위를, 본체(132)에 대하여 아암(184)을 선회시키기 위한 수단(172)이 구비된 장치.
  8. 제6 또는 7항에 있어서, 부착부재(134, 138)는 제1방향에서는 2개의 인접구멍 (130), 열, 내에 위치한 구멍을 면하도록 위치되며, 제2방향에서는 2개의 비연속적인 열내에 배치된 구멍을 면하도록 위치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중력중심은, 상기 부재(44, 46, 48, 50)에 이상이 있을 경우엔 부착부재가 구멍내에 자동적으로 로크(고정)되도록, 부착부재(36, 40)의 축을 잇는 면에 대하여 편위된 장치.
KR8201531A 1981-04-08 1982-04-07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KR890001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107063 1981-04-08
FR8107063A FR2503920B1 (fr) 1981-04-08 1981-04-08 Dispositif pour le positionnement d'un organe en vis-a-vis des perforations d'une pla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238B1 true KR890001238B1 (ko) 1989-04-28

Family

ID=925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531A KR890001238B1 (ko) 1981-04-08 1982-04-07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85203A (ko)
EP (1) EP0063073B1 (ko)
JP (1) JPS57182163A (ko)
KR (1) KR890001238B1 (ko)
AT (1) ATE11654T1 (ko)
BR (1) BR8202020A (ko)
CA (1) CA1191625A (ko)
DE (2) DE3262194D1 (ko)
ES (1) ES511271A0 (ko)
FI (1) FI821211L (ko)
FR (1) FR2503920B1 (ko)
NO (1) NO821150L (ko)
SU (1) SU1314962A3 (ko)
ZA (1) ZA8221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3921A1 (fr) * 1981-04-10 1982-10-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pour le positionnement d'un organe en vis-a-vis des perforations d'une plaque et procede de montage a distance d'un tel dispositif
FR2529131B1 (fr) * 1982-06-23 1985-11-22 Int Robotic Engineerin Robot capable de se deplacer sur parois inclinees ou verticales
ES8703321A1 (es) * 1983-10-11 1987-02-16 Babcock & Wilcox Co Un dispositivo manipulador a distancia para reparar tuberias y chapas de tuberias de un generador de vapor.
DE3603801A1 (de) * 1986-02-07 1987-08-20 Bbc Reaktor Gmbh Spannelement zum festlegen in einer bohrung eines bauteiles
DE8712772U1 (ko) * 1987-09-22 1989-01-1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FR2626515B1 (fr) * 1988-02-02 1990-07-20 Barras Provence Vehicule concu pour se deplacer sur la plaque perforee d'un faisceau de tubes, pour positionner selectivement un outil au droit des tubes dudit faisceau
FR2643135B1 (fr) * 1989-02-15 1991-06-21 Barras Provence Vehicule d'exploration et de maintenance des tubes de generateurs de vapeur ou similaires
US5070723A (en) * 1989-09-20 1991-12-10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Condenser on-line leak detector and method
US5897282A (en) * 1996-10-01 1999-04-27 Comardo; Mathis P. Catalytic reactor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DE69942172D1 (de) 1998-08-06 2010-05-06 Mitsubishi Heavy Ind Ltd Wirbelstromsonde zur detektion von fehlern
DE102004012754A1 (de) * 2004-03-15 2005-10-06 Basf Ag Vorrichtung zum Einfüllen von Schüttgütern in Rohre, Behälter u. dgl.
US8746089B2 (en) 2009-01-19 2014-06-10 Babcock & Wilcox Nuclear Energy, Inc. Apparatus for automated positioning of eddy current test probe
US10480874B2 (en) * 2016-08-25 2019-11-19 Stoneage, Inc. Pro-boxer flexible lance position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752A (en) * 1973-08-01 1975-10-21 Combustion Eng Remotely movable platform
US3889820A (en) * 1973-08-01 1975-06-17 Combustion Eng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edly supporting a platform
FR2309314A1 (fr) * 1974-12-05 1976-11-26 Framatome Sa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selectif d'un organe sur une plaque tubulaire
JPS5233784A (en) * 1975-09-11 1977-03-15 Mitsubishi Heavy Ind Ltd Automatic flaw detection apparatus
FR2394374A2 (fr) * 1977-06-15 1979-01-12 Framatome Sa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selectif d'un organe sur une plaque tubulaire
US4168782A (en) * 1977-06-13 1979-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te access manipulator
US4205939A (en) * 1978-01-30 1980-06-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US4205940A (en) * 1978-03-21 1980-06-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US4213732A (en) * 1978-04-13 1980-07-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for remotely repairing tubes in a steam generator
US4200424A (en) * 1978-04-14 1980-04-29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tely controlled tool positioning table
US4193735A (en) * 1978-04-24 1980-03-18 Combustion Engineering, Inc. Work table for a stepped platform
US4231696A (en) * 1978-06-14 1980-11-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Multi-function end effector
US4302146A (en) * 1978-08-23 1981-11-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Probe positioner
US4303368A (en) * 1978-09-18 1981-12-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mote docking apparatus
FR2448143A1 (fr) * 1979-02-05 1980-08-29 Intercontrole Sa Procede et dispositif pour retirer un porte-sonde de la chambre inferieure d'un echangeur de chaleur tubulaire verticale
DE3029811A1 (de) * 1980-08-06 1982-02-18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Manipulator zur fernbedienbaren inspektion und gegebenenfalls reparatur von waermtauscherrohren
US4449599A (en) * 1982-09-27 1984-05-22 Combustion Engineering, Inc. Finger walker for tube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U1314962A3 (ru) 1987-05-30
EP0063073B1 (fr) 1985-02-06
FR2503920B1 (fr) 1987-08-21
FI821211L (fi) 1982-10-09
JPS57182163A (en) 1982-11-09
ZA822160B (en) 1983-02-23
ES8402970A1 (es) 1984-02-16
ATE11654T1 (de) 1985-02-15
CA1191625A (en) 1985-08-06
FI821211A0 (fi) 1982-04-06
DE63073T1 (de) 1983-04-14
BR8202020A (pt) 1983-03-15
FR2503920A1 (fr) 1982-10-15
US4585203A (en) 1986-04-29
NO821150L (no) 1982-10-11
DE3262194D1 (en) 1985-03-21
EP0063073A1 (fr) 1982-10-20
ES511271A0 (es) 198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238B1 (ko)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US8605145B2 (e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process utilizing magnetic inspection vehicle
US4231419A (en) Manipulator for inspection and possible repair of the tubes of heat exchangers, especially of steam generators for nuclear reactors
US4172492A (en) Apparatus for the in situ inspection of tubes while submerged in a liquid
JP4357298B2 (ja) 蒸気発生チューブを遠隔検査する装置
KR840002888Y1 (ko) 원자로 점검중 제어봉 클러스터 작동기구 보호장치
KR890004584B1 (ko) 리시버 장착설비 내부의 점검장치 또는 공구의 설치 및 제거장치
KR890001675B1 (ko) 소정의 격자에 따라 다공판의 각 구멍을 향하는 부재의 위치 결정용 장치 및 그의 원격장착 방법
US4096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ining weld defects in vertical pipes by supersonic waves
US5025854A (en) Apparatus for inspection and/or repair of tubes discharging into a chamber of a heat exchanger
KR101787411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
US4332639A (en) Failed element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nuclear reactor
US4708844A (en) Reactor monitoring assembly
CA1189641A (en) Rail apparatus around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CA1144286A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DE2942055C2 (de) Vorrichtung zum Erfassen schadhafter Brennelemente eines Kernreaktors
KR101939534B1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검사 및 제거 툴 안내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CZ121293A3 (en) Nuclear fuel system
JPS61172097A (ja) 原子炉の燃料棒の検査装置
KR101787409B1 (ko) 비커넥트형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
JP4601825B2 (ja) 核燃料アセンブリに燃料棒を装荷するための設備
US5333158A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neutron flux in the core of a nuclear reactor
KR101893550B1 (ko) 칼란드리아 내부 구조물 검사장비의 방사선 피폭 방지장치
US4847036A (en)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a nuclear reactor fuel assembly
KR820001087B1 (ko) 증기발생기의 세관(細管) 검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