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058Y1 - 버튼취부 부재 - Google Patents

버튼취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058Y1
KR880000058Y1 KR2019860010420U KR860010420U KR880000058Y1 KR 880000058 Y1 KR880000058 Y1 KR 880000058Y1 KR 2019860010420 U KR2019860010420 U KR 2019860010420U KR 860010420 U KR860010420 U KR 860010420U KR 880000058 Y1 KR880000058 Y1 KR 880000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ounting member
flange
eyele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0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336U (ko
Inventor
아끼히꼬 다까다
Original Assignee
스코오빌 · 저팬 가부시기가이샤
곤노 시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코오빌 · 저팬 가부시기가이샤, 곤노 시게루 filed Critical 스코오빌 · 저팬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9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3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with snap-action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8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튼취부 부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버튼 취부부재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튼 취부부재의 아일릿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버튼 취부부재의 요부확대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버튼 취부부재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버튼 취부부재의 아일릿의 종단면도.
제7도는 아일릿 대신에 부재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이일릿의 종단면도.
제9도는 다른 종래의 아일릿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취부부재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3 : 아일릿(또는 버튼취부부재재본체) 2, 14 : 캡
3, 12 : 플랜지 7, 17 : 억제림
8 : 상방만곡단부 10 : 버튼취부부재
본 고안은 스냅버튼등의 버튼의 숫부재 또는 암부재를 의복 등의 직물에 취부하기 위한 버튼 취부부재에 관한 것이다.
스냅버튼과 같은 버튼의 숫부재 또는 암부재를 의복등에 취부 하는데 유용한 버튼취부부재는, 그 중심에 아일릿의 클린치용 동상부 또는 원주부를 가지는 형태와, 디스크형의 단부주위에 프롱(prong)과 같은 침상의 각(脚)이 있는 형태로 분류된다. 다음은 제8도 내지 제10도에서 참조번호(10)으로표시되는 아일릿형 취부부재를 예로들어 설명한다. 취부부재(10)은 컬링과 클린칭에 의해서 선단이 외향컬 되도록 되는 한편 플랜지(12)에 의해서 베이스에 지지되도록된 동상부(11)을 가지는 아일릿(13)과, 베이스플랜지(12)전체에 고착됨과 동시에 플랜지의 단부에 단단히 절곡고정된 캡(14)로 구성된다. 제10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취부부재(10)의 동상부(11)은 의복등의 직물(16)을 관통하게 되고 버튼(15)(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냅버튼의 숫부재) 후부의 중심개구부의 테두리에 단단하게 컬링 및 클린칭되어서 직물(16)에 버튼이 취부된다. 원주형 및 프롱형의 기타 취부부재도 유사한 방식으로 취부된다.
다음은 상기 취부부재의 공통결점을 아알릿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일릿(13)은 제8도와 같은 디스크형 또는 제9도와 같은 변형형의 베이스플랜지(12)로 이루어진다. 플랜지는 캡(14)가 고착된후에도 원형을 보존한다. 이러한 형태의 취부부재는 플랜지(12)주위에절곡된 캡(14)의 림(17)이 금속판의 탄성으로 인해서 충분히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 아일릿(13)과 캡(14)의 표면에 표시된 문자 상표 또는 의장등을 알아보기가 곤란하므로 대단히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문제점의 대책으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소 58-610029호에 개시된바와 같이, 아일릿의 플랜지부에 돌출부를 형성시키고 캡의 컬링된 림(제8도 내지 제9도의 림(17)에 해당)의 돌출부에 맞물리도록된 노치를 형성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제안에 의하면, 아일릿과 캡의 각도관계를 일정하게 위치시킨 후에 캡의 단부를 위로 절곡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아일릿 또는 동등물의 플랜지와 캡이 함께 고착되어서 캡이 플랜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된 버튼취부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버튼취부부재는 컬링등에 의한 선단을 포함하는 단부에 후속클린치용 동상부, 원주부 또는 침상부와 그 베이스를 형성하는 플랜지로 이루어진 아일릿등의 본체와, 베이스플랜지를 둘러쌈과 동시에 플랜지 선단에 위로 절곡고정된 캡으로 구성되고, 베이스플랜지의 선단영역이 상방으로 비스듬히 만곡되고 캡의 림이 만곡된 플랜지의 선단영역의 탄성에 대항하여 위로 절곡고정되어 플랜지가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캡의 회전동작을 미리 배제함은 물론,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8-610029호에 개시된 취부부재의 조립의 곤란성을 없애준다.
이하, 본 고안을 금속성형된 취부부재의 네가지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캡표면의 장식플라스틱코우팅, 또는 패턴, 상표등의 요철부를 직접 인쇄하여 마무리 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취부부재의 제1실시예로서 본체인 아일릿 (1)과 캡(2)로 구성되는 2부재조합체를 도시한다. 아일릿(1)은 동상부(4)와 디스크형플랜지(3)으로 구성되고, 1매의 금속판으로 성형된다. 캡(2)는 약간 하방으로 만곡된 하면(장식면)을 가지는 디스크(6)과 디스크의 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아알릿의 베이스 플랜지(3)의 단부를 위로 절곡고정하는 억제림(7)로 구성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아일릿의 베이스플랜지(3)의 단부영역은 각도 α만큼 상방으로 비스듬히 만곡된다. 상방으로 만곡된 단부영역 (8)의 의 폭(W)와 각도(α)는 아일릿과 캡의 재료, 두께및 기타인자에 따라 실험적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4도는 제2도의 요부확대로서, 캡의 억제림(7)이 아일릿의 베이스플랜지(3)의 상방만곡에 대해 적절하게 베이스 플랜지(3) 단부영역을 가압하는것을 도시한다. 아일릿의 표면에 캡이 장착되기전에 상방 만곡된 단부(8)은 긴 대시라인과 두 개의 짧은 대시라인으로 표시되는 위치에 있다. 캡이 장착되면, 캡의 억제림(7)은 만곡부(8)을 제4도의 실선위치로 강제하강시키기 때문에, 아일릿과 캡간의 계합에 있어서 부가적인 제지력이 발생한다. 억제림(7)의 고착력이 다소 충분하지 못하다 하더라도, 아일릿에 대한 캡의 회전동작은 일어나지 않는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버튼취부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및 제2실시예는 아일릿(1)의 베이스플랜지(3)의 외형을 제외하고는 두실시예가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플랜지는 참조번호(9)의 위치에 단층을 만들어서 버튼을 취부할 직물등과의 마찰을 증대시킨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플래지도 상방으로 비스듬히 만곡된 단부영역 (8)을 가진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제7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는 아일릿과는 다른 취부부재본체(1)을 사용하고, 이것은 베이스플랜지(3)과 중심에 직립의 원주부(4')로 구성된다. 이것의 단부주위에는 상방으로 비스듬한 만곡부(8)이 형성된다. 제1및 제2실시예의 대응부분과 마찬가지로, 본체(1)은 소정의 작용을 하는 완전한 취부부재가 되도록 캡으로 싸여진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취부부재는 프롱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제11도에 예시한바와 같이 취부부재본체(1)은 베이스플랜지(3)과 단부주위에는 상방으로 비스듬한 만곡부(8)이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캡의 림은 만곡영역과 단단히 절곡고정되어서 소정작용을 하는 완전한 취부부재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버튼취부부재는 아일릿의 베이스 플랜지의 단부주위에 상방으로 비스듬한 만곡부를 가지기 때문에, 캡의 림을 플랜지의 단부와 함께 절곡고정시킨 후에는, 우수한 고정 작용을 행하고 캡의 플랜지에 대한 회전동작이 방지 된다. 또한, 구조의 단순성때문에 취부부재의 제조가 용이하다.

Claims (1)

  1. 베이스플랜지와 플랜지상에 직립하는 원통상부 또는 원주부 또는 복수의 침상부를 포함하는 버튼 취부부재 본체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베이스플랜지의 단부는 상방으로 비스듬히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취부부재본체.
KR2019860010420U 1985-12-12 1986-07-18 버튼취부 부재 KR88000005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90310 1985-12-12
JP1985190310U JPH0432969Y2 (ko) 1985-12-12 1985-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336U KR870009336U (ko) 1987-07-07
KR880000058Y1 true KR880000058Y1 (ko) 1988-03-08

Family

ID=1625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0420U KR880000058Y1 (ko) 1985-12-12 1986-07-18 버튼취부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32969Y2 (ko)
KR (1) KR880000058Y1 (ko)
GB (1) GB21839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55658C1 (ru) * 2014-05-27 2015-07-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Швабе-Приборы" Узел крепления фотоприем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 снаряжении бойц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58282A (en) * 1942-09-16 1943-12-29 Thomas Albert Ingram Buttons
GB857836A (en) * 1957-11-05 1961-01-04 Maxant Button & Supply Co A unitary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interfitting parts of a fabric-faced garment button and button parts for use therein
GB1205830A (en) * 1968-10-29 1970-09-16 Berning & Co Astor Werk Improvements relating to buttons
JPS5861009U (ja) * 1981-10-22 1983-04-25 スコ−ビル・ジヤパン株式会社 ボタンシエル付ボタン
JPS5921207U (ja) * 1982-08-02 1984-02-09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かしめ型釦のかしめ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32969Y2 (ko) 1992-08-07
GB2183987A (en) 1987-06-17
GB8617286D0 (en) 1986-08-20
KR870009336U (ko) 1987-07-07
JPS6298509U (ko) 1987-06-23
GB2183987B (en) 198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36516C (en) Button attaching fastener
US5435043A (en) Female member of snap button and press tool for clinching the same to washer
JPS6024169Y2 (ja) 鳩目
KR100374941B1 (ko) 버튼용 택
KR850003010Y1 (ko) 단추
KR850003009Y1 (ko) 의류 직물에 부착되는 단추
JP4221344B2 (ja) 止め具およびボタン
EP1038460B1 (en) Press fastener
KR880000058Y1 (ko) 버튼취부 부재
JPH04133709U (ja) スナツプボタン
JPH038086Y2 (ko)
EP1136284A2 (en) Wheel cover
JPS6342818Y2 (ko)
JPS6237447Y2 (ko)
JPH0232082Y2 (ko)
JPH09252809A (ja) ホック用バネ
US3378890A (en) Molding fastener
GB2055286A (en) Hook for a hook-and-eye fastener
WO2024084599A1 (ja) 止具
JPS6390Y2 (ko)
JPS6253605A (ja) スナツプ釦
JP3025139U (ja) くるみボタン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ボタン部材
JPS63283602A (ja)
JP2546858Y2 (ja) ホイールキャップ
JP3815760B2 (ja) 化粧リング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