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465B1 - 케이블형 타이어체인 - Google Patents

케이블형 타이어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465B1
KR880000465B1 KR8201243A KR820001243A KR880000465B1 KR 880000465 B1 KR880000465 B1 KR 880000465B1 KR 8201243 A KR8201243 A KR 8201243A KR 820001243 A KR820001243 A KR 820001243A KR 880000465 B1 KR880000465 B1 KR 88000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nsverse
friction
elements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852A (ko
Inventor
워커 카우츠 제임스
죠셉 마틴넬리 린
Original Assignee
다니엘보이드 그리피스
번즈 브로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246,362 external-priority patent/US4366849A/en
Priority claimed from US06/246,363 external-priority patent/US4366850A/en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보이드 그리피스, 번즈 브로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다니엘보이드 그리피스
Publication of KR83000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08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involving lugs or rings taking up wear, e.g. chain links, chain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formed of close material, e.g. leather or synthetic 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Ropes Or Cable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케이블형 타이어체인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형태의 타이어 체인을 장착한 차량 타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2-2의 단면도.
제3도는 횡요소와 연결요소를 포함한 제1도의 타이어체인의 부품 분해도.
제4도는 마찰슬리브의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5-5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제3도의 선6-6선 확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2형태의 타이어 체인을 장착한 차량 차량타이어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선8-8의 확대단면도.
제9도는 횡요소와 연결요소를 포함한 제7도의 타이어체인 부품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타이어 12, 14 : 측요소
16 : 측벽부 18 : 횡요소
20 : 마찰수단 24 : 연결구
28 : 부싱 34 : 연결수단
본 발명은 차량 타이어용 예를들어 빙판이나 눈위에서의 마찰을 개선한 케이블형 체인에 관한 것이다. 특히, 타이어의 양측벽주위 외주를 둘러싸기에 적합한 한쌍의 가늘고 긴 가요성 측요소와, 마찰 슬리브와 같은 마찰수단을 구비하여 타이어 접지부를 가로질러 그 위를 연장하여 양 측요소를 연결하는 횡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형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의 체인은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제4, 155, 389호에서와 같이 잘 알려져 있다.
타이어와 체인의 마모를 극소화시키면서 마찰과 차량안정성 및 체인수명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이러한 케이블형 타이어체인의 설계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또는 다른 측면에서의 양호한 특성을 지닌 타이어 체인을 제공하는 데 적합한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의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횡요소의 단부와 각 측요소사이에 제조 및 응용면에서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그 횡요소와 측요소 사이에 상대적으로 낮은 측면연결부를 제공하며, 한정된 틈새를 지닌 차량바퀴벽부에 유용한 부착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횡요소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며, 확고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부착수단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 부착수단은 타이어 외형의 변화 및 또는 횡요소의 제한된 원주방향의 운동을 수용하기 위하여 횡요소 단부와 측요소 사이에서의 어느정도의 이동(보다 양호한 것은 힌지운동)이 가능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기준을 적절히 만족시키는 부착수단을 지닌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쌍의 가늘고 긴 측요소와, 이 측요소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마찰슬리브와 같은 마찰수단을 구비한 횡요소와, 횡요소의 단부와 각 측요소 사이를 부착하여 횡요소와 측요소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요소를 포함하는 부착수단을 구비한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을 제공한다. 한 연결요소는 머리부를 지니며 다른 하나의 연결요소에는 머리부가 삽입될 개구와 벤트오버랩(bent-over tap)을 지닌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와 개구의 형상은 그 탭의 판의 몸체쪽으로 평평하게 되어 있을 때 그 머리부가 개구부를 통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 판과 탭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되어 있다. 머리부, 탭 및 개구부의 상호구성은 연결요소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바람직한 형태이다. 상기 이동은 예를 들어 힌지에 의한 측 타이어의 측방향 및 원주방향의 이동이 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횡요소에 고정된 연결요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판과 탭은 다른한 연결요소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역으로 구성해도 된다. 한 양호한 형태로는 횡요소의 종축을 가로질러 연장된 횡단보을 지니는 거의 편평한 T자형 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른 한 형상으로는 머리부가 수용되어 있는 연결요소와 상대적으로 그 종축에 대하여 횡요소의 회전을 허용하는 외측곡면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에 이용할 새로운 형태의 마찰슬리브와 같은 마찰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슬리브는 직원통형부인 몸체부분을 포함하며 그 몸체부분에서 왼측으로 플래어 가공된 적어도 한 단부를 포함하며, 그 단부에는 슬리부 일단에 날카로운 모서리를 제공하는 노치를 형성한다. 슬리브의 양단은 도시된 바와같이 노치를 지니며 플래어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평판을 적절한 금형 따위에 의해서 관형으로 가공함으로써 슬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용 횡요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횡요소에는 마찰수단, 바람직하게는 마찰슬리브가 제공되며, 그 체인의 측요소에 횡요소를 연결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그 양단에 제공되며, 그 횡요소에는 케이블이 포함되며, 이 케이블 외면에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와이어 외장이 이 케이블 위에서 회전가능한 채 이 케이블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또한 횡요소의 구조는 이 횡요소의 양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가늘고 긴 외장이 구비되어 있고, 이 외장부의 단부상에 마찰슬리브가 회전장착되어 있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한 다음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자명하게 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차량타이어(10)에는 가늘고 긴 가요성 축요소(12)(14)(제1도에는 측요소(12)만 도시됨) 및 횡요소(18)을 포함한 제1형태의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이 설치된다. 측요소(12)(14)는 타이어의 양 측벽부(16)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마찰슬리브(20)형태의 마찰수단을 지닌 상기 횡요소(18)은 타이어 접지부(22)를 가로질러 연장하여 상기 측요소(12)(14)를 연결한다.
각 측요소(12)(14)는 잘알려진 적절한 연결구(24)(제1도)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케이블 체인이 견고하게 타이어에 고정되도록 한다.
측요소(12)(14)는 예를들어 밧줄형의 금속 케이블이나 다른 적절한 가늘고 긴 가요성 재료로 구성된다.
특히 제2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요소(18)은 케이블(26)(밧줄형 금속 항공케이블)을 포함하며, 이 케이블은 각각 케이블에 고정된 부싱(29)에 의해서 중앙부(A)와 외측부(B)(C)로 구분된다. 중앙부(A)주위에는 와이어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거의 전 중앙부에 걸쳐 가늘고 긴 외장(30)을 형성하며, 이 외장의 직경은 이 외장이 케이블(26)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직경으로 한다. 외측부(B) 및 (C)에도 역시 회전가능하며 나선형으로 감겨진 가늘고 긴 와이어 외장(32) 및 (31)이 설치된다. 횡요소의 각단부에는 부분적으로 구형인 머리부(37)를 지닌 고정부싱(36)형태의 연결요소가 구비된다. 케이블의 양 외측부(B)(C)의 각외장(32)(34)의 둘레에는 마찰슬리브(20)과 같은 다수의 마찰수단이 설치되며, 그 슬리브(20)의 직경과 수량은 그 슬리브(2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마찰슬리브(제4도 참조)는 원통형의 몸체부분(35)와 외측으로 벌어진 단부(38)로 구성된다. 그 단부(38)에는 빙판이나 눈길등의 노면속으로 파고들기 위한 날카로운 모서리(42)를 제공하는 V자 형상의 모치(4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요소인 부싱(28)은 부분적으로 구형인 머리부(29)를 지니며, 그 머리부(29)는 최내측 슬리브의 벌어진 단부에 수용되어 슬리브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베아링 표면을 제공한다.
슬리브는 금속스트립을 적절한 다이를 사용하여 벤딩가공(bending)하여 벌어진 단부를 지닌 관형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트립의 양단부(39)(41)은 완성된 슬리브의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이와같은 슬리브 제조방법의 경우 슬리브의 양단부를 플래어가공(flaring)하면 상기 스트립의 양 단부(39)(41)사이에서 자연히 V자형의 노치(40)이 형성된다.
전술한 각부분(A)(B)(C)의 길이는 타이어체인이 타이어에 장착되었을 때 타이어 접지부 중앙에는 마찰 슬리브가 존재하지 않고 타이어의 쇼울더(shoulder) (22a)(22b)근처에 마찰 슬리브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접지부 전체를 가로질러 슬리브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부싱(29)는 생략할 수 있고, 각 횡요소 전장에 걸쳐 하나의 와이어 외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횡요소의 각 단부에는 동일하지 않은 갯수의 마찰 스리브가 있으며, 실제로도 슬리브의 갯수는 경우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제2도,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횡요소(18)의 단부는 부싱(36)과 연결요소(34)를 포함하는 연결수단에 의해서 축요소(12)(14)에 연결된다.
각 연결요소(34)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즉 금속판의 일단부(46)을 구부려서 측부재에 연결될 탭을 형성하고, 금속판의 타단부를 구부려서 키홀형상의 개구(50)을 구비한 또 하나의 탭(48)을 한다. 상기 횡요소의 연결수단인 부싱(36)의 머리부(37)은 상기 키홀형상의 개구(50)의 큰 개구부분을 통해 삽입되며, 이어서 탭(48)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더욱 구부리게 되면 부시의 머리부(37)은 연결요소(34)내에 포획된 상태가 된다. 상기 키홀형상의 개구(50)의 좁은 개구부분의 폭은 상기 부싱의 머리부(37)가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좁게되어 있으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탭(48)을 더욱 구부려줌에 의해 부싱의 머리부(37)이 상기 개구(50)의 큰 개구부분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부싱의 머리부(37)의 형상이 부분적인 구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횡요소는 그 종축선에 대해 회전운동은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횡요소를 분해시키고자할 경우에는 공구를 사용하여 탭(48)을 제3도에 도시한 위치로 편다음, 상기 키홀형상의 개구(50)의 큰 개구부분을 통해 부싱의 머리부(37)을 제거하면 분해된다.
횡요소의 케이블(26)이 연결요소(34)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고, 또 와이어 외장(30, 31, 32) 및 마찰 슬리브가 이 케이블(26)상에 회전장착되어 있으므로 케이블(26)의 마모는 상당히 감소되거나 적어도 일정하게 마모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찰 슬리브의 특수한 형상에 의해 타이어는 양호한 측방향 마찰력을 구비하게 되며 얼음조각 등이 슬리브에 끼이거나 하는 문제가 없다. 또한 상기 연결요소는 매우 낮은 자세로(즉, 타이어로부터 돌출하는 정도가 작게)횡요소와 측요소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제한된 틈새를 가지는 차륜웰(well)을 사용하는 차륜에 적합하며, 또한 이 연결요소는 측요소와 횡요소의 단부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측방향 힌지 운동을 할 수 있음으로 타이어의 외형의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게되어 있다.
제7도,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타이어(10')에는 본 발명의 제2형태의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이 장착되어 있다. 이 타이어 체인에는 타이어의 양측벽부(14')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가요성의 가늘고 긴 측요소(12′)와 타이어 접지면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상기 측요소 사이를 연결하는 횡요소(16′)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횡요소(16′)에는 마찰슬리브(18′)과 같은 마찰수단이 구비된다. 도면에는 일측요소(12′)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타이어의 반대쪽 측벽상에도 물론 측요소가 설치되어 있다.
측요소(12′)의 단부는 주지의 적절한 연결구(22′)(제7도)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케이블체인이 타이어를 견고하게 감싸도록 한다. 이 측요소(12')은 밧줄형 금속케이블 또는 그밖의 적절한 가늘고 긴 가요성물질로 구성된다.
특히, 제8도,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횡요소(16')밧줄형 금속 항공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24')를 포함하며, 이 케이블의 외면에는 나선형으로 겸겨진 와이어 외장(26')이 피복되어 있다. 마찰 슬리브(18')는 와이어 외장(26')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마찰스릴브의 혀앙은 반드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전기한 특허에 나타난 형태로 하거나 또는 제1도-제6도에 도시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각 횡요소의 양단부에는 각각 케이블(24')위에 조여지며 편평한 T자형의 판으로된 머리부(30')를 지니는 금속 부싱(28')의 형태인 연결요소가 제공된다. 그 머리부(30')는 각 측요소에 횡요소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부착수단의 일부를 형성하며, 그 부착수단은 대응 연결요소(32')를 포함한다.
각 연결요소(32')는 금속판(34')를 포함하며, 그 일단은 측요소의 고정수단인 탭(36')로 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본 연결요소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끝이 뾰족하고 길쭉한 개구(40')가 형성되어 있는 구부러진 탭(38')로 되어 있다. 상기 개구(40')을 통해 상기 T자형 머리부(30')의 횡바아(31')를 삽입시킨 다음,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탭(38')을 더욱 구부려주면 T자형 머리부(30')의 횡바아(31')가 탭(38')과 금속판(34')의 몸체부의 사이에 포획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포획된 상태에서도 상기 머리부, 개구, 탭 및 금속판의 몸체부의 상대적인 형상에 의해 상기 연결요소는 상기 금속판(34')의 평면 및 이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힌지운동을 할 수 있다. 즉 횡요소는 측요소에 대해 타이어의 원주방향(제7도의 화살표(B1)방향) 및 타이어의 측방향(제8도의 화살표(A1)방향으로 어느정도 힌지 운동을 할수 있다. 상기 타이어의 원주방향의 힌지운동에 의해 타이어 상에서의 횡요소의 위치조절이 가능해지며, 또 상기 타이어의 측방향의 힌지운동에 의해 타이어의 외형 변화에 적응할 수 있다.
상기 횡요소를 연결요소(32')로부터 분해할 때에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탬(38')를 편 다음, 상기 개구(40')로부터 상기 횡바아(31')를 적절히 배향시켜 분리하면 된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일관점은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의 횡요소와 측요소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결합수단은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횡요소와 측요소 사이의 결합시 그 높이가 두드러지지 않고 낮으며, 또한 타이어의 원주방향과 측방향으로 횡요소와 측요소의 상대적인 힌지운동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 연결수단에 의하면 횡요소와 측요소 사이를 단단히 결합시킬수 있는 동시에 횡요소를 교체하기 위해 분해하고자 할 때는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의 기재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상의 기재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한쌍의 가늘고 긴 측요소(12, 14, 12')와, 그 측요소들 사이에 연결되며 마찰수단(20, 18')을 구비한 횡요소(18, 16')와, 횡요소를 상기 측요소에 연결시키는 연결요소(36, 28', 34, 32')를 포함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에 있어서, 상기 횡요소의 양단부에 상기 연결요소(36, 28')가 고정되며, 상기 연결요소(36, 28')는 머리부(37, 30')를 포함하며, 다른 한 연결요소(34, 32')는 금속판(34')를 포함하며, 이판(34')는 판의 몸체쪽으로 구부러진 탭(48, 38') 및 상기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개구(50, 40')를 구비하며, 상기 탭(48, 38')을 구부림에 의해 상기 머리부는 상기탭과 상기 판의 몸체사이에 포획되어지며, 이와같이 머리부가 포획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요소(34, 32')는 상기탭(48, 38')과 상기판(34')사이 에서 상대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37, 30')를 구비하는 상기 연결요소(36, 28')가 상기 횡요소(18, 1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30')는 상기 횡요소(16')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바아(31')를 구비한 편평한 T자형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요소(18, 16')가 케이블(26, 24')이며, 그 횡요소에 고정된 연결요소(36, 28')는 그 케이블상에 조여 고정된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0, 40')가 상기 탭(48, 38')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수단이 횡요소(18, 16')에 설치된 마찰슬리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37)에는 상기 횡요소(18)을 그 종축선에 대해 가능하게 하는 외측 곡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형 타이어 체인.
  8. 타이어 체인용 마찰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마찰 슬리브(20)가 외면을 구비한 원통형 몸체부(35)와 적어도 하나의 단부(38)를 포함하며, 이 적어도 하나의 단부(38)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플레어 가공된 외면이 구비되며, 이 적어도 하나의 단부(38)에는 상기 마찰 슬리브의 일단부상에 날카로운 모서리(42)를 제공하는 노치(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이어 체인용 마찰슬리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슬리브(20)의 각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 슬리브의 양 단부상에 날카로운 모서리(42)를 형성하는 노치(40)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타이어 체인용 마찰 스리브.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슬리브는 금속 스트립을 원통형으로 밴딩가공하여 형성한 원통형이며 상기 금속 스트립의 양단부(39, 41)은 상기 마찰 슬리브의 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마찰 슬리브의 몸체부(35)에 배열되며, 양단부(39, 41)이 상기 마찰 슬리브의 확대 단부에서 상기 노치(4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체인용 마찰스리브.
KR8201243A 1981-03-23 1982-03-23 케이블형 타이어체인 KR880000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6,362 1981-03-23
US06/246,362 US4366849A (en) 1981-03-23 1981-03-23 Cable-type tire chains
US246363 1981-03-23
US06/246,363 US4366850A (en) 1981-03-23 1981-03-23 Cable-type tire chains and cross member and traction sleeve therefor
US246362 1981-03-23
US246,363 198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852A KR830008852A (ko) 1983-12-16
KR880000465B1 true KR880000465B1 (ko) 1988-04-07

Family

ID=2693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1243A KR880000465B1 (ko) 1981-03-23 1982-03-23 케이블형 타이어체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3) EP0061306B1 (ko)
JP (1) JPH02290705A (ko)
KR (1) KR880000465B1 (ko)
DE (2) DE3280082D1 (ko)
DK (1) DK151695C (ko)
NO (1) NO1523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8287A1 (de) * 1986-08-20 1988-02-25 Erlau Ag Eisen Drahtwerk Reifenkette
IT250239Y1 (it) * 2000-06-08 2003-07-28 Maggi Catene Spa Elemento di connesione perfezionato per catene da neve e catena daneve ottenuta con esso
DE202011000938U1 (de) * 2011-04-19 2011-06-09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73432 Reifenkette mit Haltemittel und Abrollkörper
CN111070982B (zh) * 2020-01-02 2021-12-03 嵊州市量创新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轮胎的防陷防滑器材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9576E (fr) * 1915-03-16 Gerard Jean Krol Protecteur amovible pour bandages de roues
US1350484A (en) * 1917-05-26 1920-08-24 Non Skid Company Antiskidding device for tires
US1349149A (en) * 1917-08-02 1920-08-10 Franklin Rightmire Antiskid attachment for tires
FR512940A (fr) * 1920-04-02 1921-02-03 Colvin Lee Johnson Cable blindé
US1644627A (en) * 1924-05-31 1927-10-04 Charles S Barrell Tire-chain link
US1644077A (en) * 1924-08-11 1927-10-04 Orville W Nesbitt Antiskid device for motor-vehicle wheels
US1802653A (en) * 1930-03-17 1931-04-28 Setrak K Kalebdjian Nonskidding device
FR765241A (fr) * 1933-04-03 1934-06-04 Dispositif anti-dérapant pour bandages de roues
US2252027A (en) * 1940-07-09 1941-08-12 Jr Clement Pasquarella Clamp for nonskid devices
US2589207A (en) * 1948-03-05 1952-03-11 Anthony Angelini Antiskid device
US2514243A (en) * 1949-03-04 1950-07-04 Joseph Marchese Automobile skid chain
US2714914A (en) * 1953-01-14 1955-08-09 Real Clavette Anti-skid device for tires
FR1094697A (ko) * 1953-01-14 1955-05-23
CH329245A (it) * 1954-03-06 1958-04-15 Pesce Ditta Michele Dispositivo antisdrucciolevole per pneumatici
FR1181725A (fr) * 1958-06-24 1959-06-18 Mft Fr Pneumatiques Michelin Dispositif antidérapant amovible pour roue munie d'un pneumatique
CH352918A (fr) * 1959-03-05 1961-03-15 Venoge S A Dispositif antidérapant
US3025901A (en) * 1960-05-25 1962-03-20 Harry C Bengert Tire chain
US3683990A (en) * 1969-08-06 1972-08-15 Chase Manhattan Capital Corp Non-skid tire structure
FR2112086B1 (ko) * 1970-10-07 1974-05-24 Laffargue Gerard
JPS5013602Y2 (ko) * 1971-04-27 1975-04-25
FR2160340A1 (ko) * 1971-11-18 1973-06-29 Monange Jacques
US4054304A (en) * 1975-09-29 1977-10-18 Reneey Industries Traction arms for vehicle anti-skid device
JPS5324726Y2 (ko) * 1975-11-06 1978-06-24
US4155389A (en) * 1977-08-29 1979-05-22 Dwinell James M Cable tire chain with improved traction sleeves
US4263954A (en) * 1979-08-31 1981-04-28 Burns Bros., Inc. Tire chain having improved traction
US4366849A (en) * 1981-03-23 1983-01-04 Burns Bros., Inc. Cable-type tire cha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61695A3 (en) 1986-06-11
DK151695C (da) 1988-06-27
NO152329B (no) 1985-06-03
EP0159073B1 (en) 1990-01-10
KR830008852A (ko) 1983-12-16
EP0159073A3 (en) 1986-06-11
EP0159073A2 (en) 1985-10-23
DK128482A (da) 1982-09-24
NO820934L (no) 1982-09-24
DK151695B (da) 1987-12-28
EP0161695A2 (en) 1985-11-21
EP0061306A3 (en) 1982-11-03
DE3280082D1 (de) 1990-02-15
DE3269283D1 (en) 1986-04-03
JPH02290705A (ja) 1990-11-30
JPH0413161B2 (ko) 1992-03-06
EP0061306A2 (en) 1982-09-29
NO152329C (no) 1985-09-11
EP0061306B1 (en) 198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6850A (en) Cable-type tire chains and cross member and traction sleeve therefor
RU2392129C2 (ru) Цепи противоскольжения с ограниченным занимаемым объемом
KR850001401Y1 (ko) 타이어 체인
JPH0336683B2 (ko)
KR880000465B1 (ko) 케이블형 타이어체인
US5318087A (en) Snow chain device for a motor vehicle tire
JP5036296B2 (ja) 接続システム
JP3447973B2 (ja) タイヤ・チェーン用クロス・メンバー組立品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チェーン
JPH0319084B2 (ko)
US4036273A (en) Traction augmenting road grips
US5641213A (en) Traction device for wheeled vehicle
US4274463A (en) Tire traction enhancing apparatus
DE2749259A1 (de) Vorrichtung zum verhindern des gleitens von reifen
EP0303425B1 (en) Bush assembly for track of tracked vehicle
JPH04969Y2 (ko)
KR20070019535A (ko) 체적이 감소 된 스노우 체인
JPS5914245Y2 (ja) タイヤチエ−ン
JPS6349364Y2 (ko)
JPS5844006Y2 (ja) タイヤの滑り止め
JP2544476Y2 (ja) ケーブル式タイヤ滑り止め装置
JP3036361U (ja) ブラシ型タイヤ滑止め具
JPH034562Y2 (ko)
KR200269270Y1 (ko) 걸대와 탄성체가 형성된 스노우체인
EP1167090A2 (en) Improved connecting element for snow chains and snow chain obtained therewith
CA3034923A1 (en) Traction device for automob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