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004B1 - 신체 재치장치 - Google Patents

신체 재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004B1
KR880001004B1 KR1019850000970A KR850000970A KR880001004B1 KR 880001004 B1 KR880001004 B1 KR 880001004B1 KR 1019850000970 A KR1019850000970 A KR 1019850000970A KR 850000970 A KR850000970 A KR 850000970A KR 880001004 B1 KR880001004 B1 KR 880001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ing
user
mounting
mov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003A (ko
Inventor
하루시게 다니구찌
Original Assignee
하루시게 다니구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039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827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12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90658A/ja
Application filed by 하루시게 다니구찌 filed Critical 하루시게 다니구찌
Publication of KR86000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5Suspended platforms, frames or sheets for patient in ly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7Supported platforms, frames or sheets for patient in ly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42Longitudinally divided top surface with pivotable s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Manipulator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신체 재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신체 재치(載置)장치를 베트에 적용한 1실시예를 표시한 부분 투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베트의 리크라이닝(reclining)장치를 표시한 부분 측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제1도의 베트를 변위시킨 경우를 표시한 약시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신체 재치장치를 수술대에 적용한 1실시예를 표시한 부분 투시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신체 재치장치를 베트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부분 투시사시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제8도의 베트를 변위시킨 경우를 표시한 약시 설명도.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제8도의 베트를 사용하여 환자를 이동시켜서 입욕시킬 경우를 표시한 약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2, 111, 211 : 제1재치대수단 11a, 13 : 리크라이닝수단
11c, 11e, 12b : 연결수단 12, 24, 112, 212, 250 : 제2재치대수단
12a, 112a, 131, 212a, 250a : 연결부재
12c, 17, 18, 24 : 이탈방지수단 17, 24 : 판부재
18 : 손잡이봉 19 : 이탈방지부재
21, 121, 130, 221, 257, 259 : 회동수단(액체압 실린더)
22a, 22c : 고정부재 22b, 24b : 개구
25, 225 : 신체 253, 254 : 축
257 : 제2회동수단 260 : 이동재치수단
261 : 레일 261, 262 : 이동장치
262 : 차륜 263 : 활차장치
263, 264, 266 : 승강장치 264, 266 : 로우프
264c, 265 : 고정장치
본 발명은 신체 재치장치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베트, 수술대 등의 신체 재치장치로서, 사용자의 체위를 바꿀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베트, 수술대 등의 신체 재치대로서 여러가지의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모두 극히 복잡한 기구(機構)의 것이고 간단한 기구에 의해 체위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장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사용자의 위위를 옆을 향하게(橫向)하거나 엎드리게 하는 등 소망하는 체위로 간단한 기구에 의해 바꿀 수 있는 신체 재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호자(介護者)가 환자의 체위를 변경시킴에 있어서 환자를 안아올리거나 하는 일이 없이 옆으로 향하게 하거나 혹은 엎드리게 하여 욕창(辱瘡 : 오랜 와병으로 몸에 압박을 받기 쉬운 곳이 진물러 생기는 병)을 방지하거나, 배부(背部)의 대사를 촉진시키거나를 할 수 있는 신체 지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은 소망하는 체위로 변경 이동시키므로써 수술, 치료행위, 신체의 세척, 의류, 시이트 등의 손질등을 쉽게 할 수 있는 신체 재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를 이동시켜서 입욕 등을 시킬 수가 있는 신체 재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은 다음의 기재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위치에서는 사용자의 신체를 편안(安息)한 자세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올려놓기 위한 제1재치대수단과 상기 제1재치대수단의 적어도 1측에 병설하고 상기 통상위치를 변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임의의 횡향자세에서 지탱하여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1재치대수단으로 부터 상기기 사용자의 신체를 바꾸어 옮겨서 상기 편안한 자세와 반대방향의 자세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재치할 수 있는 제2재치대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횡향자세 및 상기 반대로 향한 자세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재치대 수단을 회동하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체위를 바꿀 수 있는 신체 재치장치가 제공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에는 본 발명의 신체 재치장치를 베트에 적용한 예를 표시하였다. 제1도에는 참조번호(10)에 의해 베트가 표시된다. 베트(10)는 통상위치에서는 환자를 상향으로 올려놓는 주판(主板)프레임(11)과 후술하는 환자의 엎드린 위치에서 환자를 올려놓는 측판프레임(12)을 구비하였다. 주판프레임(11)에는 리크라이닝 프레임(11a)이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힌지(11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리크라이닝 프레임(11a)에는 스크루 재크(13)의 접촉부재(13a)가 접촉되고 프레임(11a)을 적당한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움직여서 고정시킬 수가 있어 환자가 소망하는 리크라이닝 위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접촉부재(13a)는 리크라이닝 프레임(11a)의 위치에 따라 각도를 바꿀 수 있도록 축(13b)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다. 도시예에서는 환자의 배부만을 리크라이닝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다리부를 리크라이닝 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횡향 혹은 엎드린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는 리크라이닝 프레임(11a)을 제1도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주판프레임(11)의 한쪽에는 축봉(14)을 중심으로 하여 주판프레임(11)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힌지(15)를 고정 부착시킨다. 또 축판프레임(12)의 한쪽에도 동일하게 축봉(14)을 중심으로 하여 측판프레임(12)을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16)를 고정 부착시킨다. 측판프레임(12)에는 슬라이드판(17)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변위시켰을 때 필요에 따라 빼내서 측판프레임(12)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가 있다. 측판프레임(12)의 하면에는 변위시에 환자가 자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봉(18)을 부착시킨다. 손잡이봉(18)의 산단에는 빼내서 사용할 수가 있도록 미끄러져 움직이는 봉(18a)을 장착하고 미끄러져 움직이는 봉(18a)에는 보호판(19)을 회전가능하게 고정 시켜서 필요에 따라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위치(제5도 참조)에 세울 수가 있도록 한다.
주판프레임(11)의 단부에 근접하여 고정수직판(20)을 설치하고 고정수직판(20)에는 고정핀(20a)을 고정부착하고 유체압 실린더(21)의 축(21a)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한다. 유체압 실린더(21)의 다른 축(21b)은 측판프레임(12)에 고정부착한 고정핀(12a)에 회동가능하게 접속한다. 유체압 실린더(21)의 축(21a) 및/또는 축(21b)은 조작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축이 자유롭게 작동된다.
주판프레임(11)에는 측판프레임(12)의 걸어맞추는 핀(12b)과 걸어맞출 수 있는 복수의 오목부(11e)를 구비한 걸어맞춤부재(11c)를 고정핀(11d)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부착한다.
주판프레임(11)에는 주판매트(22)를 올려놓고 사용한다. 주판매트(22)에는 허리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허리 받침부재(22a) 및 용변용 개구(22b)에는 배변관(23)을 접합하여 적당한 폐기장소로 유출시킬 수가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 주판매트(22)에는 어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어깨 받침부재(22c)를 설치한다. 측판프레임(12)에는 측판매트(24)를 올려놓는 것이지만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판프레임(12)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플랜지(12c)를 각각 설치하고 측판매트(24)를 플랜지(12c) 사이에 간직시켜서 필요에 따라 측판매트(24)를 측방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한다. 또 측판프레임(12)에는 변위시에 화자가 손잡이봉(18)을 쥘 수 있도록 개구(24a)를 설치한다. 또 후술하는 변위시 또는 변위한 후에 환자가 심장을 압박받지 않도록 심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 또는 개구(24b)를 설치한다.
다음에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환자(25)의 체위를 바꾸어서 엎드린 위치로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서 유체압 실린더(21)를 조작하여 축(21b)을 끌어들이며 측판프레임(12)은 점선의 위치로 부터 실선의 위치로 축봉(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환자(25)를 덮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걸어맞춤부재(11c)를 고정판(11d)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점선위치로 부터 실선위치로 하고 오목부(11e)를 걸어맞춤핀(12b)과 걸어맞춘다. 또한 도시의 경우에는 측판매트(24)를 빼내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측방으로 빼내서 변위후에 환자(25)가 측판매트(24)로 부터 삐어져 나오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이어서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체압 실린더(21)의 축(21b)을 신장시키면 측판프레임(12)과 주판프레임(11)은 걸어맞춤부재(11c)에 의해 걸어맞추어서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측판프레임(12)에 잡아당겨져서 도시한 상태로 되고 환자(25)를 횡향상태로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환자(25)는 측판매트(24)의 개구(24a)로 부터손을 넣어서 손잡이봉(18)을 쥐고 자신의 체위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환자를 엎드린 위치로 할 때에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더욱 축(21b)을 신장시켜 측판프레임(12)이 수평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회동시킨다.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판(17) 및 미끄러져 움직이는 봉(18a)을 빼내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보호판(19)을 회동하여 수직위치로 세운다. 이 상태를 간직할 경우에는 개호자가 걸어 맞춤부재(11c)에 의해 걸어맞추어 고정시켜서 환자(25)가 측판매트(24)에 체중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이어서 유체압 실린더(21)를 작동하여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망하는 각도록 변위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는 환자는 체중을 측판매트(24)에 올려놓는 동시에 허리받침부재(22a) 믿 어깨받침부재(22c)에 의해 자세를 횡향상태로 간직할 수가 있다.
제7도에는 본 발명의 신체 재치장치를 수술대(100)에 적용한 예가 표시되었다. 제7도에서 제1도 내지 제6도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100번대로 표시하고 중복해서 설명하는 것을 피하였다. 도시한 수술대(100)에서는 상기한 베트(10)와 달라서 2개의 유체압 실린더(121, 130)를 사용하여 유체압 실린더(130)의 축(130a)을 주판프레임(111)에 설치한 고정핀(1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주판프레임(111)도 자유롭게 축봉(11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케 하였다. 변위에 있어서는 유체압 실린더(121, 130)를 연동조작하여 제3도 내지 제6도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주판프레임(111) 및 측판프레임(112)을 이동시킨다. 시술에 임하여 시술자가 환자에게 가까이 가기 쉽게 주판프레임(111)에는 주판(132)을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부착하고 동일하게 측판프레임(112)에도 측판(133)을 부착한다. 축봉(114)에는 주판(132) 및 측판(133)을 재치하기 위하여 축봉(114)에 따라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재치부재(134)를 양단부재 이동하여 시술자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한 베트(10)를 제7도에 표시한 수술대(100)와 동일하게 2개의 유체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조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8도 내지 제12도에는 본 발명의 신체 재치장치를 베트(200)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또한 도면중 제1도 내지 제6도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번호(200번대)를 붙여서 중복 설명하는 것은 피하였다. 베트(200)에서는 주판프레임(211)의 한쪽에 측판프레임(212)을, 또 다른쪽에 측판프레임(250)을 각각 힌지(251, 252)에 의해 부착시킨다. 주판프레임(211)은 2개의 고정수직판(220)에 각각 축봉(253, 254)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된다. 축봉(253)에는 기어(255)가 고정 부착되고 체인(256)에 의해 감속기가 부착된 모우터(257)에 연결되고 모우터를 부세(付勢)하면 주판프레임(211)을 축봉(253, 25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회전방향 혹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판프레임(211)에는 또 고정판(258)을 고정 부착하고 고정판(258)에는 고정핀(258a) 및 (258b)을 부착한다. 고정핀(258a)에는 유체압 실린더(221)의 한쪽의 축(221a)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하고 또 다른쪽의 축(221b)은 측판프에임(212)에 고착한 고정핀(212a)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한다. 고정핀(258b)에는 유체압 실린더(259)의 한쪽의 축(259a)을 회동가능하게 접속하고 또 다른쪽의 축(259b)은 측판프레임(250)에 고착한 고정핀(250a)에 회동가능하게 접속한다.
제8도의 실시예에서는 제1도의 실시예에 표시한 슬라이드판(17), 손잡이봉(18), 미끄러져 움직이는 봉(18a), 보호판(19)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동일하게 이들의 부재를 측판프레임(212) 및 (250)에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또 제1도에 표시한 주판매트(22), 측판매트(24)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환자(225)의 체위를 바꿔서 엎드린 위치로 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서 환자(225)를 이동시키는 쪽의 측판프레임(250)의 측판매트(24)를 빼내고 이어서 유체압 실린더(259)를 조작하여 축(259b)을 끌어들여 환자(225)르 덮도록 한다. 또 다른쪽의 측판프레임(212)을 유체압실린더(221)를 조작하여 축(221b)을 끌어들여 측판프레임(212)이 주판프레임(211)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되도록 하고 회전이동시에 측판프레임(212)이 방해로 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감속기가 부착된 모우터(257)(제8도)를 조작하여 주판 프레임(211)을 축봉(253)을 중심으로 화살표(B)로 표시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환자(225)를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측판프레임(250)위로 이동시킨다. 계속하여 유체압 실린더(259)의 축(259b)을 끌어내면서 주판프레임(211)을 축봉(25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C)로 표시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제11도 에 표시한 수평위치로 하고 환자(225)를 엎드린 위치에서 유지할 수가 있다.
제12도에는 환자(225)를 횡향으로 유지할 경우가 표시된다. 이 경우에는 측판프레임(250) 및 (212)을 주판프레임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하여 환자(225)가 압박감없이 측판프레임에 체중을 실릴 수가 있도록 한다. 제1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의 것과 달라서 양측에 측판프레임(212), (25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감속기가 부착된 모우터(257)(제8도)를 작동시켜서 축봉(253)을 중심으로 주판프레임[211]을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변경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환자는 한쪽에서 피로하였을 경우 반대측으로 자유롭게 체위를 바꿀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표시한 베트(10) 및 제8도 내지 제12도에 표시한 베트(200)는 모두 환자의 입욕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의 실시예를 제8도 내지 제11도의 실시예의 베트(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1도에 표시한 엎드린 위치의 환자(225)에 입욕용 바구니(260)를 씌우고 이어서 제9도 내지 제10도에 대하여 설명한 엎드린 위치로 할 경우에 반대의 순서로 조작을 하면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환자(225)를 입욕용 바구니(260)에 넣은 상태에서 상향위치로 하여 주판프레임(211)위에 올려놓을 수가 있다. 이어서 천정에 배설한 레일(261)위를 주행할 수 있는 차륜(262)을 구비한 활차(263)로 부터 매단 로우프(264)의 일단(264a)에 바구니(260)를 건다. 로우프(264)의 타단(264b)은 측판프레임(250)에 고정 부착한 스토퍼(250a)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측판프레임(250)을 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바구니(260)는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끌어올려진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활차(263)로 부터 매달린 갈고랑이(265)에 로우프(264)의 중도에 부착한 링(264c)을 통하여 바구니(260)를 이 상태로 유지한다.
다음에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우프(264)의 도중에 설치한 훅(264d)으로 부터 짧은 로우프(264a)를 떼어내고 스토퍼(250a)에 일단을 고정시킨 긴 로우프(266)를 훅(264d)에 건다. 레일(261)위를 수동 혹은 다른 수단에 의해 주행시켜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헤드(200)의 측방에 설치한 욕조(267)위에 바구니(260)를 도달케 한다. 이어서 갈고랑이(265)로 부터 링(264c)을 떼어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축봉(253)을 중심으로 주판프레임(211)을 회동시켜서 바구니(260)를 욕조(267)내로 하강시켜서 제17도에 표시한 위치에서 입욕시킨 후 반대의 순서로 환자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주판프레임(211) 및 측판프레임(250)의 회동에 의해 바구니(260)의 이동을 하였으나 제2도에 표시한 리크라이닝 장치(13, 13a, 11a)와 연동시키도록 개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의 일이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함이 없이 개변,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Claims (21)

  1. 통상위치에서는 사용자의 신체(25, 225)를 편안한 자세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올려놓기 위한 제1재치대수단(11, 22, 111, 211)과, 상기 제1재치대수단의 적어도 한쪽에 병설하고, 상기 통상위치를 변위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임의의 횡향자세에서 지탱하여 간직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1재치대수단으로 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바꾸어 옮겨서 상기 편안한 자세와 반대 방향의 자세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올려놓을 수 있는 제2재치대수단(12, 24, 112, 212, 250)과,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횡향자세 및 상기 반대방향 자세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재치대수단을 회동하기 위한 회동수단(21, 121, 130, 221, 257, 259)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체위를 바꿀 수 있는 신체 재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재치대수단(11, 22, 111,)의 한쪽에 상기 제2의 재치대수단(12, 24, 112)을 병설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재치대수단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회동수단(21, 121, 130)을 연관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재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재치대수단의 한쪽에만 상기 회동수단(21)을 연관시켜 상기 제1재치대수단과 상기 제2재치대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1c, 11e, 12b)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치대수단(22, 211)의 양측에 상기 제2재치대수단(24, 212, 250)을 병설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치대수단(22.211)의 실질상 횡폭 중앙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따른축(253, 254)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의 재치대수단을 회동시키기 위한 제2회동수단(257)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재치대수단(24, 212, 250)의 각각에 상기 회동수단(221, 259)을 연관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치대수단(11, 22, 111, 211)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2a, 22c)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치대수단(11, 22, 111, 211)이 상기 사용자의 배설물을 통하게 하기 위한 개구(22b)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재치대수단(11, 22, 111, 211)으로 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상기 제2재치대수단(12, 24, 112, 212, 250)으로 바꾸어 옮겨서 상기 편안한 자세와 반대방향의 자세로 할때에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제2재치대수단으로 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12c, 17, 18, 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수단이 상기 제2재치대수단에 설치하여 측방에 이동가능한 판부재(17, 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수단이 상기 사용자가 쥘 수 있는 손잡이봉(1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제2재치대수단(12, 24, 112, 212, 250)위에 실질상 수평으로 올려 놀때에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2재치대수단의 외측연(沿)에 이탈방지부재(19)를 돌출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심장이 압박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의 재치대수단의 적어도 하나에 오목부 또는 개구(24b)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신체 재치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재치대수단의 적어도 하나에 리크라이닝수단(11a, 13)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동수단이 유체압 실린더(21, 121, 130, 221, 259) 및 이 유체압 실린더와 상기 제1 및 제2재치대수단의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a, 112a, 131, 212a, 25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225)를 상기 제1재치대수단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킬 때 상기 사용자를 올려놓기 위한 이동재치대수단(260)과 상기 이동재치수단을 매달아서 상승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263, 264, 266)와 상기 이동재치수단을 매달은 상기 승강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261, 262)를 또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263, 264, 266)를 상기 회동수단(21, 121, 130, 221, 257, 259)과 연관시켜서 상기 이동재치수단(260)의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수단.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263, 264, 266)가 활차장치(263)와 이 활자장치에 휘감아서 일단에서 상기 이동 재치수단(260)에 연결하고 타단에서 상기 제1제치대수단에 연결한 로우프(264, 26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263, 264, 266)가 활차장치(263)와 이 활자장치에 휘감아서 일단에서 상기 이동 재치수단(260)에 연결하고 타단에서 상기 제2제치대수단에 연결한 로우프(264, 266)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261, 262)가 천정에 건너지른 레일(261) 및 이 레일위를 주행할 수 있는 차륜(26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재치장치수단(260)을 이동시킬 때 이 이동재치수단을 소정의 매달은 위치에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장치(264c, 265)를 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225)를 상기 제1재치수단으로 부터 들어올려 이동시킬 때 상기 사용자를 올려놓기 위한 이동재치수단(260)과 상기 이동재치수단을 매달아서 상승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263, 264, 266)와 상기 이동재치수단을 매달은 상기 승강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장치(261, 262)를 또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263, 264, 266)를 리크라이닝 구동수단(13)과 연관시켜서 상기 이동재치수단(260)의 상승 및 하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 재치장치.
KR1019850000970A 1984-10-01 1985-02-16 신체 재치장치 KR880001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203938 1984-10-01
JP203983 1984-10-01
JP59203983A JPS6182751A (ja) 1984-10-01 1984-10-01 身体障害者用ベツト装置
JP59-212498 1984-10-12
JP59212498A JPS6190658A (ja) 1984-10-12 1984-10-12 身体載置装置
JP212498 1998-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003A KR860003003A (ko) 1986-05-19
KR880001004B1 true KR880001004B1 (ko) 1988-06-13

Family

ID=2651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970A KR880001004B1 (ko) 1984-10-01 1985-02-16 신체 재치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58451A (ko)
EP (1) EP0177663B1 (ko)
KR (1) KR880001004B1 (ko)
AU (1) AU562769B2 (ko)
BR (1) BR8500977A (ko)
CA (1) CA1233867A (ko)
DE (1) DE3578311D1 (ko)
ES (1) ES8602389A1 (ko)
IN (1) IN1629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511A (en) * 1990-03-01 1992-04-14 Hector Sequin Oscillatory bed
NZ244406A (en) * 1991-09-18 1995-05-26 Fernandez Hanns Josephine Apparatus for turning patient in bed, patient sandwiched between two controlled cushioned frames
US5224228A (en) * 1992-06-17 1993-07-06 Larrimore James R Longitudinally split, motor operated butterfly bed
AU4443599A (en) * 1998-06-04 1999-12-20 Andre Viljoen Therapeutic bed
US6711759B1 (en) * 2002-11-25 2004-03-30 Gary R. Kluckhuhn Transfer system for an invalid patient
US6908154B2 (en) * 2002-12-20 2005-06-21 Aono Co., Ltd. Fold-up wheelchair and elevating apparatus of the same
US6966081B1 (en) * 2004-06-14 2005-11-22 Lewis Sharps Transport and positioning system for use in hospital operating rooms
US7716761B1 (en) * 2005-07-06 2010-05-18 Gilstad Dennis W Adaptive positioning system
AU2006302675B2 (en) * 2005-10-07 2012-05-24 Conmedisys, Inc. Patient lift and transfer device
US7281284B2 (en) 2005-10-31 2007-10-16 Sims Jr Dewey M Variable motion rocking bed
US8042208B2 (en) * 2006-01-05 2011-10-25 Jan Gilbert Rotational operating table
US20080034495A1 (en) * 2006-01-06 2008-02-14 Stidd Raymond E Patient gurney
US7761942B2 (en) * 2007-10-09 2010-07-27 Bedlab, Llc Bed with adjustable patient support framework
US7886379B2 (en) * 2007-10-14 2011-02-15 Bedlab, Llc Support surface that modulates to cradle a patient's midsection
US7716762B2 (en) * 2007-10-14 2010-05-18 Bedlab, Llc Bed with sacral and trochanter pressure relieve functions
US20090094745A1 (en) * 2007-10-14 2009-04-16 Eduardo Rene Benzo Modulating Support Surface to Aid Patient Entry and Exit
TWI552742B (zh) * 2014-01-28 2016-10-11 國立清華大學 可提供翻身功能之病床
US9724254B2 (en) 2014-10-03 2017-08-08 Daryl L. Cole Adjustable bed
CN108430422B (zh) * 2015-10-02 2020-10-27 轻松行动设备私人有限公司 助行器
DK178773B1 (en) 2016-04-06 2017-01-16 Gdv Tech Aps Bed system that can be attached to a hospital bed
CN112451257B (zh) * 2020-12-14 2021-10-22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骨科的便于使用型换药床
CN114081741A (zh) * 2021-11-22 2022-02-25 王书珍 一种急诊用便于神经重症患者俯卧位通气仪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38A (en) * 1860-07-03 George a
US2698445A (en) * 1955-01-04 Tiltable bed spring and mattress
US554580A (en) * 1896-02-11 Weight
US1021335A (en) * 1911-05-11 1912-03-26 Thomas C Robinson Invalid-bedstead.
US1740906A (en) * 1925-06-17 1929-12-24 Rothauszky Simon Adjustable sectional bed
US2113286A (en) * 1936-02-15 1938-04-05 White Joseph Hospital bed
US2594926A (en) * 1949-12-21 1952-04-29 Roy T Hoffman Bed fence
US2680855A (en) * 1951-10-23 1954-06-15 Maudie L Robinson Attachment for lifting invalids in and out of bathtubs
DE1183200B (de) * 1962-09-05 1964-12-10 Albert Koch Krankenbett mit drehbaren Matratzen
US3302218A (en) * 1965-05-28 1967-02-07 Stryker Corp Turning frame
US3351959A (en) * 1966-04-22 1967-11-14 Bobby G Turpin Invalid lift
US3344445A (en) * 1966-08-12 1967-10-03 Institutional Ind Inc Side panel construction for stretcher-beds
US3783863A (en) * 1971-02-01 1974-01-08 W Kliever Method and apparatus for immobilizing a patient and conducting an x-ray examination
US4084274A (en) * 1975-05-01 1978-04-18 Betstone Industries Limited Turning bed
US4225988A (en) * 1979-01-30 1980-10-07 Cary George R Ortho-turn bed
SE428526B (sv) * 1979-12-04 1983-07-11 Landstingens Inkopscentral Anordning vid sengbottnar som er uppdelade i en lengsgaende mittdel och tva lengsgaende sidodelar
US4486908A (en) * 1981-07-23 1984-12-11 Schroeder Warren C Support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77663B1 (en) 1990-06-20
EP0177663A3 (en) 1987-10-07
ES540731A0 (es) 1985-12-01
DE3578311D1 (de) 1990-07-26
KR860003003A (ko) 1986-05-19
ES8602389A1 (es) 1985-12-01
CA1233867A (en) 1988-03-08
BR8500977A (pt) 1985-10-29
US4658451A (en) 1987-04-21
EP0177663A2 (en) 1986-04-16
AU3856885A (en) 1986-04-10
IN162913B (ko) 1988-07-23
AU562769B2 (en) 198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004B1 (ko) 신체 재치장치
US5333334A (en) Human body moving apparatus
EP0503953B1 (en) Bed apparatus and rehabilitation attachment
US6668396B2 (en) Turning mechanism for a patient confined to a bed
CN109316299A (zh) 一种多功能轮椅护理床
EP0475691B1 (en) Bed apparatus
US3210778A (en) Hospital bed
US4086672A (en) Lifting device
US5383238A (en) Independent lift
JP4920998B2 (ja) ベッド装置
JP3691603B2 (ja) バスリフト入浴装置
JP2901893B2 (ja) 車椅子
CN213431252U (zh) 护理机
JP3069175B2 (ja) 入浴装置
US1823425A (en) Invalid lifter and carrier device
CN214180818U (zh) 一种便于转移和翻动病人的病床
JPH0527935Y2 (ko)
JP3030406U (ja) 入浴補助装置
JPH0527934Y2 (ko)
JP3023285B2 (ja) リフト式入浴装置
JPH08280753A (ja) 吊持ベッド及び病人用移動介助装置
FI86595C (fi) Foerflyttbar anordning foer lyftning, vaendning och/eller foerflyttning av patient eller avliden.
JPS597455B2 (ja) 患者介助装置
JP2537696Y2 (ja) 入浴装置
JPH04122361A (ja) ベ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