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522B1 - 치구 및 치은염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구 및 치은염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522B1
KR880002522B1 KR1019840008402A KR840008402A KR880002522B1 KR 880002522 B1 KR880002522 B1 KR 880002522B1 KR 1019840008402 A KR1019840008402 A KR 1019840008402A KR 840008402 A KR840008402 A KR 840008402A KR 880002522 B1 KR880002522 B1 KR 88000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ral
composition
gingivitis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개파 압둘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 캄파니
해롤드 오브스트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 캄파니, 해롤드 오브스트러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 캄파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구 및 치은염 억제용 조성물
본 발명은 인간의 구강 위생 증진을 위한 구강 조성물 및 비항균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치구(齒坵) 및 치은염의 치료, 조절 또는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은염은 잇몸의 염증, 출혈, 함몰 및/또는 팽화와 같은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그 종류에는 무기능성 치은염, 치육연염 및 코튼-롤 치은염이 있다. 치은염은 치근막염을 초래한다. 잇몸은, 입속에서 발견되는 세균과 무기물의 화합체인 치구의 침착에 의하여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치구에 결합된 세균은,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고 염증성 치은염을 야기시킬 수 있는 내생독소 및 효소를 분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잇몸이 점점 더 손상됨에 따라, 잇몸은 출혈, 강도와 탄성의 손실 및 치아로 부터의 분리현상과 같은 경향이 생기고, 파괴흔적, 분비물, 더 많은 세균과 독소가 축적된 치근막낭을 남기게 된다. 이들 낭(pocket)속에 음식물이 축적될 가능성도 있으며, 그로 인하여 세균의 성장과 내생독소 및 파괴성 효소의 생산 증가를 위한 양분이 공급될 수 있다.
그람양성 간상균인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는 Loeche 등의 치은염 병원학"인간의 실험적 치은염의 세균학 : 치구 및 치은염 상처의 영향"(감염 및 면역 21, 830-839 ; 1978년)에 암시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미생물은 치아 표면에 부착하여 치구를 생성한다.
치구 및 치은염 제어를 위하여, 이전에 제안되고 사용되어온 많은 물질중 그 어느 것도 완전히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예컨데 그러한 물질중 몇몇은, 통상적 구강 조제물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 불안정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4차 암모늄 양이온제와 같은 그러한 많은 물질들은, 입속의 정상적 미생물상 및/또는 소화 시스텝을 바람직하지 않게 분열 또는 파괴시키는 항균 작용을 일으킨다.
본 출원과 공동으로, Leo Shedlovsky와 양수인에게 주어진 미국특허 제3,429,963호(특허일자 : 1969.2.25)에서는, 칼슘을 착염화시키고 구강 결석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른 많은 수용성 고분자 전해질 중 풀리비닐포스폰산(VPA 중합체) 또는 그의 염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으나, 거기에 기술된 생체내 실험에서만 유일하게, 5일간 쥐에서 임의량 마시게 하기 위한 에틸렌과 무수 말레인산 가수분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음료수 공급에 대하여 나와 있다. 이 실험은 칼슘의 화학량론적 착염화의 성질을 가지지만, 치아 표면을 최소한 2주 또는 평생동안 매일 실질적으로 1-3회 치료하는 실제 경구 사용시 발생하는 문턱치 효과와는 관계가 없다. 그러한 사용에 대한 실제 실험을 하였을 때, 폴리비닐 포스폰산은 구강의 결석을 많이 억제하지 못하였다.
본 출원인인 Abdul Gaffar 에게 주어진 미국특허 제4,342,857호에서는, 비닐포스폰산/불포화비닐포스포닐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항치은염 조성물을 발표 및 청구하고 있으나, 많은 과학자, 권위자 및/또는 재판관들은 불소화 물질을 인간에게 투여하는 것에 반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결점 및 반론에 부딪치지 않을, 항치구/항치은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외의 목적 및 장점들은 다음에 나오는 기술사항에 나타나있다.
상기 목적은 아마도, VPA 중합체 및 그 염이, 타액을 입힌 하이드록시인회석(HAP) 구슬에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가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억제한다는 우리의 발견에 의해 달성되었다. 그러한 시약이, 미생물이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해하고, 치구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치은염을 감소 또는 억제한다는 것은 신뢰할만한 지적이다. 그러한 항치은염 작용은 다음에 보다 완전히 논의될, 작은 사냥개에 대한 생체내 실험에 의해 사실상 확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구 및 치은염 억제를 위한 유효량의 폴리비닐포스폰산 또는 그의 경구적으로 유용한 염과 치과용으로 유용한 구강 부형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인간의 구강에 적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의 치구 및 치은염 억제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VPA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6,000-100,00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약 8,000-20,000의 평균 분자량(점성도 또는 빛산란 측정으로 부터 얻어짐)을 가져야 하며, 이염화비닐 포스포닐을 자유라디칼 촉매 존재하의 실질적 무수 조건하에 중합시킨 후, 산출된 중합체를 물과 혼합하여 중합체내 이염화비닐포스포닐 단위를 VPA 단위로 가수분해적 전환시키는 공지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산출된 중합체는 유리산의 형태이며, 경구적으로 유용한 양이온-공급 염기, 예컨데, 알칼리금속(예 : 나트륨 또는 칼륨), 암모늄, C1-18모노-, 디-및 트리-치환 암모늄(예 : 모노-, 디-및 트리-에탄올암모늄과 같은 알칸올치환 암모늄), 유기아민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염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전환될 수 잇다. 중합체의 모노-및 디-염 형태는 유리산의 형태에 상당하는 것이며, 그러한 모든 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수용성"이란 용어는 통상적 사용 농도에서 즉각적으로 물에 분산되는 형태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VPA 중합체는 또한, 종류 및 양에 있어서 독성이 없고 중합체의 항치은염 활성 및 바람직한 수용성을 방해하지 않는 에틸렌적으로 불포화된 다른 비-불소화 단량체로 부터 유도된 단위를 최소 비율로, 즉 5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로 함유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그 외의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데, 올레핀(예 :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부틸렌 및 이소부틸렌), 비닐 저급알킬 에테르(예 : 비닐 메틸, 에틸 및 이소부틸 에테르), α,β 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그의 저급알킬 및 치환된 저급알킬 에스테르(예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코니틴산, 말레인산 및 푸마르산과 그들의 메틸, 에틸, 이소부틸 및 디메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알릴알콜 및 아세테이트, 비닐 및 비닐리덴 할라이드, 비닐 저급알칸산 에스테르(예 : 초산비닐, 낙산비닐),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와 그의 N-저급알킬 및 N,N-디저급알킬 치환 유도체등이 있다.
구강 조성물내의 VPA 중합 항치은염제의 농도는, 가격 또는 부형제와의 비양립성에 의해 지시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한선 없이 약 0.01중량% 이상으로 광범위하고 특징적으로 변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약 0.01-10.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1-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5-5.0중량%를 사용한다. 통상적 사용 경로에서 뜻밖에 섭취될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은 상기 범위중 낮은 비율의 농도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구강 조성물의 매우 바람직한 형태는 양치질약(mouthwash) 또는 수세약과 같이 실질상의 액체일 수 있다. 그러나 조제물은 일반적으로 연석제를 함유하며, 부형제는 전형적으로 물-알콜 혼합물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알콜의 비율은 중량비로 약 1 : 1-20 : 1이며, 바람직하게는 3 : 1-20 : 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7 : 3이다. 이러한 유형의 조제물내에 들어 있는 물-알콜 혼합물의 총량은 전형적으로, 조제물 중량당 약 70-99.9%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러한 액체 및 다른 조제물의 PH는 일반적으로 약 4.5-9이고, 전형적으로는 약 5.5-8이다. PH는 약 6-8.0 범위내의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의 에나멜을 실제상 탈석회화하지 않으면서, 낮은 PH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구강에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만하다. 그러한 액체 구강조제물은 계면활성제 및/또는 불소-공급 화합물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조성물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서 가루치약, 치과용 정제, 크림치약 또는 치과용 크림 같은 고형 또는 페이스트상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고형 또는 페이스트상의 구강조제물은 연마제를 함유한다. 연마물질의 예로는, 물에 불용성인 메타인산나트륨, 메타인산칼륨, 인산삼칼슘, 피로인산칼슘, 오르토인산마그네슘, 인산트리마그네슘, 탄산칼슘, 알루미나, 수화 알루미나, 규산알루미늄, 규산지르코늄, 실리카, 벤토나이트 및 그의 혼합물 등이 있다. 바람직한 연마 물질로는 결정성 실리카(입자크기가 5마크론까지이고, 평균 입자크기는 1.1 미크론 까지이며 표면적은 50,000cm2/gm 까지인 것), 실리카겔, 무정형 알칼리금속 알루미노규산염 복합체, 수화 알루미나, 인산이칼슘이 있다.
알루미나, 특히 알코아에서, C 333으로 시판하는, 알루미나 함량 64.9 중량%, 실리카 성분 0.008%, 산화제이철 함량 0.003%, 수분함량 0.037%(110℃ 에서)이며, 비중이 2.42이고, 입자의 100%가 50미크론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고, 입자의 84%가 20미크론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수화알루미나가 특히 바람직하다. 시각적으로 맑은 겔이 사용될 경우, SYLOID 라는 상표하에 실로이드 72 및 실로이드 74로 시판되거나 또는 SANTOCEL 이라는 상표하에 산토셀 100으로 시판되는 콜로이드성 실리카 및 알칼리금속 알루미노규산염 복합체의 연마제가 특히 유용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치약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겔화제-액체(물 및/또는 연석제 포함)시스템의 굴적율과 유사한 굴절율을 갖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소위"불용성"연마물질이란, 음이온인 것이 알맞으며, 또한 소량의 용성 물질도 포함한다. 따라서,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은 문헌(Thorpe's Dictionary of Applied Chemistry, 제9권, 제4판, pp. 510-511)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합한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Madrell 의 염 및 Kurrol 의 염으로 알려진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의 형태도 적합한 물질의 실례이다. 이들 메타인산 염은 물속에서 미소한 용해도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보통, 불용성 메타인산이라 칭한다. 그 속에는 용성 인산물질이 불순물로서 소량 존재하는데, 보통 4중량% 까지와 같은 적은 비율이다. 불용성 메타인산의 경우, 용성 트리메타인산나트륨을 포함하리라 생각되는 용성 인산물질의 양을 원한다면, 물로 세척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불용성 메타인산알칼리금속은 물질의 약 1%만이 37미크론 이상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형태로서 주로 사용된다. 연마물질은 구강조제물 중량당 약 10-99%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이 크림치약에서는 약 10-75%, 가루치약에서는 약 70-99%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루치약의 제조에 있어서, 각종 고체 성분을 적합한 양과 입자 크기로 기계적 혼합(예 : 분쇄) 시키면 충분하다.
페이스트상 구강 조제물에 있어서, 전술한 항치은염제와 연마물질과의 화합은, 조제물의 다른 성분과 양립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크림치약내의 액체 부형제는 물과 연석제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조제물의 중량당 약 10-90%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글리세린, 소르비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연석제나 결합제로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유익한 액체 성분은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 클리콜이다. 물, 글리세린 및 소르비톨의 혼합물 또한 유익하다.
굴적율이 중요한 고려대상이 되는 맑은 겔에 있어서는, 약 3-30중량%의 물, 0-약 80중량%의 글리세린과 약 20-28중량%의 소르비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화제(예 : 자연 또는 합성 고무 또는 고무질 물질, 대표적으로, 식용 바닷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 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오즈, 트라가칸트고무, 폴리비닐피롤리돈, 녹말,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및 카르보폴(예 : 934,940 및 941)등)는 크림치약내 약 10중량% 까지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보통이며, 약 0.5-5%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림치약 또는 겔에 있어서, 액체와 고체의 균형을 맞추어, 가압용기 또는 접는식 튜브(예 : 알루미늄 또는 납)로 부터 밀려나올 수 있는 크림 상태 또는 겔 상태의 덩어리를 만든다.
20% 슬러리 상에서 PH를 측정했을때, 전형적으로 약 4.5-9, 일반적으로는 약 5.5-8, 바람직하게는 약 6-8.0의 pH를 갖는 고체 또는 페이스트 구강 조제물은 계면활성제 및/또는 불소-공급 화합물도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인 예에서처럼, 구강 조제물을 시판하거나 또는 딱지붙인 적합한 포자에 분배시킨다. 따라서 가글제(rinse) 단지에는 실제상 가글제로 또는 양치질약으로 쓰이는 가를 기술하고 그의 용도를 지시하는 딱지(label)가 있어야 하며 ; 크림치약은 주로 실제상 크림치약으로 또는 치과용 크림으로 쓰이는 가를 기술한 딱지를 붙인 접는식 튜브(전형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줄친 납) 또는 용량을 잴 수 있는 다른 압착 용기에 넣는다.
본 발명의 구강조성물은 습윤, 세척 및 기포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물에 충분히 용해되는 비-비누계의 합성유기 음이온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약 0.05-10, 바람직하게는 약 0.5-5중량%의 농도로 함유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041,149호에서는,Col.4,31-38 째줄에 그러한 적합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Col.8,30-68 째줄과 Col.9,1-12 째줄에 그러한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발표하였다.
본 발명의 어떤 형태내에서는 구강조제물내에 불소-공급 화합물이 존재한다. 이들 화합물은 약간 수용성이거나 또는 완전 수용성일 수 있다. 그들은 물속에서 불소이온을 방출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고, 구강조제물의 다른 성분들과 실제상 반응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들 물질중에는 용성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및 중금속염과 같은 무기불화물염이 있다. [예 ; 불화나트륨, 불화칼륨, 불화암모늄, 불화칼슘, 구리불화물(예 : 불화제일구리). 불화아연, 주석 불화물(예 : 불화제이주석 또는 염화불화제일 주석) 불화바륨, 불화규산나트륨, 불화규산암모늄, 불화지르콘산나트륨,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모노-및 디-플루오로 인산알루미늄, 불소화 피로인산나트륨 칼슘].
불포화나트륨 및 불화제일주석, 모누플루오로 인산나트륨 및 그의 혼합물과 같은 알칼리금속과 주석의 불화물이 바람직하다.
불소-공급 화합물의 양은 화합물의 종류, 그의 용해도 및 구강 조제물의 종류에 따라 어느정도 좌우되지만, 그것은 독성을 일으키지 않는 양이어야 한다. 크림치약이나 가루치약은 같은 고체 구강조제물 내에서는, 최대 방출치가 조제물 중량당 약 1%인 그러한 화합물이 만족스럽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한 화합물을 어떠한 최소량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나, 불소이온 약 0.005-1%, 바람직하게는 약 0.1%을 방출시키기에 충분한 화합물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 알칼리금속 불화물 및 불화제일주석의 경우 이 성분은, 조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중량% 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0.05-1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의 경우, 이 화합물은 7.6중량% 까지,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0.76%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양치질약과 같은 액체 구강조제물 내에서, 불소-공급 화합물은 불소 약 0.13% 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0.0013-0.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13중량%를 방출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그 외의 각종 물질들이 전술한 사항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구강조제물에 첨가될 수 있다. 그 예로써, 표백제, 방부제, 실리콘, 클로로필 화합물 및 암모니아화 물질(예 : 요소, 인산디암모늄과 그의 혼합물) 등이 있다. 이들 보조제가 존재하는 경우엔, 원하는 성질 및 특성에 실제적인 악영향을 주지 않을 양으로 조제물내에 첨가한다.
또한 전술한 사항에 근거하여, 어떤 적합한 향미제 또는 감미제라도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향미 성분의 예로는 향미유(예 : 녹양박하, 박하, 노루발풀, 삿사프라스, 정향, 세이지, 유칼리, 마조람, 계피, 레몬 및 오렌지 기름)와 살리실산메틸이 있다. 적합한 감미제로는 자당, 유당, 맥아당, 소르비톨, 시클라메이트나트륨. 페릴라르틴, APM(아스파르틸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및 사카린이 있다. 향미제와 감미제는 함께, 조제물의 약 0.1-5% 또는 그 이상을 이루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강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내에 항치은염제를 함유하는, 양치질약 또는 크림치약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성분들을 통상적 방식으로 통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pH 약 4.5-9, 일반적으로는 약 5.5-8.5, 바람직하게는 약 6-8의 pH에서 실제상 매일(예 : 매일, 하루 걸러, 또는 이틀 걸러 약 1-3회),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2주-8주 또는 그 이상 또는 평생동안 잇몸과 치아에 정규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츄잉검과 그외의 제품의 경우, 생성물이 통상 제조되는 동안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도 VPA 활성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예컨데, 동일한 균일성으로 분산되도록 교반시키면서, 따뜻한 검의 기제(base)에 그들을 첨가 할 수 있다. 또한 기제를 피복하기 위하여 검 기제의 표면에 그들을 첨가할 수도 있다. 젤루톤, 고무유액, 비닐주형 수지등으로 대표되는 통상의 검 기제를, 가소제 또는 연화제, 설탕 또는 적합한 다른 탄수화물(예 : 글루코스, 소르비톨 등)과 같은 그 외의 통상적 물질에 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성을 보다 자세히 예증하고 있으나, 거기에 한정 지으려는 것은 아니다. 별도의 지시가 없는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나온 모든 양과 비율은 중량에 대한 것이며, 온도는 섭씨이다. 실시예에 이용된 VPA 중합체는 이(二) 나트륨 염의 형태로 사용되며 분자량(M.W.)은 약 10,700이다.
[실시예 1]
폴리비닐포스폰산나트륨의 치아 에니멜에의 흡착
중합체가 에나멜 표면에 흡착하는 것을 시험관내에서 측정하였다. 사람의 이에서 뽑아낸 충치가 없고 봉을 박지 않은 어금니들을 속돌로 닦아 세척한 후 고무컵과 연마제로 닦는다. 치아의 뿌리에 있는 구멍을 통해 묶여진 니크롬선에 의해 고무마개 상에 그들을 정착시킨다. pH 7.0인, 중합체의 나트륨염 용액을 폴리에틸렌관에 나누어 넣는다. 37℃에서 1시간 동안 계속 교반시키면서, 어금니들을 용액에 담근다. 어금니의 뿌리가 용액과 접촉하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인다. 1시간동안 배양한 후, 어금니를 빼내고, 용액에 남은 중합체의 양을 분석한다. 흡착정도는, 최초에 첨가된 양에서 치아에 노출된 후에 남은 양을 빼어 그 차로써 계산된다.
용액내 중합체의 농도는, pH 4.5에서 5M CaCl2용액을 사용하여 혼탁도 측정을 함으로써 평가된다. CaCl21cc를 중합체용액 1cc에 첨가한다. 산출된 콜로이드성 현탁액의 500nm 에서의 혼탁도는 중합체 농도에 비례함이 입증되었으며 1-8mgs/ml의 범위내였다. 알고 있는 중합체의 양을 이용하여 눈금 곡선이 만들어졌다.
[표 1]
결과 :
Figure kpo00001
이 자료는, 에니멜 표면에 대한 VPA 중합체의 중요한 흡착작용을 나타내 준다.
[실시예 2]
타액을 입힌 하이그록시인회석(HAP) 구슬상의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 Tl4 흡착에 대한 중합체의 영향
HAP 구슬 80mg을 12시간동안 인간의 타액(혈액형 : A) 으로 미리 피복시킨다. 구슬을 세척하고, pH7.0에서 중합체 용액으로 5분간 전처리한다. 처리된 구슬을, 0.05M KCl, 1mM PO4, 1mM CaCl2및 0.1mM MgCl2로 이루어지는 완충액(pH 6.0)으로 세척한다. 이 완충액으로 타액의 무기성분을 가장한다.
흡착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3H 티미딘으로 표지된 세균(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5×107와, 타액을 입힌 구슬(S HAP) 30mg 및 완충액을 혼합물에 함유시킨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계속 교반한다. 구슬을 1분간 방치시키고, 흡착않된 세포를 함유하는 상등액을 제거한다.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를 통해 방사능을 측정한다. 알려진 H3-표지 세포 부분을 유사방법으로 계산하여, 분단 집계가 세균의 세포수에 관련될 수 있도록 한다. S-HAP 구슬을 사용하여 대조세균 현탁액을 배양한다.
[표 Ⅱ]
결과 :
타액을 입힌 HAP 구슬의 폴리비닐포스폰산염 전처리가 세균의 흡착에 미치는 연향
Figure kpo00002
이 결과는, 1% 폴리비닐포스폰산염으로 S-HAP 를 전처리하면 세균의 부착 억제에 상당한 효력이 있음을 나타내준다.
[실시예 3]
작은 사냥개 20마리에 대한 이 실험은, 폴리비닐포스폰산 나트륨염 1%를 함유하는 가글제와 플라세보 약이 치구/치은염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한다(4주 동안). 이들 사냥개에 대한 완전 예방조처를 하여 연질 또는 경질의 치아 침착물을 제거한다. 치아 침착물을 완전 제거하기 위하여 현시액을 사용한다. 이들 사냥개에게 4주동안 가벼운 식이요법을 가한 후, 1군(10마리의 개)은 위약 가글제로 처리하고, 2군은 중합체 함유 가글제로 처리한다. 처리는 1주당 1회/일/5일로 가글제 5-6cc 를 전체 치열상에 적용시킴으로써 행한다. 실험은 이중의 비밀을 지키며 행해졌다. 평가자나 치료에 관련된 사람 모두 각 군에 사용된 가글제의 할당량을 몰랐다. 치구와 치은염은 Loe 와 Silness 지수(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21 : 551-555 ; 1963년)에 의해 평가되었다.
[표 Ⅲ]
Figure kpo00003
플라세보 가를제와 비교시, 폴리비닐포스폰산염 가글제는 4주동안 치주/치은염을 상당히 감소 시켰다. 구강(양치질약 및 크림치약)배합물에 대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증해 준다.
실시예 4
Figure kpo00004
* 분자량 약 3250인 폴리옥시프로필렌 쇄 약 20중량%와 폴리옥시에틸렌 약 80중량%를 함유하는 BAS F-Wyandotte 블록중합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례에 관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본원의 특성과 범위 및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당분야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한 수정 및 변경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을 알 수 잇다.

Claims (6)

  1. 치아에 수용가능한 구강 부형제 및, 치구와 치은염 억제에 유효한 양의 평균 분자량이 약 6,000-10,700인 폴리비닐포스폰산 또는 그의 구강적으로 수용가능한 염으로 구성되는, 크림치약, 가루치약, 치과용정제, 치과용겔, 치과용크림 또는 양치질약과 같은 치구 및 치은염과 치아표면에의 액티노마이세스 비스코수스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한 치과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포스폰산의 평균 분자량이 약 10,700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비닐포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약 0.01-10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비닐포스폰산 또는 그의 염을 약 0.5-5 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부형제가 수성 알콜 부형제이고, pH가 약 4.5-9인 양치질약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액체 구강부형제, 겔화제 및 치아에 수용가능한 연마제를 함유하고 pH가 약 4.5-9인 크림치약인 조성물.
KR1019840008402A 1983-12-28 1984-12-27 치구 및 치은염 억제용 조성물 KR880002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636783A 1983-12-28 1983-12-28
US566,367 1983-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522B1 true KR880002522B1 (ko) 1988-11-28

Family

ID=2426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402A KR880002522B1 (ko) 1983-12-28 1984-12-27 치구 및 치은염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JP (1) JPS60169423A (ko)
KR (1) KR880002522B1 (ko)
AT (1) ATA402284A (ko)
AU (1) AU571919B2 (ko)
BE (1) BE901404A (ko)
CA (1) CA1260837A (ko)
CH (1) CH661440A5 (ko)
DE (1) DE3445695A1 (ko)
DK (1) DK168060B1 (ko)
ES (1) ES8800840A1 (ko)
FI (1) FI84021C (ko)
FR (1) FR2557454B1 (ko)
GB (1) GB2151478B (ko)
GR (1) GR82565B (ko)
HK (1) HK100790A (ko)
IT (1) IT1178324B (ko)
MX (1) MX171025B (ko)
NL (1) NL8403941A (ko)
NO (1) NO845265L (ko)
NZ (1) NZ210618A (ko)
PH (1) PH24564A (ko)
PT (1) PT79721A (ko)
SE (1) SE502745C2 (ko)
SG (1) SG82090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7603A (en) * 1987-12-18 1989-10-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GB2224204B (en) * 1988-10-25 1992-06-03 Colgate Palmolive Co Dental composition comprising polyvinyl phosphonic acid
SE507731C2 (sv) * 1988-12-29 1998-07-06 Colgate Palmolive Co Antibakteriell oral antiplaquekomposition
ES2023296A6 (es) * 1988-12-29 1992-01-01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 oral antibacteriana y anti-placa.
SE512333C2 (sv) * 1989-08-25 2000-02-28 Colgate Palmolive Co Antibakteriell oral komposition med plack- och tandstensbegränsande verkan
ZM5189A1 (en) * 1989-08-25 1990-07-27 Colgate Palmolive Co Antiplaque antibacterial oral composition
IL92693A0 (en) * 1989-08-25 1990-09-17 Colgate Palmolive Co Antibacterial antiplaque composition containing novel styrene-phosphonic acid copolymer
US5292501A (en) * 1990-06-25 1994-03-08 Degenhardt Charles R Use of a carboxy-substituted polymer to inhibit plaque formation without tooth staining
US5093170A (en) * 1990-06-25 1992-03-03 The Procter & Gamble Co. Use of a carboxy-substituted polymer to inhibit plaque formation without tooth staining
US5213789A (en) * 1990-08-02 1993-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carboxy-containing copolymer to inhibit plaque formation without tooth staining
AU2008349846B2 (en) * 2008-02-08 2012-05-31 Colgate-Palmolive Company Arginine salts and their uses for the treatment of illnesses in the oral cavit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9963A (en) * 1920-03-01 1922-09-26 George W Nelson Foot-measuring device
US3429963A (en) * 1964-06-09 1969-02-25 Colgate Palmolive Co Dental preparation containing polymeric polyelectrolyte
ZA717486B (en) * 1970-11-19 1973-06-27 Colgate Palmolive Co Treatment of teeth
US4042679A (en) * 1975-11-07 1977-08-16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oral composition
US4138477A (en) * 1976-05-28 1979-02-06 Colgate Palmolive Company Composition to control mouth odor
US4342857A (en) * 1980-12-31 1982-08-03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gingivitis composition comprising vinyl phosphonic acid/vinyl phosphonyl fluoride copoly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0790A (en) 1990-12-07
GB2151478B (en) 1987-12-16
CH661440A5 (de) 1987-07-31
ATA402284A (de) 1988-11-15
BE901404A (fr) 1985-06-28
NO845265L (no) 1985-07-01
JPS60169423A (ja) 1985-09-02
SE502745C2 (sv) 1995-12-18
NL8403941A (nl) 1985-07-16
MX171025B (es) 1993-09-24
ES8800840A1 (es) 1987-12-01
GR82565B (en) 1985-05-07
GB2151478A (en) 1985-07-24
SE8406431L (sv) 1985-06-29
FI845120A0 (fi) 1984-12-27
PT79721A (en) 1985-01-01
FI845120L (fi) 1985-06-29
FR2557454A1 (fr) 1985-07-05
DK617984A (da) 1985-06-29
NZ210618A (en) 1988-05-30
AU3717284A (en) 1985-07-04
CA1260837A (en) 1989-09-26
DE3445695A1 (de) 1985-07-11
IT1178324B (it) 1987-09-09
IT8449349A0 (it) 1984-12-24
SG82090G (en) 1990-11-23
FI84021B (fi) 1991-06-28
GB8432506D0 (en) 1985-02-06
SE8406431D0 (sv) 1984-12-18
DK168060B1 (da) 1994-01-31
PH24564A (en) 1990-08-03
FI84021C (fi) 1991-10-10
FR2557454B1 (fr) 1988-12-16
DK617984D0 (da) 1984-12-20
ES539087A0 (es) 1987-12-01
AU571919B2 (en) 198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3685B2 (ja) 抗歯石口腔用組成物
EP0180435B2 (en) Oral compositions
FI89237B (fi) Oral sammansaettning som foerhindrar bildande av tandsten
CA2097493C (en) Oral compositions
KR930006345B1 (ko) 치석방지 구강 조성물
JP2528492B2 (ja) 抗歯石抗歯垢口腔用組成物
EP0609215B1 (en) Anticalculus dentifrices
US4816245A (en) Antiplaque/antigingivitis method using certain polyphosphonic acids
US4272513A (en) Stabilized oral composition
CZ173595A3 (en) Oral preparation
EP0492998A1 (en) Anticalculus oral compositions
EP0297213A2 (en) Oral treatment and use of an oral composition
US4342857A (en) Antigingivitis composition comprising vinyl phosphonic acid/vinyl phosphonyl fluoride copolymer
JPH04257511A (ja) 汚染を生じない抗菌性口腔組成物
KR880002522B1 (ko) 치구 및 치은염 억제용 조성물
IE51063B1 (en) Dental cream composition
US4309410A (en) Non-staining antigingivitis composition
JPH0748238A (ja) サリチルアニリド抗細菌剤含有口腔用組成物
SE413223B (sv) Munhygien komposition innefattande ett kalciumkarbonatslipmedel, en jonisk fluorid och ett joniskt monofluorofosfat
US20030191209A1 (en) Dental compositions
KR880001750B1 (ko) 항치석제를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US4427652A (en) Antigingivitis composition
JP4064627B2 (ja) アルカリホスファターゼを阻害するための、ポリアニオン性及びポリアニオン性に誘導された天然多糖類の使用
GB2224204A (en) Antiplaque/antigingivitis composition
EP0973491A1 (en) Dual component dentifrice for fluoridating tee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