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94B1 - 파쇄기 - Google Patents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94B1
KR880000194B1 KR1019840007104A KR840007104A KR880000194B1 KR 880000194 B1 KR880000194 B1 KR 880000194B1 KR 1019840007104 A KR1019840007104 A KR 1019840007104A KR 840007104 A KR840007104 A KR 840007104A KR 880000194 B1 KR880000194 B1 KR 880000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el
space
crusher
forming member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883A (ko
Inventor
야마다사꾸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쥬우기
야마다 사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쥬우기, 야마다 사꾸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다 쥬우기
Priority to KR101984000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0194B1/ko
Publication of KR86000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24Damping the reaction forc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쇄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파쇄기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인 공간형성부재 및 탄성재의 한 예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3도는 끝의 뽑아내기 방식에 있어서의 중요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분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중요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쇄기(破碎機) 24 : 하부케이스
18 : 해머체(자유피스톤) 29 :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
19 : 끌 30 : 탄성재
192 : (끌의)중간 큰지름 부분
본 발명은 도로공사 현장이나 건축현장 등에서 콘크리트 또는 경화 아스팔트 등의 단단한 물체를 파쇄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쇄기는 보통 본체하부에서 짧은 거리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는 끌의 머리부분을 압축공기나 기계적 왕복구동기구 등으로 왕복구동시키는 해머체(體)로 연속적으로 두드려서 끌에 충격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끌의 앞끝부분에 부하가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즉 끌과 맞부딪쳐진 파쇄대상물이 깨어질때까지는 해머력과 파쇄대상물로 부터의 반력(反力)의 평형이 유지되고, 끌이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는 일이 없지만 끄에 대한 부하가 없어지면 즉, 파쇄 대상물이 깨어지게 되면, 끌의 튀어나오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파쇄대상으로부터의 반력이 갑자기 없어진 공타(空打)상태로 되고 끌은 순간적으로 튀어나가려 한다.
또, 끌을 파쇄대상물에 맞부딪치기 이전에 상기의 해머체를 구동시킬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공타상태가 된다.
끌은 통상 일정한 거리만 상하왕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에서처럼 튀어나오려고 해도 그가동범위의 아래 끝부분에서 멈춰져 실제로 튀어나오는 것은 일단 저지된다. 그런데 이 경우 끌의 호울더(holder)는 공타시의 끌의 충격력을 전면적으로 막아내지 않으면 안되고, 상당히 큰 충격강도가 요구되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파쇄기 자체의 중량이 아주 크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서, 가령 미국특허 제4,103,747호의 명세서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끌의 앞부분의 진행을 막는 파쇄대상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머의 두드리는 힘이 끌에 작용하지 않도록한 공타방지 구조가 제안되어져 있다.
이것은 파쇄기 본체 하부에 설치되어진 끌의 안내(guide)내부에 끌을 일정의 상하범위내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끌이 자체 중량으로 내려가면 그 정상(頂上)부분이 끌의 안내 윗면보다 아래로 몰입(沒入)하는 한편, 끌의 앞끝부분에 파쇄 대상물이 맞부딪쳐지면 이 끌의 정상부분이 끌의 안내 윗면보다 위에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면, 파쇄 대상물이 끌의 앞끌부분에 맞부딪쳐져 있을때는 끌의 정상부분이 끌의 호울더의 윗면보다 위에 나와 있으므로, 해머체가 이 끄의 정상부분을 두드려 끌에 뜻한바 대로의 타격작용을 시킬 수가 있고, 끌의 앞끝부분에 파쇄대상이 존재하지 않을때는 끌은 자체힘으로 내려가 그 정상부분이 끌의 호울더 윗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되므로 해머체가 끌에는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끌에 대한 공타는 방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끌에 부하가 걸리지 않을때에 끌에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게되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끌이 대상물을 파쇄할때 끌은 그 대상물에 쐐기 형상으로 그것도 아주 강력하게 파고들기 때문에 작업자가 이같은 대상물에 쐐기 형사응로 파고들어간 끌을 빼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고를 해야만 하는 것이다.
즉 무거운 파쇄기 본체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조차도 큰 노력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꽤기 형상으로 파고들어간 끌의 윗쪽으로 빼내는 힘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파쇄 대상물에 쐐기 형상으로 파고 들어간 끌을 쉽게 빼내기 위해서는 오히려 끌이 그 가동범위의 가장 아랫쪽에 있을때에 진동하고 있는 쪽이 좋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런데 단지 끌의 가동범위의 위치에 관계없이 이 끌에 해머체가 작용하여 끌에 진동을 가하도록 하는 것만으로는 공타시에 끌에 가해지는 충격을 타격대상물 대신에 파쇄기 본체가 막아내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내충격 강도가 고려되어야 하며, 따라서 파쇄기 본체 자체가 상당히 무겁게되어 경량화의 요청에 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의 파쇄기는 이상과 같은 사정을 기초로 하여 고안되어진 것으로 본체에 대해 소정의 거리의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끌이 그 가동범위의 아래 끝부분에 있어도 본체에 대해 직접적인 충격을 전달시키는 일없이 끌에 진동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상하 운동시켜지는 해머체에 따라 파쇄기본체 하부에서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끌에 충격력을 주도록 구성된 파쇄기기에서 끌의 상하방향 중간부분에 큰지름 부분을 설치하는 한편, 본체 하부에 형성된 하부케이스의 앞끝부분에 상기한 끌의 큰지름 부분의 하향운동에 따라 압축되어 축방향 길이가 변화되는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내에 탄성재를 충전하고 있다. 상기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은 예를들면 바닥벽에 중앙 구멍이 뚫려진 원통형상을 한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다음과 같은 공간형성 부재를 장진함에 따라 형성된다.
즉, 바깥지름이 이 하부케이스의 내면에 대해서 약간의 간격을 두고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는 크기이며 또한 끌의 큰지름 부분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안지름의 중심구멍을 가진 원판부분과, 이 중심 구멍의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또한 그 바깥지름이 상기의 하부 케이스의 중앙구멍의 안둘레에 대해 약간의 간격을 두고 끼워진 원통부분을 가진 공간 형성부재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하부 케이스의 안둘레와 바닥벽 및 공간형성 부재의 원판부분 아랫면과 원통부분 바깥둘레에 의해 고리모양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이 형성된다.
상부의 축부분이 안내구멍에 지지되어 그 방향이 규정된 끌의 앞끝부분은 공간형성 부재의 원통부분의 내부를 통하여 본체 하부의 바깥쪽에 돌출되어 있고, 또한 그 중간의 큰지름 부분이 공간형성 부재의 원판부분의 윗면에 닿게됨에 따라, 그 상하방향 가동범위의 아래끝 부분이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의 공간형성 부재가 그 윗면에 끌의 큰지름 부분이 닿게됨에 따라 눌려 내려가면 상기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은 그 용적(容積)이 상하 축방향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이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에 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탄성재가 충전된다.
또한 상하로 움직여지는 해머체는 나중에 기술한 실시예처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가동실린더 내부에 타격봉을 가진 자유피스톤을 끼워서 설치하고, 이 자유피스톤 내지 타격봉을 헤머체로서 운동시킬 수도 있고 그외에 여러가지로 공지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체를 세워서 끌의 앞끝부분이 파쇄 대상물에 닿게되면, 끌은 본체내로 약간 밀어넣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끌의 큰지름 부분은 공간형성 부재의 원판부분 윗면으로부터 윗쪽으로 사이가 벌어진다.
이 상태에서 해머체를 상하 왕복운동시키면 이 해머체에 의해 끌이 두드러져 끌에 충격이 반복적으로 주어진다. 해머질에 의해 충격이 주어진 끌은 파쇄대상물에 대해 반복적으로 부딪혀지고 드디어 파쇄대상물이 깨어지기 시작하면 이 깨어진 간격에 쐐기처럼 파고든다.
본 발명의 파쇄기에서는 이와같이 파쇄대상물에 파고 들어간 끌의 타격기구를 구동하면서 본체를 윗쪽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쉽게 뽑아낼 수 있다. 끌에 파격대상물에 파고들어간 상태에서 본체를 윗쪽으로 들어올리면 끌은 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가장 내려간 위치가 된다.
즉, 끌의 중간큰지름 부분이 공간형성 부재의 원판 부분의 윗면에 닿은 상태이다.
이 공간 형성부재와 하부 케이스의 하부 내면으로 구성된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은 그 내부에 충전된 탄성재가 변형됨에 따라 약간 축방향으로 탄성축소(彈性縮小)가 가능하다. 즉 상기의 공간형성 부재는 아래쪽으로 눌려지면 약간 탄성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것처럼 이 공간형성 부재의 원판부분 윗면에 끌 중간의 큰지름 부분이 닿은 상태에서 끌이 해머체에 의해 두드려지면 그 충격에 따라 상기의 탄성재가 축소될 수 있는 가장 아래쪽으로 위치가 변하고 이어서 순간적으로 탄성재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와같은 작동이 반복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끌은, 상하방향으로의 진폭은 비교적 작지만 도움이 되는 미진동(微振動)을 일으켜 파고들어간 파쇄 대상무로부터 빠지는 것이다.
또한 이때 끌의 충격력은 공간형성 부재의 원판부분 내지 그 하부에 위치한 탄성재를 자나 하부 케이스의 바닥벽의 넓은 범위에서 탄성재의 완충효과를 유지하면서 지지를 받게 되므로 하부케이스 내지 파쇄기본체에 끌로부터의 큰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일이없고, 종래의 제품처럼 끌의 충격을 직접받는 경우보다 본체의 내충격강도를 낮게 억제시킬수 있다. 이 억제효과는 파쇄기 본체 중량을 가볍게 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또 작업자에게 전해지는 진동량이 적어져 연속적으로 작업할 수가 있다.
한편, 완충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한 상기의 탄성재는 정밀하게 밀봉되어진 공간에 충전되며 또한 축 방향으로만 변형되므로 변형량이 어느 부위에서나 일정하고, 예를들어 원판부분과 하부 케이스의 내면과의 간격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국부적인 큰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강하다. 상기에서의 본 발 발명의 파쇄기는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발휘한다.
파쇄 대상물이 깨질때마다 쐐기 형상으로 파고들어간 끌을 타격기구를 작동시키면서 본체를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쉽게 빼낼수가 있고, 종래에서처럼 파고들어간 끌을 빼내는데 큰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다.
끌이 그 가동범위의 가장 아래끝쪽에 있을때에 충격을 주더라도 그 충격이 그대로 하부 케이스에 전달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하부케이스 내지 본체의 내충격강도를 낮게 설정할 수가 있어 이 결과로 본체중량을 대폭적으로 가볍게 할 수 있다.
공타시에 끌에 주어진 충격을 완충시키는 탄성재는 상하방향으로 용적변화될 수 있는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에 충전되어 있어서 상하 축방향으로만 변형되도록 하고있기 때문에 그변형량이 각부에서 일정하고 내구성이 있다. 그 때문에 탄성재의 부분적인 탄력성이 없어짐에 따른 고장이 적어지고 정비기간이 아주 길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파쇄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예의 파쇄기(1)는 소형 가솔린엔진을 탑재한 이른바 휴대식 엔진 파쇄기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원통모양의 본체(2) 윗부분에 공지의 2사이클 가솔린엔진(3)이 탑재되어 있다.
원통모양의 본체(2) 윗부분을 구성하는 통모양의 겉케이스(4) 내부에는 이 통모양의 겉케이스(4)에 대해 이중으로 되도록 고정실린더통(5)이 끼워져 있고 이 고정실린더통(5)은 윗부분 크랭크실(6)과 연속되는 실린더공간(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고정실린더통(5)의 내부에는 가동실린더(8)가 상하왕복으로 미끄럼운동을 할 수 있도록 끼워져 있고 또한 이가동실린더(8)는 크랭크실(6)내에 조립된 회전원판(9)과 이 회전원판의 편심위치(偏心位置)에 연결된 연결막대(10)로 구성된 크랭크기구(1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회전원판(9)이 회전구동되면 이 가동실린더(8)는 상하로 왕복구동된다.
또한 상기의 회전원판(9)은, 예를들어 엔진(3)의 출력축의 회전을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은 감속기구에 의해 감속된 엔진 출력에 따라 약 1,000rpm 정도로 회전구동된다. 또 이 가동실린더(8)의 아래 끝부분에는 나중에 기술하겠지만 이 내부에 끼워진 해머체로서 자유피스톤(18)의 하부타격봉(16)이 돌출될 수 있도록 뚫려진 구멍(17)이 있다.
또한 고정실린더통(5)의 상하에 각각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구멍(12)(13)을 설치함에 따라 실린더공간(7)에서 가동실린더(8)로부터의 윗부분과 가동실린더(8)로부터의 아랫부분이, 통모양의 겉케이스(4)와 고정실린더통(5)의 사이에 형성된 상하로 뻗은 고리모양의 공간(14)에 의해, 연결되어 통해져 가동실린더(8)의 상하운동의 저항을 줄이고 가동실린더의 상하왕복운동의 고속화를 꾀할 수 있다.
상기의 가동실린더(8)의 내부에는 또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자유피스톤(18)이 들어 있다.
이 자유피스톤(18)은 끌(19)의 정상부분을 두드리는 해머체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하부에는 타격봉(16)이 일체(一體)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타격봉(16)은 자유피스톤(18)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때 가동실린더(8)의 하부에 뚫린 구멍(17)에서 돌출하여 그 아랫쪽에 위치한 끌(19)의 머리부분을 두드린다. 자유피스톤(18)의 바깥둘레와 가동실린더(8)의 안둘레면과의 사이는 자유피스톤(18)의 바깥둘레에 끼워진 O형링(ring)(20)에 의해 공기 밀폐성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가동실린더(8)의 하부에 뚫린구멍(17)과 타격봉(16)과의 사이는 하부에 뚫린구멍(17)의 안둘레에 끼워진 O형링(21)에 의해 공기 밀폐성이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실린더(8)의 내부는 자유피스톤(18)에 의해 상부공기 압축실(22)과 하부공기압축실(23)로 구분된다. 이들 공기 압축실(22)(23)은 가동실린더(8)의 상하운동과 함께 자유피스톤(18)의 관성 후퇴에 따라 교대로 압축되고, 이렇게 압축된 공기의 탄성팽창에 따라 자유피스톤(18)을 가속하는 것이지만, 본예에서는 가동실린더(8)폭의 벽에 적당한 갯수의 구멍(8a)을 뚫어서 자유피스톤(18)이 아래로 이동할때 상부공기 압축실(22)이 부압(負壓)으로 되어 자유피스톤(18)의 하향 가속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유피스톤(18)이 위로 이동할때에 하부공기 압축실(20)을 외부로 연결하여 통해지도록 함에 따라 하부공기 압축실이 부압으로 되어 자유피스톤의 상향가속이 저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통모양의 겉케이스(4) 및 고정실린더통(5)의 아래끝쪽에는 실린더공간(7)의 아래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중심에 끌(19)의 상부축부분(191)이 상하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축 방향의 지지구멍(25)이 뚫린보스(Boss)부분(2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보스부분(26)의 가장 바깥둘레 부분에는 통모양의 겉케이스(4)의 바깥지름과 거의 같은 바깥지름의 통의 동체부분(241)과 바닥벽부분(242)과 바닥벽부분(242)의 중심에 뚫린 끌 돌출구멍(243)을 가진 하부케이스(24)가 나사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끌(19)은 상부의 축부분(191)과 중간 큰지름부분(192)과 하부축부분(193)과 하부의 뾰족한 끌(194)을 가지며 그 상부의 축부분(191)이 약간 상기의 보스부분(26) 윗면의 실린더공간(7)내에 돌출되도록 하며, 바람직한 것은 부시(bush)(27)를 끼워서 지지구멍(25)내로 그 축의 방향을 규정시키면서 상하로 미끄럼운동할수 있도록 지지되며, 하부축부분(193)이 하부케이스(24)의 끌돌출구멍(243)에서 하부 바깥부분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것이다.
상기의 하부케이스(24)내부에서 끌(19)의 중간큰지름부분(192)과 보스부분(26) 아랫면과의 사이에는 비교적 탄성계수(係數)가 큰 코일 모양의 받침스프링(28)이 끼워져 있다.
이 받침 스프링(28)의 탄성계수는 파쇄기 전체의 중량 및 작업자가 파쇄기본체를 파쇄대상(G)에 누르는 힘과의 관계에서 끌(19)을 파쇄대상(G)에 부딪쳤을때 끌(19)의 상부축부분(191)의 실린더공간(7)내로의 돌출량이 적절하도록 설정된다.
이 받침 스프링(28)은 끌(19)의 가동범위의 윗끝부분을 실질적으로 규정함과 동시에 파쇄기 작동시에 있어서 끌(19)의 진동이 본체(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작용을 한다. 그런데 이 받침 스프링(28)은 생략할수도 있다.
왜냐하면, 해머체로서 자유피스톤(18)이 상하구동되면 이 자유피스톤(18)이 끌(61)의 정상부분을 반복해서 두드리는 것에 따른 반력(反力)에 의해 본체가 끌(19)에 대해서 떠오르며, 바꾸어 말하면 끌(19)이 그 가동범위의 윗끝부분에서 약간 내려간 위치에서 균형을 잡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케이스(24)의 앞끝부분에 상기의 끌(19)의 큰지름부분(192)이 아래로 이동함에 따른 상하 축방향으로만 길이가 변화되어지는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이 형성되고, 그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 내부에 탄성재(30)가 충전된다.
상기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을 형성하기 위한 첫번째의 실시예는 제1도내지 제3도에 나타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들어 바닥벽부분(242)에 끌 돌출구멍(243)이 뚫려진 하부케이스(24)의 내부벽을 이용하고, 이어서 다음과 같은 공간형성부재(31)를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이 공간형성부재(31)는 바깥둘레가 하부케이스(24)의 동체부분(241)의 내면에 대해 약간 간격을 두고 상하로 미끄럼 접촉을 하며 움직일수가 있고, 또 끌(19)의 중간큰지름부분(192)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안지름의 중심구멍(311)을 가진 원판부분(312)과 이중심구멍(311)의 아래쪽으로 뻗어있으며, 또한 바깥둘레가 상기의 하부케이스(24)의 끌돌출구멍(243)의 안지름에 대해 약간 간격을 두고 끼워진 원통구분(314)을 갖고 있다.
제3도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상기의 공간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 바깥지름과 하부케이스(24)의 동체부분(241) 안둘레와의 틈이 얼마안되고 또한 원통부분(314)의 바깥둘레와 하부케이스(24)의 끌돌출구멍(243) 안둘레면과의 틈이 얼마안되기 때문에 하부케이스(24)의 동체부분(241)내면 및 바닥벽부분(242) 내면과 공간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의 아랫면 및 원통부분(314) 외면에 둘러싸인 고리모양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이 형성된다.
이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은 상기의 공간형성부재(31)가 상하로 움직이면 상하 축방향으로만 그 용적이 변화될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내에는 예를 들어, 내열성이 있는 고무 등으로 형성된 탄성재(30)가 충전된다.
한편 상기의 원판부분(312) 바깥둘레와 하부케이스(241)의 동체부분안둘레와의 틈 및 원통부분(314) 바깥둘레와 하부케이스의 끌돌출구멍(243) 안둘레면과의 틈은 크더라도 0.1mm 내지 0.3mm 정도로 제한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공간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의 둘레 가장자리부분 윗면은 하부케이스(24)의 안벽에 끼워진 스냅링(33)에 눌려져 있다.
상부축부분(191)이 지지구멍(25)에 지지된 끌(19)의 하부축부분(193)은 공간형성부재(31)의 원통부분(314)의 내부를 통하여 본체하부 바깥쪽에 돌출되어 있고, 또한 그 중간 큰지름부분(192)이 공간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의 윗면에 닿게됨에 따라 그 상하방향 가동범위의 아래 끝부분이 정해진다.
그리고 상기의 공간형성부재(31)의 윗면에 끌(19)의 큰지름부분(192)이 닿게됨에 따라 눌려내려지게 되면, 상기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은 탄성재(30)가 탄성압축되는 범위에서 축소되며, 압축력이 해제되면 탄성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제4도는 상기의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을 형성하기 위한 두번째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상기의 공간형성부재(31)의 원통부분(314)에 해당하는 원통부분(244)을 하부케이스(24)의 바닥벽부분(242)에서의 끌돌출구멍(243)으로부터 위를향해서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바깥지름이 하부케이스(24)의 동체부분(241)의 안지름보다 약간작고, 안지름이 상기의 원통부분(244)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큰 칼라(collar)를 그 안둘레가 상기의 원통부분(244)의 윗끝부분 바깥둘레에서 상하로 미끄럼접촉을 하면서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물론 상기의 칼라의 안지름은 끌의 큰지름부분(192)보다 작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케이스(24)의 동체부분(241), 바닥벽부분(242)내지 원통부분(244)의 내면과 칼라의 아랫면과에 따라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이 형성된다.
그리고,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 내부에는 탄상재(30)가 충전된다.
제5도는 상기의 정밀하게 봉해진공간(29)을 형성하기 위한 세번째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하부케이스(24)는 동체부분(241)과 이동체부분(241)의 아래끝에 형성된 외부를 향한 턱부분(245)을 가진 제1케이스(24a)와,
상기의 외부를 향한 턱부분(245)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큰 안지름을 가진 원통부분(246), 이 원통부분의 윗끝부분에서 상기의 외부를 향한 턱부분(245)과 겹치게 하고 안지름이 동체부분(241)의 바깥둘레보다 약간 큰 상부의 내부를 향한 턱부분(247)과, 상기의 원통부분(246)의 아래끝에서 연속시키고 또한 끌(19)의 중간큰지름부분(192)의 바깥지름보다 작으며 끌(19)의 하부축부분(193)의 바깥지름보다 큰 중심구멍(248)을 바닥벽부분(249)를 갖춘 가동 제2케이스(24b)를 갖는다.
이 경우에 제1케이스(24a)의 동체부분(241)의 바깥면과 외부를 향한 턱부분(245)의 윗면과 가동 제2케이스(24b)의 원통부분(246)의 내면과 바닥벽부분(249) 윗면으로 싸여진 고리모양의 정밀하게 봉해진공간(29)이 형성된다.
이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내에도 상기의 첫번째 및 두번째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탄성재(30)가 충전된다.
또한 이 경우에 끌(19)의 가동범위 아래끝은 그 큰지름부분(192)이 상기의 가동 제2케이스(24b)의 바닥벽부분(249)의 중심구멍(248) 근방에서 그 윗면에 닿게됨에 따라 규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파쇄기(1)의 작동을 제1도 및 제3도에 나타낸 첫번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타격방식
파쇄 대상물(G)을 파쇄하려고 할때 끌(19)의 앞끝을 파쇄대상물(G)에 닿도록하고, 핸들에 설치된 드로를(throttle)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엔진(3)의 회전을 높인다.
엔진(3)의 회전출력은 통상원심클러치(도시생략)을 통하여 크랭크 기구(11)의 회전원판(9)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엔진(3)이 무부하완속운전상태에서 소정의 회전수 이상에 달했을때만 상기의 크랭브기구(11)가 구동되고 가동실린더(8)가 상하로 왕복운동 되어진다.
또한 이때 받침 스프링(28)은 파쇄기(1) 전체의 자체중량 및 작업자가 파쇄기(1)를 누르려고 하는 힘을 받아서 약간 눌려서 압축되어 있다.
따라서 끌(19)의 큰 지름부분(192)은 제1도에 나타낸 것처럼, 공간 형성부재(31)의 윗면에서부터 윗쪽으로 떨어진 위치를 취하고 있다.
가동실린더(8)가 최하한계점에서 윗쪽으로 이동할때 하부 공기 압축실(23)은 자유피스톤(18)의 관성후퇴에 따라 압축된다.
이 상황은 가동실린더(8)가 최상 한계점에 가까워질 때까지 계속되고, 다음 순간 자유피스톤(18)은 하부공기 압축실(23)의 튀어오르는 힘에 의해 가동실린더(8)의 윗쪽으로 고속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실린더(8)가 최상 한계점을 통과하여 하강으로 바뀐 상황에서 고속으로 윗쪽으로 이동하는 자유피스톤이 갖는 운동에너지와 가동실린더(8)를 누르려고 하는 힘에 의해 상부공기 압축실(22)이 최대한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다음 순간 자유피스톤(18)은 최대한으로 압축된 상부 공기 압축실(22)의 강력한 탄성팽창력에 따라 아래쪽으로 향하고 급속히 가속된다.
그리고 이 자유피스톤(18)의 속도가 최고속도로 되었을때, 그 타격봉(16)이 끌(19)의 정상면을 타격한다.
이때의 자유피스톤(18)의 하강속도는 최대초속 수십미터에 달한다.
이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따라 끌(19)은 헤머체인 자유피스톤(18)에 의해 반복하여 충격력을 받는다.
끌의 뽑아내기 방식
상기에서처럼 타격방식에 있어서 헤머체인 자유핏톤(18)에 의해 반복 충격을 받는끌(19)은 곧 그 충격에너지에 의해 파쇄대상(G)을 깨어뜨린다.
일단 파쇄대상물이 깨어지게 되면 끌(19)에 가해진 하향 충격력과 끌이 파쇄대상(G)물로부터 받는 반력과의 평형이 깨어진다.
이때 파쇄대상물(G)이 완전히 갈라지면 그다지 문제는 없지만 예를들어 파쇄대상물(G)이 다소 끈끈한 성질이 있는 경우에는 끌(19)이 파쇄대상물(G)의 깨어진 곳에 쐐기형상으로 파고들어가는 수가 있다.
종래의 이같은 쐐기 형상으로 파고들어간 끌(19)을 빼낼때에는 끌(19)을 빼낼수 있는 힘과 파쇄기(1)에 전체 중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힘을 합산한 큰 힘으로 파쇄기(1)를 윗쪽으로 들어올리지 않으면 안되었지만, 본 발명의 파쇄기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것처럼 끌의 앞끝부분에 약한 진동을 줄수 있으므로 파홰기(1)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쐐기형상으로 파고들어간 끌(19)을 빼낼수 있다.
끌(19)은 파쇄대상명(G)에 쐐기 형상으로 파고들어가 있으며 그리고 파쇄기(1) 본체를 윗쪽으로 들어 올리려고 하고 있으므로 끌(19)의 중간 큰 -지름부분(192)의 아랫면은 공간 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의 윗면에 닿을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엔진(3)의 회전을 높여서 자유피스톤(15)의 타격봉(16)이 상기의 끌(19)의 머리부분을 두드리면 그 충격에 따라 상기의 공간 형성부재(31)는 그하부에 형성된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내부의 탄성재(30)가 탄성 축소될 수 있는 거리만큼 아랫쪽으로 약간 이동되어지고 이어서 탄성재(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즉 윗면이 하부케이스(24) 내면의 스냅링(33)에 닿는 위치로 되돌려진다.
이것은 끌(19)의 그 중간 큰지릅부분(192)이 상기의 공간 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의 윗면에 닿는 가동범위의 아래끌에 위치할 때에도 상기의 탄성재(30)가 탄성 축소될 수 있는 거리상하로 진동되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진동은 상기의 타격방식의 설명에서 기술한 것처럼 고속으로 하강하는 자유피스톤(15)의 운동에너지에 따라 주어지는 것이므로, 강력한 진동이다.
따라서 예를들어 끈기가 강한 파쇄대상물에 끌(19)이 쐐기 형상으로 파고들어가도 이것을 강력하게 진동시킴에 따라 쉽게 끌(19)의 파쇄대상물(G)의 파고들어간 상태를 해소할 수가 있어서, 엔진(3)을 회전시키면서 파쇄기(1)를 윗쪽으로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아주 쉽게 끌(19)을 파쇄대상물(G)에서 빼낼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 끌(19)의 뽑아내는 방식에서는 끌(19)의 충격력이 공간 형성부재(31)의 원판부분(312)내지 하부의 탄성재(30)에 의해 하부케이스(24)의 바닥벽의 넓은 범위에서 지지되어지고, 또한 충격력은 탄성재(30)의 압축변경에 의해 완충되어지므로, 하부(24)에는 각각 큰 충격력이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부케이스(24)의 내충격 강도를 종래에 비해 작게 설정할 수가 있으므로, 파쇄기 본체의 증량을 가볍게 하는데 크게 기여한다.
또한 하부케이스(24)의 내면과 공간 형성부재(31)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으로서 상하 축방향으로만 그 용적이 변화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그 내부에 충전된 탄성재(30)에 덧붙여지는 변형은 전체적으로 같은 모양이 된다.
따라서 가령 끌(19)에 의해 주어진 강력한 충격력에 의해 탄성재의 일부가 국부적으로 반복하여 큰 변형을 받아서 단시간내에 탄력성이 없어지는 일이없고, 탄성재의 수명은 아주 길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파쇄가는 타격방식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을 효과적으로 끌에 전달하여 효율적인 대상물 파쇄작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끌을 뽑아 낼수가 있고, 또한 본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정비기간이 길어지는 아주 현저한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로 운동되어지는 헤머체에 의해 본체의 하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끌(19)에 충격력을 주도록 되어 있고, 상기 끌(19)의 중간부분에 큰 지름부분(192)을 설치하며, 본체 하부에 형성된 하부케이스(24)내부에 탄성재(30)을 설치한 구성을 하고 있는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끌의 큰 지름부분(192)의 아랫쪽에 공간 형성부재(31)을 조립함으로써 하부케이스(24)의 선단부에, 이 하부케이스(24)의 내면과상기 공간 형성부재(31)에 의해 형성되며, 또한 큰 지름부분(102)의 아래로 움직임에 의해서 압축되며 축방향길이가 변화되는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정밀하게 봉해진 공간(29)의 내부에 탄성재(30)을 충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
KR1019840007104A 1984-11-13 1984-11-13 파쇄기 KR880000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104A KR880000194B1 (ko) 1984-11-13 1984-11-13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7104A KR880000194B1 (ko) 1984-11-13 1984-11-13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883A KR860003883A (ko) 1986-06-13
KR880000194B1 true KR880000194B1 (ko) 1988-03-12

Family

ID=1923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104A KR880000194B1 (ko) 1984-11-13 1984-11-13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01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883A (ko) 198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683B1 (ko) 회전식 충격장치
KR100538764B1 (ko) 엔진 브레이커
JP4011880B2 (ja) 破砕装置および工具
KR101794859B1 (ko) 마찰계수 저감과 공기 누설을 방지하여 타격력을 향상시킨 내부 순환식 항타기의 실린더 구조
KR880000194B1 (ko) 파쇄기
JP3563182B2 (ja) エンジン式ブレーカ
JPH012878A (ja) ブレ−カ
KR920001602B1 (ko) 충격장치
US6135214A (en) Impact absorbing fluid operated hammer
WO2007000899A1 (ja) ブレーカ
JP2002309575A (ja) 杭打抜機
JPH0829503B2 (ja) ブレ−カ
JPH0611472B2 (ja) ブレ−カ
JPS61100380A (ja) ブレ−カ
JPH0141575Y2 (ko)
KR100347688B1 (ko) 엔진식브레이커
WO2015133198A1 (ja) 打撃工具
KR102331165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JPS62107986A (ja) ブレ−カ
JPS59232774A (ja) 振動ドリル
KR200202176Y1 (ko) 공유압식 브레이커의 치즐케이스 설치구조
JPH0255199B2 (ko)
SU866160A1 (ru) Устройство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
JPH1058350A (ja) 油圧駆動式低騒音ハンマ
SU1583597A1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вакуумна машина ударного действ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