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46B1 - 전단기(shearing machine) - Google Patents

전단기(shear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46B1
KR880002546B1 KR828200395A KR820000395A KR880002546B1 KR 880002546 B1 KR880002546 B1 KR 880002546B1 KR 828200395 A KR828200395 A KR 828200395A KR 820000395 A KR820000395 A KR 820000395A KR 880002546 B1 KR880002546 B1 KR 88000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eans
rod
ram
workpiec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820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462A (ko
Inventor
히데가쓰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아마다 이사무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101108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3969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51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29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51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57132914A/ja
Application filed by 아마다 이사무, 가부시끼가이샤 아마다 filed Critical 아마다 이사무
Publication of KR83000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23D15/08Sheet shears with a blade moved in one plane, e.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5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525Operation controlled by detector means responsive to work
    • Y10T83/538Positioning of tool 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821With simple recti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ly
    • Y10T83/8867With means to adjust tool position on tool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단기(shearing machine)
제 1 도는 본 원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전단기의 정면도 및 제 2 도의 I-I 선 부분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III-III선 부분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IV-IV선 부분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에서 보여주는 전단기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다이어 그램.
제 6 도는 본 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단기의 정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나타낸 전단기의 측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에 나타낸 전단기의 유압회로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단기 13 : 램
15 : 상부날 19 : 하부날
29 : 가이드부재 53, 57 : 아암부재
55 : 제어밸브수단 59 : 캠부재
67 : 압압수단 69 : 홀딩패드부재
73 : 검출부재 83 : 푸울로드
95, 97 : 제1 및 제 2 램제어밸브수단
105 : 연결부재 121 : 직접제어밸브수단
189 : 첵밸브수단 193 : 솔레노이드작동밸브수단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철판과 같은 판상(板狀) 피가공물을 전단하기 위한 상부날과 하부날을 갖고 있는 전단기에 관한 것으로 전단해야 할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서 상하부날간의 간극이나, 상부날의 하부날에 대한 경사를 조정하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잘 알려진 바와같이 판상 피가공물 즉 철판 같은것을 절단하거나 전단하기 위한 전단기들은 한개의 상부에 있는 가동성날과 하부의 고정된 날이 있고 이날들은 모양이 편평하고 길죽하며 마치 가위나 가지치기가위처럼 상하의 날들이 서로 협동해서 전단하는 역활을 수행하게끔 배치되어 있다. 하부날은 그 편평한 쪽면이 수직으로선 상태로해서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날은 하부날에 대하여 전단각(剪斷角)을 이루는 동시에 날의 편평한 면이 수직상태를 이루어서 상부날이 하부날에 대해서 상하로 움직일수 있도록 하므로서 두날이 협동해서 피가공물을 전단하는 역활을 한다. 물론 상부날이 전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밑으로 내려졌을 때에는 상하의 날들은 한 쌍의 가위날처럼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인 전단기들에 있어서는 정확하고 섬세한 전단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서 상하날간의 간극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정확하고 미세한 전단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하날간의 간극을 가능한한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되는 데로 상하날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서 두꺼운 물체를 전단할 때는 그 간극을 크게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단할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서 상부날이 하부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적 전단각을 조정할 필요가 생긴다. 전단할 피가공물의 모양을 변형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상부날의 경사를 가능한한 작게할 필요가 있는데도 두꺼운 피가공물을 전단할때는 그 전단하는 힘을 적게 들이기 위해서 경사를 가능한한 넓혀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하날의 간극이나 전단각 또는 상부날의 경사는 전단기 조작자들의 경험에 의해서 그때 그때의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수동으로 조정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두께가 각각 다른 여러종류의 피가공물들을 소량씩 전단하고자 할때에는 특별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판과 같은 판상 피가공물을 전단할 때에 상하의 날이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자동적으로 그 간극이 조정되는 전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원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판상 피가공물을 전단할때에 전단각 즉 상부날이 하부날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가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조정되게 하는 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전술한 목적들은 전단기의 작업대위에 놓여질 피가공물의 두께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설치하므로서 근본적으로 해결되고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 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출된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서 상하날간의 간극과 전단각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조정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목적과 이점들은 하기의 설명과 도면에 의해서 명백해질것이고, 도면의 예시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원리가 설명될 것이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전단기(1)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한쌍의 C형 직립판(3과 5)이 서로 평행하게 세워져있고 이들의 하단부가 기판(7)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직립판들(3과 5)은 이들의 전면상단부에서 또 수직전면판(9)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고 후면상단부에도 하나의 비임(11)으로서 역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전단기(1)는 하나의 램(13)이 있고 이것은 전면판(9)의 뒤쪽에서 상하수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어서 길다란 상부날(15)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고 또한 이 전단기 전면에 작업대(17)가 있어서 피가공물(W)과 기다란 하부날(19)을 올려놓게 되어 있다. 하부날(19)은 작업대(17)의 뒷쪽끝에 분리가능하게끔 수평으로 붙어 있고 상부날(15)은 램(13)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하부날(19)과 경사를 이루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서 램(13)이 내려올때에 상하날들이 피가공물(W)을 전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단기(1)에는 게이징스토퍼(20)가 있어서 전단되어질 피가공물(W)이 이것과 접하는 상태로 놓여지게 되어있다. 램(13)은 각각 피스톤 및 로드(25와 27)가 있는 한쌍의 좌우측 유압모우터 또는 실린더(21과 23)에 의해서 앞판(9)의 뒤쪽에서 상하수직으로 작동되도록 배치되므로서 상부날(15)이 하부날(19)을 향하여 수직으로 내려올수도 있고 수직으로 멀어질수도 있게 되어 있다. 유압모우터(21과 23)는 각각 직립판(3과 5)의 내측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과 로드(25와 27)가 여기에서 아래방향으로 뻗어 나와서 램(13)을 붙들게 되어 있다. 그래서 유압모우터(21과 23)의 피스톤과 로드(25와 27)에 의해서 램(13)이 아래로 내려오면 상부날(15)이 내려와서 하부날(19)와 협동해서 작업대(17)위에 올려진 피가공물(W)을 전단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장치에서 램(13)은 유압모우터(21과 23)의 피스톤 및 로드(25와 27)의 하단부에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램은 전후 좌우로 약간씩 스윙(sweing)할 수 있도록 적절한 연결장치가 되어 있다. 이상으로 상부날(15)와 과 하부날(19)간의 간극은 램(13)을 전후방향으로 약간 스윙시킴으로서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물론 상부날(15)과 하부날(19)과의 간극을, 우리가 선택하려는 방법에서는, 램(13)을 스윙시킴으로서 조정하지마는, 작업대(17)를 똑같이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조정할 수도 있다. 역시, 전단각 즉 상부날(15)이 하부날(19)에 대하여 이루는 경사도 유압모우터(21과 23)의 피스톤 및 로드(25와 27)중 어느것을 다른것보다 더 아래로 또는 더 멀리 뻗침으로서 조정할 수도 있다.
제 2 도에서는 상하의 날(15와 19)간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서 램(13)이 상하수직방향으로, 활동식(滑動式)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한쌍의 길다란 가이드부재(29)에 붙들려서 안내되고 있으며, 이 가이드부재는 핀(31)들에 의해서 추지적으로 직립판(3과 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어서 전후로 스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직립판(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9)와 제 2 도의 기타 관련장치와 부재들은, 이 도면에서는 직립판(3)의 내측은 보이지 않고 있지만, 직립판(3과 5)의 양쪽 내측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램(13)은 가이드부재(29)에 의해서 상하수직으로 활동식으로 움직일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램이 전단각 다시 말하면 상부날(15)의 하부날(19)에 대한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로 약간씩 경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램(13)을 붙들고 있는 가이드부재(29)는 핀(31)들 주위로 편심캠부재(33)에 의해서 스윙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 캠부재(33)는 직립판(3과 5)의 내측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있는 핀(35)들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편심캠부재(33)가 가이드부재(29)의 하단을 수평으로 지나가게 배치하므로서 편심부배가 회전할 때에 가이드부재(29)를 스윙시키고 또한 뒤쪽으로 뻗어나있는 레버부재(31)을 마련해줌으로서 회전을 하게 된다.
제 2 도 제 3 도및 제 4 도에서 편심캠부재(33)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부재(37)는 로드부재(39)에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로드부재들은 윗방향으로 뻗쳐서 레버부재(41)와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서 수직방향으로 움직일수 있게 되어 있다. 레버부재(41)은 상당히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축(43)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축은 비임부재(11)에 평행되게 배치되고 비임부재(11)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는 베아링장치(45)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수되어 있다. 축(43)은 레버부재(47)가 제공되어 있고 유압모우터 또는 실린더(49)에 의해서 레버부재(47)을 수단으로하여 회전하도록 조치가되어 있으며 이 유압모우터 실린더는 레버부재(47)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51)를 갖고 있고 비임부재(11)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장치로서 유압모우터(49)가 레버부재(47)를 수단으로하여(43)을 회전하게될때, 축(43)은 레버부재(41)와 로드부재(39)를 수단으로 해서 레버부재(37)를 스윙하게되고 그래서 편심캠부재(33)를 회전시키고 이는 다시 램(13)과 함께 가이드부재(29)를 스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상부날(15)과 하부날(19)간의 간극은 유압모우터(49)를 제어함으로서 전단되어질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서 조정될수 있음을 알수 있다. 제 3 도와 제 4 도에서 본 바와같이, 유압모우터(49)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밸브수단(55)이 있는 아암부재(53)가 축(43)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축(43)에는 캠부재(59)가 있는 아암부재(57)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아암부재(53과 57)는 제어밸브장치(55)와 캠부재(59)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양쪽의 유압모우터(49)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직립판(5)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아암부재(57)는 그것이 축(43)위에서 회전할 때에는 캠부재(59)가 제어밸브장치(55)와 접촉할 수도 있고 또는 떨어질수도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압모우터(49)의 피스톤로드(51)과 캠부재(59)와 접할때에는 뻗어나오고, 캠부재(59)와 떨어질때에는 피스톤로드(51)가 뻗어 나오는 것이 중단되게끔 제어밸브장치(55)가 장치되어 있다. 이렇게해서 캠부재(59)로 하여금 제어밸브장치(55)와 접촉되도록 아암부재(57)가 축(43)위에서 회전하게될때, 유압모우터(49)가 아암부재(53)와 더불어 축(43)을 회전시켜서 아암부재(53)에 달려있는 제어밸브장치(55)가 캠부재(59)에서 떨어져 나가게 한다. 또한, 아암부재(57)로 하여금 축(43)위에서 회전하기 위해서 스프링슈우(63)가 있는 하나의 푸울로드(61)가 아암부재(57)에 연결되어 있고 아암부재(57)로 하여금 캠부재(59)를 제어밸브수단(5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할수 있도록, 이 푸울로드(61)는 스프링슈우(65)로서 편심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부날(15)과 하부날(19)간의 간극은 아암부재(57)을 축(43)위에서 회전시키기 위해서 푸울로드(61)를 당기므로서 전단되어질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전단되어질 피가공물을 작업대(17)위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앞판(9)의 하단에 복수개의 압압수단(hold down means)(67)이 마련되어 있다.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압압수단(67)은 스프링(71)에 의해 상향으로 밀려지고 피가공물(W)을 파지하도록 유압유체에 의해 하강될수 있는 홀딩패드부재(69)를 각각 갖춘 유압모우터들이다. 제 1 도, 제 2도 및 제 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를 검출하거나 검지하기 위하여 기다란 판상을 검출부재(73)가 복수개의 레버부재 또는 벨크랭크(75)에 의하여 앞판(9)에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검출부재(73)는 압압수단(67)의 홀딩패드부재(69)위에 올라타고 레버부재(75)에 의해 그와함께 같이 상하로 이동되는 상태로 앞판(9)뒤에 수평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레버부재(75)는 그의 하단부에서 핀에 의해 검출부재(73)에 그리고 그의 중간부에서 핀(79)에 의해 앞판(9)에 추지적으로 연결되며, 그들의 상단에서 핀(81)에 의해 역시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이 배치에서 검출부재(73)는 레버부재(75)가 푸울로드(83)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해제되었을때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한 상태로 레버부재(75)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푸울로드(83)는 이하에 기술될 통상적으로 검출부재를 상승유지토록한 상태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좌측으로 편위하여 유지되며, 또한 피스톤로드(87)를 갖추고 앞판(9)의 뒤측에 설치된 유압모우터 혹은 실린더에 의해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우측으로 끌어당겨진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검출부재(73)는 푸울로드(83)가 유압모우터(85)에 의해 우측으로 끌어당겨졌을때 압압수단(67)의 홀딩패드부재(69)를 따르도록 레버부재(75)에 의해 하강될 것이며, 푸울로드(83)가 좌측으로 끌어당겨졌을때 레버부재(75)에 의해 상승될 것이다.
이와같은 배치에 있어서 작업대(17)에 위치된 피가공물(W)의 두께는 검출부재(73)에 의해 검출 혹은 검지될수 있으며 압압수단(67)의 홀딩패드부재(69)가 그위에 타고있는 검출부재(73)와 함께 피가공물(W)를 압압했을때 푸울로드(83)에 전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관계에서, 피가공물(W)의 두께는 압압수단(67)의 홀딩패드부재(69)를 통함이 없이 직접적으로 검출부재(73)을 피가공물(W)과 접촉게 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제 1 도, 제 3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푸울로드(83)는 앞판(9)상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스프로킷 또는 푸울리와 같이 휘일(91 및 93) 주위에 감겨진 체인 또는 와이어와 같은 플렉시블 연결 부재(89)에 의해 푸울로드(6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푸울로드(83)는 연결부재(89) 및 푸울로드(61)를 통하여 스프링(65)에 의해 항상 좌측으로 편위유지되며, 또한 유압모우터(85)에 의해 당겨졌을때 축(43)위의 아암부재(57)를 회전하도록 연결부재(89)를 통하여 스프링(65)에 대해 푸울로드(61)을 당길 것이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푸울로드(83)가 레버부재(75)에 의하여 검출부재(73)를 하강하도록 유압모우터(85)에 의해 당겨졌을때, 아암부재(57)는 캠부재(59)가 제어밸브수단(55)과 접촉하도록 푸울로드(61)에 의해 축(43)상에 동시적으로 회전될 것이다.
한편, 검출부재(73)가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를 검출하도록 레버부재(75)에 의하여 푸울로드(83)에 의해 하강되었을때, 아암부재(57)는 검출부재(73)에 의해 검출된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유압모우터(49)를 제어하도록 캠부재(59)와 함께 회전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유압모우터는 레버부재(41), 로드부재(39), 레버부재(37) 및 편심 캠부재(33)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램(13)을 유지하는 가이드부재(29)를 움직이도록 레버부재(47)에 의하여 축(43)을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이에따라 상부 및 하부날(15 및 19)사이의 간극이 검출부재(73)에 의해 검출되고 또한 유압모우터(49)를 제어하도록 제어밸브수단(55)에 전달되는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조정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도 및 제 5 도에 대해 설명하면, 전단각 즉, 상부날(15) 대 하부날(17)의 경사를 조정하기 위해 제 1 램제어밸브수단(95)과 제 2램제어밸브수단(97)은 우측 및 좌측 유압모우터(21 및 23)를 제어하도록 앞판(9)의 뒤측상에 나란히 설치된다. 또한, 도그(dog)부재라고도 할수 있는 캠부재(99)는 그와 함께 접촉했을때 제 1 및 제 2 램제어밸브수단(95 및 97)의 어느것을 교호적으로 밀거나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판(9)의 뒤측상에 가동적으로 제공된다. 매우 상세히 후기할 것이지만, 제 1 램제어밸브수단(95)은 캠부재(99)에 의해 밀어지고 작용되었을때 우측 유압모우터(21)의 피스톤 및 로드(25)만을 하강시키고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편, 제 2 램제어밸브수단(97)은 역시 상세히 후기되겠지만, 캠부재(99)에 의해 작동되었을때 좌측 유압모우터(23)의 피스톤 및 로드(25)만을 하강시키고 뻗도록 그리고 동시에 우측 유압모우터(21)의 피스톤 및 로드(25)를 상승하도록 정반대로 배치된다.
이와같은 배치에 있어서, 제 1 램제어밸브수단(95)이 캠부재(99)에 의하여 작동되었을때, 우측 유압모우터(21)는 상부날(15)의 우측부를 하강하도록 램(13)의 우측부만을 아래쪽으로 압압할 것이다. 또한, 제 2 램제어밸브수단(97)이 캠부재(99)에의해 작동되었을때, 좌측 유압모우터(23)는 상부날(15)의 좌측부를 하강시키도록 램의 좌측부만을 아래쪽으로 압압할 것이며 마찬가지로 우측 유압모우터는 상부날(15)의 우측부가 상승하도록 램(13)의 우측부를 윗쪽으로 힘을 가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전단각 또는 상부날(15)의 경사는 캠부재를 제 1 및 제 2 램제어밸브수단(95 및 97)과 접촉하도록 이동시킴에 의해 조정될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 1 도로부터 볼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캠부재(99)는 이 캠부재(99)가 각각 좌우로 이동되었을때 제 1 및 제 2 램제어밸브수단(95 및 97)과 접촉하여 수평으로 이동될수 있는 상태로 앞판(9)의 뒤측상에 수평으로 활동가능하게 제공된 기다란 로드부재(101)에 고정된다. 캠부재(99)를 지지하기 위한 로드부재(101)는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볼수 있는 바와같이 캠부재(99)는 양 제 1 및 제 2 램제어밸브수단(95 및 97)과의 접촉에서 벗어나는 그의 중립위치에서 통상적으로 유지되도록한 상태로 우측으로 스프링(103)에 의해 편심적으로 보지된다.
제 1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로드부재(101)는 유압실린더(117)내에 활동가능하게 둘러싸인 피스톤 및 로드(15)에 연결된 스프로킷 또는 푸울리와 같이 휘일(107, 109, 111, 113)주위에 감겨진 체인 또는 와이어와 같은 부재(105)를 연결함에 의해 스프링(103)에 대해 좌측으로 밀도록 배치되어 있다. 휘일(107, 113)은 앞판(9)의 뒤측의 상부 좌측부 및 하부우측부에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반면에, 휘일(109, 111)은 휘일(107) 아래 및 휘일(113)위에 램(13)의 앞측상에 서로 같은 높이로 바람직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와같은 배치에 있어서, 연결부재(105)가 스프링(103)에 대해 유압실린더(117)의 피스톤 및 로드(115)에 의해 당겨졌을때, 캠부재(77)는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를 하강하도록 로드부재(101)에 의해 제 1 램제어밸브수단(95)과 접촉하게 한다.
또한,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가 연결부재(105)틀이 완하도록 하강되었을때 캠부재(99)는 그의 중립위치에서 램(13) 및 상부날(15)을 하강으로부터 정지하도록 로드부재(101)에 의하여 스프링에 의해 뒤로 이동한다. 또, 캠부재(99)는 램(13) 및 상부날(15)의 좌측부를 하강시키도록 스프링(103)에 의해 제 2 램제어밸브수단(97)과 접촉하도록 하며 마찬가지로 연결부재(105)가 이완되었을때 그의 우측부를 동시에 상승시킨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통상적으로는 그의 중립위치에서 캠부재를 지지하도록 스프링에 대해 긴장되어 있긴 하지만, 연결부재(105)는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가 휘일(113) 가까이에 휘일(111)을 낮추도록 하강되었을때 이완된다.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피스톤 및 로드(115)는 연결부재(105)에 연결되도록 우측으로 돌출하여 수평으로 활동 가능하게 실린더내에 둘러싸여 있으며, 슬라이브와 유사한 기다란 보어(115b)와 함께 그의 로드부에 형성된다. 유압실린더(117)는 좌측으로 돌출되고 연결부재(105)와 함께 피스톤 및 로드(115)를 좌측으로 끌수 있도록한 상태로 그안에 그리고 피스톤 및 로드(115)의 보어(115b)내에 활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로드(119)와 더불어 제공된다. 또한, 유압실린더(117)는 제 5 도에 수동으로 조작되는 방식으로 나타낸 직접 제어밸브수단(121)과 함께 제공되며 상기 밸브수단(121)은 솔레노이드 작동방식일수 있으며 유압탱크(T)와 더불어 유압실린더(117)의 로드단을 연결하고 해제하도록 교호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도록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유아실린더(117)는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이 개방유지되었을때 피스톤 및 로드(115)가 그안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직접제어밸브수단이 폐쇄되었을때 유압실린더 로드단 내로 흡인된 유압액에 의한 이동으로부터 정지되도록 설계된다. 이와같은 배치에 있어서, 직접제어밸브수단(121)이 유압탱크(T)에 대해 유압실린더(117)의 로드단을 연결하도록 개방 유지되었을때, 피스톤 및 로드(115)는 연결부재(105)를 끌어당기도록 슬라이드 로드(119)에 의해 좌측으로 당겨질수 있다. 그러나, 직접제어밸브수단(121)이 폐쇄유지되었을때, 피스톤 및 로드(115)는 작동으로부터 정지유지되고 스프링(103)에 대해 팽팽히 긴장된 연결부재(105)를 파지할 것이다.
물론, 직접제어밸브수단(121)이 폐쇄유지되었을때 슬라이드로드(119)는 피스톤 및 로드(115)를 끌어 당기도록 좌측으로 작동할 수 없고, 유압실린더(117) 및 피스톤 및 로드(115)내에서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 1 도 및 제 5 도에 있어서, 슬라이드로드(119)는 앞판(9)의 뒤측에 고정된 핀(127)에 의해 그의 중간부에서 추지적으로 지지된 레버부재(105)에 대해 핀(123)에 의해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부재(125)는 검출부재(73)에 연결된 푸울로드(83)에 대해 추지적으로 연결된 링크부재(131)에 핀(129)에 의해 그의 하단에서 추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따라, 푸울로드(83)가 검출부재(73)를 하강하도록 유압모우터(85)에 의해 끌어당겨졌을때, 슬라이드로드(119)는 유압실린더(117)의 피스톤 및 로드(115)에 의하여 연결부재(105)를 끌어 당기도록 링크부재(131) 및 레버부재(125)에 의해 푸울로드(83)로 끌어당겨질 것이다. 다시말해서, 검출부재(73)가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를 검출하도록 레버부재(75)에 의하여 푸울로드(83)에 의해 하강되었을때 연결부재(105)는 캠부재(99)가 제 1 램제어밸브수단(95)과 접촉하도록 푸울로드(83)에 의해 원위치로 끌어당겨질 것이다.
따라서, 제 1 램제어밸브수단(95)이 검출부재(73)에 의해 검출된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램(13)의 우측부 및 상부날(15)을 하강시키도록 우측 유압모우터(21)를 작동시킬 것이며, 상기한 바와같이 레버부재(75)에 의해 푸울로드(83)에 전달된다. 상기된 배치에 있어서,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전단각도를 조정하거나 결정하기 위하여,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은 푸울로드(83)가 유아모우터(85)에 의해 끌어당겨졌을때 슬라이드로드(119)가 유압실린더(117)에서 피스톤 및 로드(115)를 끌어당길수 있도록 개구된다. 피스톤 및 로드(115)가 슬라이드 로드(119)에 의해 끌어당겨졌을때, 캠부재(99)는 우측 유압모우터(21)가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를 하강시키도록 제 1 램 제어밸브수단(95)과 접촉하여 연결부재(105)에 의하여 피스톤 및 로드(115)에 의해 가동될 것이다.
제 1 램 제어밸브수단(95)이 검출부재(73)에 의해 검출된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푸울로드(83)에 의해 원위치로 가동되기 때문에, 우측 유압모우터(21)는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를 하강시킬 것이다. 이에따라 직접 제어밸브수단이 개구 유지되었을때 전단각은 검출부재(73)에 의해 검출된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우측 유압모우터(21) 및 제 1 램제어밸브수단(85)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정되고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캠부재(99)가 제 1 램 제어밸브수단(95)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스프링(103)에 의해 가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램(13)이 연결부재(105)를 이완하도록 휘일(111)을 휘일(113) 가까이에 하강시킬 것이기 때문에, 전단각이 조정되고 결정되자마자, 우측유압모우터(21)는 램(13)및 상부날(15)의 하강을 정지시킬 것이다.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휘일(111)은 연결부재(105)를 이완하도록 휘일(113)가까이 하강될 것이므로 램(13)및 상부날(15)의 우측부가 그의 관성에 의해 너무 많이 하강되었을때, 캠부재(99)는 램(13) 및 상부날(15)의 좌측부로 하강시키도록 제 2램제어 밸브수단(97)과 접촉하여 그의 중림위치로부터 스프링(103)에 의해 가동될 것이다.
전단각이 조정되고 결정된후, 램(13)은 상부 및 하부날(15 및 19)이 피가공물(W)을 전단할 수 있도록 양 우측 및 좌측 유압모우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하강된다. 램(13)이 우측 및 좌측 유압모우터(21 및 23)에 의해 하향으로 구동되었을때, 캠부재(99)는 피가공물(W)이 전단될때까지 조정되고 결정된 전단각을 보지하도록 양 제 2램제어밸브수단(95 및 97)과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 그의 중립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로부터 비록 휘일(107)및 (109)사이의 거리가 램(13)이 하강된것보다 더 길게 되어도 휘일(111)및 (113)사이의 거리는 그 중립위치에서 캠부재를 유지하도록 대조적으로 보다 짧게될 것이다.
피가공물(W)이 전단된후, 캠부재(99)는 푸울로드(83)가 유압모우터(85)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그의 원위치에 램(13)및 하부날의 우측부를 상승하고 복귀하도록 제2램 제어밸브수단과 접촉하여 중립위치로부터 스프링(103)에 의해 가동될 것이다.
같은두께의 피가공물을 계속 전단하기 위해, 조정 또는 결정된 전단각을 유지시키고 싶을경우에는, 전단각이 조정 또는 결정된후 직접재어밸브수단(121)을 닫는다. 용이하게 명백해질것처럼 직접제어밸브수단(121)이 닫혀 있을때, 피스톤 및 로드(115)는 연결부재(105)가 스프링(103)에 대해 긴장되어 있도록 하기위해 유압실린더(117)안에 움직임이 정지되어 있게된다. 또한,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이 닫힌채 피스톤 및 로드(115)가 유압실린더(117)안에 정지되어 있을때도 슬라이드 로드(119)는 푸울로드(83)에 의한 레버부재(125)에 의해서 피스톤 및 로드(115)의 구멍(115b)안에서 움직여질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5도에 표시된 것처럼, 우측 및 좌측 유압모우터(21)및 (23)과 또한 유압모우터(49)및 (85)는 전동기(M)에 의해 구동되고 여과기(F)를 통해 유압탱크(T)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펌프(P)에 집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처음 유압유체를 내보내기 위해서, 유압펌프(P)는 관례적인 것과 같이 릴리이프 벨브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주통로(133)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압실린더(117)에 연결된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은 피스톤로및 로드(115)로 하여금 유압실린더(117)안으로 또 밖으로 유압유체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유압탱크(T)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우측 유압모우터(21)를 구동하기 위해서, 주통로(133)는 유압유체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차단, 허용하기 위해 파일롯 밸브수단(139)이 설치되어 있는 통로(137)에 의해 유압모우터(21)의 헤드단(端)에 연결되어 있다.
파일롯 밸브수단(139)은 통로(137)를 개폐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141)에 의한 셔트밸브수단(143)및 (145)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로(137)는 드레인통로(147)에 의해 유압탱크(T)에 연결되어 있고 파일롯밸브수단(139)과 우측유압모우터(21)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벨브수단(151)에 의해 작동되는 파일롯밸브수단(149)이 마련되어져 있다.
그래서, 램(13)이 하향구동 될때 파일롯밸브수단(139)이 열려 유압유체는 유압펌프(P)에 의해 통로(133)를 통해 유압모우터(21)의 헤드단속에 송급되어, 램(13)이 올라갈때는 파일롯밸브수단(139)이 닫혀 유체는 드레인통로(147)를 통해 거기서 부터 배출된다.
유압모우터(21)의 및 (23)의 피스톤 및 로드(25) 및 (27)이 각각 동시 또는 동기적으로 구동되어 램(13)을 승강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우측 유압모우터(21)의 로드단은 통로(153)에 의해 좌측 유압모우터(23)의 헤드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측 유압모우터(21)의 피스톤 및 로드(25)의 하면에서의 유효 환상면적이 좌측 유압모우터(23)의 피스톤 및 로드(27)의 상부에서의 전면적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조로, 우측유압모우터(21)의 헤드단에 유압유체가 공급될때는 램(13)은 하향구동 되어 상부날(15)을 하강시키며, 또한 좌측유압모우터(23)의 로드단에 유압유체가 공급될때는 램(13)은 상향구동되어 상부날(15)을 올린다.
유압유체를 좌측 유압모우터(23)안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파일롯 밸브수단(157)이 배설되어 있고 또한 다른 파일롯 밸브수단(159)이 파일롯 밸브수단(157)과 유압모우터(23)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통로(155)에 의해 주통로(133)는 그의 로드단에 연결되어 있다.
램(13)이 상승될때는 통로(155)를 열도록 그리고 램이 하강 될때는 통로(155)를 닫도록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141)에 의해 작동되도록 파일롯 밸브수단(157)은 구성되어 있다. 파이롯 밸브 수단(159)은, 램(13)이 상승 및 하강될때는 통로(155)을 열도록 그리고 램(13)이 정지되어 있을때는 통로(155)를 닫도록 솔레 노이드 작동 밸부사단(161)에 의해 작동되도록 그렇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로(155)에는 파일롯 밸브수단(157)고 (159)사이에 축압기(163)와 릴리이프 밸브수단(16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통로(155)에는 유아유체가 유압펌프(P)에 직접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파일롯 밸브수단(157)과 측압기(163) 및 릴리이프 밸브수단(165) 사이에 첵 밸브수단(167)이 또한 마련되어있다. 그래서, 램(13)이 하강할때, 유압모우터(23)의 로드단안으로 송급된 유압유체는 부분적으로 축압기(163)내에 유입되어 거기에 축적되며 또한 부분적으로로는 릴리이프밸브수단(165)을 통해 유압탱크(T)안으로 배출된다.
물론 램(13)이 상승될때는, 파일롯 밸브수단(157) 및 (159)가 열린채 유압유체는 통로(155)를 통해 유압펌프(P)로부터 유압모우터(23)의 로드단안으로 송급된다. 그러나 유압펌프(P)로 부터 송급된 유압유체에 추가하여 축압기(163)안에 축적된 유압유체에 의해 램(13)이 신속히 상승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통로(155)에는 수동조작밸브수단(171)에 의해 파일롯 밸브수단(157)과 (159)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제5도에 표시되어 있는 압력게이지(169)가 마련되어있다.
우측 유압모우터(21)의 헤드단과 로드단은 통로(17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통로(173)에는 셔틀밸브수단(177)과 연결된 파일롯 밸브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파일롯밸브수단(157)은 셔틀밸브수단(177)을 통하여 제1램 제어밸브수단(95)에 연결되어 있고, 그것은 캠부재(99)가 제1램 제어밸브수단(95)과 접촉될때는 통로(173)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캠부재(99)가 제1램 제어밸브수단(95)에 접촉되자마자, 우측 유압모우터(21)의 헤드단과 로드단은 피스톤 및 로드(25)를 하강하기 위해 파일롯 벨브수단(175)에 의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 또는 연통될 것이다. 피스톤 및 로드(25)의 상부에서의 유효면적이 그의하면에서의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피스톤 및 로드(25)는 유압모우터(21)의 헤드단과 로드단이 유체적으로 연결될때 내려갈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캠부재(99)가 파일롯 밸브수단(175)으로 하여금 통로(173)를 열수 있게 하기 위해 제1램 제어밸브수단(95)과 접촉하게 될때는 전단될 피가공물(W) 의 두께에 따라 유압모우터(21)가 피스톤 및 로드(25)에 의해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를 하강시킬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알수 있을 것이다.
좌측 유압모우터(23)의 헤드단은 셔틀 밸브수단(183)과 연결된 파일롯 밸브수단(181)이 있는 통로(179)에 의해 통로(155)에 연결되어 있다. 파일롯 밸브수단(181)은 셔틀밸브수단(183)에 의해 제2 램제어밸브수단(97)에 연결되어 있고 이 밸브수단(181)은 캠부재(99)가 제2램제어밸브수단(97)과 접촉되어 있을때 통로(179)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캠부재(99)가 파일롯밸브수단(181)으로 하여금 통로(179)를 열수 있게 하기 위해 제2램 제어밸브수단(97)과 접측하고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161)이 동력을 얻어 파일롯 밸브수단(159)으로 하여금 통로(155)를 열게할때 좌측 유압모우터(23)의 헤드단과 로드단은 상호 유체적으로 연결 또는 연통된다.
또한, 피스톤 및 로드(27)의 상부에서의 유효면적이 그의 하부의 유효면적적보다 더 크기 때문에, 좌측유압모우터(23)의 피스톤 및 로드(27)는 통로(179)와 (155)가 파일롯밸브수단(181)과 (159)에 의해 열릴때에 하강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솔레노이드작동 밸브수단(161)은 램(13)이 하강 및 상승될때와 또한 램(13)의 우측부가 과도하게 하강되어 전단될 피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전단각을 조정할 수 없을 때, 파일롯밸브수단(159)으로 하여금 통로(155)를 열수있게 하기위해 동력을 얻도록 그렇게 전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161)이 동력을 얻은채 캠부재(99)가 제2램 제어밸브수단(97)과 접촉될때는 램(13) 및 상부날(15)의 좌측부는 좌측유압모우터(23)에 의해 하강될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가 전단각을 조정하기에는 지나치게 많이 그의 관성에 의해 하강될때는 캠부재(99)가 스프링(103)에 의해 제2램제어밸브수단(97)과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전단될 피 가공물(W)의 두께에 따라 전단각이 조정 또는 결정될때 그의 우측부가 과도하게 하강되자마자, 램(13 및 상부날(15)의 좌측부는 유압모우터(23)에 의해 하강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피가 공물의 전단 후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이 열린채 램(13)이 최상한까지 상승되었을때도 캠부재(99)는 스프링(103)에 의해 제2램제어 밸브수단(97)과 역시 접촉될 것이다.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이 열린채 피스톤 및 로드(115)가 유압실린더(117)안에서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한, 램(13)이 최상한까지 상승되었을때 연결부재(105)는 이완되어 스프링(103)으로 하여금 캠부재(99)를 끌어 제2램제어수단(97)과 접촉되게 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램(13)이 최상한까지 상승되어 거기에 정지할때,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161)은 전술한바와같이 동력을 잃어 파일롯밸브 수단(159)으로 하여금 통로(155)를 닫게할 수 있다. 그래서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이 열린채 램(13)이 최상한까지 상승되자마자, 유압유체는 유압펌프(P)로부터 파일롯밸브수단(181)과 통로(179)을 통해 우측유압모우터(121)의 로드단안으로 송급되어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는 상승된다.
그러나, 직접 제어밸브수단(121이 닫혀 피스톤 및 로드(115)가 유압실린더(117)안에 정지되어 있는한, 램(13)이 최상한 위치에 있거나 없거나 간에, 전단각을 조정 또는 결정된채 유지시키기 위해 램(13) 및 상부날(15)의 우측부분은 상승되지 않을 것이다.
제5도에 표시된 것처럼 푸울로드(83)를 끌기 위한 유압모우터(85)와 압압수단(67)의 유압모우터들은 공급된 유압유체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압밸브수단(187)이 있는 통로(185)에 의해 통로(137)에 연결되어 있다. 통로(185)에는 유압유체가 통로(137)로 직접 귀환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감압밸브수단(187)과 유압모우터(85) 및 압압수단(67)사이에 첵 밸브수단(18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른 통로(191)가 첵 밸브수단(189)과 유압모우터(85) 및 압압수단(67)의 사이에서 통로(185)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이통로(191)는 통로(185)로부터의 유압유체의 유출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193)에 연결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유압모우터(85)와 압압수단(67)은 동시에 또는 동기적으로 푸울로드(83)를 끌어당기고 압압수단(67)의 홀딩패드부재(69)를 하강시키기 위해 통로(137)과 (185)를 통해 유압펌프(P)로부터 유압유체를 동시에 공급받는다. 그렇게하여, 압압수단(67)의 홀딩패드부재(69)와 검출수단(73)은 각각 전단될 피가공물(W)을 억압하고 피가공물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해 동시 또는 동기적으로 하강된다. 또한, 유압유체가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193)을 통해 통로(185)로부터 배출될때는, 홀딩 패드부재(69)와 압압수단(67)은 스프링(71)에 의해 상승되고 검출부재(73)는 푸울로드(83)와 레버부재(75)에 의해서 스프링(65)에 의해 상승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193)은 통로(185)에 유압유체를 배출, 보유하도록 뿐만 아니라 게이징 스토퍼(20)를 구동시키기 위해 유압유체를 통과시키기도 하고 유체를 유압탱크(T)에 배출시키기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193)은 첵 밸브수단(197)을 가진 통로(195)에 의해 통로(155)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그것은 통로(199)에 의해 그 반대측에서 통로(155)에 직접 연결된것으로 제5도에 표시되어 있는 게이징 스토펴(2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5도에 더욱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부와 하부날(15)와 (19)사이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 유압모우터(49)의 헤드단은 통로(201)에 의해 첵 밸브수단(167)과 파이롯밸브수단(159)사이에서 통로(155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모우터(49)를 제어하기위한 제어밸브수단(55)이 정상적으로는 통로(201)를 닫혀 있게하고 캠부재(59)에 의해 밀릴 때는 통로(201)를 열도록 하기 위해 통로(201)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보통으로는 닫혀있는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203)이 동력을 얻었을때는 유압탱크(T) 에 유압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밸브수단(55)과 유압모우터(49)의 헤드단 사이에서 통로(201)에 연결되어 있다.
다른한편, 유압모우터(49)의 로단은 첵 밸브수단(167)과 파일롯밸브수단(159)사이통로(155)에 통로(20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제어밸브수단(55)이 캠부재(59)에 의해 밀려 통로(201)를 열때, 상기와 같이 상부와 하부날(15)와 (17)사이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29)와 램(13)을 종국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피스톤 및 로드(51)은 늘어나 레버부재(47)를 밀것이다.
유압모우터(49)의 헤드에서의 유효면적이 그 로드단에서의 유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피스톤 및 로드(51)는 통로(201)가 열려있을 때에 늘어나 레버부재(47)를 밀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캠부재(59)가 제어밸브수단(55)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통로(201)를 막고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203)이 동력을 얻어 유압유체를 배출할때 피스톤 및 로드(51)는 레버부재(47)를 끌어당기기 위해 유압모우터(49)안으로 수측될 것이다. 물론, 통로(201)가 제어밸브수단(55)에 의해 닫혀있고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203)이 동력을 잃은 상태에 있을때는 피스톤 및 로드(51)는 움직임이 정지되어 있을 것이라는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제 6 도, 제 7 도 및 제 8 도에서는, 전단기(1)가 본발명 원리에 제2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는 제 1 도내지 제 5 도에 표시된 제1실시예와 구조 및 기능에 있어 다소 유사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와 같은 부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번호가 주어지고 상세히 설명되지는 않을 것이다.
제2실시예는, 스윙 비임으로 가끔지칭되고 작업대(17)에 고정된 하부날(19)과 짝하는 상부날(15)을 갖고 있는 램(13')은 직립판(3) 및 (5)에 의해 또는 그 사이에, 직립판 (3) 및 (5)에 회전하능하게 지지된 한쌍의 편심측(207)에 의하여 피보트 지지되어 있다.
램(13')은, 상부날(15)을 하부날(19)쪽에 가까이 또 먼쪽으로 스윙(회전)시키기 우해 각각 피스톤 및 로스(25) 및 (27)을 가진 한쌍의 유압모우터(21) 및 (23)에 의해 상하로 스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단딜 피가공물(W)을 눌러두기 위해서, 복수개의 압압수단(67)에 배설되어 있는데 이 압압수단의 각각은 구조와 기능에 있어 제1 실시예와 모두 같아서 스프링(71)에 의해 상향으로 밀리는 홀딩패드부재(69)를 갖고 있다. 그래서 램(13')이 유압모우터(21) 및 (23)에 의해 아래로 스윙되면, 상부날(15)은 하강되어 하부날(19)과 협동하여 작업대(17)위에서 압압수단(67)에 의해 눌려 있는 피가공물(W)을 전단하게 된다.
또한, 상부와 하부날(15)와 (19)사이의 간극을 나중에 설명돌 것처럼 편심측(207)을 회전시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 7 도와 제 8 도에 잘 나타나 있는것처럼, 상부와 하부날(15)와 (19)사이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서, 편심측(207)은 피니언기어(211)와 요합하고 그것에 의해 회전되도록 레버 역할을 하는 섹터기어(209)와 고정되어 있다. 섹터기어(209)가 편심측(207)을 동시 또는 동기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해 피니언기어들(211)은 직립판(3)과 (5)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뻗쳐 있는 긴측(213)에 의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편심측(207)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섹터기어(209)의 각각은 섹터기어(209)를 끌어당기기 위해 스프링(219)에 의해 밀리고 있는 피스톤 및 로드(217)를 갖고 있고 제8도에 표시된것처럼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221)에 의해 유압탱크(T)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모우터 또는 실린더(215)에의해 회전되도록 그렇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섹터기어(209)를 회전시키기 위해, 유압유체가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221)을 통해 유압모우터(215)안으로 공급될때는 피스톤 및 로드(217)가 연장되고, 유압유체가 배출될때는, 스프링 봉을 스프링(219)에 의해 수측될 것이더. 그래서, 유압모우터(215)의 피스톤 및 로드(217)이 연장, 수축될때에, 편심축(207)은 섹터기어(209)에 의해 동시 또는 동기적으로 회전되어 상부와 하부날(15)와 (19)사이의 간극을 조정할 것이다.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221)은, 평상적으로 닫혀있고 리밋스위치와 같은 제1및 제2검출수단(223) 및 (225)중의 어느하나가 레버부재(229)에 의해 피지된 캠부재(227)에 의해 접촉될때는 유압모우터(215)를 유압탱크(T)에 연결시키기 위해 동력을 얻도록 그렇게 구성되어 있다. 제1및 제2 검출수단(223)및 (225)는 그 회전축으로부터 같은 방경방향 거리에 나란히 섹터기어들(209)중의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캠부재(227)를 가진 레버부재(229)는 회전되어 제1및 제2검출수단(223) 및 (225)와 접촉, 비접촉될 수 있도록, 편심측(207)의 끝에 회전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캠부재(227)는 와이어 같은 연결부재(231)에 의해 푸울로드(83)에 연결되어 있는데 이 푸울로드에는 검출부재(73)가 작업대(17)상의 전잔될 피가 공물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해 제1 실시예와 꼭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페버부재(75)에 의해 피보트 연결되어 있다.
푸울로드(83)는 제1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피스톤 및 로드(87)를 가진 유압모우터(85)에 의해 끌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그것은 검출부재(73)를 올리기 위해 유압모우터(85)안에 내장된 스프링(85s)에 의한 피스톤 및 로드(87)에 의해서 밀리고 있다.
다른 한편, 캠부재(227)는 전단기(1')의 한지점에 피보트 연결된 슬리이브상 부재(237)안에 있는 스프링(235)에 연결부재(233)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그것은 푸울로드(83)의 반대방향으로 밀릴수 있다.
제8도에 표시된것처럼 유압모우터(219)와 (23)는 순차 첵밸브수단(243)이 설치되어 있는 통로(241)에 의해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239)을 통해 유압펌프(P)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모우터(85) 및 (215)와 압압수단(67)의 유압모우터들은 통로(245)에 의해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수단(239)과 순차 첵밸브수단(243)사이에서 통로(241)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유압유체는 처음에 유압모우터(85)와 압압수단(67)의 유압모우터들에 공급될 것이고, 또 통로(241)에서의 유체압이 순차 첵 밸브수단(243)을 열만큼 커진뒤는 유체는 램(13')을 하강키 위해 유압모우터(21) 및 (23)안으로 공급될 것이다.
또한,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221)이 동력으로 얻어 열릴때 스프링(219)에 대해 피스톤 및 로드(217)를 뻗치기 위해서 유압모우터(215)에는 통로(245)로 부터 유압유체가 공급될것임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검출부재(73)를 하강하기 위해 푸울로드(83)가 유압모우터에 의해 스프링(85S)에 대하여 끌어당겨질때, 캠부재(227)는 편심축(207)주위로 회전하며 제1검출수단(223)과 접촉하게되어 솔레노이드 밸브수단(221)을 작동시킬것이다.
그래서 푸울로드(83)가 당겨질때는, 유압모우터(215)의 피스톤 및 로드(217)는 유압유체에 의해 작동되어 섹터기어(209)를 회전시키고 상부와 하부날(15)와 (19)사이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해 동기적으로 편심축(207)을 회전시킬 것이다.
또한 상부와 하부날(15)와 (19)사이의 간극이 조정되었을 때는, 섹터기어(209)가 제1검출수단(223)으로 하여금 캠부재(227)와의 접촉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 회전되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수단(221)은 동력을 잃어 피스톤 및 로드 (217)의 움직임은 정지한다.
한편으로, 검출부재(73)를 상승시키기 위해 푸올로드(83)가 유압모우터(85)안의 스프링(85S)에 의해 밀릴때는, 캠부재(227)는 스프링(235)에 의해 제2검출수단(225)과 접촉하게 되어 솔레노이드 작동밸브수단(221)을 작동시켜 피스톤 및 로드(217)로 하여금 섹터기어(209)에 의해 편심측(207)을 원위치에 돌아가게 할 것이다.
비록 본발명의 호적한 형이 예시되어 설명되었지마는, 본 발명의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본분야에 숙달된 사람은 본장치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범위는 오직 첨부특허청구범 위에 의해서만이 제한될 것이다.

Claims (5)

  1. 작업대위에 위치한 피가공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부날과 하부날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하부날중 적어도 한쪽날을 다른 쪽날에 가깝거나 멀게 움직여주는 조정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날중 적어도 한쪽날을 다른쪽날에 가깝거나 멀게 움직여주는 조정수단은 상부날을 파지하고 있는 램(ram)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움직이도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전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날중 적어도 한쪽날을 다른 쪽날에 가껍거나 멀게 움직여주는 조정수단은 상부날을 지지하는 스윙(swing)부재의 편심축부재를 회전시키도록 배치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전단기.
  4. 램부재에 의하여 파지된 상부날의 하부날에 대한 각도나 경사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상부날의 각도나 경사를 제아하는 제어수단이 마련된, 작업대위에 위치한 피가공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기.
  5. 작업대위에 위치한 피가공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부날과 하부날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하부날중 적어도 한쪽날을 다른 쪽날에 가깝거나 멀게 움직여주는 조정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조정수단의 조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하부날에 대한 상부날의 각도나 경사가 조정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피가공물의 두께에 따라 상부날의 각도나 경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전단기.
KR828200395A 1981-01-30 1982-01-30 전단기(shearing machine) KR880002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86??2? 1981-01-30
JP1981011086U JPH0239698Y2 (ko) 1981-01-30 1981-01-30
JP???56-011086 1981-01-30
JP1751881A JPS57132915A (en) 1981-02-10 1981-02-10 Shearing machine
JP1751781A JPS57132914A (en) 1981-02-10 1981-02-10 Shearing machine
JP017518 1981-02-10
JP017517 1981-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462A KR830009462A (ko) 1983-12-21
KR880002546B1 true KR880002546B1 (ko) 1988-11-29

Family

ID=2727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8200395A KR880002546B1 (ko) 1981-01-30 1982-01-30 전단기(shearing machin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507997A (ko)
KR (1) KR880002546B1 (ko)
CA (1) CA1180657A (ko)
CH (1) CH658212A5 (ko)
DE (1) DE3203039A1 (ko)
FR (1) FR2498964B1 (ko)
GB (1) GB2093748B (ko)
IT (1) IT1189213B (ko)
SE (1) SE4504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8910B (en) * 1981-05-26 1986-05-14 Amada Co Ltd Shearing machine
US4625605A (en) * 1982-12-06 1986-12-02 John R. Buta Automatic knife alignment for shear
AU572583B2 (en) * 1983-11-09 1988-05-12 Amada Company Limited Shearing machine
US4715092A (en) * 1985-01-04 1987-12-29 Automatic Packaging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slaughtered poultry into separate pieces
FR2581573B1 (fr) * 1985-05-08 1993-09-24 Amada Co Ltd Dispositif d'usinage de la tole, en particulier cisaille perfectionnee
US4674378A (en) * 1985-09-27 1987-06-23 U.S. Amada Limited Shearing machine
US4942798A (en) * 1989-04-06 1990-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shear-cutting a stack of amorphous steel sheets
NL8902274A (nl) * 1989-09-12 1991-04-02 Brouwer & Co Machine Ponsmachine.
US5237901A (en) * 1992-04-06 1993-08-24 Rohrer Special Machinery Inc. Shear
JPH10109213A (ja) * 1996-10-02 1998-04-28 Murata Mach Ltd 板材切断装置
US20030106400A1 (en) * 2001-12-10 2003-06-12 Lyons Michael Patrick Die assembly
NL1027733C2 (nl) * 2004-12-13 2006-06-14 Vmi Epe Holland Snijinrichting.
DE102007013455B4 (de) * 2007-03-21 2010-06-02 Bwg Bergwerk- Und Walzwerk-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Bändern, Blechen oder dergleichen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und/oder Kalibrierung des Schneidspaltes bei einer solchen Vorrichtung
US8312801B2 (en) * 2007-12-28 2012-11-20 The Bardbury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to adjust the lateral clearance between cutting blades of shearing machines
DE102010024403A1 (de) * 2010-06-19 2011-12-22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rottmesserspaltverstellung bei Grobblechscheren
GB2504344B (en) 2012-07-27 2014-08-27 Siemens Plc Variable rake shear
GB2509949B (en) 2013-01-18 2015-12-02 Primetals Technologies Ltd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hear
CN107745154A (zh) * 2017-09-01 2018-03-02 武汉宝钢华中贸易有限公司 横切飞剪机及其控制方法
CN107775083A (zh) * 2017-09-26 2018-03-09 南通航力重工机械有限公司 分段剪切式液压闸式剪板机
GR20190100068A (el) * 2019-02-06 2020-09-16 Σταματης Γκιζελης Ανωνυμη Εταιρεια Κατασκευης Και Εμποριας Μηχανηματων Μεταλλουργιας Ηλεκτρομηχανικο ψαλιδι ελασματουργιας καθετου κοπης
CN110508866B (zh) * 2019-06-26 2020-10-13 太原科技大学 一种组合式剪刃模式滚切飞剪机
CN110449650B (zh) * 2019-07-02 2024-05-03 安徽省重望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可调角液压剪角机
CN112024977A (zh) * 2020-09-10 2020-12-04 东台耀强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快速定位剪板机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12204A (fr) * 1953-09-30 1956-03-09 Schloemann Ag Cisaille pour tôles
DE1173312B (de) * 1959-07-28 1964-07-02 Siemag Siegener Masch Bau Tafelschere zum Besaeumen von Blechen
FR1365271A (fr) * 1962-01-19 1964-07-03 Cisaille
US3183756A (en) * 1962-12-26 1965-05-18 Cleveland Crane Eng Clearance, rake angle, and stroke length adjusting means for power shears
DE1502930B1 (de) * 1963-03-27 1970-07-30 Siemag Siegener Maschb Gmbh Blechschere insbesondere Blechbesaeumschere
FR1396542A (fr) * 1964-03-13 1965-04-23 Corpet Louvet & Cie Cisaille à guillotine à porte-lame d'inclinaison réglable
BE660713A (ko) * 1964-03-13 1965-07-01
FR1390569A (fr) * 1964-03-13 1965-02-26 Elettrotecniche Riunite S P A Sélecteur automatique de tension applicable aux wagons de chemin de fer
BE662794A (ko) * 1964-05-22
DE1502879B1 (de) * 1965-10-12 1970-12-23 Sack Gmbh Maschf Blechschere mit beweglichem und feststehendem Messer
FR1551978A (ko) * 1967-10-10 1969-01-03
CH555210A (fr) * 1972-06-02 1974-10-31 Paskowsky Edouard Sa Cisaille pour metal en feuille.
US3968714A (en) * 1974-01-11 1976-07-13 Charles Kuchyt Heavy duty shear
JPS5234077A (en) * 1975-09-11 1977-03-15 Toyo Boseki Abrasion tester
JPS5249588A (en) * 1975-10-16 1977-04-20 Kushiro Jukogyo Kk Sea-surface cleaning s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07997A (en) 1985-04-02
SE450472B (sv) 1987-06-29
FR2498964A1 (fr) 1982-08-06
CA1180657A (en) 1985-01-08
GB2093748A (en) 1982-09-08
DE3203039A1 (de) 1982-08-26
GB2093748B (en) 1984-11-28
CH658212A5 (de) 1986-10-31
IT1189213B (it) 1988-01-28
IT8247680A0 (it) 1982-01-29
SE8200516L (sv) 1982-07-31
FR2498964B1 (fr) 1986-08-08
KR830009462A (ko) 198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546B1 (ko) 전단기(shearing machine)
US2602987A (en) Band saw
US3875839A (en) Bandsaw
US4363254A (en) Horizontal bandsaw machine
US2649153A (en) Hydraulic cutting machine
US3183756A (en) Clearance, rake angle, and stroke length adjusting means for power shears
JPS60296B2 (ja) シ−ト給送機
US4046041A (en) Clamping and feeding device for cold saws
US35234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reading flexible sheet material
US2801458A (en) Power feed mechanism for hot or cold saws
US3974726A (en) Cutter for bar stock
US2371411A (en) Machine for cutting or shearing sheets or plates of metal
CA1175321A (en) Horizontal bandsaw machines
US4949611A (en) Hydraulic and electrical circuits for a heavy-duty saw
GB68356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achine for cutting paper and like material
US2670771A (en) Automatic splitting machine
US2679840A (en) Stone cutting apparatus
US3212382A (en) Cutting machine with automatic arm
US3889586A (en) Control for fluid pressure actuators
GB56675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utting machines
KR860001710B1 (ko) 수평식 띠톱기계
SE459482B (sv) Skaermaskin
JPH0253165B2 (ko)
SU134371A1 (ru) Проходна машина дл расправки и отжима кож
US5012846A (en) Cutting tool guard for a cutting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