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2062B1 -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2062B1
KR880002062B1 KR1019860004749A KR860004749A KR880002062B1 KR 880002062 B1 KR880002062 B1 KR 880002062B1 KR 1019860004749 A KR1019860004749 A KR 1019860004749A KR 860004749 A KR860004749 A KR 860004749A KR 880002062 B1 KR880002062 B1 KR 88000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mage
tube voltage
ray tub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45A (ko
Inventor
히로시 아시히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0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H05G1/46Combined control of different quantities, e.g. exposure time as well as voltage or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26Measuring, controlling or protecting
    • H05G1/30Controlling
    • H05G1/36Temperature of anode; Brightness of image p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X-Ray Techniqu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제1도는 발명에 의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fluorography) 장치의 제1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 있어서일부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장치에 있어서의 다른 한 부분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의 장치에 있어서의 투시관 전압과 촬영관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것.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의 제2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관전압과 관전류의 조합관수를 설명하기 위한 것.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의 제2의 실시예의 한 부분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제5도에 나타낸 조합관수에 의한 투사X-선량의 변화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의 제3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관전압과 관전류의 조합관수를 설명하기 위한 것.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조합관수에 의한 투사X-선량의 변화의 변화특성을 나타낸 것.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X선관 2 : 고전압 발생장치
3 : 피검사체 4 : 인텐시파이어(intensifier)
5 : 광학감쇄기 6 : TV 카메라
7 : 화상처리장치 8 : TV 모니터
9 : 영상신호 설정기 10 : 영상신호비교기
11 : 투시조건 제어부 12 : 촬영조건 제어부
21 : 최대치 검출기 22 : 비교기
25 :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 26 : 관전압 초기치 설정기
27 : 관전압 기억기 28 : 가산기
31, 41 : 촬영 조건 설정기 32, 42 : 광학감쇄율 설정기
33, 43 : 촬영관전류 설정기 34, 44 : 촬영관 전압 설정기
본 발명은 X선 진단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X선 화상을 얻는 동시에 이러한 X선 화상을 디지틀 화상 처리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는 X선 TV장치에 영상신호의 디지틀 처리부를 설치한 장치이다.
X선 TV장치는 피검사체에 투사되는 X선을 발생하는 X선관, 이 X선관과 대치해서 설치되어 피검사체에 투과되어 나온 X선을 광학적으로 변환하기 위한 X선-광변환기인 이미지 인텐시파이어(intensifier)(이하 I.I라고 함), I.I의 출력화상을 촬상하기위한 TV카메라 및 이 TV 카메라로 촬상된 화상을 나타내기 위한 모니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에는 X선관과 I.I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피검사체의 투시상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TV화상에 의해서 관찰하기 위한 투시 모드와 전술한 피검사체의 투시상을 기록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디지틀 화상처리를 하기 위한 촬영 모드가 있다.
따라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에 있어서는 투시모드에 의한 투시관찰에 의하여 촬영해야할 피검사체의 부위 및 상태가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시점에서 투시모드를 촬영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촬영 및 화상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에 있어서, 최근에는 혈관 조영촬영 혈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화상을 얻는 촬영법 혈관조영촬영의 경우 촬영한 X선 화상 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조영부위만을 추출하는 디지틀서브트랙션 촬영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촬영방법은 관심있는 부위의 조영전(조영제 주입전)의 화상(마스크화상)을 조영후(조영제 주입후)의 화상으로 부터 감산처리하고 조영제의 유무에 의한 X선을 흡수치의 차를 화상으로 얻는 것이다. 조영제 주입후의 영상신호의 연속되는 여러개의 프레임의 각각에 대하여 전술한 마스크 화상의 감산 처리를 실시하게 되면 조영제가 순차적으로 흘러가는 모양을 나타내는 여러개의 프레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여러개의 프레임의 화상을 연속적으로 표시함으로서 조영제가 흘러가는 모양을 움직이는 화상으로서 관찰 할 수도 있다.
이 화상처리법의 촬영에 있어서 높은 진단 효과가 얻어지는 처리상을 얻기 위해서는 I.I.로 광학상으로 변환된 X선 화상의 TV카메라로의 입사광량이 그 TV 카메라의 다이나믹 영역내에 들어가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서브트랙션 촬영법에 있어서는 촬영중에 피검사체로의 입사선량, 즉 투사 X선량을 변화시키게 되면 감산 처리과정에 있어서, X선량 변화로 기인되는 불필요한 상(X선량 변화자체를 나타내는 상 및/또는 X선량 변화로 인한 흡수특수변화를 나타내는 상)이 나타나서 진단 효과가 낮은 상밖에 얻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촬영상태로 들어가기 전에 피검사체로의 X선 투사전량의 최적치로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촬영을 하기 전에 피검사체로의 X선 투사선량을 최적 촬영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틀 플루오로 그래피 장치에 있어서 피검사체의 두께에 따라서 설정된 투시조건과 촬영조건의 관계에 따라서 광학감쇄기를 조절하여 X선 촬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피검사체의 두께에 따라서 적당한 X선관 전압 또는 전류를 설정할 수 있어서 진단 효과가 높은 처리화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시할 때의 X선 투사조건과 이에 대한 동일체 두께의 피검사체를 촬영할때에 최적 X선 투사조건의 관계를 미리 구하고, 임의의 피검사체에 관하여 투시할 때의 자동조절로 인하여 얻어지는 X선 투사조건에 근거를 두고 몸두께에 따른 가장 알맞는 X선 투사조건으로 X선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서브트랙션 처리되어서 촬상된 X선 화상으로서 진단 효과가 높은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를 제1도를 참조로 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틀 플루오로 그래피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관(1), 고전압 발생장치(2), I.I.(4), 광학감쇄기(5), TV카메라(6), 화상처리장치(7), TV모니터(8), 기준 영상신호 설정기(9), 영상신호비교기(10), 투시조건 제어부(11) 및 촬영조건 제어부(12)로 구성된다. X선관(1)은 고전압 발생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고전압에 의해서 구동되며 이 X선관으로부터 피검사체(3)로 향하여 X선이 투사된다. 피검사체(3)를 투과한 X선은 I.I.(4)에 의하여 광학상으로 변환되며 이 광학상이 광학 감쇄기(5)를 거쳐서 TV카메라(6)로 유도된다.
광학감쇄기(5)는 I.I.(4)로부터 TV카메라(6)로 광학상을 유도하는 광로중에 끼우고 뗄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광학감쇄필터 및 그 광로중의 광속을 조이기 위한 광학조리개를 구비하고 전달하는 광학상의 광량을 수동조작 또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동작하며 소정된 범위에 관하여 다단계로 또는 연속적으로 가변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광학 감쇄필터로서는 예를들면 ND필터(neutral density filter)가 사용된다.
화상처리장치(7)는 TV카메라(6)로 얻어지는 비데오 신호에 필요한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TV모니터(8)는 화상처리장치(7)로부터 출력된다. 화상처리가 실시된 비데오 신호 또는 화상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비데오 신호를 가시 화상으로서 표시한다.
기준영상 신호 설정기(9)는 가장 적합한 콘트래스트(contrast) 및 농도의 X선 화상을 TV모니터(8)위에 얻기 위하여 기준으로 되는 영상신호 레벨을 출력한다.
영상신호 비교부(1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치 검출기(21)와 비교기(22)로 되어 있다. 최대치 검출기(21)에서는 TV카메라(6)로부터 출력되어 화상처리장치(7)를 거쳐서 부여되는 비데오 신호의 최대치가 검출된다.
이 최대치 검출기(21)에서 검출된 최대치와 기준 영상신호 설정기(9)의 설정치가 비교기(22)에서 비교되며 양자의 차이에 따르는 신호가 비교기(22)로부터 출력된다.
이 영상신호 비교부(10) (의 비교기 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즉 최대치 검출기(21)에서 검출된 최대치와 기준영상 신호설정기(9)의 설정치의 차이에 따르는 신호는 투시조건 제어부(11)로 제어된다. 투시조건 제어부(11)는 투시모드에 있어서 동작하고 영상신호 비교부(10)로부터 부여되는 신호를 받아서 투시할 때의 고전압발생장치(2)의 전압을 제어한다.
즉 투시조건 제어부(11)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25), 관전압 초기치설정기(26), 관전압기억기(27) 및 가산기(28)로 구성된다. 관전압 초기치 설정기(26)는 투시할때의 관전압의 초기치를 관전압 기억기(27)에 부여한다.
이 관전압 초기치 설정기(26)로부터 설정되는 투시관 전압의 초기치는 관전압의 자동제어되는 초기치이므로 대략적인 값이 좋으며 미리 피검사체의 몸통 두께등에 따라서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선택 설정된다.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25)는 영상신호 비교부(10)의 출력에 따라서 동작되어 적정한 관전압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데이타를 가산기(28)에 부여한다. 가산기(28)는 관전압 기억기(27)의 기억된 데이타에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25)의 출력을 가산한다. 이때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25)의 출력이 음의 값일 경우는 실질적으로 감산하게 된다. 이 가산기(28)의 가산 결과는 투시관 전압 설정 출력으로서 고전압 발생장치(2)에 부여된다.
동시에 가산기(28)의 가산결과는 관전압 기억기(27)에 기억되며 이후의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25)의 출력과 가산된다. 촬영조건 제어부(12)는 촬영모드에서 동작하고 투시조건 제어부(11)의 관전압 기억기(27)의 기억 내용에 응답하여 고전압 발생장치(2)를 제어하며 촬영할 때에 X선관(1)의 관전압을 제어한다.
즉 이 촬영조건 제어부(12)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조건 설정기(31), 감쇄율 설정기(32), 촬영관 전류설정기(33) 및 촬영관 전압설정기(34)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촬영관 전류설정기(33)는 미리 오퍼레이터의 수동조작으로 설정된 촬영관 전류치의 설정 데이타를 고전압 발생장치(2)에 부여한다. 촬영조건 설정기(31)는 투시조건 제어부(11)의 투시관 전압기억기(27)에 기억된 투시관 전압 데이타에 따라서 그 피검사체의 몸통 두께에 대응하는 변수 데이타를 출력한다.
광학감쇄율 설정기(32)에는 미리 변수 데이타로부터 그것에 대응하는 촬영할 때의 광학 감쇄기(5)의 최적감쇄율 데이타를 얻기 위한 테이블이 격납되어 있으며 이 감쇄율 설정기(32)는 촬영조건 설정기(31)의 출력 데이타에 응답해서 그것에 대응하는 광학 감쇄기(5)의 감쇄율 데이타를 얻는다.
촬영관 전압 설정기(34)에는 미리 변수 데이타와 촬영관 전류 데이타로부터 그것에 대응하는 최적 촬영관 전압을 얻기 위한 테이블이 격납되어 있으며, 이 촬영관 전압 설정기(34)는 촬영 조건 설정기(31)로부터 출력되는 변수 데이타와 촬영관 전류 설정기(33)로부터 출력되는 촬영관 전류 데이타에 응답해서 그것에 대응하는 고전압 발생장치(2)의 가장 적합한 전압데이타를 얻는다.
광학 감쇄율 설정기(32)로부터 출력되는 감쇄율 데이타는 광학 감쇄기(5)에 부여되며, 그 값에 따라서 광학 감쇄기(5)의 감쇄율이 제어된다. 촬영관 전압 설정기(34)로부터 출력되는 촬영관 전압 데이타는 촬영관 전류 설정기(33)로부터 부여되는 촬영관 전류 데이타와 함께 고전압 발생장치(2)에 부여되며, 이들 관전압, 관전류의 값에 의해서 X선이 투사되어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투시조건 제어부(11)의 투시관 전압초기값 설정기(26)에 의해서 설정된 투시관 전압의 초기치로 투시 모드에 의해서 공급되는 고전압에 의해서 X선관(1)으로부터 X선이 투사된다. X선관(1)으로부터 투사된 X선을 피검사체(3)를 투과하고 이 투과X선에 의한 영상이 I.I.(4)에서 광학상으로 변환된다. I.I.(4)의 광학상 출력은 광학 감쇄기(5)에서 미리 수동 설정된 감쇄율로서 감쇄되어 TV카메라(6)로 유도된다.
이 광학상은 TV카메라(6)에서 비데오 신호로 변환되며 화상 처리장치(7)에서 적절한 화상처리가 되어서 TV모니터(8)에 표시된다. 또한, 투시중에 화상 처리장치(7)에 의하여 출력되는 비데오 신호가 영상신호 비교기(10)에 부여된다. 영상 신호 비교기(10)에서는 우선 최대치 검출기(21)에서 비데오 신호기로부터 입력화상(1화면)중의 최대의 휘도 레벨이 검출된다.
이 최대 휘도 레벨은 비교기(22)에 부여된다. 비교기(22)에서는 기준 영상신호 설정기(9)에 설정된 최적 휘도 레벨로 부여되고 있으며, 전술한 비데오 신호의 최대치와 비교된다.
이 비교의 결과, 비교기(22)로부터는 전술한 비데오 신호의 최대치와 기준 영상신호 설정기(9)에 설정된 최적 휘도 레벨의 차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투시조건 설정기(11)로 보내어진다. 투시조건 설정기(11)에서는 관전압 변화량 설정기(25)에서 비교기(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전술한 비데오 신호의 최대치가 기준 영상 신호 설정기(9)에 설정된 최적 휘도 레벨로 되도록 하기 위한 관전압의 변화분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가산기(28)로 보내어진다. 가산기(28)에서는 관전압 기억기(27)에 기억된 관전압(당초는 관전압 초기치 설정기(26)에서 설정된 초기치)에 전술한 변화분이 가산되며 관전압 설정신호로서 고전압 발생장치(2)에 부여된다. 이 관전압 설정신호는 관전압 기억기(27)에도 부여되며, 관전압 기억기(27)의 기억치를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투시조건 제어부(11)에 의한 투시관 전압의 자동제어가 이루어진다. 관전압 기억기(27)의 기억치는 시스템이 촬영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에 촬영조건 제어부(12)에 부여되며 촬영조건의 설정제어에 제공된다.
한편, 촬영조건 제어부(12)의 광학 감쇄율 설정기(32) 및 촬영관 전압 설정기(34)에는 아래와 같이 하여서 구하여지는 투시관 전압과 촬영관 전압의 관계(제4도)를 기억시켜 둔다.
우선 피검사체(3)가 가장 두꺼운 경우로 X선관(1)의 최적 촬영관 전압이 유효 촬영관 전압범위의 상한, 예를 들면 80KV로 되도록 I.I.(4), 광학 감쇄기(5), TV카메라(6), 화상처리장치(7) 및 TV모니터(8)로된 TV카메라계의 이득을 조정하는 이 상태에서 피검사체(3)에 두께를 차례로 변화시키고 제작기의 피검사체(3)에 대한 X선관(1)의 최적관 전압의 관계를 실측하고 제4도의 라인(A)에 대응하는 테이블로서 기억한다.
이어서, 라인(A)에서 X선관(1)의 최적관 전압이 유효 촬영관 전압범위의 하한(P) 예를 들면 60KV를 밑도는 피검사체(3)의 P를 구한다.
그리고 I.I.(4)의 출력부와 TV카메라(6)의 입사부의 사이의 광학감쇄기(5)를 조정하여서 TV카메라(8)로의 입사관량을 감쇄시키고 두께(P)의 피검사체(3)에서의 최적관 전압이 유효 촬영관 전압 범위의 상한(P)로 되도록 광학 감쇄기(5)의 감쇄율을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피검사체(3)의 (P)와 X선관(1)의 최적관 전압의 관계를 실측하고 라인(B)에 대응하는 테이블로서 기억한다. 또한, 라인(B)에서 X선관(1)의 최적관 전압이 유효 촬영관 전압 범위의 하한(q)을 밑도는 피검사체(3)의 두께(q)를 구한다. 재차, 광학 감쇄기(5)를 조정하여 TV카메라(6)로의 입사광량을 감쇄시켜, 피검사체(3)의 두께(q)에서의 X선관(1)의 최적관 전압이 유효 촬영관 전압범위의 상한(Q')로 되도록 광학감쇄기(5)를 조정한다.
이 상태에서 피검사체(3)의 두께(q)와 X선관(1)의 최적 촬영관 전압의 관계를 실측하고 라인(C)에 대응하는 테이블로서 기억한다.
이와 같은 관계를 차례로 구해가며, 가장 얇은 피검사체(3)에 대해서 X선관(1)의 최적 촬영관의 전압이 유효촬영관 전압범위의 하한을 윗돌 때까지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제4도의 관계는 촬영조건 제어부(12)의 광학감쇄율 설정기(32)와 촬영관 전압 설정기(34)에 제각기 피검사체(3)의 두께를 변수로 하는 광학 감쇄율과 관전압의 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투시 모드로부터 촬영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투시조건제어부(11)에 의하여 자동 제어된 결과의 투시관 전압이 투시관 전압 기억기(27)에 기억되어 있다.
어떠한 두께의 피검사체(3)가 투시되여, 출력화상의 휘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투시관 전압이 자동제어 되었을 때의 투시관 전압에서 피검사체의 두께를 추정할 수 있다. 이 추정된 피검사체(3)의 두께에 의하여 제4도의 관계를 사용하여서 최적관의 전압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투시모드로부터 촬영모드로 전환하게 되면 투시조건 제어부(11)의 관전압 기억기(27)에 기억된 관전압의 값이 촬영조건 제어부(12)의 촬영 조건 설정기(31)에서 피검사체(3)의 두께에 대응하는 변수 데이타로 변환된다.
또한, 촬영관 전류 설정기(33)에는 미리 수동조작에 의하여 촬영관 전류가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변수 데이타는 감쇄율 설정기(32)에 부여되어서 몸체 두께에 따른 광학 감쇄량이 구하여진다. 전술한 변수 데이타 및 촬영관 전류 데이타는 촬영관 전압 설정기(34)에 부여되어서 촬영관 전압이 구하여진다. 광학감쇄기(5)에는 감쇄율 설정기(32)에 의하여 구하여진 감쇄율 데이타가 부여되며 고전압 발생장치(2)에는 촬영관 전류 설정기(33)에 의하여 설정된 촬영관 전류 데이타와 촬영관 전압 설정기(34)에 의해서 설정된 촬영관 전압 데이타가 부여된다.
따라서 TV카메라계의 광학 감쇄기(5)의 감쇄율이 전술한 감쇄율 데이타에 따라서 설정되며 또한, 고전압 발생장치(2)에 의해서 전술한 촬영관 전압 및 관전류 데이타에 따른 관전압 및 관전류로 X선관(1)에 구동된다. 이 X선 투사에 의하여 X선 촬영 및 화상처리가 되어지므로서 진단효과가 가장 높은 화상이 얻어진다.
전술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관전압을 중심으로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어서 관전압, 관전류를 동시에 제어하는 제2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제2의 실시예에서는 관전압, 관전류의 조합을 미리 결정하여 두고 자동조건 설정시 이 조합관수에 따라 제어한다.
이 조합관수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효관 전압범위의 하한까지는 관전류는 사용하한치(최저치)로 관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최소단위씩 증가시킨다. 유효관 전압범위 내는 차례로 관전류를 제어 최소 단위로 소정량(1 또는 여러개의 단계) 증가시키고 나서 관전압을 제어 최소단위(1단계) 증가시킨다.
관전압 1단계 당의 관전류 변화의 단계수는 관전류의 사용 상한으로부터 사용 하한까지의 관전류 단계수를 유효관전압의 상한으로부터 하한까지의 관전압 단계수로 나눈 값으로 된다. 유효 관전압 범위의 상한 이상은 관전류는 최대치로서 관전류를 증가시킨다. 피검사체의 두께에 관련된 촬영관 전압 및 관전류의 제어를 이 조합상관단계수에 의하여 하도록 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피검사체 두께에 대응하는 변수 데이타에 대한 광학 감쇄율, 촬영관 전압 및 촬영관 전류의 테이블을 작성한다. 관전압, 관전류의 쌍방을 제어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피검사체(3)의 두께의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 경우의 촬영 조건 제어부(12')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촬영조건 설정기(41)로부터 출력되는 변수 데이타가 감쇄율 설정기(42), 촬영관 전류 설정기(43) 및 촬영관 전압 설정기(44)에 공통으로 부여되며 감쇄율 설정기(42)에 의해서 광학 감쇄기(5)의 감쇄율이 제어되며 촬영관 전류 설정기(43) 및 촬영관 전압 설정기(44)에 의해서 고전압 발생기(2)가 제어된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는 관전압, 관전류의 조합상관계수를 출력 X선량이 직선적으로 증가하도록 되는 조합 상관계수로 한다. 일반적으로 관전압에 의한 X선량의 변화는 지수관수적 변화로 되며 관전류에 의한 촬영은 비례적 변화로 된다. 그로 인하여 전술한 제2의 실시예의 조합 상관 계수에 의하면 X선량의 변화는 대략 제7도와 같이(실제로는 평활한 곡선모양이 아니며 복잡한 굴곡선 모양으로 된다) 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전압을 1단계 증가할 때마다 관전류를 소정량 저하시킴으로써 출력선량을 선형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상관계수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조합상관계수를 촬영시의 제어에 이용하게 되면 관전압, 관전류의 동시 제어에 의하여 출력선량의 원활한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피검사체의 두께에 대한 제어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힐 수 있으며 피검사체의 두께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전술하고 또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에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실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2 및 3의 실시예와 같이 관전압과 관전류의 조합관수를 사용할 경우 투사 X선량을 매우 광범위한 영역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촬영시의 광학 감쇄기(5)의 제어를 생략하여도 실용적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에 있어서는 투시 모드에서는 관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관전압만을 변화시켜 자동 제어를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투시조건의 제어에 제5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전압과 관전류의 조합 상관계수에 의한 제어를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투시할 때의 관전압과 관전류의 조합에 의하여 결정되는 투사 X선량의 피검사체의 두께에 대응하므로 이 투사 X선량의 값에 의해서 변수 데이타를 얻도록 하게 되면 좋다.
이와 같이 관전압과 관전류의 조합관수에 의한 투시조건 제어를 하였을 경우 통상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관전압으로부터 피검사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변수정보를 얻는 것보다도 정밀하게 피검사체의 두께에 대응하는 변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정밀도가 높은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X선을 연속적으로 투사하는 연속투사방식의 장치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X선을 펄스상태로 투사하는 간헐 투사방식의 장치에 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이 간헐 투사방식의 경우 전술한 관전류의 제어 대신에 또는 그 관전류의 제어에 조합하여서 투사시간 즉 펄스폭의 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13)

  1. X선관(1)과 피검사체를 사이에 두고 이러한 X선관(1)에 대치하도록 설치되며, 입사 X선을 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X선-광변환장치(4)와 이 X선-광변환장치(4)에 의하여 형성되는 X선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6)와 투시모드와 촬영모드의 2개의 동작모드가 있으며, 전술한 투시모드에서는 전술한 촬영장치로 촬영된 화상정보를 그대로 출력하며 전술한 촬영모드에서는 전술한 촬영장치(6)로 촬영된 X 선 화상에 소정된 디지틀 화상처리를 하여서 얻어진 화상정보를 출력하는 화상처리장치(7)와 이 화상처리장치(7)로부터 출력된 화상 정보를 가시화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8)로 된 디지틀 플루오로 그래피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투시모드에서 전술한 화상처리수단(7)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정보를 기준정보와 비교하는 비교장치(10)와 이 비교장치(10)의 비교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투시제어장치(11)와 이 투시제어장치(11)의 제어정보를 근거로 촬영모드에 있어서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촬영 제어장치(12)와 이들 투시제어장치(11) 및 촬영 제어장치(12)의 각 제어신호에 따르는 X선 투사조건으로 전술한 X선관(1)을 구동제어 하기 위한 X선관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 그래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영제어장치(12)가 X선관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상장치(6)가 X선-광변환장치(4)로 형성된 광학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로 전술한 X선-광변환 장치로 부터의 광학상을 유도하고 또한 그 광량을 조정하는 광량 조정장치를 구비하며 또한 전술한 촬영제어장치(12)가 X선관 전압 및 전술한 광량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영제어장치(12)가 X선관전압 및 관전류를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영제어장치(12)가 X선관 전압 및 관전류를 차례차례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영장치(6)가 X선-광변환장치(4)로 형성된 광학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로 전술한 X선-광변장치로부터의 광학상을 유도하며 또 그 광량을 조정하는 광량 조정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전술한 촬영제어장치(12)가 X선관전압, 관전류 및 전술한 광량 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영제어장치(12)가 X선관 전압 및 관전류를 차례차례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X선-광변환장치(4)는 이미지 인텐시파이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비교장치(10)가 화상 정보의 소정부분에 있어서의 최대치와 기준 정보를 비교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투시제어장치(11)가 X선관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상장치(10)가 X선-광변환장치(4)로 형성된 광학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소자와 이 촬상소자로 전술한 X선-광변환장치로 부터의 광학상을 유도하고 또 그 광량을 조정하는 광량조정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전술한 투시제어장치(11)가 X선 관전압 및 전술한 광량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투시제어 장치(11)가 X선 관전압 및 관전류를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촬상장치(6)가 X선-광변환장치(4)로 형성된 광학상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소자와이 촬상소자로 전술한 X선-광변환장치로 부터의 광학상을 유도하고 또 그 광량을 조정하는 광량조정치를 구비하고, 또한 전술한 투시제어 장치(11)가 X선관전압, 관전류 및 전술한 광량조정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KR1019860004749A 1985-06-15 1986-06-14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KR88000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30466A JP2647075B2 (ja) 1985-06-15 1985-06-15 デイジタル・フルオログラフイ装置
JP60-130466 1985-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45A KR870000845A (ko) 1987-02-20
KR880002062B1 true KR880002062B1 (ko) 1988-10-14

Family

ID=1503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749A KR880002062B1 (ko) 1985-06-15 1986-06-14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85908A (ko)
JP (1) JP2647075B2 (ko)
KR (1) KR880002062B1 (ko)
DE (1) DE3619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150A (en) * 1988-01-18 1990-02-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diagnostics installation with mean parenchyma dose calculator
US5003572A (en) * 1990-04-06 1991-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brightness compensation for x-ray imaging systems
US5675624A (en) * 1995-12-14 1997-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Adaptive x-ray brightness and display control for a medical imaging system
DE102004030833A1 (de) 2004-06-25 2006-01-26 Siemens Ag Röngtendiagnostikverfahren und zugehörige Vorrichtung
CN102415219B (zh) * 2009-04-22 2015-08-0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高电压装置以及具备该高电压装置的放射线源、放射线透视摄像设备
JP5596987B2 (ja) * 2010-01-21 2014-10-01 株式会社東芝 X線透視撮影装置
CN104323792A (zh) * 2013-07-22 2015-02-04 南京普爱射线影像设备有限公司 一种x射线牙科机成像系统灰度动态范围扩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039B2 (ja) * 1974-05-25 1983-02-0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ジドウサツエイソウチ
GB1480009A (en) * 1975-11-25 1977-07-20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Image intensifier tv fluoroscopy system
US4307613A (en) * 1979-06-14 1981-12-29 University Of Connecticut Electronically focused ultrasonic transmitter
DE3025107A1 (de) * 1980-07-02 1982-01-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Roentgendiagnostikeinrichtung fuer aufnahme und durchleuchtung
US4354112A (en) * 1980-11-28 1982-10-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X-ray cine radiography apparatus
DE3119751C2 (de) * 1981-05-18 1985-09-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Röntgendiagnostikeinrichtung
NL8202418A (nl) * 1982-06-15 1984-01-02 Philips Nv Roentgenonderzoekapparaat.
JPS59174081A (ja) * 1983-03-24 1984-10-02 Shimadzu Corp ディジタル サブトラクション装置
IL69326A (en) * 1983-07-26 1986-11-30 Elscint Ltd System and methods for translating radiation intensity into pixel val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19863A1 (de) 1986-12-18
JPS61288586A (ja) 1986-12-18
JP2647075B2 (ja) 1997-08-27
US4985908A (en) 1991-01-15
KR870000845A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324B1 (ko) 디지탈방식의 형광사진장치
JPH02237277A (ja) X線診断装置
KR880002062B1 (ko) 디지틀 플루오로그래피 장치
US4544948A (en) Diagnostic X-ray apparatus
JPH07183094A (ja) X線検査装置
US50849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non-cardiac angiograph on a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cardiac angiograph
JPH0683397B2 (ja) Dsa装置
JPH0723293A (ja) X線診断装置
JPS598985B2 (ja) X線テレビ透視撮影装置
US6044127A (en) X-ray examination apparatus including an exposur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mplifier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US4412247A (en) X-Ray diagnostic installation comprising an image intensifier television chain
KR910000426B1 (ko) X선 촬영장치
JP2625978B2 (ja) X線自動露出制御装置
JP3072849B2 (ja) X線画像診断装置
JPH04279153A (ja) X線条件の自動制御機構
JP3617214B2 (ja) X線テレビジョン装置
JPH05207997A (ja) X線透視撮影装置
JPH0638951A (ja) X線診断装置
JPH08139996A (ja) X線診断装置
JP2680334B2 (ja) X線撮影装置
JPH0838465A (ja) X線診断装置
JPH04334282A (ja) 画像処理装置
JPH0787396A (ja) X線tv装置
JPH11290306A (ja) X線装置
JPH05285098A (ja) 内視鏡・x線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