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597B1 - 잡음 저감 회로 - Google Patents

잡음 저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597B1
KR880000597B1 KR1019810003279A KR810003279A KR880000597B1 KR 880000597 B1 KR880000597 B1 KR 880000597B1 KR 1019810003279 A KR1019810003279 A KR 1019810003279A KR 810003279 A KR810003279 A KR 810003279A KR 880000597 B1 KR880000597 B1 KR 880000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input
leve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280A (ko
Inventor
기리 겐 죠오 아까
마사유끼 가다꾸라
모도미 오오고오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9/02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frequency-dependent 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e.g. multiple-band systems

Landscapes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잡음 저감 회로
제1도는 잡음 저감회로의 종래예를 도시한 회로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의 회로의 입출력특성을 도시한 도표.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엔코더회로의 회로 계통도.
제4a도와 제4b도 및 제4c도는 제3도의 제1및 제2의 고역통과필터의 주파수특성과 이들을 합성한 주파수 특성도.
제5도는 제3도의 회로의 입출력 특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의 디코더회로를 도시한 회로 계통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의 엔코더회로를 도시한 회로 계통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디코더회로를 도시한 회로 계통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회로 계통도.
제10도는 제5실시예의 주파수 특성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의 입출력 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31, 41, 101 : 입력단자 12, 22, 32, 43 : 출력단자
13 : 제1고역 통과필터 14 : 제2고역 통과필터
15, 23, 45, 125 : VCA(전압제어 형증폭기) 16, 26 : 플랫(flat)통과회로
17, 27, 34, 44 : 가산기 18, 28, 128 : 제어회로
20, 40 : 엔코더회로 23, 123 : 제1저역 통과필터
24, 124 : 제2저역 통과필터 30, 50, 150 : 디코더회로
33, 43 : 전송로 100 : 잡음저감회로
103 : 고이득증폭기 102 : 엔코드출력단자
142 : 디코드출력단자
본 발명은 예를들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녹음 및 재생시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콤팬더형 잡음저감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잡음 저감회로의 종래예가 제1도에 도시된다. 제1도의 회로는 잡은 저감시스템의 엔코드측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입력단자 1에 공급된 오디오 신호등의 입력신호는 잡은저감회로에 있는 엔코더회로 10에서 엔코드되어 출력단자 2로 이송되고 이 엔코드출력신호는 예를들면, 테이프레코더로 이송된다. 엔코더회로 10은 입력단자 1에 접속된 프리엠파시스(고역증강)용의 고역통과필터 3과, 이 고역통과필터 3과 출력단자 2상이에 삽입되어 접속된 가변이득중폭기 4와, 이 가변이득증폭기 4의 출력을 검출한 신호를 제안신호로서 가변이득증폭기 4의 제어단자로 이송시키는 제어회로 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변이득증폭기 4는 예를들면, 연산증폭기 6과 입력저항 8및 이 부귀환저항 8에 병렬접속된 가변저항소자 9로 이루어진다. 이 가변저항소자 9는 제어회로 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저항치가 변화되며, 부귀환량이 변화되어 증폭기 4의 이득이 변화된다.
이 엔코더회로 10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등의 입력신호는 고역통과필터 3에서 고역이 강조되어 가변이득증폭기 4로 이송된다. 가변이득증폭기 4는 제어회로 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가변저항소자 9의 저항치가 제어되는데 의해 이득이 제어되는 것으로 입력레벨이 클수록 부귀환회로중의 가변저항소자 9의 저항치가 작게 되어 이득이 저하된다. 따라서, 입력에 대해 출력은 레벨압축된다. 이 가변이 증폭기 4의 부귀환저항 8은 입력레벨이 극히 작게되어 가변저항소자 9의 저항치가 극도로 크게되는 경우에 부귀환회로의 저항치의 상환을 억제하여 가변이득증폭기 4의 최대이득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엔코더회로 10에 있어서, 가변이득증폭기 4의 입력은 프리엠파시스용의 고역통과필터 3의 출력이므로 가변이득증폭기 4의 입력레벨은 주파수특성을 가지며 저역일수록 레벨이 저하되는 것에 의해 엔코더회로 10의 입력특성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레벨입력시의 특성곡선이 주파수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즉, 가변이득증폭기 4자체는 어떤 주파수에 있어서도 일정한 입력레벨이 이하로 이득이 제한되어 불변으로 되어 주파수특성을 안가지는 것이지만, 프리엠파시스용의 고역통과필터 3은 주파수에 의해 이득(또는 감쇄율, 전달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가변이득증폭기 4의 이득이 불변으로 될 때의 입력단자 1의 입력레벨이 주파수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프리엠파시스용의 고역통과필터 3을 출력단자 2측에 접속한 경우에도 거의 똑같은 주파수특성을 가진 입출력으로 된다. 또한 디코더측에서 레벨신장 및 디엠파시스를 행하는 경우에도 제2도의 입력과 출력이 역으로 되는 특성이 된다.
제2도와 같은 주파수특성을 가진 입출력 특성의잡음 저감회로를 사용할 때에 엔코더회로 출력 레벨과 디코더회로 입력레벨이 근소하게 어긋날 경우, 예를들면,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테이프 감도의 불균형등에 의해 녹음입력 레벨과 재생출력 레벨간에 어긋남이 생길 경우에는 디코더출력에 주파수에 의한 레벨변동이 생긴다. 예를들면, 제2도의 점 a의 입력레벨을 엔코드할 때, 10kHz의 신호는 예를들면 압축비율이 그의 입출력특성에 대응하여 점 b의 출력레벨로 되는 것에 대해, 100Hz의 신호는 가변이득 증폭기 4의 이득이 불변으로 되어 있는 압축비율이 1의 입출력특성에 대응하여 점 C의 출력레벨로 된다. 이때, 엔코더회로 10의 출력단자 2에 접속된 테이프 레코더등의 신호전송 시스템내에 있어서, 예를들면, △1의 레벨다운이 생길경우에 점 b, c는 각각 점 b', c'의 레벨로 되어 디코더회로(도시안됨)에 이송된다. 이 디코더회로는 상기 엔코더회로 10과 반대로 입출력특성을 가지고 있고, 제2도의 입력레벨과 출력레벨을 서로 교환한 특성이 되므로 제2도의 점 b'의 레벨은 디코드되는 것에 의해 점 d의 레벨로 또 점 c'는 점 e의 레벨에 의하여 각각 출력된다. 여기서 예를들면 압축비율이 2일 때 점 ad간의 레벨차는 점 ae간의 레벨차의 2배(단 dB단위로)로 된다. 또 엔코드 입력신호의 레벨점 a근처에서 변화하였을 때 디크드된 출력신호의 레벨변화가 10KHz와 100Hz로서 배가 다른 것에 의하여 양호한 재생이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현실에 사용가능한 엔코드입력 레벨의 범위로스는 제2도의 저역주파수(예를들면 100Hz)의 신호의 이득이 불변으로 되는 레벨 1이상으로 되어 동적 영역이 좁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레벨입력시에도 전주파수 영역에 걸쳐서 양호한 엔코드, 디코드가 행해져 동적영역을 넓게 할 수 있는 잡은저감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간 저역의 비교적 대입력시에 큰 엠파시스가 걸려져 다른 상태에서는 엠파시스량이 약간 억제되는 가변 엠파시스 특성을 얻어 잡음변조의 저감을 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잠음 저감회로의 특징은 엠파시스용의 제1필터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이득이 변화하는 가변이득회로와 이 가변이득회로의 입력 또는 출력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로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이득회로에 직렬접속된 엠파시스용의 제2필터와 이들의 가변이득회로와 제2필터와의 직렬접속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이 직렬 접속회로에의 입력신호가 신호레벨 때의 이득을 불변으로 하는 플랫통괴회로를 구비하여 입력신호가 소레벨일 때에는 상기 제1필터에 의하여 전체의 주파수 특성을 지배하고 입력신호의 레벨증가에 수반하여 상기 제1필터의 특성에 상기 제2필터의 특성을 부가한 주파수특성을 얻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되는 잡음저감회로를 도시하는 회로계통도이고 예를들면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잡음저감시스템 중 녹음 입력측에 설치되는 엔코더회로에 본 발명을 적용한 일예이다. 이 제3도의 엔코더회로 20은 입력단자 11에 공급된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고역증강(프리 엠파시스)이나 레벨압축등의 신호처리를 행하여 출력단자 12를 거쳐서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도시안됨)의 녹음입력단자에 이송된다. 상기 프리엠파시스용으로는 제1고역통과필터 13과 제2고역통과필터 14를 또 상기 레벨압축용으로는 가변이득회로 예를들면 VCA(전압제어형증폭기) 15를 각각 사용하고 있다.
VCA 15와 제2고역통과필터 14는 직렬접속되어 이 직렬접속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이득변화가 없고(이득 제어를 안받고) 주파수 특성이 평탄한 예를들면 저항만으로 된 플랫통과회로 16이 접속되어 있다.
이 플랫통과회로 16은 VCA15와 제2고역통과필터 14의 직렬접속회로의 출력을 입력측의 가산기 17에 감산신호로서 이송하는 부귀환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VCA 15의 이득이 크게 되었을 때에 부귀환량을 많이하여 이들 VCA 15, 제2고역통과필터 14, 및 플랫통과 16으로 구성된 부귀환증폭회로의 이득증대를 제한한다. 즉 VCA 15의 이득이 크게 될 때에 상기 부귀환증폭회로 전체의 이득을 상환치 근처에서 불변으로 한다. 다음에 가변이득회로인 VCA 15의 이득제신호는 검파기나 평활회로등을 가진 제어회로 18로 부터 얻어진다. 이 제어회로 18은 VCA 15의 입력 혹은 출력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로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VCA 15의 출력측의 제2고역통과필터 4로부터의 출력을 취출하여 대기용의 고역통과필터 19를 거쳐 제어회로 18로 입력된다.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입력단자 11과 출력단자 12사이에 제1고역통과필터 13, 가산기17, 가변이득회로인 VCA 15 및 제2고역통과필터 14의 순으로 직렬접속하여 주통로를 구성하고 있으나 이 접속순서는 변동될 수도 있다. 즉, VCA 15 와 제2고역통과필터 14는 서로 교환할 수가 있고 출력단자 12의 직전에 VCA 15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 VCA 15, 제2고역통과필터 및 플랫통과회로 16으로된 부귀환증폭회로와 제1고역통과필터 13을 서로 교환하여도 좋고 제1고역통과필터 13을 출력단자 12의 직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더우기 제어회로 18에 공급하는 신호로서는 VCA 15의 입력측의 주통로의 임의점의신호를 취출하여 사용하든지 혹은 이들의 출력츠과 입력측으로 부터의 신호와 화, 차신호를 사용할 수가 있다. 단, 이 제1실시예는 엔코회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VCA 15는 레벨압축동자을 행하는 것이므로 입력신호의 레벨이 저하할수록 VCA 15의 이득을 크게하여 혹은 입력신호의 레벨이 상승할수록 VCA 15의 이득을 작게하는 제어회로 18과 VCA 15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VCA 15이외에도 여러 가변이득회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제1고역통과필터 13은 예를들면 제4a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주파수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저역측의 응답(또는 이득)이 고역측보다는 거의 10dB 저하되어 있고 1KHz부터 거의 6dB □oct.의 곡선으로 3.18Khz까지 상승되어 있다.
또, 제2고역통과필터 14는 예를들면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주파수특성을 가지고 1.58HHz부터 5KHz간에서 거의 6dB loct.의 곡선의 응답변화가 있고 응답변화의 최대폭은 거의 10dB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잡음저감용의 엔코더회로 20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렙레이 작을 때에는 VCA 15의 이득이 크게 되어 있다. 이 VCA 15는 플랫통과회로 16을 부귀환통로로 하는 부귀환증폭회로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VCA 15의 이득이 클 때에는 이 부귀환증폭회로로 전체의 이득은 플랫통과회로 16의 역특성에 거의같은 치의 근처에서 불변이 된다.
여기서 플랫통과뢰로 16은 단순한 저항이므로 저항치 R의 역특성은 1/R로서 플랫한 주파수특성으로 된다. 따라서 제2고역통과필터 14의 주파수 특성이 상기 부귀환증폭회로의 외부에 나타나지 않게 되어 엔코더회로 20전체의 주파수 특성은 제1고역 통과필터 13에 의하여 거의 지배되어 예를들면 제4a와 같은 주파수특성이 얻어진다. 이 제1고역통과필터 13의 주파수특성은 응답의 경사가 6dB/oct 정도의 소위 1차의 필터특성이고 또 고역주파수와 저역주파수의 응답차는 10dB 정도이므로 프리엠파시스 효과는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신호의 소레벨영역에 있어서 각주파수 예를들면 10KHz, 1KHz, 100Hz마다의 입출력특성 곡선은 예를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 접근하여 표시되어 상기 부귀환증폭기의 이득이 불변이 되는 레벨 L까지의 입력레벨의 범위를 종래의 제2도의 레벨 1보다도 넓게 취할 수가 있다.
다음에 입력시호의 레벨이 크게되면 VCA 15의 이득이 저하하므로 이 VCA 15를 포함하는 상기 부귀환증폭회로에 제2고역 통과필터 14의 주파수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엔코더회로 20의 전체특성은 제1고역통과필터 13에 제2고역통과ㅍ리터 14를 부가한 예를들면 제4c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주파수 특성에 가까워진다. 이 제4c도의 특성은 제4a도, 제4c도의 특성을 합성한 것으로서 응답의 최대경사는 약 12dB/oct.의 소위 2차의 필터특성을 표시하고 저중역주파수와 고역주파수와의 응답차는 최대 20db정도까지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큰 프리엠파시스가 걸려져 저중역과 고역의 분리에 우수하기 때문에 중저역신호에 의한 잡음변조현상을 더욱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로서의 잡음저감회로를 도시하고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대칭적으로 오디오테이프 레코더의 재생출력측에 설치되는 디코더회로에 본 발명을 적용한 일예이다. 이 제6도의 디코더회로 30은 오디오 테이프 레코다(도시안됨)의 재생출력단자로부터 입력단자 21에 공급된 재생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고역감쇄(이엠파시스)나 레벨신장등이 신호 처리를 행하여 출력단자 22로 이송한다. 상기 디엠파시스용으로는 제1, 제2저역통과필터 23, 24를 사용하여 상기 레벨신장용으로는 가변이득회로 예를들면 VCA (전압제어형증폭기) 25를 사용하고 있다. 또 제2저역통과필터 24와 VCA 25를 직렬접속하여 이 직렬 접속회로에 대하여 병렬로 플랫통과회로 26을 접속하고 있다. 이 플랫통과회로 26은 직렬접속하여 이 직렬 접속성이 평탄하고 예를들면 저항만을 사용하여 VCA 25에 대하여 순방향전송을 행하고 있다. VCA25로 부터의 출력과 플랫통과회로 26으로부터의 출력은 가산기 27에서 가산되어 제1저역 통과필터 23으로 이송된다.
더우기 VCA 25에 대한 제얻신호로서는 예를들면 입력단자 21로부터의 신호를 대기용의 고역통과필터 29를 거쳐서 제어회로 28로 이송하여 이 제어회로 28로 검파, 평활등을 행한 신호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과 같이 제2저역통과필터 24와 VCA 25를 교환 가능하고 이들이 직렬접속회로와 제1저역통과필터 23도 교환가능하다. 또 VCA 25로의 제어신호는 VCA 25의 입력측만 아니라 출력측 혹은 입력측으로부터의 신호와 출력측으로부터의 신호의 합이나 차등을 사용하여 얻을 수도 있다. 단, VCA 25는 레벨신장동작을 행하는 것이므로 입력신호의 레벨이 작을 때에는 이득을 작게 혹은 입력신호의 레벨이 클 때에는 이득을 크게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우기 VCA 25 이외에도 여러개의 가변이득 회로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제1, 제2저역통과필터 24, 25는 예를들면 제1실시에의 제1, 제2고역통과필터 14, 15의 주파수특성(제4a,b참조)에 대하여 각각 역특성이 되는 주파수 특성으로 하면 좋고 저역측응답이 고역측보다도 약 10dB상승되어 있고 어느 것이든 각각 2개의 턴오버주파수(혹은 차단주파수)를 가지는 1차 저역통과 필터특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같이 구성된 잡음저감용의 디코더회로 30에 있어서 입력신호의 레벨이 작을 때에는 VCA 25의 이득이 작고 플랫통과회로 26의 특성이 유력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디코더회로 30의 전체주파수특성은 제1저역통과필터 23에 의하여 거의 결정되어 응답의 경사가 최대 6dB/oct. 정도의 1차 저역통과필터 특성이고 저역측과 고역측의 응답차도 10dB 정도이다. 이 때문에 소신호 입력시의 고역주파수와 저역주파수의 입출력 특성의 차가 적게 되어 종래에 있어서 테이프 감도 오차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파수특성상의 오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입력신호의 레벨이 증대되면 VCA 25의 이득이 크게 되어 제2저역 통과필터 24의 주파수특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디코더 회로 30의 주파수특성은 제1저역통과 필터 23에 제2저역통과 필터 24를 부가한 특성으로 가까워진다. 따라서 응답의 최대경사가 약 12dB/oct.로 되어 저역과 고역의 응답차가 최대 20dB 정도로 되어 큰 디엠파시스가 걸려져 중저역과 분리도가 높아지며 잡은변조가 감소한다.
다음에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신호 레벨이 더욱 크게 되었을 때에 고역신호에 의한 중저역의 잡음 변조를 감쇄시키기 위하여 이득변화가 없는(이득제어를 안 받는다) 전송로 33일 추가한 엔코더회로 4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전송로 33은 상기 제1실시예의 엔코더회로 20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되고 있고 주파수특성으로서 저역통과특성 혹은 플랫트와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련단자 3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로 33을 거쳐 가산기 34로 이송하고 이 가산기 34에 있어서 전술한 엔코더회로 20으로부터의 출력과 가산하여 출력단자 32로 이송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제3도와 같으므로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같은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의 동작을 행할 뿐 아니라 입력신호의 레벨이 더욱 크게 되었을 때에는 전송로 33이 유력하게 되어 프리엠파시스량이 감소하고 혹은 약간 고역이 저하하는 경향으로 된다.. 이와같은 대입력시의 프리엠파시스량의 감소에 의하여 고역신호에 의한 증저역의 잡은변조를 경감할 수가 있다. 또 VCA 15를 포함하는 주통로중의 예를들면 VCA 15의 출력측에 리미터회로를 삽입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입력신호 레벨이 급격하게 증대한 경우의 오버슈트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때의 대입력신호는 전송로 33을 거쳐 출력단자 32로 이송되므로 신호의 외곡은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 상기 제3실시예와 대칭적인 회로구성의 디코더회로 50을 제8도에 도시한다. 이 제4실시예의 디코더회로 50은 전술한 제6도에 도시하는 제2실시예의 디코더회로 30에 대하여 병렬로 이득제어를 받지 않는 전송로 43을 접속하여 되고 입력신호 렙레이 더욱 크게 되었을 때의 디엠파시스량을 감소시키고 있다. 즉 디코더회로 50의 입력단자 41부터의 입력신호를 가산기 44를 거쳐 전술의 디코더회로 30으로 이송하고 이 디코더회로 30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출력단자 42로 이송하는 동시에 상기 전송로 43을 거쳐 연산신호로서 가산기 44로 이송된다. 여기서 전송로 43은 저역통과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8도 중의 일부가 되는 디코더회로 30의 구성은 전술한 제6도와 같으므로 같은 부분에는 동일의 참조번호를 부쳐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술하 제2실시예와 같은 동작을 행할 뿐 아니라 입력신호의 레벨이 더욱 증대하였을 때에는 전송로 43의 영향이 나타난다. 이 전송로 43은 부귀환로 이므로 디코더회로 30에는 전송로 43의 역특성인 고역통과형 혹은 플랫통과형의 주파수 특성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 디엠파시스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대입력시의 고역신호에 의한 중저역의 잡음 변조를 경감할 수가 있다. 또 VCA 25를 포함하는 주통로중에 안티리미터회로를 삽입접속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 제4실시예를 사용하여 실용적인 콤팬더형의 잡음저감회로를 구성한 제5실시예를 제9도에 도시한다.
이 제9도의 잡음 저감회로 100은 스위치의 절환조작에 의하여 엔코드 동작과 디코드 동작이 임의로 선택되어 예를들면 일반의 오디오 카셋트 덱크 내장형의 혹은 독립의 잡음 저감장치로서 적합한 것이다. 현재의 잡음저감을 행하는 회로부로서는 상기 제4실시예의 디코더회로 50과 거의 같은 디코더회로 150을 사용하고 있다. 엔코드동작시에는 연산증폭기 등의 고이득 증폭기 103의 부귀환회로중에 상기 디코더회로 150을 삽입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디코드특성의 역특성으로서의 엔코드특성을 얻고 있다.
즉, 잡음저감회로 100의 입력단자 101에는 엔코드동작시는 마이크로폰이나 튜너등의 음원(소스)으로부터의 오디오신호가 공급되어 디코드동작시는 전송매체를 거쳐 얻어진 오디오신호 특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로부터의 재생출력신호가 공급된다. 이 입력단자101은 연산증폭기등의 고이득증폭기(103의 비반전입력단자(정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이 고이득증폭기 103의 출력단자는 엔코드 출력단자(102 및 디코더 회로 150의 입력단자 141에 접속된다. 이 디코더회로 150의 출력단자는 디코드 출력단자 142및 절환스위치 104의 엔코드 절환단자 e에 접속된다. 또 고이득증폭기 103의 출력단자는 귀환저항 105를 거쳐 절환스위치 104의 디코드 절환단자 d에 접속되어 이 절환스위치 104의 고정단자(공통단자)는 고이득증폭기 103의 반전입력단자(부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제9도 중의 디코더회로 150은 제8도의 디코더회로 50과 거의 같게 구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의 참조번호에 100을 부가한 번호로 표시하고 있다. 또 플랫통과회로 26에는 저항 126을 사용하고 또 전송로 43에도 저항 143을 사용하고 있다. 또 제8도의 대기용의 고역통과필터 29는 2개의 고역통과필터 130, 129를 직렬접속하여 구성하고 있고 이들의 고역통과필터 130, 129의 접속점으로 부터의 출력일부를 안티리미터회로 131를 거쳐서 가산기 127로 이송하고 있다.
이와같은 회로구성을 가지는 디코더회로 150에 있어서 제1저역통과필터 123의 전달계수를 F1, 제2저역통과필터 124의 전달계수를 F2로 하여 이들의 F1, F2 를
Figure kpo00001
단 S=rw
로 놓을 때 예를들면, g1=g2-10유, T1=159㎲, T2=50㎲, T3=100㎲, T4=31.8μ로 하면 각 저역통과 필터 123, 124의 특성은 전술한 제4a도, 제4b도의 각각 역특성으로 된다. 더우기 VCA 125의 이득을 G, 상기 플랫통과회로인 저항 126의 전달계수를 H1, 상기 전송로인 저항 143의 전달계수를 H2로 할때 디코더 회로 150의 전달계수 H는
Figure kpo00002
으로 표시되나. 그리고 디코드 동작시에는 절환스위치 104가 디코드 절환단자 d에 절환접속되어 고이득증폭기 103의 부귀환로에 저항 105가 접속되므로 입력단자 101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는 고이득증폭기 103으로 단순히 증폭되어 디코더회로 150에 의하여 디엠파시스나 레벨신장등의 디코드동작이 행해져 디코드 출력단자 142로 이송된다.
다음에 엔코드동작시에는 절환스위치 104가 엔코드 절환단자 -에 절환접속되므로 고이득증폭기 103의 부귀환회로 중에 상기 전달계수 H의 디코더회로 150이 삽입접속되는 것이 된다. 여기서 고이득증폭기 103의 이득을 A로 할때 입출력단자 101, 102간의 전달계수는 U는
Figure kpo00003
로 표시된다. 이(4)식의 A가 대단히 큰(고이득)경우에는
Figure kpo00004
로 되어 디코더회로 150의 전달계수 H의 역특성 즉 엔코드특성을 가지는 전달계수가 얻어지는 것이 된다.
즉, 제10도 및 제11도는 잡음저감회로 100의 절환스위치 104를 엔코드 절환단자 -에 절환접속한 엔코드 동작시에 있어서 입력단자 101의 입력신호에 대한 엔코드 출력단자 10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측정한 도표이다. 여기서, 제10도는 2신호 입력에 대한 주파수 특성도표이며 곡선 A가 입력이 없는 상태를 곡선 B가 400Hz, 0dB 입력시의 상태를 또 곡선 C가 1KHz, -10dB 입력시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다음에 제11도는 각 주파수 예를들면 100Hz, 1KHz, 10KHz의 입력신호에 대한 입출력레벨을 도시하는 도표이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도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변이득폭을 크게 취할 수 있는 VCA를 사용하고 고역에서 약 30dB나 큰 잡음저감효과가 얻어져 오디요 용의 콤팩트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사용하여 90dB 이상의 동적영역을 얻을 수가 있다. 또 음질 열화나 청취시의 위화감이 생기기 어렵게 여러가지의 대책을 취하고 있고 특히 잡음변조와 테이프감도 오차에 대한 대책으로서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중역에서 비교적 큰 레벨입력시의 엠파시스특성을 12db/oct 정도의 2차필터 특성으로 하여 큰 엠파시스량을 얻게 하는 동시에 소레벨입력시나 고역대레벨 입력시에는 거의 상기 제1필터만에 의한 1차 필터특성으로서 엠파시스를 억제하여 소위 가변프리엠파시스 특성을 얻고 있다. 또 넓은 입력레벨범위(+15dB 내지 -50dB)에 있어서 주파수에 너무 의존하지 않은 일정의 (2정의 )압축 비율을 주어 또 상기 가변프리엠파시스의 입력레벨 의존성을 탈피하는 것에 의하여 테이프감도의 불균형에 의하여 생기는 진폭 및 스펙트럼 오차를 작게하고 있다.
더우기 입력신호의 입상이 빠른 경우의 테이프포화나 파형의 곡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역만에서 동작하는 리미터회로(제9도의 안티리미터회로 131)를 사용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해진다. 또 넓은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가지는 소스로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게 상기 제1, 제2필터(제9도의 저역통과필터 123, 124)나 상기 대기회로의 주파수 대역에 제한을 가하여 동작의 감도가 크게 되지 않게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제1내지 제4실시예에 대하여도 연산증폭기등의 고이득증폭기의 귀환회로 중에 삽입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 역특성을 얻을 수가 있고 또 제5실시예와 같게 절환스위치를 사용하여 디코드, 엔코드동작을 절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엠파시스용의 제1필터와, 제어신호에 따라 이득이 변화하는 가변이득회로와, 이 가변이득회로의 입력 또는 출력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로 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가변이득회로에 직렬접속된 엠파시스용의 제2필터와, 이들의 가변이득회로와 제2필터의 직렬 접속회로에 대해 병렬접속되어 이 직렬 접속회로로의 입력신호가 소레벨일 때의 이득을 불변으로하는 플랫통과회로를 구비하여 입력신호가 소레벨일 때 상기 제1필터에 의해 전체의 주파수특성을 지배하고, 입력신호의 레벨증가에 따라 상기 제1필터의 특성에 상기 제2필터의 특성을 부가한 주파수 특성을 얻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음저감 회로.
KR1019810003279A 1980-09-03 1981-09-03 잡음 저감 회로 KR8800005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1208 1980-09-03
JP55-121208 1980-09-03
JP55121208A JPS5746517A (en) 1980-09-03 1980-09-03 Noise reduction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280A KR830008280A (ko) 1983-11-16
KR880000597B1 true KR880000597B1 (ko) 1988-04-16

Family

ID=1480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279A KR880000597B1 (ko) 1980-09-03 1981-09-03 잡음 저감 회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427950A (ko)
JP (1) JPS5746517A (ko)
KR (1) KR880000597B1 (ko)
AT (1) AT374938B (ko)
BE (1) BE890183A (ko)
CA (1) CA1178210A (ko)
CH (1) CH653795A5 (ko)
DE (1) DE3134669C2 (ko)
FR (1) FR2489573B1 (ko)
GB (1) GB2083985B (ko)
IT (1) IT1138559B (ko)
NL (1) NL1917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858U (ja) * 1983-07-04 1985-01-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ノイズリダクシヨン回路
US4795025A (en) * 1985-06-28 1989-01-03 Kabushiki Kaisha Toshiba Parts feeding apparatus of the piezoelectric drive type
JP3436777B2 (ja) * 1993-08-11 2003-08-1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ノイズリダクシ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再生ポジション選択方法および装置
WO1998010590A1 (fr) * 1996-09-02 1998-03-12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transmission d'un signal video
KR100213073B1 (ko) * 1996-11-09 1999-08-02 윤종용 재생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상 장치
KR100667852B1 (ko) * 2006-01-1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레코더 기기의 잡음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4813189B2 (ja) * 2006-01-23 2011-11-09 株式会社リコー 高調波抑制回路
EP1857902A1 (en) * 2006-05-18 2007-11-21 Saab Ab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backlash
JP5882253B2 (ja) 2013-04-23 2016-03-09 高千穂産業株式会社 長尺物品の位置測定方法
CN105656442A (zh) * 2014-11-21 2016-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增益处理方法和装置
DE102015110460B4 (de) * 2015-06-30 2017-01-19 Schmidhauser Ag Erkennung eines Netzphasenausfalls bei Umrichtern mit einer Frequenzdetektion in der Zwischenkreisspann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8416A (en) * 1971-07-26 1972-07-18 Richard S Burwen Dynamic noise filter having means for varying cutoff point
CA955532A (en) * 1971-04-16 1974-10-01 Masao Tomita Automatic noise reduction system
JPS52142409A (en) * 1976-05-21 1977-11-28 Toshiba Corp Noise reduction system
DE2747415C3 (de) * 1976-10-21 1981-05-14 Tokyo Shibaura Electric Co., Ltd., Kawasaki, Kanagawa Rauschunterdrückungssystem
US4101849A (en) * 1976-11-08 1978-07-18 Dbx, Inc. Adaptive filter
JPS56106433A (en) * 1980-01-28 1981-08-24 Sony Corp Noise reducing circuit
US4337445A (en) * 1981-01-21 1982-06-29 Sony Corporation Compander circuit which produces variable pre-emphasis and de-empha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91723B (nl) 1995-12-01
DE3134669C2 (de) 1995-01-05
JPH0123963B2 (ko) 1989-05-09
BE890183A (fr) 1982-01-04
DE3134669A1 (de) 1982-05-06
IT8123755A0 (it) 1981-09-02
GB2083985A (en) 1982-03-31
FR2489573B1 (fr) 1985-12-13
NL191723C (nl) 1996-04-02
CH653795A5 (de) 1986-01-15
NL8104090A (nl) 1982-04-01
KR830008280A (ko) 1983-11-16
JPS5746517A (en) 1982-03-17
FR2489573A1 (fr) 1982-03-05
GB2083985B (en) 1984-10-31
AT374938B (de) 1984-06-12
IT1138559B (it) 1986-09-17
US4427950A (en) 1984-01-24
CA1178210A (en) 198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595B1 (ko) 적응 신호웨이팅 시스템
US4490691A (en) Compressor-expander circuits and,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for suppressing mid-frequency modulation effects and for reducing media overload
US4538297A (en) Aurally sensitized flat frequency response noise reduction compansion system
US4162462A (en) Noise reduction system
JPS6128162B2 (ko)
US4363006A (en) Noise reduction system having series connected variable frequency filters
JPS6144420B2 (ko)
KR880000597B1 (ko) 잡음 저감 회로
US4112254A (en) Signal compander system
US4471318A (en) Circuit for noise reduction particularly useful with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441084A (en) Noise reduction circuit
KR0149651B1 (ko) 압축기 또는 신장기와 같은 오디오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변경시키기 위한 회로 및 그 방법
US4306201A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JPH01236710A (ja) 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
KR840002901Y1 (ko) 잡음 감쇄회로
JPS6232850B2 (ko)
JPS63119328A (ja) 信号の録音及び送信システムにおける媒体過負荷効果を低減させるノイズ低減装置
GB2079113A (en) Networks for suppressing mid-frequency modulation effects in compressors, expanders and noise reduction system
JPS6322374B2 (ko)
JPS6316052B2 (ko)
JPH0522416B2 (ko)
IE52495B1 (en) Improvements in circuit arrangements for modifying dynamic range
JPH0474886B2 (ko)
JPS5953607B2 (ja) 雑音逓減回路
CA1219809A (en) Audio compressors and expan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