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281Y1 - 전자기기 상자체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상자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281Y1
KR880001281Y1 KR2019820002455U KR820002455U KR880001281Y1 KR 880001281 Y1 KR880001281 Y1 KR 880001281Y1 KR 2019820002455 U KR2019820002455 U KR 2019820002455U KR 820002455 U KR820002455 U KR 820002455U KR 880001281 Y1 KR880001281 Y1 KR 8800012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lead
speaker
box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2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405U (ko
Inventor
미노루 구리야마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3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4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2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2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기 상자체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도는 스피커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리드선 인출부의 확대사시도.
제3도-제7도는 본원 고안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도는 스피커장치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리드선 수납의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V-V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뚜껑을 열었을때의 리드선 수납부의 확대 평면도.
제7도는 리드선을 리드선 인입부에 끌어 넣을때의 조작을 나타낸 제6도와 같은 평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원 고안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8도는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뚜껑을 열때에 있어서의 전지수납부의 확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피커박스 10, 54, 55 : 리드선
20 : 리드선 인입부 21 : 슬릿
38 : 조작부재 40 : 캐비닛
49, 50 : 임시고정용 돌기
본원 고안은 내부에 리드선(전선)이 배설되는 각종 전자기기 상자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휴대용의 소형 스피커장치 등과 같은 음향기기의 상자체에 적용해서 매우 적합한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의 휴대용 소형 스피커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스피커박스(1)는 통상, 스피커(2)가 부착되는 전면부(3)와, 후면판(4), 한쌍의 측면판(5), (6), 상면판(7)및 저면판(8)으로 이루어지는 본체(9)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류의 스피커장치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전면부(3)와 본체(9)와를 제1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서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 전면부(3)의 뒷쪽에 스피커(2)를 나사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스피커(2)의 배선을 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배선시에는 예를들면 플러그용 리드선(전선)(10)을 본체(9)의 리드선 인출용 구멍(11)을 통해서 스피커(2)쪽에 충분히 끌어 넣을 필요가 있다. 이때문에 전면부(3)를 본체(9)에 부착하여 스피커박스(1)를 구성했을 경우에는 끌어 넣은 리드선(10)이 스피커박스(1)의 내부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이완된 상태로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상태인 채, 스피커장치를 구동시키면 이완된 리드선(10)이 스피커(2)의 진동에 수반해서 스피커박스(1), 스피커(2), 스피커박스(1)내에 배설된 프리트기판(도시생략) 등에 닿아, 이상음(異常音)을 발하거나 또는 전기회로부품 등의 구성품이 탈락해 버릴 염려가 있다. 특히 리드선(10)이 스피커(2)의 코온지(紙)에 닿으면, 몹시 듣기 싫은 잡음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종래에는 스피커박스(1)의 조립완료시에 리드선(10)을 상기 구멍(11)을 통해서 스피커박스(1)의 외부로 인출하여, 스피커박스(1)내에 있어서의 리드선(10)이 이완되지 않게 하고, 그 후 예를들면 스피커박스(1)의 후면판(4)에 설치된 리드선 계지부재(13)에 누름부재(14)를 비스(15)로 체착 고정함으로써 리드선(10)이 이들 사이에 걸려지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장치에서는 스피커박스(1)내에 있어서의 리드선(10)이 이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계지부재(13), 누름부재(14) 및 비스(15)와 같은 특별한 부재가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며,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리드선(10)의 계지작업도 거치장스러웠다. 이 때문에 스피커장치의 제조원가가 높을 수 밖에 없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정된 것으로 특별한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더구나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상자체내의 리드선이 이완되지 않도록 한 전자기기 상자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제3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3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와 공통되는 부분에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제3도 내지 제7도는 본원 고안을 휴대용 소형 스피커장치에 적용한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합성수지제의 본체(9)에는 후면판(4)과 저면판(8)에 의해서 형성된 모서리부에 리드선 수납부(17)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수납부(17)중 상기 저면판(8)에 평행인 판부(板部)(17a)의 내면측에는 단면 "ㄷ"자형부재(18)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단면 "ㄷ"자형부재(18)와 상기 판부(17a)의 일부분(17b)에 의해 통형상(筒刑狀)을 이루는 리드선 인입부(2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판부(17a)의 일부분(17b)에는 제3도 및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리드선 인입부(20)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는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리드선 수납부(17)에는 합성수지 성형체이며 또한 뚜껑체(22) 및 압판(23)으로 이루어진 판상부재(25)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뚜껑체(22) 및 압판(23)은 박육부(薄肉部)로 이루어진 힌지부(24)를 통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압판(23)에 설치된 돌기(26)가 리드선 수납부(17)의 피끼워맞춤부(27)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체(22)는 한지부(24)를 중심으로 제4도에 있어서 화살표 A및 A' 방향으로 회전자재로 되어 있고,뚜껑체(22)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 뚜껑체(22)의 걸어맞춤부(28)를 본체(9)의 피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춤으로써 리드선 수납부(17)가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음향기기 본체로부터의 신호를 스피커(2)에 공급되는 리드선(10)은 피복전선으로 이루어지며, 이 리드선(10)의 일단부가 스피커(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드선(10)은 리드선 수납부(17)에 형성된 절결부(31)을 통해서 스피커박스(1)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으며, 인출된 리드선(10)의 타단부에는 플러그(32)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드선 수납부(17)에 판상부재(25)를 상기한 바와 같이 부착함으로써 리드선(10)은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절결부(31)에 설치된 돌기(33)와 판상부재(25)의 압판(23)에 의해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스피커장치의 조립순서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스피커박스(1)를 구성하는 전면부(3)와 본체(9)와를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전면부(3) 뒤쪽에는 스피커(2)를 고정시킨다. 그후에 리드선(10)을 배선작업에 필요한 길이만큼 절결부(31)을 통해서 본체(9)의 안쪽으로 끌어 들여, 리드선 수납부(17)에 상판부재(25)를 부착한다. 이에 의해서 리드선(10)은 이 절결부(31)의 돌기(33)와 판상부재(25)의 압판(23)에 의해 걸리게 된다. 이어서 리드선(10)의 일단부를 스피커(2)의 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전면부(3)를 본체(9)에 부착할때에 본체(9)내에 끌어 넣어진 리드선(10)의 일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U자상으로 굴곡시켜, 이 굴곡부분(10a)을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리드선 인입부(20)의 일단부에 꽂는다. 이 결과, 리드선(10)의 굴곡부분(10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 굴곡부분(10a)이 리드선 인입부(20)의 일단부에 꽂힌 채의 상태로 임시 고정된다. 이어서 이와 같은 상태하에서, 전면부(3)를 본체(9)의 개구를 덮도록 부착하고, 이들에 각기 설치된 보스(34) 및 (35)에 비스를 나사맞춤함으로써 이들을 일체적으로 결합하여 스피커박스(1)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해서 스피커장치를 조립한 후에, 뚜껑체(22)를 연 상태로 하여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예를들면 드라이버 등과 같은 조작부재(38)를 스피커박스(1)의 외부로부터 슬릿(21)내에 꽂아, 리드선(10)의 U자형 굴곡부분(10a)에 걸어서 이것을 슬릿(21)에 따라서 화살표 B방향으로 당긴다. 이에 의해서 리드선(10)의 일부가 리드선 인입부(20)내에 끌어 넣어지게 되므로, 제7도에 나타낸 것처럼, 스피커박스(1)내에 있어서의 리드선(10)의 이완을 흡수할 수 있어서 느슨해지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디드선 인입부(20)에 리드선을 끌어 넣은 다음에는 스피커 장치의 구동시에 스피커박스(1) 및 리드선(10)에 진동이 생겼다고 하더라도, 리드선(10)은 그 적당한 탄성복 원력에 의해서 상기 인입부(20)로부터 튀어 나오는 일없이 확실하게 수납 유지된다.
이처럼 구성한 스피커장치에 의하면, 스피커박스(1)에 리드선 인입부(20) 및 슬릿(21)을 설치하는 것 뿐인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조작부재(38)로 리드선(10)의 U자형 굴곡부분(10a)을 끌어 당기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스피커박스(1)내에 있어서의 리드선(10)이 확실하게 이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스피커장치의 구동시에 리드선(10)이 스피커(2)의 코온지나 스피커박스(1)에 닿아서 이상한 소리를 내거나 또는 리드선(10)이 진동해서 전기회로부품이나 그 밖의 다른 구성부품에 닿아서 이들을 소정의 부착장소로부터 탈락시켜 버리는 등의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종래처럼 특별한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선(10)이 이완되지 않도록 하는 작업도 매우 간단하므로 스피커장치의 제조 원가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8도 및 제9도는 본원 고안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예를들면 라디오 수신기나 카세트식 테이프 레코더 등이 하나의 캐비닛(40)내에 설치된 휴대용의 음향기기에 본원 고안을 적용한 것이다.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캐비닛(40)은 상자 모양의 본체(41)와 상자모양의 뚜껑체(42)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안쪽에 각기 설치된 보스(43) 및 (44)를 서로 합치시켜서 이들을 나사 고정함으로써 캐비닛(40)이 구성되고, 이 캐비닛(40)내에 각종 전기 회로부품(45)이 장착된 프린트기판(46)이 수납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41)의 저면축에 전지수납부(48)가 설치되며, 이 전지 수납부(48)의 내면측에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리드선 인입부(20) 및 슬릿(21)이 각각 한쌍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릿(21)의 일단부에 대응하도록 임시 고정용 돌기(49), (50)이 각기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향기기를 조립할 경우에는 본체(41) 및 뚜껑체(42)를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프린트 기판(46)의 소정패턴(도시생략)과 전지수납부(48)에 설치된 접속단자(51), (52)와를 리드선(54), (55)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후에 프린트 기판(46)을 뚜껑체(42)에 설치된 부착부(56)에 나사고정한다. 그리고 뚜껑체(42)를 본체(41)에 씌울때에 제8도에 있어서 가성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리드선(54), (55)을 본체(41)의 임시고정용 돌기(49), (50)와 리드선 인입부(20)와의 사이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임시고정한다. 그리고 본체(41) 및 뚜껑체(42)를 서로 조립하여 캐비닛(40)을 구성한 후에 제9도에 나타낸 것처럼 드라아버 등의 조작부재(38)를 캐비닛(40)의 외부에서 슬릿(21)을 통해서 꽂아서 리드선 (54), (55)을 화살표 C방향으로 끌어 당김으로써, 이들 리드선(54), (55)을 리드선 인입부(20)에 각각 끌어 넣는다. 이에 의해서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리드선(54), (55)이 리드선 인입부(20)내에 끌어 들여진 상태에서 수납 유지되므로 캐비닛(40)내에 있어서의 리드선(54), (55)이 이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한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본원 고안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원 고안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본원 고안은 상자체, 예를들면 실시예에서 나타낸 스피커박스(1), 캐비닛(40)의 내부에 리드선 인입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인입부에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상자체의 외부에서 상기 슬릿을 통해서 조작부재(예를들면 드라이버)를 찔러 넣어 상기 상자체의 내부에 배설된 리드선을 끌어 당김으로써 상기 리드선의 일부를 상기 인입부에 끌어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원 고안의 전자기기 상자체에 의하면 리드선 인입부 및 슬릿을 서로 관련시켜서 설치한 매우 간단한 구성이지만, 리드선을 인입부에 끌어 넣음으로써 상자체내에 있어서의 리드선이 이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결과, 리드선의 이완에 의해서 생기는 여러가지 폐해, 예를들면 리드선이 흔들려서 전기회로부품 등에 닿아 이들을 프린트 기관 등에서 탈락시켜 버리는 등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원 고안에 의한 전자기기의 상자체에는 종래와 같이 독립된 별도의 부재(리드선 계지부재, 리드선 누름부재 및 비스 등)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저감할 수 있고, 기기의 제조원가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상자체의 내부에 리드선 인입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인입부에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상자체의 외부에서 상기 슬릿을 통하여 조작부재를 찔러 넣어 상기 상자체의 내부에 배설된 리드선을 끌어 당김으로써, 상기 리드선의 일부를 상기 인입부에 끌어 들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상자체.
KR2019820002455U 1981-06-10 1982-03-30 전자기기 상자체 KR8800012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85432 1981-06-10
JP1981085432U JPS6320148Y2 (ko) 1981-06-10 1981-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405U KR830003405U (ko) 1983-12-12
KR880001281Y1 true KR880001281Y1 (ko) 1988-04-02

Family

ID=2988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2455U KR880001281Y1 (ko) 1981-06-10 1982-03-30 전자기기 상자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0148Y2 (ko)
KR (1) KR8800012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6904B2 (ja) * 2004-09-22 2010-07-07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0148Y2 (ko) 1988-06-03
KR830003405U (ko) 1983-12-12
JPS57197665U (ko) 198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2700A (en) Current detecting device with a core having an integrally fixed engaging member
US6723920B2 (en) Fuse box mounting structure
JPH07245904A (ja) モータの端子装置
JP2625546B2 (ja) 機器のカバーのための取付装置
GB2313488A (en) Electronic unit-housing box having a fixing structure
KR880001281Y1 (ko) 전자기기 상자체
US6417444B1 (en) CF card casing structure
JPH06327123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917758B2 (ja) 振動部品搭載プリント基板収容箱
JPH01244698A (ja) 電気機器の筐体
JP3873415B2 (ja) 電池収容構造
JP4343541B2 (ja) シールドケース
JPS6215898A (ja) 電子機器筐体の端子取付装置
JPS5821199Y2 (ja) 電装部品収納箱
JP3413675B2 (ja) マイクロホン装置
JP3659381B2 (ja) 電池ケースおよびこの電池ケースを用いるメガホン
JP3723672B2 (ja) 分析・計測装置の配線・配管構造
JP3307738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S6344943Y2 (ko)
KR100239629B1 (ko) 플러그 고정장치
JP2607181B2 (ja) 電子機器の操作部取付構造
JP3178106B2 (ja) 表面実装圧電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790001617Y1 (ko) 컨트롤 박스의 덮개 취부구
JPH07231188A (ja) シールドケース
JPS6240186A (ja) テレビタ−ミナ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