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335Y1 -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 Google Patents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0335Y1 KR890000335Y1 KR2019860007859U KR860007859U KR890000335Y1 KR 890000335 Y1 KR890000335 Y1 KR 890000335Y1 KR 2019860007859 U KR2019860007859 U KR 2019860007859U KR 860007859 U KR860007859 U KR 860007859U KR 890000335 Y1 KR890000335 Y1 KR 8900003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rope
- fixed
- lock
- drum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공사용 엘레베이터의 전체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종래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의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록크장치의 정면도로서 록크상태도.
제6도는 제5도의 록크 상태를 풀어준 언록크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10 : 안내드럼 12 : 록크플레이트
15 : 요구 16 : 중앙구멍
17 : 가동플레이트 18 : 아암
19 : 샤프트 20 : 받침판
23 : 고정원판 28 : 텐숀스프링
28' : 고정핀 30 : 핀공
본 고안응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LOCK)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를 공사증인 고층건물에 설치할 경우 건물의 공사진척에 따라 몇단계로 나누어서 공사가 진행되고 이에따라 엘리베이터 또한 공사진척과 동시에 윗쪽으로 이동 시켜가면서 카아를 운행할 수 있게 하는 바, 건물이 점차 고층화 되고 엘리베이터 기계실도 올라감에 따라 카아를 메달고 있는 와이어 로우프의 길이도 증가한 카아의 행정만큼 보상해 주어야 하며 여기에 필요한 와이어로우프는 기계실에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릴(REEL)장치에서 방출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사용 엘리베이터 및 와이어 로우프 록크 장치를 첨부도면의 제1도 및 제2도, 제3도에의해 설명한다.
즉 제1도에서와같이 한 건물의 공사가 진척됨에 따라 승강로(1)가 증설되고 이미 설치고정된 기계실(2)이 그만큼 상승되어야 하는 바, 기계실(2)은 이용이 용이하도록 빔과 후레임으로 상자화 되어 있고 그 상단의 후크(3)에 별도의 크레인 장치를 연결하여 필요한 층 만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계실(2) 하부를 받쳐서 고정시켜주는 부라켓트(4)를 승강로 양측벽에 고정시켜주면 기계실(2)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만, 기계실(2) 하부에는 로우프(5)에 매달린 카아(6)와 균형추(7)까지도 그만큼 상승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카아(6)를 최초운행구간인 건물 최하단까지 운행하기 위해서는 상방으로 이동한 양만큼 와이어로우프(5)를 연장시켜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계실(2) 내에 설치된 와이어 로우프릴(8')에서 와이어로우프(5)를 풀어서 필요한 길이만큼 보상해주고 다시 고정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를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것으로 지지대(8)에 두개의 안내드럼(9) (10)이 유착되어 있고 최상단의 경사플레이트(11)에 록크플레이트(12)가 볼트(13)로 검속되어있으며 양쪽 플레이트(11) (12) 사이의 안내홈(14)에 와이어로우프(5)를 끼워 물려준후 볼트(13)를 조여서 고정시키게 되어 있고 여기서 인출된 와이어로우프(5)는 상·하 안내드럼(9) (10)에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로나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로우프 록크장치의 문제점은 단순히 록크플레이트(12)와 볼트(13)만의 결속력으로 지탱되므로 기계실을 상층으로 이동시키거나 로우프 작업을 할 경우에는 카아(6)에 로드(LOAD)가 부과되지 않기때문에 이 상태에서 조정된 볼트(13)의 잠김상태는 작업중 카아(6)에 로드가 부과되었을 경우 폭크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와이어 로우프가 빠져버리고 이로인해 카아(6)의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예가 있었으며 와이어로우프를 하방향으로 적절하게 방출시킨 후 볼트(13)를 다시 잠그어 와이어 로우프를 고정시키지만 만약의 경우 작업자가 완전히 잠그지 않을 경우에나 또는 와이어로우프가 마모되어 볼트로서 잠그어도 미끄러져 빠질가능성이 있게 되는 위험성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와이어 로우프록크장치에서의 문제되는 결범을 해결하기위해 상부즈럼에 임의 회전방지용 록크장치르 취부하여 보다안전을 기할 수 있게함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바, 이를 첨부도면 제4도 및 제5도와 제6도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8)에 두개의 안내드럼(9) (10)이 설치되고 상단에는 와이어 로우프고정용 록크플레이트(12)가 결착된 것에 있어서 상부안내드럼(9) 일측단부외연 사방에 요구(15)를 형성하고 이에 중앙구멍(16)을 가진 + 자형 가동플레이트(17)를 끼워 주므로서 각 요구(15)마다 가동플레이트(17)의 아암(18)이 삽착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가동플레이트(17)의 중앙구멍(16에 나사봉으로 된 샤프트(19)의 후단부를 끼워주고 뒷쪽에서 받침판(20)과 너트(21)로 고정시켜주며 샤프트(19) 전단은 안내드럼(9)의 돌출단부(22)에 결착되는 고정원판(23)의 중앙나사공(24)에 끼워지고 고정원판(23)은 드럼의 돌출단부(22)에 볼트(25)로 체결고정시키며 샤프트(19) 단부에 핸들(26)을 고착시켜주므로서 핸들(26)을 회전시키면 가동플레이트(17)가 수평상으로 진퇴될 수 있게한 것이다.
또한 가동플레이트(17) 내면과 그 반대쪽의 드럼측판(27)과의 사이에 텐숀스프링(28)을 설치하여 가동플레이트(17)가 항상 반대쪽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하며 가동플레이트(17)의 사방아암(18) 단부에는 고정핀(28')이 착설되어 지지대(8)의 드럼 취부흐레임(29) 외연의 핀공(30)에 삽착고정돌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1은 상부안내드럼(9)과 일치로 고정된 대기어이고, 32는 이에 물림되는 소기어이며, 33은 드럼회전용 조절핸들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부 안내드럼(9)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핸들(26)을 일측으로 회전시켜면 그 샤프트(19)가 고정원판(23)의 나사공(24)과의 나사조임 작동에 의해 안내드럼(9)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로인해 가동플레이트(17)는 텐숀스프링(28)의 당기는 힘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되어 안내드럼(9)의 각요구(15)에 아암(18)이 삽착됨과 동시 공정핀(28)은 핀공(30)에 삽착고정되어 제5도에서처럼 록크상태로 고정되므로 결국 상부안내드럼(9)은 지지대(8)와 일체로 결속되어 회전될 수 없는 것이다.
이렇게 록크상태일때는 상부의 록크플레이트(12)가 약간 풀려져도 상·하부 드럼(9) (10)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와이어 로우프(5)의 풀림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록크상태에서 와이어 로우프(5)를 풀어줄 필요가 있을 때는 핸들(26)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고정원판(23)의 나사공(24)과 샤프트(19)와의 나사풀림 작동에 의해 샤프트(19)가 후진하기 시작하며 그 내단부에 결속된 가동 플레이트(17)도 함께 후진하기 시작하고 아암(18)의 고정핀(28)이 핀공(30)에서 이탈한 후 뒤따라서 요구(15)에서 아암(18)도 이탈하여 제6도의 상태처럼 상부안내드럼(9)의 록크 상태가 완전해제되는 것이며 이때부터 상부안내드럼(9)은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부 록크플레이트(12)의 록크볼트(13)를 풀어서 와이어로우프(5)의 록크상태를 풀어주고 조절핸들(33)을 돌려주면소기어(32) 및 대기어(31)가 회전하여 상부안내드럼(9)을 회전시키므로 와이어 로우프(5)를 필요한 량만큼 서서히 풀어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 로우프(5)를 원하는 만큼 풀어준후에는 다시 상방의 록크볼트(13)를 잠구어서 록크플레이트(12)가 로우프(5)를 일차 록크시키게한 후 핸들(26)을 다시 반대로 돌려서 가동플레이트(17)로 상부안내드럼(9)을 록프시켜주므로서 2차록크 작업도 완료된다.
이렇게된 본 고안은 록크클레이트(12) 하나만으로 로우프를 고정시키던 종래의 록크장치에서 안내드럼(9)을 요지부동하게 고정시키는 드럼록크장치를 추가 설치하므로서 종래 결점인 작업부주의에서 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로우프마모에서 오는 미끄러짐에 의해 풀림사고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운행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며 제작이 용이하고 범용성이 있어 적용설치가 쉽고 이동설치되는 공사용 엘리베이터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지지대(8)에 두개의 안내드럼(9) (10)이 설치되고 상단에 와이어로우프(5)를 고정하는 록크플레이트(12)가 체결된 것에 있어서 상부안내드럼(9) 일측단부 사방에 요구(15)를 형성하여 이에 + 자형 가동플레이트(17)를 끼워주고 그 중앙구멍(16)에 샤프트(19) 단부를 끼워 받침판(20)과 너트(21)로 고정시키며 샤프트(19)전단은 아내드럼(9)에 결착되는 고정원판(23)의 중앙나사공(24)에 끼워준후 외단부에 핸들(26)을 고정시키며 가동플레이트(17)내면과 반대쪽의 드럼측판(27)사이에 텐숀 스프링(28)을 탄설하고 가동플레이트(17)의 아암(18) 단부에는 고정핀(28')을 형성하여 드럼취부후레임(29)외연의 핀공(30)에 삽입될 수 있게한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07859U KR890000335Y1 (ko) | 1986-06-01 | 1986-06-01 |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07859U KR890000335Y1 (ko) | 1986-06-01 | 1986-06-01 |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0780U KR880000780U (ko) | 1988-02-20 |
KR890000335Y1 true KR890000335Y1 (ko) | 1989-03-09 |
Family
ID=1925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07859U KR890000335Y1 (ko) | 1986-06-01 | 1986-06-01 |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0335Y1 (ko) |
-
1986
- 1986-06-01 KR KR2019860007859U patent/KR8900003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0780U (ko) | 1988-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0203774A (ja) | エレベ―タ籠の停止ロック装置 | |
AU2006225212A1 (en) | Method of mounting a support means of a lift cage to a lift cage and to a lift shaft as well as a lift installation and a support means which are mounted by means of this method | |
CN114988297B (zh) | 一种建筑材料运输用起重装置 | |
CN111362128B (zh) | 一种房屋建筑装配式工字梁吊装设备 | |
KR890000335Y1 (ko) | 공사용 엘리베이터의 와이어 로우프 록크장치 | |
CN115676586A (zh) | 一种钢结构起吊装置 | |
JPH0266092A (ja) |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の駆動方法 | |
JP6476142B2 (ja) | タイダウン装置、タイダウン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ー、タイダウン装置の復帰方法 | |
KR102539705B1 (ko) | 엘리베이터의 보상 로프 인상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보상 로프 인상 방법 | |
US7255204B2 (en) | Apparatus for moving elevator equipment | |
EP1621506B1 (en) | Apparatus for moving elevator equipment | |
JP4363726B2 (ja) | フック取付け装置 | |
RU2048423C1 (ru) | Кран для подъема и подачи грузов в оконный проем здания | |
CN110498344B (zh) | 同一钢丝任意断点自锁控制方法及其安全器 | |
JP2929010B1 (ja) | バック制動付滑車 | |
JP7028284B2 (ja) |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方法及びその調整工具 | |
JP2006089264A (ja) | エレベーター用調速機ロープ装置 | |
JPH0312788Y2 (ko) | ||
JP2553823Y2 (ja) | アースオーガーにおけるオーガースクリューの振れ止め落下防止装置 | |
JPH0520756Y2 (ko) | ||
JP3888513B2 (ja) | 2対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端部調整方法 | |
JPH0771537A (ja) | ロープ保持具 | |
SU579211A1 (ru) |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и монтажа длинномерных изделий | |
CN117865031A (zh) | 一种带有保护机制的流道检修平台及方法 | |
JP2008050159A (ja) | エレベータの錘保持装置および主ロープ緩和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1224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