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264B1 - 가변속 펌프수차(可變速 Pump 水車)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起動方法) - Google Patents

가변속 펌프수차(可變速 Pump 水車)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起動方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264B1
KR890000264B1 KR1019850009393A KR850009393A KR890000264B1 KR 890000264 B1 KR890000264 B1 KR 890000264B1 KR 1019850009393 A KR1019850009393 A KR 1019850009393A KR 850009393 A KR850009393 A KR 850009393A KR 890000264 B1 KR890000264 B1 KR 89000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speed
starting
variable speed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139A (ko
Inventor
가쓰마사 신메이
가즈오 니이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60005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F03B15/02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 F03B15/04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of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changing the driving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Water Turb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속 펌프수차(可變速 Pump 水車)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起動方法)
제1도는 본원 발명의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기동계통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기동시의 안내깃(guide vane)의 열려진 정도, 회전수 및 펌프입력의 특성도.
제3도는 종래의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시의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 회전수 및 펌프입력의 특성도.
제4도는 종래의 정상회전수에 있어서의 펌프의 특성 곡선도.
제5도는 제4도의 펌프의 정상회전수에 있어서의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에 의한 펌프입력의 변화설명도.
제6도는 포락선(包絡線)으로 나타낸 종래의 가변속 펌프의 특성곡선도.
본원 발명은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장치에 대해서는 일본국 특개소 56-126675호 공보에 기재한 바와같이, 회전수를 조절하여 수력발전장치의 효율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지만, 양수 운전 기동시에 전력 계통에 주는 충격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한 기재는 찾아볼 수 없다.
종래, 이러한 가동안내깃부착 가변속 양수펌프 또는 펌프수차의 기동시에 있어서는 횡축에 시간을 취하고, 종축에 러너(runner)외주에 배설되는 안내깃에 열려진 정도, 회전수 및 입력을 취해서 나타낸 제3도의 종래의 특성 설명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안내깃을 차단한 상태에서, 펌프를 일정회전수로 회전시키고, 구체적인 설정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하더라도 기본적으로는 펌프토출압(吐出壓)이 펌프출구에 가해지는 상지수압(上池水壓)을 초과한 때부터 안내깃을 열기 시작해서 양수를 개시한다고 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 회전수는 기동시부터 정상 회전시까지 일정하며, 안내깃을 열기 시작하면 펌프입력은 급격히 상승한다.
제4도는 횡축에 유량을 취하고 종축에 입력 및 양정(揚程)을 취해서 나타낸 대표적인 가동안내깃부차 펌프수자의 회전수(N0)의 정상회전수의 펌프특성곡선이다. 도면에 있어서, 유량(0)인 안내깃 차단상태에 있어서도, 펌프입력은 정상입력과 비교하여 상당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 펌프입력은 양수량에 지배되며,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는다. 그리고, 제4도는 제3도의 안내깃이 열려진 정도(GVO)의 증대와 함께 펌프입력이 급격히 증대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며, 제3도의 펌프입력 및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 제4도의 입력 P의 각 곡선에 나타낸 B,C,D,E의 각 점은 제4도의 부하곡선에 나타낸 B,C,D,E의 각 점에 대응하는 것이다.
지금, 종래 행해져 온 바와같이 일정회전수(N0), 정양정(靜揚程 : 수위차) (H0)에 있어서 펌프기동을 했다고 하면, 펌프의 운전점은 차단상태의 점 A에서 부하곡선에 따라 점 B, 점 C, 점 D의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 40%, 60%, 80%를 거쳐 100%의 정상운전점 E에 도달한다. 여기서 부하곡선이란 펌프의 관로(수로)의 손실을 고려한 정수위(靜水位)가 일정한 조건하에서의, 양정과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말한다. 제5도는 횡축에 안내깃에 열려진 정도를 취하고 종축에 펌프입력을 취해, 제4도와 같은 부하곡선에 대한 점 A에서 점 E까지의 기동공정에 있어서의 펌프입력의 변화를 고, 중, 저 양정의 경우에 대해 표시한 것이며, 조금이라도 안내깃이 열리면 펌프입력이 급격히 증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가 현저하게 작은 운전영역에서는 운전 특성(수압맥동이나 그것에 의해 일어나는 기기의 전동)이 매우 나빠, 이 상태를 오래 유지하는 것은 기기의 강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종래는 어떤 일정한 회전수에 있어서 펌프를 기동하고 있었으나 이 기동방법에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양수 개시후, 펌프입력이 급격히 증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것이 전력계통의 안정성에 다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경향은 상기한 바와같이, 펌프차단입력이 비교적 크다는 것, 펌프입력이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에 둔갑하다는 것, 극단적으로 작은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는 운전상태가 나쁘다는 것 때문에 회전수가 일정한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결점이다.
제6도는 제4도와 마찬가지로 횡축에 유량을 취하고 종축에 입력 및 양정을 취해서 포락선으로 나타낸 가변속 펌프의 특성곡선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는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생략했으며 최적운전상태(최고효율)를 나타내는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에 있어서의 특성을 연결시킨 포락선으로 특성을 표현했다. 상이한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에 있어서의 특성에 대해서는 제4도와 같다. 회전수(N0)는 어떤 양정(H0)에 있어서 소정의 유량(Q0), 입력(P0)을 얻기 위한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회전수이다. 또 N1은 이 회전수에 있어서의 QH특성의 요특성(凹特性)이, 정양성(H0)에 있어서의 부하곡선을 약간 웃도는 회전수(안정기동회전수), N2는 차단양정이 양정(H0)을 약간 웃도는 회전수(최저기동회전수)이다.
지금, 양정(H0)의 부하곡선에 따라서 펌프를 기동하고자 할 때, 회전수(N2)이하의 회전수에서 차단운전하고, 안내깃을 열었을 경우, 당연히 정수압은 펌프토출압보다 높으므로 펌프는 역류역(逆流域)으로 들어가 펌프입력은 격증한다.
그리고, 회전수 N2에 있어서 차단운전해서 안내깃을 열었을 경우는, 이대로는 정상운전점 Z로 이행할 수는 없으며, 따라서 즉시 회전수를 상승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운전점은 점 X2에서 점 Y를 지날 운전점 Z에 도달하며, 입력은 점 J2에서 점 K의 부근을 지나 점 L에 도달한다.
한편, 회전수 N1에서 차단운전하고, 안내깃을 열었을 경우에는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한 그대로도 펌프는 차단운전점 X1에서 부하곡선에 따라 안정운전점 Y에 도달하며, 그후 회전수의 상승에 의해 운전점 Z에 도달한다. 이 경우, 펌프입력은 점 J1에서 점 K를 지나 점 L에 도달한다.
따라서 제6도의 양정(H0)보다는 높은 X2또는 X1점보다 더욱 높은 X0에서 기동하며, 즉 X2또는 X1보다도 높은 일정한 운전회전수의 X0에서 기동하는 종래의 일정회전속도 N0로 양수를 개시했을 경우에는 펌프입력은 점 J0에서 점 L에 도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회전수 N2또는 N1에서 양수를 시작하면 펌프 입력의 증가속도를 작게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종래의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조작방법에 있어서는 회전수가 일정한 정속도로 구동되며, 이 정속도의 높은 회전수에서 기동되고 있다. 따라서 펌프기동시의 입력급증을 피할 수 없어서 전력계통의 안정성을 해치고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동시의 입력의 급격한 상승을 지지하여 전력계통에의 나쁜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는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가변속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은 토출밸브 또는 러너 외주에 배설된 가동안내깃과, 전력계통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러너를 회전구동하는 가변속전동기 또는 가변속 발전전동기를 설치한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를 기동할 경우에, 상기 안내깃 또는 상기 토출밸브를 열기시작하는 시점의 상기 전동기 또는 상기 발전전동기의 회전수를, 안정기동 회전수보다도 느린 상기 펌프수차 또는 상기 펌프의 역류역에 이루지 않는 회전수로 하여, 상기 회전수에 설정후, 상기 안내깃 또는 토출밸브를 열기 시작하는 동시에 점차 열려진 정도를 증가시켜 상기 회전수를 정상운전상태의 최적회전수까지 상승시키는 방법이다. 즉, 펌프입력은 회전수의 3승에 비례하며, 회전수가 낮으면 낮을수록 펌프입력이 작다는 것, 또 차단운전후, 역류가 생기지 않으면서 양수가능한 회전수가 정상 안정운전상태에 있어서의 회전수보다 작은 것을 감안하여, 정상회전수보다 낮고 또한 역류가 생기지 않는 회전수에 있어서 수중차단운전을 한 다음, 회전수를 상승시키면서 안내깃을 여는 방법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가변속의 펌프 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기동계통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펌프입력설정기, (2)는 수위차검출기, (3)은 적정회전수 및 적정안내깃의 열려진 정도설정기, (4)는 최전기동회전수설정기, (5)는 속도 및 열린정도 제어장치이며, 전동기 또는 발전전동기(8) 고유의 최저 회전속도 이상으로 제어하게끔 되어 있다. (6)은 회전수검출기, (7)은 열려진 정도 검출기이다. 또 (9)는 펌프 또는 펌프수차, (10)은 안정기동회전수설정기이다.
그리고 종래의 기동의 경우는 펌프입력설정기(1)에 의해 예를들면 잉여전력의 수치에서 설정된 펌프입력(P)과, 수위차검출기(2)에 의해 검출된 정양정(H0)에서,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N0)와 최적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0)가 적정 회전수 및 적정안내깃의 열려진 정도 설정기(3)에 의해 설정되어 속도 및 열려진 정도 제어장치(5)에 입력된다. 속도 및 열려진 정도 제어장치(5)는 현실의 회전수(N) 및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의 피이드백을 받으면서 회전수 및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를 최적치의 각각의 회전수(No) 및 안내깃의 열려진 정고(GVO0)로 제어하고 있으며, 일정회전수의 높은 회전수로 기동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는 점선내의 최저기동회전수 설정기(4) 및 안정기동회전수 설정기(10)를 부가한 것이다. 수위차 검출기(2)의 출력신호에서 역류를 일으키지 않는 최저기동회전수(N2)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의 85%∼95%)를 최저기동회전수절정기(4)에 있어서 결정하여 속도 및 열려진 정도 제어장치(5)에 입력한다. 동시에, 수위차검출기(2)의 출력신호로부터 펌프의 요특성이 정상운전시간으로 되지 않는 회전수(안정기동회전수) (N1)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의 90%∼99%)과 회전수(N1)일때의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0) (안정기동의 열려진 정도)가 안정기동회전수절정기(10)에 있어서 결정하여 속도 및 열려진 정도제어장치(5)에 입력된다. 따라서, 속도 및 열려진 정도 제어장치(5)에 대해, 종래는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N0)와 최적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0)가 입력된 것에 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저기동회전순(N2) 및 안정기동회전수(N1), 회전수(N1)일때의 안정기동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1)가 입력되는 것이다.
제2도는 횡축에 시간을 취하고, 종축에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 회전수, 펌프입력을 칠해서 나타낸 본 실시예의 특성도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펌프입력은 종래의 정상회전수(N0)로 기동했을 경우이다. 펌프기동시에는 최저기동회전수(N2)에 있어서 수중차단운전상태를 실현한 다음 회전수(N2)로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를 0으로부터 열기 시작한 다음, 회전수(N2)까지 상승시키며 안내깃은 안정기동이 열려진 정도(GVO1)까지 연다. 그리고 이 경우에 회전수(N2)는 속도 및 열려진 정도 제어장치(5)에 설치된 최저제어속도, 그리고 발전전동기 또는 전동기의 하나하나에 결정되어 있는 최저회전속도의 예를들면 제2도에 나타낸 회전수(N3)에 의해 그 수치가 결정되게 된다(N3)는 제2도의 도시위치는(N1), (N2)보다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N1), (N2)보다도 낮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회전수(N1), 안내깃 정상기동의 열려진 정도(GVO1)의 시점에서 펌프는 정상안전운전상태에 있으므로, 그후는 통상의 가변속 펌프의 속도, 열려진 정도 제어방법에 의해 지정된 회펀수(N0),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GVO0)로 이행한다. 따라서 제2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종래와 비교하여 낮은 펌프입력으로 기동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의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은 안내깃이 열리기 시작하는 시점의 가변속전동기 또는 발전전동기의 회전수를 안전기동회전수보도 느린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역류역에 이르지 못하는 회전수로 하고, 상기 회전수로 설정후 상기 안내깃 또는 토출밸브의 열린 곳을 여는 동시에, 점차 여는 정도를 증가해서 상기 회전수를 상승시키므로, 종래의 정상운전상태의 회전수에서 기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동시의 입력의 급격한 상승을 저지하여 전력계통에의 나쁜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최저기동회전수(N2)에서 기동했을 경우에 대해 기술했지만, 안정기동회전수(N1)에 있어서 수동차단상태를 실현한 다음, 회전수(N1)으로 유지하면서 안내깃의 열려진 정도를 안정기동 열려진 정도(GVO1)로 되게끔 열고, 그후는 상기한 바와같이 통상의 속도, 열려진 정도 제어방법에 의해 회전수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실시했을 경우에는 전력계통에 주는 영향을 상기 실시예보다는 커지지만, 종래의 방법에 비하면 전력계통에 주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원 발명의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 방법은 기동시의 입력의 급격한 상승을 저지하여 전력계통에의 나쁜 영향을 저감시킬 수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토출밸브 또는 러너(runner)외주에 배설된 가동안내깃과, 전력계통에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러너를 회전구동하는 가변속 전동기 또는 가변속 발전전동기를 설치한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를 기동(起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내깃 또는 상기 토출밸브를 열기 시작하는 시점의 상기 전동기 또는 상기 발전 전동기의 회전수를 안정기동회전수보다 느린 상기 펌프수차 또는 상기 펌프의 역류역(逆流域)에 미치지 못하는 회전수로 하며, 상기 회전수로 설정후 상기 안내깃 또는 토출밸브를 열기 시작하는 동시에, 점차 여는 정도를 증가하여 상기 회전수를 정상운전상태의 최적회전수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속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차 또는 상기 펌프의 역류역에 미치지 못하는 저회전수는,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의 85%∼95%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속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
  3. 토출밸브 또는 러너외주에 배설된 가동안내깃과, 전력계통에 병렬로 접속된 상기 러너를 회전구동하는 가변속전동기 또는 가변속 발전전동기를 설치한 가변속의 펌프수차 또는 펌프를 기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내깃 또는 상기 토출밸브를 열기 시작하는 시점의 상기 전동기 또는 상기 발전전동기의 회전수를, 정상운전 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보다 느린 안정기동 회전수로 하고, 상기 회전수로 설정후 상기 안내깃 또는 토출밸브를 열기 시작하는 동시에, 점차 여는 정도를 증가시켜 상기 회전수를 정상운전상태의 최적회전수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속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안정기동회전수는 정상운전상태에 있어서의 최적회전수의 90%∼99%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속 펌프수차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
KR1019850009393A 1984-12-21 1985-12-13 가변속 펌프수차(可變速 Pump 水車)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起動方法) KR890000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71612A JPS61149583A (ja) 1984-12-21 1984-12-21 可変速のポンプ水車またはポンプの起動方法
JP84-271612 1984-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139A KR860005139A (ko) 1986-07-18
KR890000264B1 true KR890000264B1 (ko) 1989-03-13

Family

ID=1750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393A KR890000264B1 (ko) 1984-12-21 1985-12-13 가변속 펌프수차(可變速 Pump 水車)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起動方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08594A (ko)
JP (1) JPS61149583A (ko)
KR (1) KR890000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N168574B (ko) * 1986-04-30 1991-05-04 Hitachi Ltd
JPS62282172A (ja) * 1986-05-12 1987-12-08 Hitachi Ltd 可変速水車発電装置
ES2004337T5 (es) * 1987-01-29 1997-03-16 Ewald Hennel Procedimiento para regular el caudal impelido por una bomba de circulacion.
KR920008189B1 (ko) * 1987-12-18 1992-09-2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변속 양수 시스템
JPH0737791B2 (ja) * 1988-11-28 199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ポンプの逆流検出装置及び揚水設備のポンプ運転制御装置並びに可変速揚水発電電動装置
JP2714449B2 (ja) * 1989-08-08 1998-0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可変速ポンプシステム
US5180034A (en) * 1990-12-06 1993-01-19 General Electric Co. Adaptive lubrication oil system
US5240380A (en) * 1991-05-21 1993-08-31 Sundstrand Corporation Variable speed control for centrifugal pumps
US5480288A (en) * 1993-03-25 1996-01-02 Fluid Management Limited Partnership Pump module for dispensing apparatus
US5465661A (en) * 1994-10-11 1995-11-14 R. R. Donnelley & Sons Company Printing press temperature adjustment system
US5561976A (en) * 1994-10-13 1996-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ndant trip solenoid valve shut-off for gas turbine fuel system
US5864183A (en) * 1996-08-28 1999-01-26 Voith Hydr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erformance of a pump-turbine
US6960900B2 (en) * 2003-11-28 2005-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a gas turbine using a polyphase electric power generator
JP3918837B2 (ja) * 2004-08-06 2007-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風力発電装置
JP5207910B2 (ja) * 2008-10-09 2013-06-12 日立三菱水力株式会社 可変速発電電動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運転制御装置
CN102200120A (zh) * 2010-03-26 2011-09-28 浙江省电力试验研究院 一种热力发电机组凝结水泵变频改造工况点预计算方法
US8700221B2 (en) 2010-12-30 2014-04-15 Fluid Handl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ump control using varying equivalent system characteristic curve, AKA an adaptive control curve
JP5713788B2 (ja) * 2011-04-28 2015-05-07 株式会社東芝 制御装置および可変速発電電動機始動方法
CN104024965B (zh) 2011-12-16 2018-02-13 流体处理有限责任公司 用于可变速度泵控制的动态线性控制方法和装置
WO2018175527A1 (en) 2017-03-21 2018-09-27 Fluid Handling Llc Adaptive water level controls for water empty or fill applicaitons
CN108678936B (zh) * 2018-04-10 2020-07-14 新界泵业(杭州)有限公司 泵运行管控方法
EP3816432B1 (en) 2019-10-29 2024-05-22 GE Renewable Technologies Method for starting a turbine in a pump mode
EP4105475A4 (en) * 2020-02-10 2024-01-03 Hitachi Mitsubishi Hydro Corporation VARIABLE SPEED PUMP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7395A (en) * 1974-11-25 1976-05-18 Cla-Val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mp
JPS54140115A (en) * 1978-04-21 1979-10-31 Nippon Steel Corp Variable speed operation method of alternating current motor
US4204808A (en) * 1978-04-27 1980-05-27 Phillips Petroleum Company Flow control
JPS5598675A (en) * 1979-01-19 1980-07-26 Toshiba Corp Controlling device of pump or pump runner
JPS5641476A (en) * 1979-09-13 1981-04-18 Toshiba Corp Liquid conveyor
JPS5660889A (en) * 1979-10-24 1981-05-26 Mitsubishi Heavy Ind Ltd Starting method of pump device by single shaft gas turbine
JPS5759084A (en) * 1980-09-26 1982-04-09 Toshiba Corp Controller for flow rate of pump
JPS5677566A (en) * 1980-11-04 1981-06-25 Hitachi Ltd Method of starting pump of hydraulic machine
JPS59145392A (ja) * 1983-02-07 1984-08-20 Hitachi Ltd スクリユ−圧縮機の容量制御方法
US4586870A (en) * 1984-05-11 1986-05-06 Elliott Turbomachinery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power consumption while controlling surge in a centrifugal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49583A (ja) 1986-07-08
JPH0144904B2 (ko) 1989-10-02
KR860005139A (ko) 1986-07-18
US4708594A (en) 198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264B1 (ko) 가변속 펌프수차(可變速 Pump 水車) 또는 펌프의 기동방법(起動方法)
KR890004072A (ko) 가변속 양수발전 플랜트에 대한 제어시스템
JPS6158666B2 (ko)
US6336322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pump turbine
US4391097A (en) Pumping up hydroelectric power plant
US4346304A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Francis type pump turbines
US4344735A (en) Method of controlling two-stage hydraulic pump-turbines
JPH02259296A (ja) 水中ポンプ
JPH0742932B2 (ja) 揚水水力機械の運転制御装置
JPH10252680A (ja) ポンプの運転制御装置
JP3839862B2 (ja) 可変速水力機械の揚水運転方法
JPH0768936B2 (ja) 可変速揚水機の揚水運転停止方法
JPS6230303B2 (ko)
JPH0144905B2 (ko)
JP2796298B2 (ja) 可変速揚水プラント
JPH0610464B2 (ja) 可変速水力機械の制御方法
JP2514962B2 (ja) 水力機械の運転方法
JPH086679B2 (ja) 可変速運転水力発電設備の制御方法
JPH01130069A (ja) 水力機械の運転方法
JP2695813B2 (ja) 可変速水力機械の運転制御装置
JPS6323387B2 (ko)
JP3493048B2 (ja) 分岐水路系発電所の可変速形水力機械の運転制御方法
JPS62237096A (ja) 回転円錐形ポンプの運転方法
SU1139894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центробежным насосом
JPH0768937B2 (ja) 可変速ポンプ水車の揚水運転停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3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